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색 방법과 안료 구분법⑧ – í˜¸ëž‘ì´ ê·¸ë¦¼ì±„ìƒ‰

채색 방법과 안료 구분법⑧
í˜¸ëž‘ì´ ê·¸ë¦¼ì±„ìƒ‰

ë¯¼í™”ì˜ ëŒ€í‘œì ì¸ ë²½ì‚¬í™”ì¸ í˜¸ëž‘ì´ ê·¸ë¦¼ì€ ìƒˆí•´ì˜ ë‚˜ìœ ì•¡ì„ ë§‰ê³  ë³µì„ ë¶€ë¥´ê³ ìž í•˜ëŠ” ì—¼ì›ì„ ë‹´ê³  있다. 벽사와 함께 사회 í’ìž í˜¹ì€ ë¯¼ê°„ì„¤í™” ë“±ì˜ ì´ì•¼ê¸°ë¥¼ ë‹´ê³  있기ë„한ë°, ê·¸ë¦¼ì˜ ì˜ë¯¸ì— ë”°ë¼ ê·¸ 표현 ë°©ì‹ì´ 다양하다. í˜¸ëž‘ì´ ê·¸ë¦¼ ì±„ìƒ‰ë°©ë²•ì— ê´€í•´ 알아보ìž.

í˜¸ëž‘ì´ ê·¸ë¦¼ì€ ë¯¼í™”ì˜ ëŒ€í‘œì  ë²½ì‚¬í™”ì´ë‹¤. 호랑ì´ë§Œì„ 그린 호ë„는 물론ì´ê³  호랑ì´ì™€ 까치, 호랑ì´ì™€ í† ë¼ ë“±ì´ ë‹´ê¸´ 다양한 그림으로 전해오고 있다. ë²½ì‚¬ì˜ ì˜ë¯¸ì™€ 함께 당시 ì‚¬íšŒì˜ í’ìž, 민간설화 등 여러 가지 ì˜ë¯¸ë¡œ í•´ì„ëœë‹¤. ìµì‚´ìŠ¤ëŸ° 호랑ì´, 호기 ê°€ë“한 ì˜í—˜í•œ í˜¸ëž‘ì´ ë“± ê·¸ë¦¼ì˜ ì˜ë¯¸ì— ë”°ë¼ í˜¸ëž‘ì´ì˜ 표현 ë˜í•œ 다양하다.
대표ì ì¸ ì˜ë¯¸ì˜ í˜¸ëž‘ì´ ê·¸ë¦¼ì€ ìƒˆí•´ë¥¼ ë§žì•„ ë‚˜ìœ ì•¡ì„ ë§‰ê³  ë³µì„ ë¶€ë¥´ê³ ìž í•˜ëŠ” ì‚¬ëžŒë“¤ì˜ ì—¼ì›ì„ ë‹´ì•„ ëŒ€ë¬¸ì— ë¶™ì—¬ì¡Œë‹¤. 새해 ì„ ë¬¼ë¡œë„ ì£¼ê³ ë°›ë˜ ìš°ë¦¬ë„¤ì˜ ì†Œë§ì„ ìƒì§•하는 정겨운 그림ì´ìž 가장 대중ì ì¸ 그림으로 주로 íŒí™”로 ë§Žì´ ì œìž‘ë˜ì—ˆìœ¼ë©°, í˜„ìž¬ê¹Œì§€ë„ ë§Žì€ ì‚¬ëžŒë“¤ì—게 사랑받고 있다.

ì‹œìž‘ì´ ì ˆë°˜! 밑그림 그리기

호랑ì´ëŠ” ì „ì²´ì ìœ¼ë¡œ 담채로 그리게 ë˜ë¯€ë¡œ ë°‘ê·¸ë¦¼ì´ ë§¤ìš° 중요하다. 특히, 호랑ì´ì˜ 털치기는 í˜¸ëž‘ì´ ê·¸ë¦¼ì—서 가장 중요하다.

➊ í˜¸ëž‘ì´ í„¸ì¹˜ê¸°
모든 그림ì—서 채색 마무리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í˜¸ëž‘ì´ ê·¸ë¦¼ì€ ë§ˆë¬´ë¦¬ì— í„¸ì¹˜ê¸° ê³¼ì •ì´ ìžˆëŠ”ë°, 호랑ì´ì˜ ë¬´ëŠ¬ì— ë”°ë¼ ê° ê·¸ë¦¼ì˜ ê°œì„±ê³¼ 호랑ì´ì˜ ìºë¦­í„°ê°€ 살아나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í•  수 있다.
ë¯¼í™”ì˜ í˜¸ëž‘ì´ëŠ” 매우 다양하게 표현ë˜ëŠ”ë° ì¤„ë¬´ëŠ¬ í˜¹ì€ ì ë¬´ëŠ¬ë¥¼ 넣거나 í„¸ì„ ì•ˆ 치는 ê²½ìš°ë„ ìžˆë‹¤.
í˜¸ëž‘ì´ ì¤„ë¬´ëŠ¬ì˜ ë¨¹ìƒ‰ì€ ë°‘ê·¸ë¦¼ì„ ê·¸ë¦´ 때 칠해주는 ê²ƒì´ ì¢‹ë‹¤. 종ì´ì— êµë°˜ìˆ˜ í›„ì— ì¹ í•˜ê²Œ ë˜ë©´ ë¨¹ì˜ ë†ë„ì— ë”°ë¼ ë²ˆì§ˆê±°ë¦´ 수 있다.

q2

qq

➋ 솔잎치기
호랑ì´ì™€ 함께 그려지는 소나무 ë“±ì€ ë°‘ê·¸ë¦¼ì— ë³´ì´ëŠ” 솔잎치기를 잘해야 한다. 솔잎치기ì—서는 힘차고 ìžì—°ìŠ¤ëŸ¬ìš´ í‘œí˜„ì´ ì¤‘ìš”í•˜ë‹¤. ê°€ìš´ë° ìžŽì„ ë¨¼ì € 치고 부채꼴 모양으로 ì³ë‚˜ê°„다. ë¶“ ëì— íž˜ì„ ì£¼ì–´ 솔잎 시작 ë¶€ë¶„ì„ ì°ì€ 후 서서히 íž˜ì„ ë¹¼ê³  ìžì—°ìŠ¤ëŸ° 유선형으로 친다. 여러 번 연습한 후 치ë„ë¡ í•œë‹¤.

q3

대ìžê°€ 주ì¸ê³µ! 밑색 칠하기
q4
모든 ì±„ìƒ‰í™”ì˜ ìˆœì„œëŠ” 담채ì—서 진채 순으로 칠한다.
즉, ì±„ìƒ‰ì˜ ì•ˆë£Œë¡œ ë³¼ 때 봉채 ì±„ìƒ‰ì„ ë¨¼ì € 하고 호분, 분채 ì±„ìƒ‰ì„ í•œ 후 마무리 순으로 칠한다.

➊ 대ìž(봉채)ì— ë¨¹ì„ ë„£ì–´ì„œ ë‚˜ë­‡ê°€ì§€ì— ì¹ í•œë‹¤.
âž‹ 1)번 ìƒ‰ì„ í˜¸ëž‘ì´ ëª¸í†µì— ì „ì²´ì ìœ¼ë¡œ 바림하며 칠한다.
➌ 1)번 ìƒ‰ì„ ë•…ì´ë‚˜ ì‚°ì— ë°”ë¦¼í•˜ë©° 칠한다.
➠본남(봉채)ê³¼ 녹청(봉채)ì„ ì„žì–´ 솔잎과 í’€ ë“±ì„ ì¹ í•œë‹¤.
➎ 호분으로 호랑ì´ì˜ ë°°, ë°œ, 얼굴, 구름 ë“±ì„ ë°”ë¦¼í•˜ë©° 칠한다. ì´ë•Œ ê·¸ë¦¼ì— ë”°ë¼ í˜¸ë¶„ì˜ ë†ë„를 조절하며 표현한다. 호랑ì´ì˜ ì´ë¹¨ì´ë‚˜ 눈처럼 호랑ì´ì˜ ì¸ìƒì„ 주관하는 부분ì—는 í˜¸ë¶„ì˜ ë†ë„를 좀 ë” ì§„í•˜ê²Œ 한다. ê¹Œì¹˜ì˜ ë°° 부분과 토ë¼ë„ 칠한다.
➠황(분채)으로 í˜¸ëž‘ì´ ëˆˆê³¼ 까치 눈 ë“±ì„ ì¹ í•œë‹¤. í™©ìƒ‰ì€ ì˜¤ë°©ìƒ‰ì— ìžˆì–´ì„œ ì¤‘ì•™ì˜ ìƒ‰ì´ë©° ì˜í—˜í•œ 색ì´ë‹¤. 그래서 ì˜ëª¨ì˜ 눈 ë“±ì— ì£¼ë¡œ 칠한다.
➠황주(분채)와 ì ì£¼(분채)를 섞어 í˜¸ëž‘ì´ ëˆˆ, ì½”, ìž…ì„ ì¹ í•œë‹¤.(황주와 ì ì£¼ì˜ ë¹„ìœ¨ì€ ëŒ€ëžµ 3:1로 조색한다) í˜¸ëž‘ì´ ê·¸ë¦¼ì—서 ì£¼ìƒ‰ì€ ë²½ì‚¬ì˜ ì˜ë¯¸ë¡œ 가장 í¬ì¸íŠ¸ê°€ ë˜ëŠ” 색ì´ë‹¤. í˜¸ëž‘ì´ ì–¼êµ´ 부분ì—서 가장 중요한 눈, ì½”, ìž…ê³¼ ë°°ê²½ì˜ í•´ ë¶€ë¶„ì— ì¹ í•´ ì „ì²´ì ìœ¼ë¡œ 대ìžìƒ‰ì˜ 담채 ê·¸ë¦¼ì— ê°•í•œ ë²½ì‚¬ì˜ ì˜ë¯¸ë¥¼ 준다. ì´ì²˜ëŸ¼ ìš°ë¦¬ë¯¼í™”ì˜ ìƒ‰ì€ ì‚¬ë¬¼ì˜ ìƒ‰ê°ì˜ 표현ë¿ë§Œ ì•„ë‹ˆë¼ í‘œí˜„í•  ì£¼ì²´ì˜ ì˜ë¯¸ë¥¼ ë‹´ì•„ 칠하므로 ì˜¤ë°©ìƒ‰ì˜ ì˜ë¯¸ë¥¼ 잘 ì´í•´í•˜ê³  ê·¸ ì“°ìž„ì„ ìˆ™ì§€í•´ì•¼ 한다. ì˜¤ë°©ìƒ‰ì˜ ì˜ë¯¸ëŠ” 다ìŒì— 좀 ë” ìžì„¸ížˆ ì´ì•¼ê¸°í•˜ê³ ìž 한다.

q5

바림하기
➊ ë°‘ìƒ‰ì¹ í•˜ê¸°ì˜ 1)번색(대ìž+먹)ì— ë¨¹ì„ ë” ë„£ì–´ì„œ 나무, í˜¸ëž‘ì´ ë“±, 바위, ë•… 부분 등 대ìžìƒ‰ ë¶€ë¶„ì— ë°”ë¦¼í•œë‹¤.
âž‹ ì (분채)으로 호랑ì´ì˜ 눈, ì½”, ìž… ë“±ì„ ë°”ë¦¼í•œë‹¤.

q6

마무리하기
➊ 호분ì´ë‚˜ 분채를 ì¹ í–ˆë˜ ë¶€ë¶„ 눈, ì½”, ìž…, ì´ë¹¨, 발톱 ë“±ì„ ë¨¹ì„ ìœ¼ë¡œ 정리한다.
âž‹ ê·¸ë¦¼ì— ë”°ë¼ ì†Œë‚˜ë¬´ 먹ì , 구름 ë“±ì„ ë¨¹ì„ ìœ¼ë¡œ 정리한다.

q7

글·사진 송창수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