최천숙 ìž‘ê°€ì˜ ë¯¼í™”ì—ì„¸ì´ â‘® ì‹  장ìƒë„ æ–° 長生圖

민화는 ìš°ë¦¬ì˜ ì „í†µì—서 ì´ì–´ì ¸ 내려오는 그림ì´ë‹¤. ì„¸í™”ë¡œì¨ ì§‘ì•ˆ 장ì‹ìœ¼ë¡œ
길ìƒê³¼ ë²½ì‚¬ì˜ ì˜ë¯¸ë¡œ 그려지고 ë„ìžê¸°ë‚˜ ìƒí™œìš©í’ˆì—ë„ ì‚¬ìš©ë˜ì—ˆë‹¤. ê·¸ ì‹œëŒ€ì˜ ì¢…êµ, 가치관,
정서, ìƒí™œìƒì„ ë°˜ì˜í•˜ê³  있는 ê·¸ë¦¼ì¸ ê²ƒì´ë‹¤. 나는 ì´ëŸ¬í•œ ì „í†µì„ ë°”íƒ•ìœ¼ë¡œ í˜„ëŒ€ì  ìš”ì†Œë¥¼ ë‹´ì•„
길ìƒì„ 전하는 ê·¸ë¦¼ì„ ê·¸ë¦´ 것ì´ë‹¤. ì˜¤ëŠ˜ë„ ì±…ìƒì— ë†“ì¸ ë¬¸ë°©ì‚¬ìš°ë¥¼ ë³´ë©° ì—´ì˜ë¥¼ ë¶ë‹ìš´ë‹¤.


ì¸ì‚¬ë™ 수운회관 건물ì—는 수필문학사와 (사)한국민화협회 ì‚¬ë¬´ì‹¤ì´ ìžˆê³  종로 오피스텔ì—는 í™”ì‹¤ì´ ìžˆì–´ ì¼ì£¼ì¼ì— 한 번 ì´ìƒì€ ì¸ì‚¬ë™ì— 방문한다. ìˆ˜ë§Žì€ ê°¤ëŸ¬ë¦¬ì—서는 전시회가 열리고 전통 ë¬¸í™”ì˜ ê±°ë¦¬ë‹µê²Œ 골ë™í’ˆ, 수예품, 문방사우, 미술ë„구, 장ì‹í’ˆ, 한복집, 전통ìŒì‹ì , 찻집 ë“±ì´ ìžˆì–´ 해외여행ìžë“¤ì´ 우리나ë¼ì˜ 전통과 문화를 ê²½í—˜í•˜ê³ ìž ì´ê³³ìœ¼ë¡œ ë§Žì´ ì˜¤ê¸°ë„ í•œë‹¤.
나는 ì´ê³³ì—서 ìžê·¸ë§ˆí•œ ì—°ì ì„ 몇 ì  ì‚¬ì„œ 모아 ë‘었다.
게 모양, 복숭아, 해태, ë°”ë‘‘íŒ ë“± ëª¨ì–‘ë„ ë‹¤ì–‘í•˜ë‹¤. 그리고 녹차, ë³´ì´ì°¨, 다기, ë‹¤ì‹ ì ‘ì‹œ, 수예품으로는 복주머니, 수저집, 안경집, 댕기, 목침, 사주보 ë“±ë„ ì‚¬ 모ì€ë‹¤. 전통 ë¬¼ê±´ì— ê·¸ë ¤ì§„ ê·¸ë¦¼ì€ ëª¨ë‘ ê¸¸ìƒå‰ç›¸ 무늬ì´ë‹¤. 연꽃, 모란, êµ­í™”, 패랭ì´ê½ƒ, 나비, 벌, ì›ì•™, 새, 십장ìƒ(í•´, 달, ì‚°, 바위, 물, ê±°ë¶, í•™, 사슴, 소나무, 불로초) 등으로 수壽, ë³µç¦, 강康, 령寜, 부富, 귀貴, 다多, ë‚¨ç”·ì„ ì—¼ì›í•œë‹¤.
민화를 그리면서 그림ë„구를 사기 위해 ì¸ì‚¬ë™ì„ ë”ìš± ìžì£¼ 들리게 ë˜ì—ˆë‹¤. í•œì§€ë§ˆíŠ¸ì— ë“¤ì–´ê°€ 가장 í° í•œì§€ë¥¼ ë‘ ìž¥ 샀다. ì°½ìž‘ëŒ€ìž‘ì „ì— ì°¸ê°€í•  ìž‘í’ˆì„ ê·¸ë¦¬ê¸° 위해서ì´ë‹¤. ëŒ€ìž‘ì€ 100호 ì´ìƒ ë˜ì–´ì•¼í•œë‹¤. 국산한지로 ë‹¥ì´ ë§Žì´ ë“¤ì–´ê°„ ì¢‹ì€ ê²ƒìœ¼ë¡œ 달ë¼ê³  했다. ì¢‹ì€ ìž‘í’ˆì„ ê·¸ë¦¬ê¸° 위해서는 ì¢‹ì€ ë„êµ¬ë„ í•„ìš”í•˜ë‹¤. 민화ì—는 ë¨¹ì„ ë§Žì´ ì“°ëŠ”ë° ë²¼ë£¨ì—다 ì—°ì ì— 담긴 ë¬¼ì„ ë¶€ì–´ ë¨¹ì„ ê°ˆì•„ ì“°ê¸°ë„ í•˜ì§€ë§Œ 편리하게 ë¨¹ë¬¼ì„ ì‚¬ì„œ ì“°ê¸°ë„ í•œë‹¤.

문방사우로 마ìŒì„ 다잡으며

붓글씨를 배울 때 종ì´, ë¶“, 벼루, 먹 문방사우文房四å‹ë¥¼ ëª¨ë‘ ê°–ì¶”ì–´ ë‘었으나 민화를 그리면서 채색물ê°ê³¼ 파레트를 ë”하게 ë˜ì—ˆë‹¤. 문방사우는 ì„ ë¹„ë“¤ì´ ì‹œì¡°ë¥¼ ìŠê³  문ì¸í™”를 그리며 ê¸€ì„ ì“°ë©° 주로 사용하였지만 현대ì—는 모든 ì‚¬ëžŒì´ ê³µë¶€í•˜ë©° 문구류를 ê³ì— ë‘ê³  있다. 민화를 하면서 문방사우를 늘 ê³ì— ë‘ê³  마ìŒì„ 가다듬으며 ì¢‹ì€ ìž‘í’ˆì´ íƒ„ìƒí•˜ê¸¸ 소ë§í•˜ë©° ë°¤ì„ ìƒŒë‹¤.
게 모양 ì—°ì ì— ì‚°ì±… ë’¤ì— ì‚´ì§ êº¾ì€ ìž‘ì€ ë“¤ê½ƒì„ ì–‘ìª½ 구ë©ì— 꽂아 ë‘ì—ˆëŠ”ë° ì–´ëŠìƒˆ ê½ƒì´ ë…¸ëž—ê²Œ ë§ëžë‹¤. 한지 ìœ„ì— ì„¸í•„ë¡œ ë¨¹ì„ ì°ì–´ 형태를 그리고 중필과 ëŒ€í•„ì„ ì‚¬ìš©í•˜ì—¬ 채색과 ë°”ë¦¼ì„ í•œ 후 ë§ì„ ì„ 그리고 완성하여 ë‚™ê´€ì„ ì°ê³  마ê°í•œë‹¤. 낙관으로는 성명ì¸ê³¼ 아호ì¸ì´ 있고 ë°•ì¥ë¬¸ì–‘ì˜ ì´ˆí˜•ì¸ì„ ê°–ê³  있다. ë¶‰ì€ ë‚˜ë¬´ë¡œ 만든 매화꽃 문양과 ë°•ì¥ ë¬¸ì–‘ 초형ì¸ì„ 비êµí•˜ë‹¤ê°€ ë³µç¦ì„ ìƒì§•하는 ë°•ì¥ ë¬¸ì–‘ì„ ì„ íƒí–ˆë‹¤.
ì´ë²ˆ ì‹œê°„ì— ì„ ë³´ì´ëŠ” ìž‘í’ˆì€ ìž¥ìƒë„ì´ë‹¤. 장ìƒë„는 불로장ìƒì„ ìƒì§•하는 소재로 그린 세화歲畵나 축수ç¥å£½ìš© 그림으로 ê¶ì¤‘ì—서는 ë³‘í’ ë“±ìœ¼ë¡œ 장ì‹í–ˆê³  ì¡°ì„  후기ì—는 민간ì—ì„œë„ íšŒê°‘, ì€í˜¼ì‹ ë“±ì— ì‚¬ìš©í–ˆë‹¤. 하늘엔 í•´, 구름, í•™ì„, ë•…ì—” ì‚°, 바위, 나무, 불로초, 사슴, 물ì—는 ê±°ë¶ì´ë¥¼ 그려 넣고 <ì‹  장ìƒë„ æ–° 長生圖>ë¼ ì œëª© 붙였다. ê¶ì¤‘ í™”ì›ë“¤ì˜ 그림보다 섬세하고 아름다운 êµ¬ì„±ì€ ì•„ë‹ˆì§€ë§Œ 정성스레 완성하여 소형 ì•¡ìžì— 담으며 ê±´ê°•ê³¼ 장수를 기ì›í•œë‹¤.


글·그림 최천숙((사)한국민화협회 해외조ì§íŒ€ ì´ì‚¬, 한국수필가문학가협회 ì´ì‚¬)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