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색 방법과 안료 구분법⑨ – 장ìƒë„ 채색

채색 방법과 안료 구분법⑨
장ìƒë„ 채색


소나무, 대나무, 복숭아, í•™, ê±°ë¶ì´, 구름, í•´, ì‚°, 바위 등 장ìƒë¬¼ì„ ë‹´ì€ ê·¸ë¦¼ì„ ìž¥ìƒë„ë¼ í•œë‹¤. 불로장ìƒí•˜ê³ ìž 하는 ì‚¬ëžŒë“¤ì˜ ì†Œë§ì„ ë‹´ê³  있는ë°, 다양한 소재가 ë“±ìž¥í•˜ê¸°ì— ì´ˆë³´ìžë“¤ì´ ì†ì„ ëŒ€ê¸°ì— ì‰½ì§€ ì•Šì€ ê·¸ë¦¼ì´ë‹¤. 십장ìƒë„ì˜ ì±„ìƒë°©ë²•ì— ê´€í•´ 알아보ìž.

q2

q4

ì²­ë¡ ì‹­ìž¥ìƒì˜ 화려함, 담채 장ìƒë„ì˜ ìˆ˜ìˆ˜í•¨!

ê¶ì¤‘ 장ì‹í™”ì˜ ëŒ€í‘œì ì¸ 십장ìƒì€ ì¤‘êµ­ì˜ ì²­ë¡ ì‚°ìˆ˜í™”ì— ë¿Œë¦¬ë¥¼ ë‘ê³  있으나, 우리나ë¼ë§Œì˜ ë…ìžì ì¸ 미ê°ìœ¼ë¡œ ì •í˜•í™”ëœ ìž¥ì‹í™”다.
장ìƒì˜ ì˜ë¯¸ë¥¼ ê°–ê³  있는 소나무, 대나무, 복숭아, í•™, ê±°ë¶ì´, 사슴, 불로초 ë“±ì˜ ë™ì‹ë¬¼ì„ 비롯하여 구름, í•´, ì‚°, 바위, 물과 ê°™ì€ ìžì—°ë¬¼ì„ ì—´ 가지 í˜¹ì€ ê·¸ ì´ìƒ ì˜ì†ëœ ì‚¶ì˜ ì˜ë¯¸ë¥¼ ë‹´ì•„ 그린 그림ì´ë‹¤.
ë°°ê²½ì´ ë˜ëŠ” ë°”ìœ„ì˜ ì±„ìƒ‰ì„ ì²­ë¡ì˜ 진채로 표현하여 ê¶ì¤‘장ì‹í™”ì˜ í™”ë ¤í•¨ê³¼ ê³ ê¸‰ìŠ¤ëŸ¬ì›€ì„ ë³´ì—¬ì£¼ê³  있다. ì´ì— 반해 담채로 그려진 장ìƒë„는 십장ìƒì˜ 등장요소 중 í•™ì´ë‚˜ 사슴 등 대표ì ì¸ 몇 가지만 그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ì†Œë°•í•˜ë©´ì„œë„ ë‹¨ì•„í•œ ëŠë‚Œìœ¼ë¡œ ì„œë¯¼ë“¤ì˜ ë¶ˆë¡œìž¥ìƒì˜ ê¿ˆì„ ë‹´ê³  있다.
â–¶ ì²­ë¡ì‹­ìž¥ìƒ, 장ìƒë„, 송학ë„

q5

십장ìƒì˜ í¬ì¸íŠ¸ëŠ” ì±„ìƒ‰ì˜ ìˆœì„œ!

십장ìƒì€ ë§ ê·¸ëŒ€ë¡œ 주ì¸ê³µì´ ì—´ 개다. 초보ìžë“¤ì´ ë¯¼í™”ì— ìž…ë¬¸í•˜ë©´ì„œ 가장 그리기 어렵게 ëŠë¼ëŠ” 대표ì ì¸ ê·¸ë¦¼ì´ ì§„ì±„ 십장ìƒì´ë‹¤. 등장요소가 ë§Žê³  í™”ë©´ì„ ê½‰ 채운 채색그림ì´ê¸° 때문ì´ë‹¤. ë³¸ì„ ëœ¬ 후 가장 난ê°í•œ ë¶€ë¶„ì€ â€˜ê³¼ì—° 어디서부터 ì±„ìƒ‰ì„ ì‹œìž‘í•´ì•¼ ë˜ëŠ” 것ì¸ê°€?’ì´ë‹¤. ê·¸ë§Œí¼ ê·¸ 첫걸ìŒì´ 유난히 무ê²ê²Œ ëŠê»´ì§€ëŠ” 그림ì´ë‹¤. 하지만 ê·¸ë™ì•ˆ ì§„í–‰í–ˆë˜ ì›í¬ì¸íЏ 레슨 강좌ì—서 â€˜í•­ìƒ ì±„ìƒ‰ì˜ ìˆœì„œëŠ” 담채ì—서 진채순으로 채색해야 한다’고 ê°•ì¡°í–ˆë˜ ê²ƒì„ ìˆ™ì§€í•œë‹¤ë©´ 그리 어려운 ìž‘ì—…ì€ ì•„ë‹ˆë‹¤.
ì´ì²˜ëŸ¼ 여러 ìž¥ë©´ì´ ê²¹ì¹˜ê³  등장요소가 ë§Žì„ ë•ŒëŠ” 반드시 ì²˜ìŒ ë°°ê²½ì´ ë˜ëŠ” ë¶€ë¶„ì„ ìƒê°í•´ì•¼ 한다. ë˜í•œ, ê°™ì€ ìƒ‰ìƒì„ ì¹ í•  ë¶€ë¶„ì€ í•œ ë²ˆì— ìƒ‰ì„ ì¹ í•´ì•¼ 색ê°ì— 통ì¼ê°ì´ 갖춰지고 ìž‘ì—…ì´ í›¨ì”¬ 수월할 수 있다.
담채 장ìƒí™”ì˜ ì±„ìƒ‰ 방법 ë˜í•œ 부분ì ìœ¼ë¡œ 비êµí•˜ë©° ì„¤ëª…ì„ ì§„í–‰í•˜ê² ë‹¤.

➊ 십장ìƒì— 있어 ë°°ê²½ì´ ë˜ê³  ë‹´ì±„ì¸ ë¶€ë¶„ì€ ë¬¼ê³¼ 소나무 부분ì´ë¯€ë¡œ 첫 번째 순서를 ì´ ë¶€ë¶„ìœ¼ë¡œ 정한다. 본남과 ë…¹ì²­ì„ ì„žë˜ ë¬¼ ë¶€ë¶„ì€ ë³¸ë‚¨ì„ ì¢€ ë” ë§Žì´ ë„£ê³ , 소나무 ë¶€ë¶„ì€ ë³¸ë‚¨ê³¼ ë…¹ì²­ì„ ë°˜ë°˜ì˜ ë¹„ìœ¨ë¡œ 섞어 칠한 후 본남으로 바림한다. ë†ë„는 í리게 ì˜…ì€ ë‹´ì±„ë¡œ 해야 ì „ì²´ì ì¸ 진채 채색화 부분ì—서 담백하고 청아한 ëŠë‚Œì„ ë”í•  수 있다.
â–¶ 소나무1, 물, 장ìƒë„ 소나무잎

âž‹ 나뭇가지는 대ìžì™€ ë¨¹ì„ ì„žì–´ 칠하고, ë¨¹ì„ ë” ë„£ì–´ 바림한다. ë…¸ëž€í’€ì€ ë“±í™©, ë•…ì€ ë“±í™©ì— í˜¸ë¶„ì„ ì„žì–´ 칠한 후 본남으로 바림한다. ë“±í™©ì„ ì ì‹  ë¶“ì— ë³¸ë‚¨(봉채)ì„ ì°ì–´ ë°˜ì›ì„ 그리듯 í’€ì„ ê·¸ë ¤ ë•…í’€ì„ í‘œí˜„í•œë‹¤. ê±°ë¶ì´ëŠ” 대ìžì™€ ë¨¹ì„ ì„žì€ ìƒ‰ì„ ëŒ€ìžë¶€ë¶„ì— ì¹ í•˜ê³ , 등황과 í˜¸ë¶„ì„ ì„žì€ ìƒ‰ì„ ê±°ë¶ì´ ë°° ë¶€ë¶„ì— ì¹ í•œë‹¤.
â–¶ ê±°ë¶1, ë•…

십장ìƒë§ˆë‹¤ 다른 ì†Œë‚˜ë¬´ì˜ ë‹¤ì–‘í•œ 채색 í¬ì¸íЏ

십장ìƒì€ ì†Œë‚˜ë¬´ì˜ ìƒ‰ê°ì„ 다양하게 표현하여 ê°™ì€ ì²­ë¡ ì‚°ìˆ˜í™”ë¼ê³  í•´ë„ ë‹¤ë¥¸ ëŠë‚Œì˜ ì‹­ìž¥ìƒ ìž‘í’ˆì„ ê°ìƒí•  수 있다.
소나무는 금송과 ì ì†¡ì„ 주로 표현한다. ê¸ˆì†¡ì¼ ë•Œì—는 나뭇가지를 대ìžì™€ ë¨¹ì„ ì„žì–´ ì¼ë°˜ì ì¸ 나무 색으로 칠하며, 나무 ëë¶€ë¶„ì€ ì ëŒ€ìž(분채)와 ë¨¹ì„ ì„žì–´ 바림한다. ì ì†¡ì¼ 때는 ì ìƒ‰ì„ 칠하여 좀 ë” ê°•ë ¬í•œ ëŠë‚Œì„ 준다.
ì†Œë‚˜ë¬´ì˜ ìžŽ 부분 ë˜í•œ 담채로 표현할 ë•Œë„ ìžˆê³  녹청과 호분 í™©ì„ ì„žì–´ 진채로 표현한 후 본남으로 바림하여 ì²­ë¡ ì‚°ìˆ˜í™”ì˜ í™”ë ¤í•¨ì„ ê°•ì¡°í•˜ëŠ” ê²½ìš°ë„ ìžˆë‹¤.
ë‹´ì±„ì˜ ìž¥ìƒë„ì—서 소나무는 ê·¸ë¦¼ì˜ ì£¼ì—°ê¸‰ 소재다. ë”°ë¼ì„œ 기개 넘치는 필력으로 ë³¸ì„ ê·¸ë¦¬ê³  간결한 색ê°ìœ¼ë¡œ 표현한다.
â–¶ ì ì†¡ê³¼ 금송, 진채 소나무잎, 장ìƒë„ 소나무1·2

➌ 대ìžì™€ í˜¸ë¶„ì„ ì„žì€ ìƒ‰(1)ì€ ë•…ì˜ ì ˆì‚­ë©´ì„ ì¹ í•˜ê³  대ìžì— ë¨¹ì„ ì„žì–´ 바림한다. 색(1) 으로 바위 안쪽 ë¶€ë¶„ì„ ë°”ë¦¼í•˜ë©° 칠한 ë’¤ ì‚¬ìŠ´ì˜ ëª¸ì„ ì¹ í•œë‹¤. ë°°ë¶€ë¶„ì€ í˜¸ë¶„ìœ¼ë¡œ 바림한다.
▶ 바위1·2, 절삭면, 사슴

ì²­ë¡ ì‚°ìˆ˜í™”ì˜ ì£¼ìƒ‰ 바위채색 í¬ì¸íЏ

q6
십장ìƒì—서 ë°”ìœ„ì˜ ìƒ‰ê°ì€ ìž‘í’ˆì „ì²´ì˜ ë¶„ìœ„ê¸°ë¥¼ 아우르는 중요한 부분ì´ë‹¤. 바위와 ì‚°ì˜ ë°ì€ 노란 ë¶€ë¶„ì€ ë“±í™©ìœ¼ë¡œ 바림한다. ë°”ìœ„ì˜ ëŒ€ìž(봉채)로 칠한 부분과 등황 바림한 바위와 ì‚° 위로 녹청(분채)ê³¼ 황(분채), í˜¸ë¶„ì„ ì„žì–´ 바깥ì—서 안쪽으로 바림하면서 칠한다. 파란 바위 부분과 파란 ì‚°ì€ êµ°ì²­(분채)ê³¼ 호분, ë¨¹ì„ ì„žì–´ 바깥ì—서 안쪽으로 바림한다.
바위선과 ì‚°ì˜ ì„ ì€ êµ°ì²­(분채)ì— ë¨¹ì„ ë„£ì–´ 긋고, ê¸ˆë¶„ì— ì•„êµë¥¼ 섞어 바위선과 ì‚°ì˜ ì„ ì— ì•ˆìª½ìœ¼ë¡œ ê¸ˆì„ ì„ ê°€ëŠ˜ê²Œ 긋는다. 특히 ë…¹ì²­ìƒ‰ì€ ë”ìš± 신중하게 조색 후 종ì´ì— 반드시 칠하고 ë§ë ¤ë³¸ 후 ìƒ‰ì„ í™•ì¸í•´ ë³´ê³  ë³¸ê·¸ë¦¼ì— ì¹ í•´ì•¼ 한다. 대부분 ë…¹ì²­ì„ ê¸°ë³¸ 바위색으로 표현하고 때론 ë°±ë¡ì˜ 우아한 ë°”ìœ„ì±„ìƒ‰ë„ í•œë‹¤.
â–¶ 녹청바위, ë°±ë¡ë°”위

담채 장ìƒë„ì˜ ì£¼ì¸ê³µì€ 사슴!

ì‚¬ìŠ´í„¸ì€ ëŒ€ìž(봉채)와 ë¨¹ì„ ì„žì–´ 치ë˜, ë¶“ëì„ ë‘ ê°ˆëž˜ë¡œ ê°ˆë¼ì„œ 한다. 대ìžìƒ‰ ëª¸ì€ ëŒ€ìž(봉채)ì— ë¨¹ì„ ë„£ì–´ ì„ ì„ ì¹˜ê³  나머지 ë¶€ë¶„ì€ ë¨¹ìœ¼ë¡œ ì„ ì„ ì¹œë‹¤. ë“±ì¤„ê¸°ì— ë¨¹ìœ¼ë¡œ ê²€ì€ ì¤„ë¬´ëŠ¬ì™€ 호분으로 í° ì¤„ë¬´ëŠ¬ë¥¼ 번갈아 가며 그려주고, 호분으로 ëª¸ì „ì²´ì˜ ë¬´ëŠ¬ë¥¼ 그려준다.
â–¶ 장ìƒë„ 사슴1·2

âž í˜¸ë¶„ë¶€ë¶„ì¸ í•™, 복숭아, 불로초 êµ¬ë¦„ì„ ì¹ í•œë‹¤.
▶ 호분 학, 복숭아

q7

구름 채색 í¬ì¸íЏ

êµ¬ë¦„ì€ í˜¸ë¶„ì— ë¨¹ê³¼ 황토 봉채를 조금씩 섞어 í˜¸ë¶„ì˜ ëª…ë„를 약간 줄여서 칠해야 ê·¸ë¦¼ì´ ì „ì²´ì ìœ¼ë¡œ 차분하며 ê³ í’스럽다.
êµ¬ë¦„ì€ ë³¸ë‚¨(봉채)ê³¼ 황(분채), í™ë§¤(분채)로 연하게 색깔별로 바림한 ë’¤, 중간 먹으로 ì„ ì„ ì¹˜ê³  호분으로 진하게 먹선 안쪽으로 ë§ì„ ì„ 친다.
▶ 구름

➎ 대나무 ìžŽì˜ ì–´ë‘ìš´ ë¶€ë¶„ì€ ë¨¹ì— ëŒ€ìž ë´‰ì±„ë¥¼ 조금 섞어 칠한다.
▶ 대나무 진한 부분

➠복숭아잎과 ëŒ€ë‚˜ë¬´ìžŽì€ ë…¹ì²­(분채), 황(분채), í˜¸ë¶„ì„ ì„žì–´ 바위보다 조금 ë” ë…¹ìƒ‰ì„ ë§Žì´ ë„£ì–´ 칠한다. 나머지 복숭아잎과 대나무줄기는 ë°±ë¡(분채)ì— í˜¸ë¶„ìœ¼ë¡œ 칠한 후 먹으로 ì™¸ê³½ì„ ì„ ê¸‹ëŠ”ë‹¤. 장ìƒë„ì˜ ëŒ€ë‚˜ë¬´ ìžŽì€ ë“±í™©ìœ¼ë¡œ 칠하여 ì „ì²´ì ì¸ 색ê°ì„ 조화롭게 한다.
â–¶ 장ìƒë„ 대나무잎, 진채 대나무잎

âž ì ìƒ‰ ë¶€ë¶„ì¸ í•´, í•™, ê±°ë¶ ë“±ì„ ì ë¶„채로 칠한다.
â–¶ í•´, 학머리, ê±°ë¶2
âž‘ ë³µìˆ­ì•„ì˜ ì•„ëž˜ ë¶€ë¶„ì€ ë“±í™©ì— ë…¹ì²­(봉채)ì„ ì„žì–´ 바림하고 í™ë§¤(분채)로 ì ì„ ì°ëŠ”ë‹¤. 복숭아와 í°ìƒ‰ 불로초는 í™ë§¤(분채)로 바림하고, í™ë§¤(분채)ì— ë¨¹ì„ ë„£ì–´ ì„ ì„ ì¹œë‹¤. ì ìƒ‰ 불로초는 ì (분채)으로 바림하고 바림한 ìƒ‰ì— ë¨¹ì„ ë„£ì–´ ì„ ì„ ì¹œë‹¤.
▶ 진채복숭아, 불로초

âž’ ê±°ë¶ì´ 뿜는 서기는 êµ°ì²­(분채)ì— í˜¸ë¶„, ë¨¹ì„ ì„žì–´ 바림한다. í•™ì˜ ê²€ì • 깃털 ë¶€ë¶„ì€ í˜¸ë¶„ìœ¼ë¡œ ì„ ì„ ê¸‹ëŠ”ë‹¤. 부리는 ë°±ë¡ìœ¼ë¡œ 칠하고 ëˆˆì€ í™©ìƒ‰ìœ¼ë¡œ 칠한다.
â–¶ í•™, ê±°ë¶ì´ 서기

담채 송학ë„ì˜ ì£¼ì¸ê³µì€ í•™!

송학ë„ì˜ ì£¼ì¸ê³µì€ í•™ì´ë‹¤. ê·¸ í‘œí˜„ì´ ì„¬ì„¸í•˜ê³  담대한 ëŠë‚Œì„ 주는 신비로운 í•™ì„ í‘œí˜„í•´ì•¼ 한다. í•™ì˜ ë¶€ë¦¬ëŠ” 황토(봉채)으로 칠한다.
â–¶ 장ìƒë„ í•™1·2

âž“ ë°±ë¡(분채)으로 소나무 ëì— ìŒ€ì•Œì²˜ëŸ¼ 긴 ì ì„ ì°ë“¯ 조금 길게 칠한다.ë‚˜ë¬´ì— ë°±ë¡(분채)으로 태ì ì„ ì°ê³  ë°±ë¡ì´ 마르기 ì „ì— ë¨¹ì„ ì°ì–´ ë¨¹ì´ ìžì—°ìŠ¤ëŸ½ê²Œ ë°±ë¡ê³¼ 섞ì´ê²Œ 만든다. ë°±ë¡ì´ 마른 후 í˜¸ë¶„ì„ ì§„í•˜ê²Œ 갈아서 ì ì„ ì°ì–´ 마무리한다.
â–¶ 태ì 

 

글·사진 송창수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