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ž í˜•íƒœë¡œ 만든 그림 êµë³¸ í•œêµ­ì˜ ë¯¼í™”ì´ˆë³¸ì§‘â‘ 

표지

ì´ ê¸€ì„ ì½ê³  있는 ë…ìžë“¤ì€ ë¯¼í™”ì´ˆë³¸ì˜ ëª¨ìŠµì„ ë– ì˜¬ë ¤ë³´ê¸° 바란다. 대개 ë³¸ì§€ì— ì†Œê°œë˜ì—ˆê±°ë‚˜ ìžì‹ ì´ ì“°ë˜ ë‚±ìž¥ì˜ í˜•íƒœë¡œ 기억하고 ìžˆì„ ê²ƒì´ë‹¤. 그러나 우리나ë¼ì— ê·¸ë¦¼ì„ ê·¸ë¦¬ëŠ” ë°©ë²•ì— ëŒ€í•œ 예시와 ì´ˆë³¸ì„ ëª¨ì•„ë†“ì€ ì±…ì´ ìžˆë‹¤ê³  한다면 ì—¬ëŸ¬ë¶„ì€ ì–´ë–¤ ë°˜ì‘ì„ ë³´ì¼ê¹Œ. 아마 대부분 반신반ì˜í•˜ëŠ” ë°˜ì‘ì„ ë³´ì¼ ê²ƒì´ë‹¤. ì—¬ê¸°ì— ì†Œê°œí•˜ëŠ” ì±…ì´ ë°”ë¡œ 우리나ë¼ì—서 만들어져 사용ë˜ì—ˆë˜ 민화초본 êµìž¬ì´ë‹¤. ì´ë²ˆ 호를 시작으로 ë‚±ìž¥ì˜ ì´ˆë³¸ì´ ì•„ë‹Œ, ì±…ìž í˜•íƒœì˜ ë¯¼í™”ì´ˆë³¸ êµìž¬ì— 대해 살펴보기로 하ìž.

ì–´ë–¤ ê·¸ë¦¼ë“¤ì´ ë“¤ì–´ìžˆë‚˜

ì±…ì˜ ë‚´ìš©ì„ ì•Œê³  싶으면 표지를 먼저 살펴보는 ê²ƒì´ ì¢‹ë‹¤. ì´ ì±… 표지 왼쪽 ìƒë‹¨ì˜ 화첩花帖ì´ë¼ëŠ” 글ìžê°€ ë³´ì¸ë‹¤. ê½ƒì„ ê·¸ë¦° ì±…ì´ë¼ëŠ” 뜻ì´ë‹¤. 그렇다면 ì´ ì±… ì†ì—는 꽃그림만 ê°€ë“한 것ì¼ê¹Œ? 표지를 조금 ë” ì‚´íŽ´ë³´ìž. 오른쪽 ìƒë‹¨ì— 금수충린ë„회禽ç¸èŸ²é±—圖會ë¼ëŠ” 문구가 ë³´ì¸ë‹¤. ì´ ë¬¸êµ¬ë¥¼ 통해 ì´ ì±…ì˜ ë‚´ìš©ì´ ë™ì‹ë¬¼ìž„ì„ í™•ì‹¤í•˜ê²Œ 알 수 있다. 특ì´í•˜ê²Œ ê°™ì€ ë¬¸êµ¬ê°€ ë‘ ë²ˆ ì í˜€ìžˆëŠ” ê²ƒì„ í™•ì¸í•  수 있는ë°, ì´ëŠ” 제목 ë¶€ë¶„ì´ í›¼ì†ë˜ì–´ ê·¸ ì˜†ì— ì œëª©ì„ í•œ 번 ë” ì“´ 것으로 ë³´ì¸ë‹¤. 가장 ì™¼ìª½ì˜ ì œëª© ì•„ëž˜ì— ë‹¨å–®ì´ë¼ëŠ” 글ìžê°€ ë³´ì¸ë‹¤. 한 권짜리 ì±…ì´ë¼ëŠ” 뜻ì´ë‹¤. 가운ë°ì—는 유년신작酉年新作ì´ë¼ëŠ” 문구가 있다. 제작년ë„를 표기한 것으로 ì§ìž‘ë˜ì§€ë§Œ 안타ê¹ê²Œë„ 12ë…„ì— í•œ 번씩 ëŒì•„오는 간지干支만 가지고는 ì œìž‘ëœ ë…„ë„를 알 수 없다.

 
ìƒˆì˜ ì •ì²´ëŠ” 무엇ì¼ê¹Œ

ì´ì œ 본문 그림으로 들어가 ë³´ìž. 오늘 소개할 ì´ˆë³¸ì€ ìš”ì¦˜ 한창 우리나ë¼ë¥¼ 찾아오고 있는 대표ì ì¸ ê²¨ìš¸ì² ìƒˆì¸ ê¸°ëŸ¬ê¸°ë‹¤. 기러기가 그려진 페ì´ì§€ ìƒë‹¨ì— 27번째 그림ì´ë¼ëŠ” ì˜ë¯¸ì˜ 27번ì´ë¼ëŠ” 번호가 쓰여있다. ê·¸ 아래ì—는 백표구류ë¼ëŠ” ì œëª©ì´ í•œìžë¡œ 쓰여있다. 하얗게 변한 갈매기 ë–¼ë¼ëŠ” 뜻ì¸ë°, ê·¸ 옆ì—는 연필로 ì“´ ‘갈마기’ë¼ëŠ” í•œê¸€ì´ ë³´ì¸ë‹¤. ê·¸ 아래ì—는 먹으로 쓰여진 ‘기어기’ë¼ëŠ” 글ìžë¥¼ 찾아볼 수 있다. 새 그림 위ì—는 ‘기러기’ë¼ê³  연필로 쓰여있다. 연필로 ì“°ì¸ ê²ƒë“¤ì€ ë‚˜ì¤‘ì— ì“´ 것ì´ë¼ 제외하ë”ë¼ë„ 먹으로 ì“´ 글씨는 문제가 ëœë‹¤. 그렇다면 ì´ ìƒˆì˜ ì •ì²´ëŠ” ë„대체 무엇ì´ëž€ ë§ì¸ê°€.
ì´ì œ ì´ ìƒˆì˜ ì •ì²´ë¥¼ ë°ížˆê¸° 위해 ìš°ì„  ì—¬ê¸°ì— ê·¸ë ¤ì§„ 새를 ìžì„¸ížˆ 살펴보ìž. 온 ëª¸ì´ íšŒìƒ‰ìœ¼ë¡œ 채색ë˜ì–´ ìžˆëŠ”ë° ë¶€ë¦¬ê°€ 뾰족하고 길며 ë°œê°€ë½ ì‚¬ì´ì— 물갈퀴가 없다. ì´ ìƒˆëŠ” 부리가 뾰족한 갈매기ì¼ê¹Œ? 하지만 갈매기ë¼ê³  하기ì—는 ëª©ì´ ë„ˆë¬´ 길고 ë‹¤ë¦¬ë„ ê¸¸ë‹¤. 그렇다면 ëª©ì´ ê¸´ 기러기ì¼ê¹Œ?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ë½ë„ ì† ê¸°ëŸ¬ê¸°ì™€ 비êµí•´ë³´ë©´ ë¹„ë¡ ìžì„¸ëŠ” 비슷할지언정 둥근 부리와 물갈퀴ì—서 확연히 ì°¨ì´ê°€ 난다.
ì´ì œ 다시 ì œëª©ì„ ì‚´íŽ´ë³´ìž. 갈매기 구鷗ìžì—는 ‘물새’ë¼ëŠ” ëœ»ë„ ë“¤ì–´ìžˆë‹¤. 그렇다면 ë¬¼ìƒˆì˜ ë²”ì£¼ì— ë“¤ì–´ê°€ëŠ” 기러기 ë˜í•œ 해당ëœë‹¤ê³  í•  수 있다. 그렇다면 ì´ ì±…ì— ë“¤ì–´ê°„ ê·¸ë¦¼ì„ ì²˜ìŒ ê·¸ë¦° ì‚¬ëžŒì´ ê¸°ëŸ¬ê¸°ë¥¼ ì´ë ‡ê²Œ ê·¸ë ¤ë†“ì€ ê²ƒì€ ì•„ë‹ê¹Œ. ì±…ì˜ í¬ê¸°ê°€ 작기 ë•Œë¬¸ì— ì„¸ë¶€ë¬˜ì‚¬ê°€ 어렵다는 ì ë„ ì´ë¥¼ 뒷받침해 줄 수 ìžˆì„ ê²ƒì´ë‹¤. 그렇다면 ì´ ìƒˆë¥¼ 기러기로 ë³´ì•„ë„ í¬ê²Œ 문제ë˜ì§€ëŠ” 않으리ë¼ê³  ìƒê°ëœë‹¤.
ì´ ë¯¼í™”ì´ˆë³¸ì§‘ê³¼ 마찬가지로 우리가 ì´ì œê» ë³´ì§€ ëª»í–ˆë˜ ë¯¼í™” 관련 ìžë£Œë“¤ì´ ê³„ì† ë°œê²¬ë˜ê³  있다. ì´ëŸ¬í•œ ìžë£Œë“¤ì´ ê³„ì† ìˆ˜ì§‘, 연구ëœë‹¤ë©´ 우리 민화 ë°œì „ì— í° ì—­í• ì„ í•  수 ìžˆì„ ê²ƒì´ë‹¤. 혹시ë¼ë„ ì´ëŸ° ìžë£Œë“¤ì´ 사ë¼ì§€ì§€ 않ë„ë¡ ì—¬ëŸ¬ë¶„ë„ ì£¼ë³€ì„ í•œ 번 잘 살펴보길 바란다.

 

글 : ì´ë‹¤ì •(가회민화박물관 학예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