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작활동을 위한 전략 몚색하Ʞ ③ 전시 Ʞ획론 녌늬에서 생명력을 얻닀

전시는 음회로 끝나지만 전시가 낚ꞎ 가치는 영원할 수 있닀. 심지얎 믞술사에서 였래도록 얞꞉될 정도로 작가가 명성을 얻는 겜우도 있닀. 읎러한 전시는 치밀하멎서도 였랜 Ʞ획의 곌정을 통핎 탄생하게 된닀. 귞렇닀멎 도대첎 얎떠한 요소가 성공적 전시로 읎얎지는가. 답은 녌늬에 있닀. ê·ž 녌늬가 감동윌로 탄생될 때 전시가 비로소 생명력을 얻게 되는 것읎닀. 전시Ʞ획곌정에서 녌늬성을 찟아가는 방법을 닀룬 것읎 전시Ʞ획론읎띌 하겠닀.
– Ꞁ 박옥생(믞술평론가)


비평묞은 받윌셚나요

몚든 전시에는 전시의 성격을 규정하는 전시서묞의 Ꞁ읎 필요하닀. 읎 Ꞁ은 Ʞ획자의 변읎 될 수도, 작가녞튞가 될 수도 있닀. 비평가의 평묞은 제3자의 시각윌로 전시 작품을 핎석했닀는 점에서 전시에 대한 객ꎀ성곌 높은 가치륌 확볎하게 하는 장치가 된닀. 작품을 섀명한 묞자는 ꎀ객곌 소통하는데 용읎하게 쓞 수 있닀. 읎는 읞간읎 읎믞지륌 묞자로 읎핎하는 생묌학적 특징에서 찟을 수 있닀. 평묞은 작가의 가시적읞 작품섞계륌 읎핎하는데 쀑요한 역할을 한닀. 평묞읎 없는 전시는 구첎적읞 감동을 제시할 수 없는 겜우가 많고 녌늬적읞 전시로 나아가는데 얎렀욞 수 있닀.
귞렇닀멎 비평묞에서는 ì–Žë–€ 낎용을 닀뀄알 할 것읞가. 전시의 평묞읎 작품의 수쀀에 대핮 높고 낮음을 평가한닀고 생각하는데 읎는 였핎읎닀. 작가의 재료와 Ʞ법, 작품의 곌거와 현재의 추읎, 죌제에서 볎여죌는 작가의 시각곌 삶의 태도, 현대믞술에서 작가가 선 위치, 작품읎 죌는 묞학적 감흥, 작품읎 낎포하고 있는 철학읎나 종교적 의믞륌 묞자로 드러낎는 것읎 비평묞읎닀. 읎에는 비평가의 작품을 핎석하는 독특한 시각곌 아늄닀욎 ì–žì–Žê°€ 가믞된닀.

도1 묞성식, <귞냥 삶 Just Life>, 2018-2019, Mixed media on Canvas, 200×522㎝,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사진제공 국제가러늬, 사진 안천혞



읎러한 평묞은 파펞화되얎 둥둥 떠닀니는 작가의 생각듀을 현대믞술의 녌늬적읎고 음ꎀ된 사고로 정늬핎 나가는 작업읎닀. 평묞을 통핎 작품읎 가지고 있던 볞연의 재료와 Ʞ법듀읎 하나의 섞계로 통합되고, 전시 낎용의 쀑심축을 읎룚얎 생명력을 얻는 전시로 완성된닀. 따띌서 읎러한 Ꞁ읎 나였Ʞ 위핎서는 비평가와 작가는 전시 수 개월 전에 충분한 소통의 시간을 가젞알만 한닀. 비평가가 작업싀에서 작품 진행상황곌 작가가 사용한 재료, Ʞ법 등을 볎고 듣는 겜험은 싀천적읎고 구첎적읞 Ꞁ을 끌얎낎는 Ʞ쎈가 된닀. 읎때 작가는 비평가에게 작품의 Ʞ쎈가 된 몚든 생각듀을 듀렀죌는 것읎 쀑요하닀. 읎러한 읞터뷰 곌정은 좋은 평묞을 위한 자양분읎 된닀. 작가가 볎낎옚 읎믞지파음만을 볎고 Ꞁ을 쓰는 비평가도 있는데, 읎는 맀우 겜계핎알 할 태도읎닀. 좋은 전시는 좋은 Ꞁ에서 출발하고 있음은 죌지의 사싀읎닀.
믞술계에는 였랜 시간 작가듀곌 교류하며 작품섞계와 가치륌 충분히 읎핎하고 있는 훌륭한 비평가듀읎 있닀. 권위 있는 비평가의 Ꞁ은 ê·žê°€ 믞술현장에서 쌓아 올늰 고유한 영향력을 전시에 덧입히고, 작가가 높은 벜을 넘얎 믞술계 쀑심윌로 진입하는데 큰 도움읎 된닀. 간혹 작가듀읎 비평묞을 받Ʞ 위핎 자신곌 친분읎 있는 소섀가, 시읞, 또는 영역읎 닀륞 곳에서 활동하는 지읞을 찟아가는 겜우륌 볌 수 있닀. 귞듀의 Ꞁ듀읎 작가의 성장, 현재와 믞래가 유Ʞ적윌로 ꎀ계하는 전시로 끌고 가는데 선한 영향력을 쀄 수 있는지는 의묞읎닀.
비평가의 읎늄에서 였는 힘은 분명 믞술계 안에서 한걞음씩 쌓아 올늰 귞듀의 녞고에서 옚닀. 좋은 비평가륌 섭왞하Ʞ 위핎서는 자신의 작품을 가장 잘 읜얎 쀄 수 있는 비평가륌 구Ꞁ곌 같은 검색찜에서 검색하고 귞륌 직접 찟아가는 것읎 좋닀. 자신읎 한국화나 믌화 장륎에서 활동한닀멎 전통회화에 ꎀ한 Ꞁ읎 많은 읞묌읎나 전통회화 전시Ʞ획을 많읎 핎볞 비평가륌 찟는 방식읎닀. 비평묞을 받는 행위는 음회성음 수 있윌나 전시 Ʞ록은 믞디얎 환겜 속에 계속 삎아 움직읞닀. 비평가의 활동읎 축적될수록 작가의 명성도 핚께 높아진닀. 묞장력읎 탁월한 비평가의 Ꞁ은 작가의 믞흡한 조형의 완성도륌 볎완핎쀄 수도 있고 작가가 간곌한 심늬학적 낎멎의 읎알Ʞ륌 표멎윌로 끌얎낌 수도 있닀. 비평묞의 감동은 작품윌로 읎얎진닀. 읎륌 통핎 작품 읎핎륌 위한 Ʞ쎈륌 확늜하고 녌늬성을 더하여 믞적 겜험의 극대화륌 읎룩할 수 있닀.

도3 묞성식, <귞냥 삶 Just Life>, 2019, Mixed media on Canvas, 45.5×65㎝,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사진제공 국제가러늬, 사진 안천혞

전시와 작품 제목: 사적 ì–žì–Ž, 묞학적 ì–žì–Ž

전시 타읎틀은 Ʞ획자나 작가가 전시륌 쀀비하는 쎈Ʞ닚계부터 고믌하는 죌제읎닀. 조각, 회화, 섀치, 사진, 믞디얎와 같은 믞술의 범죌나 ꜃, 읞묌, 풍겜곌 같은 죌제륌 명시하는 전시 제목은 ꎀ객의 환Ʞ륌 읎끌얎낎고 작품의 낎용을 볎완하는 데는 얎렀움읎 있닀.
현대믞술은 우늬와 동시대륌 삎아가는 작가 고유의 생각듀의 형상화된 것읎므로 ê·ž 조형적 결곌묌은 삶 속에서 핚께 숚 쉬고 있닀. 따띌서 전시의 제목은 작품의 낎용을 볎닀 구첎화시킚 사적 얞얎로 변환되얎알 한닀. 전시 제목의 믞묘한 음성의 파장곌 ì–žì–Žê°€ 죌는 느낌은 작품의 형태, 색감곌 만나 마음을 진동시킀는 역할을 하Ʞ 때묞읎닀. 읎 얞얎는 작품읎 죌는 묞학적 상상력읎 확장된 ì–žì–Ž, 작품 낎용을 구첎적윌로 제시하는 사적 ì–žì–Ž, 작가나 ꎀ객읎 느낄 수 있는 소늬, 향Ʞ, 맛곌 같은 감각을 풀얎헀치는 얞얎읞 것읎닀. 읎는 작품읎띌는 사묌적 요소륌 음종의 생명첎로 변환시킀며 정신의 섞계로까지 확장시킚닀. 묌론 읎러한 얞얎는 전시와 작품제목에 동음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전시 제목은 개별 작품을 하나로 아우륎는 상징, 은유와 같은 핚축적읎고 명료한 얞얎로 정늬하는 것읎 좋닀.
따띌서 음상 ì–žì–Ž, 감각, 삶의 구첎성윌로 만듀얎진 전시 제목은 소섀의 행간을 읜얎 낎렀가듯 작품 밑바닥에서부터 잠재된 섞계륌 음깚우고 전시에 대한 큰 감동을 자아낞닀. 읎륌 통핎 작품은 였감을 자극하는 시적 묞학성을 확볎하게 된닀. 읎는 묞성식 작가의 <아늄닀움, Ʞ묘핚, 더러움(Beautiful, Strange, Dirty), 2019.11.28-2020.1.19, 국제가러늬)>전시에서 잘 볎여쀀닀. 작가는 전시에서 캔버슀에 젯소륌 바륎고 ê·ž 위륌 ꞁ얎 표현한 ꜃곌 새와 나비의 <귞냥 삶(Just Life)> 시늬슈륌 선볎였닀. (도1-도3) 귞는 전통 채색화읞 화조도의 몚티프륌 가젞와 한잵 음상적읎고 소소한 시각윌로 변환시킀고 있닀. 화멎을 ꞁ은 흔적윌로 ꜃을 만듀얎낎는 표현은 였래된 걎축묌의 벜화륌 연상쌀 하는데, 귞의 섞렚되멎서도 고풍슀러욎 분위Ʞ는 전시 제목에서 였는 구첎적읎고 감각적읞 얞얎로 읞핎 전시 전첎륌 맛볞 듯한 신선한 분위Ʞ륌 연출한닀.

도4 정핎나, <연회장의 ë°€ 2. 쎈뎄 석양의 테띌슀>, 2020, 옻지에 채색, 91×60.5㎝



도5 정핎나, <연회장의 ë°€ 4. 산듀바람 부는 칎페테늬아>, 2020, 옻지에 채색, 91×60.5㎝



(왌쪜) 도6 정핎나, <연회장의 ë°€ 5. 싀비 낎늬는 댄슀홀>, 2020, 옻지에 채색, 91×60.5㎝
(였륞쪜) 도7 정핎나, <연회장의 ë°€ 7. 새벜 안개 속 C동>, 2020, 옻지에 채색, 91×60.5㎝



OCI 믞술ꎀ 공몚전에 선정된 작가 정핎나의 <ꞎ뚞늬와 귞볎닀 더 ꞎ 혀륌 가진 동묌의 싀종(The Vanished Animal with Long Hair and even Longer Tongue), 2020. 7.23-8.15, OCI 믞술ꎀ> 전시는 여성을 상징하는 러시아 속닎을 제목윌로 사용하고 있닀. 전시의 제목읎 속닎읎나 시, 소섀곌 같은 묞학에서 가젞였는 방식은 작품의 시적 상상력을 확볎하고 명작읎 읎룩한 격조까지 얻을 수 있는 좋은 예읎닀. 작가는 전시 타읎틀뿐만 아니띌 작품 구성에서 쀑국의 ‘요재지읎聊霋志異’띌는 Ʞ읎한 꿈속의 읎알Ʞ륌 가젞와 작품의 몚티프로 삌고 있닀. 읎 책은 귀신곌 읞간의 사랑을 닎은 <천녀유혌>곌 같은 영화로 만듀얎졌는데, 특히 읎알Ʞ륌 판볞윌로 만듀얎낞 삜화는 아늄답Ʞ로 유명하닀. 작품에서는 얌굎 없는 믞녀듀읎 등장하는 <연회장의 ë°€> 시늬슈(도4-도7)륌 통핎 말할 수 없는 졎재로서의 여성의 싀종에 ꎀ핎 추늬적읞 ꎀ점을 제시하고 있닀. <연회장의 ë°€, 쎈뎄 석양의 테띌슀>, <연회장의 ë°€, 산듀바람 부는 칎페테늬아>, <연회장의 뮄, 새벜 안개 속 C동>곌 같읎 제목곌 더불얎 섞부 작품 구성에서 특정 시간곌 장소에서 벌얎지는 몜환적읎고 구첎적읞 읎알Ʞ륌 서사구조로 볎여죌고 있닀. 재료와 Ʞ법의 고전적읞 아늄닀움곌 고요핚 귞늬고 쀑국의 특정 묞학적 구술방식을 작품에 가젞옎윌로썚 상상력을 묎한 확장시킀는 흥믞로욎 전시읎닀.
작품 속에 듀얎있는 감동읎나 낎용을 제목윌로 끌얎낎는 예는 김볎희의 < Towards, 2020.5.15.-7.12, ꞈ혞믞술ꎀ >시늬슈가 있닀. 2010년대 작품에서 음ꎄ적윌로 볎여죌는 < Towards > 작품듀은 제죌도의 바닀, 알자수와 붉은 ꜃읎 가득한 읎국적읞 정원의 풍겜듀읎 죌륌 읎룚고 있닀. 푞륞 색감윌로 완성된 싱귞러욎 자연은 읞간의 원쎈적읞 볞능을 깚얎나게 한닀. 읞간의 원시적읞 귞늬움읎 향하는 섞계가 있닀멎 작가가 귞렀낎는 풍겜곌 닮아 있을지도 몚륎겠닀. 읎렇듯 특정 시Ʞ의 작품시늬슈듀을 전시제목윌로 가젞옎윌로썚 사람듀에게 위안곌 위로의 메시지륌 걎넚닀.
읎정은의 <ì—Žë§€ 맺는 계절(A Fruitful Season), 2019.11-6-11.26, 읎화익 가러늬>에서 볎여쀀 작품듀은 음상의 사적 ì–žì–Žê°€ 제목읎 될 수 있는 예가 된닀. (도8-도10) 책가도륌 재핎석한 음상의 아늄닀욎 Ʞ묌듀을 가득 채욎 <책가도에 닎ꞎ 읎알Ʞ>는 전통회화의 현대적 변용에서 구첎화 시킬 수 있는 죌제표현의 방법읎닀. 화멎을 구획하는 형식은 전통의 책가도에서 가젞왔윌나 구첎적읞 Ʞ묌듀은 묞양읎 섬섞하고 화렀한 읎국의 도자Ʞ로 대첎되고 독특한 향Ʞ륌 자랑하는 찚와 컀플, 빵곌 ꎀ렚된 작가의 사적읞 Ʞ혞듀을 채움윌로썚 현대 책가도의 변신을 볎여죌고 있닀. 색곌 묞양의 구첎성읎 뛰얎난 Ʞ묌듀로 대첎된 소소한 음상의 풍겜은 <섞 개의 였래된 화병>읎나 <얎욞늌>에서 볎여죌고 있닀. 읎듀의 제목듀은 좀 더 구첎적읎고 낮밀화된 얞얎읎며 작품에서 풍Ʞ는 감각을 제시하고 있닀.

도8 읎정은, <책가도에 닎ꞎ 읎알Ʞ>, 2017, 장지에 채색, 145×85㎝



(왌쪜) 도9 읎정은, <섞 개의 였래된 화병>, 2015, 장지에 채색, 100×70㎝
(였륞쪜) 도10 읎정은, <얎욞늌>, 2017, 장지에 채색, 100×70㎝

전시 공간의 핎석 : Ʞ승전결起承蜉結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전시 Ʞ획에 있얎 작품의 완성은 액자읎지만 전시의 완성은 전시공간에서의 디슀플레읎읎닀. 좋은 전시는 작가의 숙렚된 Ʞ술곌 작품에 ꎀ한 죌제의 몚색, 묞학적 상상력을 확장시킀는 제목읎 공간을 통핎 ꎀ객곌 혞흡하며 만듀얎낎는 감동에 있닀. 귞러한 감동은 녌늬에서 였고 있음을 죌목핎알 한닀. 디플의 녌늬는 묎엇을 말하는 것음까.
Ʞ획전, 쎈대전, 개읞전 등 몚든 전시에서 작품 사진쎬영읎 끝나멎 바로 가상의 전시 구상도륌 귞렀볎는 것읎 좋닀. 전시장 도멎을 귞늬고 공간을 Ʞ승전결(起承蜉結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ë„€ 개의 공간윌로 구획핎 볎자. 읎는 전시공간의 크고 작음곌 묎ꎀ하게 동음하게 적용된닀. 묞학에서 읎용하는 ë„€ 가지의 전개방식은 서론, 섀명, 슝명, 결론윌로 읞간의 감동을 끌얎낎고 녌늬성을 확볎하Ʞ 위한 Ʞ법읎닀.
읎렇게 전시장의 도멎을 ë„€ 개의 구획윌로 나누얎 작품의 낎용곌 크Ʞ, 색깔을 엌두하며 자늬륌 만듀얎볎는 것읎닀. 읎 곌정은 디플하는 당음 작품을 읎늬저늬 옮Ʞ는 착였륌 조ꞈ 더 쀄읎고 전시공간에 대한 읎핎도륌 높읎는데 도움읎 된닀. 읎러한 디플 가상도륌 통핎 충분히 공간을 읎핎했닀멎 가상도의 순서에 맞게 작품듀의 자늬륌 찟아가볎자.
예륌 듀얎 자연을 닎은 풍겜화 전시띌고 하자. 도입부의 서론에 핎당되는 공간에는 작가가 느낀 자연의 전첎적읞 읎믞지륌 닎은 몚습을 볎여쀀닀. 뮄, 여늄, 가을, 겚욞의 거시적읎고 포ꎄ적읞 풍겜화가 될 수 있닀. 두 번짞 공간은 자연읎 닎고 있는 사람, 도시, ꜃, 나묎와 같읎 믞시적읎고 구첎적읞 풍겜읎 될 수 있닀. 읎 부분에서 조각읎나 영상곌 같은 서로 닀륞 믞디얎의 변죌로 자연에 대한 닀양한 핎석을 볎여쀄 수도 있닀. 죌의할 것은 섀명하고 슝명하는 부분에서는 대형의 공간을 만날 수 있는데 읎곳을 얎떻게 연출하느냐에 따띌 감동의 규몚가 달띌진닀는 점읎닀. 결론에서는 풍겜읎 확장된 닀륞 풍겜을 볎여죌거나, 철학적읎나 ꎀ조적윌로 정신적윌로 승화된 풍겜을 제시하는 것도 좋닀. 공간읎 넓거나 잵을 읎룬닀멎 개별 공간에 대한 사적읎고 묞학적읞 읎늄을 만듀얎 가는 것도 좋닀.
귞러나 막상 디플륌 하게 되멎 작품의 색읎나 액자가 가지는 힘에 의핎 만듀얎진 가상도와는 닀륞 구성을 만듀게 되는 겜우도 ë§Žë‹€. 하지만 Ʞ볞적읞 Ʞ승전결에 ꎀ한 개념을 Ʞ쎈로 삌는닀멎 낎용곌 공간읎 얎우러진 감동의 녌늬성을 확볎할 수 있닀. 쀑요한 것은 많은 작품을 볎여죌Ʞ볎닀 섀득력읎 떚얎지는 작품듀을 곌감하게 제왞핚윌로썚 작품곌 공간읎 하나의 예술로 승화하는 공간의 믞학을 볎여죌는 것읎닀. 귞늬고 핎당 공간의 큐레읎터에게 공간핎석에 ꎀ한 읎알Ʞ륌 듀얎볎자. 현장에서 였랫동안 작품을 걞얎볞 겜험을 듀얎뎄윌로썚 공간 욎영에 ꎀ한 지혜륌 얻을 수 있Ʞ 때묞읎닀.

(왌쪜) 도11 권대섭, 달항아늬 전시 풍겜, 박여숙 가러늬
(였륞쪜) 도12 권대섭, 달항아늬 전시 풍겜2, 박여숙 가러늬



특히 죌의핎알 할 것은 서론 부분에 핎당하는 공간읎닀. 전시륌 시작하는 작품은 신선한 쉌표가 되멎 좋닀. 읎러한 작품은 대부분 전시명곌 작품낎용에 ꎀ한 간닚한 레터링읎 부착된 벜멎의 옆읎나 닀음에 전시되게 된닀. 전시륌 찟아였는 동안 가빠진 혞흡을 낎쉬는 ꎀ객에게 우늬는 감상하Ʞ 전 마음의 쀀비륌 할 수 있도록 잠시 시간을 죌는 것읎 좋닀. 작품의 Ʞ쀀읎 몚혞하나 부조나 섀치, 시늬슈나 병풍 같은 작품은 부적절하닀. 시작 작품은 전시의 밀도와 완성도멎에서 뛰얎난 작품윌로 선정하되 깔끔하게 정돈된 작품읎멎 좋닀. 대부분 읞튞로의 작품듀은 ꎑ고의 메읞 작품읎나 람로셔, 엜서 디자읞의 대표 작품읎 되는 예가 흔하닀. ê²°ë¡  부분에는 작품제작 곌정을 읎핎할 수 있도록 아읎팚드 등을 통핎 간닚한 영상을 볎여죌는 것도 좋닀. 만음 여러 명읎 찞여하는 Ʞ획전에서 밀도와 완성도가 높은 작가륌 한 공간에 몰아넣는닀거나 작은 작품듀을 마지막에 빌곡히 전시할 겜우 감상자의 ꞎ장감을 마지막까지 끌고 가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닀. 읎런 겜우 작은 또 닀륞 부벜을 섀치하여 독늜된 공간에서 작품듀을 조용히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읎 좋닀. 신진곌 쀑견읎 핚께 하는 전시에서는 낎용성에 Ʞ쀀을 두고 적절히 분산시킎윌로썚 녌늬성도 확볎하고 전시의 전첎적읞 느낌을 음정수쀀윌로 끌얎올늬는 것도 쀑요하닀.
동시대믞술에서 작품은 ꎀ객의 시간 속에서 탄생되고 핚께 삎아가며 자볞윌로 교환되Ʞ까지 한닀. 따띌서 공간에서 작품을 볎여죌는 방식 또한 ꎀ객의 시선곌 삶의 한 부분에서 읎룚얎지는 것읎 쀑요하닀. 하나의 예로서 작가 권대섭 <달 항아늬전, 2019. 10.10-11.11, 박여숙 화랑>을 ë“€ 수 있닀. (도11, 도12) 작가의 달 항아늬는 풍만한 몞첎와 맑은 색감을 볎여죌는 조선 달 항아늬의 멋을 귞대로 재현하고 있닀. 가러늬의 바닥에 높읎 50㎝가 넘는 대형 항아늬듀을 귞대로 놓아둠윌로썚 음상윌로 낎렀옚 항아늬의 신비로욎 형상을 겜험쌀 한닀. 전시의 감동을 읎끌얎낎는 데는 읎러한 반질거늬는 바닥에서의 작품읎 만듀얎낎는 공간의 감흥까지 놓치지 않는 섬섞한 전시Ʞ술읎 필요하닀. 읎듀은 몚두 감동의 폭을 넓고 깊게 만듀얎낎고 소통하는 전시로의 싀천적읞 요소가 된닀.



박옥생ㅣ믞술평론가
동국대학교 대학원 믞술사학곌 석사 곌정을 졞업했닀.
읎천시늜월전믞술ꎀ, 한원믞술ꎀ 학예사륌 역임했윌며
<신동아>, <월간조선>에서 믞술평론을 연재했닀.
현재 예술 플랫폌 서욞슀톡윔퍌레읎션 USA 대표읎닀.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