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거리 Today 작가 곽수연 – ìš°í™”å¯“è©±ê°™ì€ ê·¸ë¦¼, ì¸ê°„ì„ ë“¤ì—¬ë‹¤ë³´ë‹¤

월간<민화>ê°€ 주최한 <책거리Today> 전시ì—서는 ê³ ì „ì  ë¯¸ê°ì„ 바탕으로 재탄ìƒí•œ ìž‘í’ˆë“¤ì´ í˜„ëŒ€ì¸ì˜ ê°ì„±ì—ë„ ìžì—°ìŠ¤ëŸ½ê²Œ 접근하는 ëª¨ìŠµì„ ë³´ì—¬ì£¼ì—ˆë‹¤. í˜„ëŒ€ë¯¼í™”ì˜ ë°œì „ìƒê³¼ 한국ì ì¸ ê·¸ë¦¼ì˜ ê°€ëŠ¥ì„±ì„ ê°€ëŠ í•  수 ìžˆë˜ ì „ì‹œìž¥ì—서 ë‘ ë²ˆì§¸ë¡œ 만난 작가는 반려ë™ë¬¼ê³¼ ë¯¼í™”ì  ìš”ì†Œë¥¼ 융합하며 ë…ìžì ì¸ 예술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곽수연 작가ì´ë‹¤.


월간<민화>ê°€ ‘민화 Todayâ€™ì‹œë¦¬ì¦ˆì˜ ì²« 번째로 기íší•œ <책거리Today> ì „ì‹œìž¥ì— ê±¸ë¦° 한 작품ì—는 겸재 ì •ì„ ì´ ê¸ˆê°•ì‚°ì„ ìœ ëžŒí•˜ê³  그린 백천êµì˜ 경치가 책거리 ì•ˆì— íŽ¼ì³ì ¸ 있다. 양옆으로 ê°ˆìˆ˜ë¡ í­ì´ ì¢ì•„지는 í™”ë©´ì€ ê°€ìš´ë° ë¶€ë¶„ì´ ëŒì¶œëœ 듯한 ì°©ì‹œë„ ë¶ˆëŸ¬ì¼ìœ¼í‚¨ë‹¤. ì´ ìž‘í’ˆì€ ê³½ìˆ˜ì—° ìž‘ê°€ì˜ <Utopia(백천êµ)>ì´ë‹¤. 전통ì ì¸ ì±…ê±°ë¦¬ì˜ ì¼ì íˆ¬ì‹œë„ê°€ 아닌 ì´ì íˆ¬ì‹œë„ë²•ì„ ì ìš©í•˜ê³ , 서가와 ìžì—°ì‚°ìˆ˜ê°€ 절묘하게 어우러진 ì ì—서 관람ê°ë“¤ì—게 신선한 ê²½í—˜ì„ ì œê³µí–ˆë‹¤ëŠ” í‰ì´ 많았다.
“그ë™ì•ˆ 책거리를 배경으로 개가 등장하는 한국화를 그려왔는ë°, 장르를 떠나 책거리ë¼ëŠ” 공통ì ìœ¼ë¡œ 민화 작가분들과 전시를 í•  수 있어서 기뻤어요. ë”ìš±ì´ ì´ë²ˆ 전시는 ê¶ì¤‘í™” 책거리와 민화 ì±…ê±°ë¦¬ì— ê´€í•´ ê¹Šì´ ì´í•´í•˜ëŠ” ì¢‹ì€ ê¸°íšŒì˜€ìŠµë‹ˆë‹¤.â€
ê³½ 작가는 í•œì„±ëŒ€í•™êµ íšŒí™”ê³¼(한국화)와 ë™ëŒ€í•™ì›ì„ 졸업한 후 ë™êµ­ëŒ€í•™êµ ì¼ë°˜ëŒ€í•™ì›ì—서 미술학 ë°•ì‚¬ê³¼ì •ì„ ìˆ˜ë£Œí–ˆë‹¤. 10여년 넘게 반려ë™ë¬¼ì„ 주요 소재로 작업하며 조선시대 ì˜ëª¨í™”ì— ë§Žì´ ì“°ì¸ êµ¬ë¥µì „ì±„ë²•ê³¼ ìˆ˜ë¬µëª°ê³¨ë²•ì„ í˜„ëŒ€ì ì¸ ê°ê°ì— 어울리ë„ë¡ ì—°êµ¬í–ˆê³ , 옛 ì„ ì¡°ë“¤ì´ ìžì—°ì„ ê°€ê¹Œì´ í•˜ë ¤ í–ˆë˜ ë§ˆìŒì„ 작품 ì†ì— 표현하려고 노력해왔다. ê·¸ë…€ì˜ ìž‘í’ˆì„¸ê³„ëŠ” ì„사 ê³¼ì •ì„ ë§ˆì¹  ì¦ˆìŒ ë°°ìš´ 전통 진채 기법으로 ìžì‹ ë§Œì˜ 색ê°ì„ 시ë„í•  때 í¬ê²Œ 변했다. ë˜í•œ 작품 주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책거리와 십장ìƒë„를 차용하여 보다 진중한 태ë„로 ë¯¼í™”ì— ë‹´ê¸´ ì •ì‹ ì˜ ë‚´ë©´í™”ë¥¼ 갈구하고 있다.

진정한 ì¸ê°„ë‹¤ì›€ì— ëŒ€í•˜ì—¬

곽수연 작가는 ëŒ€í†µë ¹ì˜ ë°˜ë ¤ê²¬ì„ ê·¸ë¦° 로 유명세를 타기 훨씬 ì „ì¸ 2007년부터 반려ë™ë¬¼ê³¼ ë¯¼í™”ì  ìš”ì†Œë¡œ 구성한 ìž‘í’ˆì„ ë‹¤ìˆ˜ 선보였다. 특히 사람ì—게 길들여져 주ì¸ì˜ 취향과 í‘œì •ì„ ë”°ë¼í•˜ëŠ” ‘개’는 ê³½ ìž‘ê°€ì˜ ìž‘ì—…ì—서 ì¸ê°„사회를 투ì˜í•˜ëŠ” 중요한 매개체ì´ë‹¤. 그녀는 애견 ì¸êµ¬ 천만시대를 ë§žì•„ 개를 대하는 ì¸ê°„ì˜ íƒœë„ê°€ 달ë¼ì§€ëŠ” 현ìƒì„ 목격하면서 ìžì‹ ì˜ 주제ì˜ì‹ê³¼ ë¯¼í™”ì˜ í•´í•™ì´ ë‹¿ì•„ìžˆë‹¤ê³  깨달았다.
“ë™ë¬¼ì  ë³¸ëŠ¥ì„ ìžŠê³  ì˜ì¸í™”ëœ ê°œì˜ ëª¨ìŠµì—서 우리가 외면한 í˜„ì‹¤ì„ ë– ì˜¬ë¦¬ë©´ 서글í¼ì§€ê¸°ë„ í•´ìš”. ê°œì˜ í˜•ìƒì„ 그리고 있지만, ê·¸ ì´ë©´ì—는 ì¸ê°„ê´€ê³„ì˜ ë‹¨ì ˆê³¼ ì¸ê°„ë‹¤ì›€ì— ëŒ€í•œ ì„±ì°°ì„ ì´ì•¼ê¸°í•˜ê³  싶습니다.â€
ìž‘ê°€ì˜ ì†ì„ 거친 ë™ë¬¼ë“¤ì˜ 눈빛ì—는 서로 소통하고 싶지만 ê±°ì ˆì´ ë‘려워 시ë„ì¡°ì°¨ 하지 않는 ì¸ê°„ì˜ ì–‘ê°€ì ì¸ 심리ìƒíƒœê°€ 잘 드러난다. ë™ì‹œì— ì¸ê°„보다 ë” ì¸ê°„ ê°™ì€ ë™ë¬¼ì„ 묘사하여 그보다 못한 ì‚¬ëžŒë“¤ì„ í’ìží•˜ê¸°ë„ 한다. 앞으로 ì¸ê°„ì„ ë™ë¬¼ì ì¸ 세계와 ì´ì–´ì£¼ëŠ” 12지신 모티프를 확장시켜 ì‚¬ëžŒì˜ ì„±ê²©ì„ íƒêµ¬í•˜ê³  싶다는 곽수연 작가. 그림으로 타ì¸ê³¼ êµê°í•˜ëŠ” ê·¸ë…€ì˜ ìž‘í’ˆì„¸ê³„ëŠ” 현재진행형ì´ë‹¤.


글 강미숙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