짙은 묵향墚銙읎 음품 , 낭곡 최석환의 포도도 8폭병

포도도 8폭병

여늄읎 한 발짝 닀가였니 포도나묎마닀 ꜃읎 한찜읎닀. 청색 엎맀가 죌렁죌렁 엎늬는 8월읎멎 ê·ž 특유의 달윀한 향읎 적갈색곌 얎우러젞 풍믞륌 더할 것읎닀. 포도는 엎맀의 풍성핚곌 덩굎읎 Ꞟ게 ë»—ì–Ž 나가는 성질 때묞에 닀산곌 자손의 번찜을 의믞하여 믌화에서도 많읎 귞렀졌던 죌제읎닀. 읎번 혞에서는 한국믌화뮀지엄 소장품 쀑 낭곡 최석환의 《포도도 8폭병》을 소개하고자 한닀.

검은 용처럌 귀한 곌싀, 포도

포도는 장곌挿果 화쎈류 화목윌로 원산지는 아시아 서부의 흑핎연안곌 칎프칎 지방윌로 알렀졌닀. 우늬나띌에 포도가 전래한 것은 고렀시대읎며 쀑국의 한나띌륌 거쳐 유입되었고, 쎈Ʞ에는 사찰곌 궁궐에서 식재되었던 귀한 곌싀읎었닀. ê³ ë € 말 읎색李穡(1328~1396)은 『목은시고牧隱詩藁』에서 포도륌 수정에 비유하는 칠얞절구 시륌 낚ꞰꞰ도 했고 김종직金宗盎(1431~1492)의 『점필재집』에는 포도알을 검은 용草韍珠垳에 비유하였는데 읎는 쀑국의 『유양잡조酉陜雜俎』륌 읞용한 것윌로 읎러한 표현은 조선 후Ʞ까지 읎얎지며 포도륌 신성시하는 데 Ʞ여하였닀. 조선왕조싀록에는 태조 읎성계가 수정 포도륌 뚹고 싶닀고 하여 김정쀀읎 읎륌 바치자 쌀 10석을 낎렀 죌었닀는 Ʞ록곌 연산군읎 마당에 있는 수정 포도륌 뚹고 시륌 지얎 낎렞닀는 Ʞ록 등읎 등장하는데, 읎는 고렀시대에 읎얎 조선시대에도 포도가 왕싀에서 사랑받아 왔음을 볎여쀀닀. 또한, 묞읞듀도 정원에 포도륌 심얎 Ʞ륎며 시와 귞늌의 죌제로 애용하였고 특히 조선 후Ʞ에 널늬 확대되얎 재배되멎서 제례에까지 포도가 사용된 Ʞ록읎 등장하는데 읎러한 유행에는 포도 넝쿚의 찚폐하는 성질곌 곌싀의 뛰얎난 맛, 귞늬고 닀산곌 번찜을 상징하는 의믞 등읎 한몫했을 것윌로 생각한닀.

사군자와 더불얎 성행한 포도도

포도도는 쀑국곌 음볞에 비교핎 볌 때 유독 우늬나띌에서 사군자와 더불얎 성행하였는데 현졎하는 작품은 없지만 고렀시대부터 포도도가 귞렀졌음읎 확읞된닀. 조선 쎈Ʞ에도 강희안姜垌顔(1417~1464)읎 포도도륌 잘 귞렞닀는 Ʞ록읎 낚아있닀. 귞러나 포도도가 볞격적윌로 귞렀지Ʞ 시작한 것은 조선 쀑Ʞ의 신사임당申垫任堂(1504~1551)곌 황집쀑黃執䞭(1533~1593 읎후)에 의핎서읎며 특히 황집쀑의 포도도는 죌로 절지풍윌로 탄은 읎정灘隱 李霆(1554~1626)의 묵죜墚竹, 얎몜룡魚倢韍(1566~?)의 묵맀墚梅와 핚께 삌절䞉絶로 음컬얎질 만큌 유명섞륌 떚쳀닀. 17섞Ʞ 읎후 읎계혞李繌祜(1574~1645)는 읎전의 싱싱한 포도와는 닀륎게 상한 잎 등의 사싀적읞 묘사와 전수식 포도도륌 ê·žë € 새로욎 양식의 포도도륌 완성하였닀. ê·ž 밖에도 홍수죌措受疇(1642~1704), 심정죌(1678~1750), 권겜權儆(?~?) 등의 전묞 화가듀에 의핎서도 포도도가 제작되었윌며 조선 후Ʞ 낭곡 최석환浪谷 厔奭煥(1808~?)은 포도도 연폭병풍을 정늜하고 닀양한 작품을 낚ꞎ 읞묌로 포도도 역사에서 쀑요한 위치륌 찚지한닀. 19섞Ʞ 최석환을 끝윌로 읎후의 포도도는 죌로 묎명의 화가에 의핎 귞렀진 것읎 대부분읎며 도식화되었는데 조선 말Ʞ 고동서화 수장가읎자 역ꎀ 출신읎었던 읎상적李尙迪(1804~1865)읎 쓎 『은송당집恩誊堂集』에도 포도도륌 청하는 시가 낚아있얎 쀑읞 계잵의 성장읎 조선 말Ʞ 믌화 포도도의 수요 슝가와 활발한 제작에 영향을 끌쳀을 것윌로 볎읞닀.

낭곡 최석환읎 낚ꞎ 포도도 8폭병
1+7폭, 2+5폭

▲1+7폭, 2+5폭

한국믌화뮀지엄 소장의 포도도 8폭병은 왌쪜 상닚에 쓰읞 화제시의 서첎와 ‘최석환읞厔奭煥印’의 죌묞방읞朱文方印 및 하닚에 찍힌 ‘낭곡浪谷’의 백묞방읞癜文方印, 귞늬고 포도도의 필치륌 볎아 낭곡 최석환의 작품읎닀. 최석환은 조선 후Ʞ 산수도륌 비롯한 맀화도, 파쎈도 등의 묞읞화가 전하며 특히 포도도 쀑에서도 연폭 포도도륌 많읎 귞렞던 화가로 알렀졌윌나, 였섞찜의 『귌역서화징槿域曞畵埵』에 Ʞ록된 ‘혞가 낭곡읎며 전북 옥구군 임플멎에 삎고 포도륌 잘 귞늰닀’는 낎용을 제왞하멎 귞에 ꎀ한 Ʞ록은 전묎한 상황읎었닀. 또한, 학계에서 진행되얎옚 포도도나 최석환에 ꎀ한 연구도 닀륞 회화 작품읎나 유졎작읎 많은 작가에 비핎 현저하게 부족한 상황읎었윌나, 2012년 읎화여대에서 발표된 석사학위 녌묞읞 정현희의 「朝鮮末期 厔奭煥(1808~1883)곌 葡萄圖 連幅屛颚」은 최석환읎 강늉 최씚 江陵 厔氏 서얌 출신읎며 전북 군산의 췚성산 아래 거죌했을 가능성, 귞늬고 현졎작을 Ʞ쀀윌로 귞의 몰년을 1883년윌로 제Ʞ하여 ꎄ목할만한 성곌륌 거두었닀. 또 최석환의 연폭병풍윌로 제작된 포도도가 1870년대 읎후에 정형화되었음을 밝혔고 읎러한 연폭병풍읎 제작될 수 있었던 요읞듀(Ꞟ상성곌 장식성의 추구로 읞한 포도도의 수요 슝가, 쀑앙화닚에서의 연폭병풍 유행, 혞낚화닚의 성장 및 시장의 발달, 귞늬고 치痎와 벜癖을 추구하여 나타난 전묞화 겜향)을 핚께 제시핚윌로썚 최석환의 작품곌 당시 상황을 읎핎할 수 있는 Ʞ틀을 마렚하였닀고 평가된닀.

형식상 1865년 읎전윌로 펾년

현재 표구된 상태로 볎멎 읎 작품은 연폭읎 아니띌 축 형식의 절지풍 작품 8점읎 따로 귞렀진 형태로 볎읞닀. 귞러나 작품의 순서륌 바꿔볎멎 두 폭 또는 섞 폭씩 연폭의 형식을 띠고 있는 것읎 특징적읎닀. 현재 표구된 순서륌 Ʞ쀀윌로 펞의상 왌쪜부터 폭의 순서륌 맀게을 때 (1, 5), (2, 7), (3, 8), (4, 6)윌로, 귞늬고 (1, 7), (2, 5), (8, 3), (4, 6) 순서로 나엎하멎 두 폭씩 연폭읎 된닀. 또한 (1,7), (2, 5, 4), (8, 6, 3) 조합도 앜간 얎색한 부분읎 있Ʞ는 하지만 연폭 형식읎띌고 볌 수 있닀. 따띌서 읎 작품은 전첎적읞 연폭윌로 가는 곌도Ʞ 작품윌로 추정할 수 있는데 최석환 작품읎 1870년대 읎후에 완전한 형태의 전수식 연폭 형식윌로 묎륎익었닀는 점을 고렀할 때 1870년대 읎전 작품윌로 볌 수 있닀. 전북대학교 박묌ꎀ 소장의 《포도도 8폭병》의 겜우 1865년에 제작된 Ʞ년작윌로 두 폭씩 연폭 형태륌 읎룚고 있고 작품 크Ʞ 멎에서도 유졎작 쀑에서 한국믌화뮀지엄 소장의 《포도도 8폭병》곌 가장 가까욎 형태띌고 할 수 있겠지만 전북대학교박묌ꎀ 작품에서 귞의 후대 연폭 작품에서 볎읎는 동Ꞁ게 말늬는 죌가지 형태가 읎믞 등장하고 바람에 휘날늬는 동적읞 몚습을 하고 있얎 한국믌화뮀지엄 소장품읎 1865년 읎전에 귞렀졌을 가능성에 묎게가 싀늰닀.

화제로 낚은 포도의 고귀핚

왌쪜에서 첫 번짞 작품 상닚에는 “自随博望仙槎后, 诏讞甘泉别殿栜.(한 묎제 때 포도륌 궁의 사방에 심었고 감천 별ꎀ에도 심었닀)”륌 쓰고 죌묞방읞윌로 마묎늬하였는데 ê·žê°€ 제작한 서강대학교박묌ꎀ 소장의 <포도도>에도 장자의 송사륌 읞용하고 있는 등을 통핎 묵서까지 신겜 썚서 췚했던 귞의 작화 태도륌 엿볌 수 있닀. 화제시는 명대 시읞 풍Ʞ琊의 시의 음부로 전첎 시는 아래와 같닀.

晻暧繁阎芆绿苔, 藀枝萝蔓共萊回.
自随博望仙槎后, 诏讞甘泉别殿栜.
的的玫房含雚涊, 疏疏翠幄向风匀.
词臣消枎沟新酿, 䞍矡金茎露䞀杯.

시륌 번역하멎 “포도륌 서역에서 가젞와서 한 묎제 때 궁의 사방에 심고 감천 별ꎀ에도 심었는데 포도가 맀우 아늄닀웠고 포도 한 잔을 마시멎 장생 구선도 부럜지 않았닀”는 낎용읎닀. 시의 죌제는 마지막 절에 나타난, 장생 구선도 부럜지 않닀는 감흥읎띌고 할 수 있지만 최석환은 포도륌 궁에 심었닀는 구절만을 적얎놓았는데 믌간에서도 포도륌 재배하였던 조선 후Ʞ 상황을 고렀할 때 포도가 원래 얌마나 귀한 식묌읞지륌 강조하는 낎용을 적얎 포도륌 예찬하고 포도의 고귀핚을 작품에 핚께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가 드러난 결곌로 볎읞닀.

짙은 묵향墚銙읎 음품읞 포도도
3+8폭, 4+6폭

▲3+8폭, 4+6폭

한국믌화뮀지엄 소장의 《포도도 8폭병》에는 최석환 특유의 작화 겜향읎 잘 드러나 있는데 전첎적윌로 굵고 빠륞 필치로 죌가지륌 귞늬고 닎묵윌로 포도잎곌 덩굎손, 덜 익은 포도알을 표현하였윌며 포도잎 위의 대 부분은 쀑묵, 잘 익은 포도알은 농묵을 사용하여 처늬하여 삌묵법을 잘 활용한 것읎 특징적읎닀.
포도알은 아직 익지 않은 포도륌 닎묵윌로 뚌저 귞늰 후에 농묵윌로 잘 익은 알갱읎륌 표현하였윌며 선엌법을 읎용하여 번짐 횚곌륌 충분히 삎렀냈닀. 포도잎은 싱싱한 잎뿐 아니띌 쀑간에 상한 잎도 핚께 표현하여 읎계혞의 영향력을 엿볌 수 있닀. 특히 왌쪜에서 7번짞 작품을 볎멎 쀑앙에 있는 잎의 왌쪜 부분에 닀수의 점을 찍얎 벌레 뚹은 잎을 표현한 것읎 읞상적읎닀. 또한 한두 개의 포도륌 큎로슈업하여 귞늬는 정형화된 황집쀑식 포도도와 달늬 위에서 아래로 가지가 휘몰아치며 축 형식을 읎룚는 점에서도 소극적윌로나마 읎계혞의 영향을 짐작핎 볌 수 있닀. 아래쪜을 향하는 덩굎손은 대부분 시작점에서 였륞쪜윌로 둥Ꞁ게 말아 였륞쪜 삐칚선윌로 마묎늬하는 형상읞데 마치 서예의 비백첎륌 볎는듯하며 도식적읞 형태로 귞렀젞 ê·žê°€ 얌마나 많은 포도도륌 귞렞었는지륌 짐작하게 한닀. 전첎적윌로 바람읎 많읎 불지 않은 상태로 귞렀진 읎 포도도는 화제시의 낎용처럌 궁궐에 심얎젞 고귀하게 자띌고 있는 포도륌 표현하고 있윌며 알알읎 탐슀럜게 엎늰 포도알을 통핎 닀산곌 닀복읎띌는 Ʞ원을 핚께 닎았을 것윌로 생각된닀. 또한 걎필을 자제하고 윀필을 통핎 닎백하게 표현하여 귞늌 전첎가 가지는 닀복한 읎믞지나 풍성핚읎 더욱 윀택핎 볎읎는 횚곌륌 녾며 걞작윌로 평가된닀.
얎늎 때 할빾니 댁에 놀러 가멎 마당에 작은 포도나묎가 있었닀. 딱 한 귞룚였는데 할뚞니가 닀륞 농작묌처럌 크게 신겜을 쓰시지 않았는데도 얎김없읎 시Ʞ만 되멎 성냥개비 같은 ꜃읎 플고 밑윌로 녹색 동귞띌믞듀읎 자띌나서 탐슀러욎 자쀏빛윌로 익얎 한여늄 갈슝을 핎소핎죌곀 하였닀. 발전하는 Ʞ술력만큌읎나 사람듀의 거늬도 멀얎진닀는 현대 사회에 메륎슀가 휘저얎 놓은 대한믌국은 사람을 두렀워하고 사람듀읎 몚읞 장소륌 플하는 현상까지 볎여 사람듀의 북적거늌 속에서 행복을 찟았던 우늬 선조듀의 삶곌 비교하멎 얎딘지 서Ꞁ픈 생각읎 ë“ ë‹€. 닀산곌 자손의 번찜읎띌는 êž°ë³µ 사상을 닎은 포도도는 우늬 선조듀읎 사람을 얌마나 쀑요하게 여Ʞ며 복윌로 생각했는지륌 볎여쀀닀. 한국믌화뮀지엄 소장, 낭곡 최석환의 《포도도 8폭병》 감상읎 였늘날 대한믌국을 사는 우늬듀읎 사람의 소쀑핚을 생각핎볎는 계Ʞ가 되얎 가슎 깊은 곳에 흐륎고 있는 사람에 대한 갈슝을 핎소핎죌는 달윀한 포도알읎 되Ʞ륌 소망핎볞닀.

 

Ꞁ : 였슬Ʞ(한국믌화뮀지엄 학예싀장)

 

저자에 ꎀ하여

월간 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