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층(紙層) ì†ì— 남겨진 그림 문배ë„(門排圖)

ë„ 1. <화훼괴ì„ë„ èŠ±å‰æ€ªçŸ³åœ–>, 19세기 ë§~20세기 ì´ˆ, 지본채색, 123.0×46.0ãŽ,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â–²ë„ 1. <화훼괴ì„ë„ èŠ±å‰æ€ªçŸ³åœ–>, 19세기 ë§~20세기 ì´ˆ, 지본채색, 123.0×46.0ãŽ,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대문ì´ë‚˜ 방문, í˜¹ì€ ë²½ìž¥ë¬¸ì— ë¶™ì¸ ë¬¸ë°°é–€æŽ’ ê·¸ë¦¼ì€ ë¯¼í™”ë¥¼ 소비하는 대표ì ì¸ 한 ë°©ì‹ì´ë‹¤. 한번 ë¶™ì´ë©´, ê·¸ ìœ„ì— ë‹¤ë¥¸ 그림ì´ë‚˜ ë„배지가 다시 ë¶™ì„ ë•Œê¹Œì§€ 문ì´ë‚˜ ë²½ìž¥ë¬¸ì„ ìž¥ì‹í•˜ì˜€ë‹¤. 새로운 ê·¸ë¦¼ì— ìžë¦¬ë¥¼ 내어준 ë’¤ì—ë„ ê²°ì½” 사멸ë˜ì§€ 않고, ê·¸ ë’·ë©´ì— ë¶™ì—¬ì ¸ 오랜 ì„¸ì›”ì„ í•¨ê»˜ í•´ 온 ê·¸ë¦¼ì´ ë°”ë¡œ 문배ë„ì´ë‹¤. ê¶ê°€ì™€ 민간 ìƒë¥˜ì¸µ, 그리고 ì¤‘ì‚°ì¸µì— ì´ë¥´ëŠ” 대표ì ì¸ 문배 ê·¸ë¦¼ì˜ ì‚¬ë¡€ë¥¼ 살펴본다.

ê·¸ë¦¼ì— ì˜·ì„ ìž…ížˆë“¯ 표장하는 ê²ƒì„ ìž¥í™©è£æ½¢ì´ë¼ 한다. ì¼ì œê°•ì ê¸° 때 ì‚¬ìš©ëœ í‘œêµ¬è¡¨å…·ë¥¼ 대체한 ìš©ì–´ì¸ ìž¥í™©ì€ ì¡±ìžç°‡å­ì™€ ë‘루마리, 첩帖, 그리고 병í’屛風 ë“±ì˜ ìœ í˜•ìœ¼ë¡œ 나뉜다. ë²½ì— ê±¸ì–´ë‘ê³  수시로 ê°ìƒí•˜ê¸°ì—는 족ìžê°€ 좋고, 보관하기ì—는 ë‘루마리와 ì²©ì´ ìš©ì´í•˜ë‹¤. ë˜í•œ, ê³µê°„ì„ ê°€ë¦¬ê±°ë‚˜ 장ì‹í•˜ëŠ” ë°ì—는 병í’만한 ê²ƒì´ ì—†ë‹¤. ì´ëŸ¬í•œ ìž¥í™©ì˜ ë²”ìœ„ë¥¼ 벗어난 ë˜ ë‹¤ë¥¸ 형태가 문배門排 그림ì´ë‹¤. ë¬¸ì— ë„배하듯 í’€ì„ ë¨¹ì—¬ ë¶™ì¸ ê·¸ë¦¼ì„ ë§í•œë‹¤. 대문ì´ë‚˜ 방문, 그리고 ì‹¤ë‚´ì˜ ë²½ìž¥ë¬¸ì— ë¶™ì¸ ê²½ìš°ë„ ë¬¸ë°° 그림ì´ë¼ í•  ë§Œí¼ ìƒë‹¹í•œ 민화가 ì´ ë¬¸ë°° 그림으로 유행하였다.
ê·¸ëŸ°ë° ë¬¸ì´ë‚˜ ë²½ì— í•œ 번 ë¶™ì¸ ê·¸ë¦¼ì€ ë‹¤ì‹œ ë–¼ ë‚´ì–´ 활용할 수가 없다. ê·¸ë¦¼ì„ ë°”ê¾¸ë ¤ë©´ 새로운 ê·¸ë¦¼ì„ ê·¸ ìœ„ì— ë¶™ì´ëŠ” 방법 ë°–ì— ì—†ì—ˆë‹¤. ì´ì „ì— ìžˆë˜ ê·¸ë¦¼ì€ ê·¸ ìœ„ì— ë¶™ì¸ ìƒˆ ê·¸ë¦¼ì— ì˜í•´ 가려지게 ëœë‹¤. 물론 값나가는 귀한 서화書畵ë¼ë©´ ì´ë ‡ê²Œ í•  수 없었다. 오늘날 ë„ë°°ì§€ ì†ì—서 종종 발견ë˜ëŠ” 옛 ê·¸ë¦¼ë“¤ì€ í™”ê²©ì— ê´€ê³„ì—†ì´ ê·€í•œ ëŒ€ì ‘ì„ ë°›ëŠ”ë‹¤. 뜯겨서 사ë¼ì§ˆì§€ë„ 모를 ê·¸ë¦¼ë“¤ì´ ë„ë°°ì§€ì— ì˜¨ì „ížˆ 남아 있기 때문ì´ë‹¤. ë…특한 ì§€ì¸µç´™å±¤ì˜ ì„¸ê³„ê°€ 존재하는 문배 ê·¸ë¦¼ì€ ì£¼ë¡œ ì¤‘ì‚°ì¸µì˜ ê°€ì˜¥ì—서 뜯어낸 ë„ë°°ì§€ì—서 ë§Žì´ ë‚˜ì™”ë‹¤ê³  하지만, ê¶ê°€å®®å®¶ë¥¼ 비롯한 ìƒë¥˜ì¸µì—ì„œë„ ê·¸ 사례를 ë³¼ 수 있다.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ë…¸ë½ë‹¹è€æ¨‚å ‚ì˜ ë„ë°°ì§€ì—서 나온 화훼·화조ë„

문배 ê·¸ë¦¼ì´ ë‚˜ì˜¨ ê¶ê°€ë¡œëŠ” í¥ì„ ëŒ€ì›êµ° ì´í•˜ì‘æŽæ˜°æ‡‰(1820~1898)ì´ ì‚´ë˜ ìš´í˜„ê¶é›²å³´å®®ì˜ ë…¸ë½ë‹¹è€æ¨‚å ‚ì„ ë“¤ 수 있다. ë…¸ë½ë‹¹ì€ ì •ë©´ 10칸, 측면 3칸으로 운현ê¶ì˜ 가장 중심 건물ì´ë‹¤. ì´ê³³ì˜ ë²½ìž¥ë¬¸ì— ë¶™ì—¬ì§„ ë„ë°°ì§€ì—서 <화훼괴ì„ë„> 대련å°è¯ 1ì , 화조ë„·죽조ë„ç«¹é³¥åœ–Â·ì†¡í•™ë„æ¾é¶´åœ– 등 11ì ì˜ ê·¸ë¦¼ì´ ë°œê²¬ë˜ì—ˆë‹¤.
먼저 살펴볼 <화훼괴ì„ë„>(ë„ 1)는 화면 ì¢Œìš°ì— ì†ìž¡ì´ê°€ ìžˆë˜ ë¶€ë¶„ì´ ìžˆì–´ ë²½ìž¥ë¬¸ì— ë¶™ì—¬ì§„ ê·¸ë¦¼ìž„ì„ ì•Œ 수 있다. 호방한 필치로 구사한 바위 ì£¼ë³€ì— 2~3ì¢…ë¥˜ì˜ ê½ƒì„ ë¹½ë¹½ì´ ë°°ì¹˜í•˜ì—¬ 그렸다. ë°°ê²½ì€ ê·¸ë¦¬ì§€ 않고, ê´´ì„ì€ ê±°ì¹ ê²Œ 묘사했지만, 꽃과 잎사귀, 줄기 ë“±ì€ í™”ê°€ì˜ ê¼¼ê¼¼í•œ 필치를 ìžëž‘한다. ì±„ìƒ‰ì€ ë‹´ì±„æ·¡å½©ë‚˜ 수채화í’ì˜ ë¶„ìœ„ê¸°ì— ê°€ê¹Œì›Œ ì‚°ëœ»í•¨ì„ ë”해준다. 실내를 ê³ ìƒí•œ 분위기로 장ì‹í•˜ê¸°ì— ì¢‹ì€ í™”ì œì˜ ê·¸ë¦¼ì´ë‹¤.
ì´ ê·¸ë¦¼ 외ì—ë„ 11ì ì˜ 화조화가 전한다. ì´ ê·¸ë¦¼ë“¤ì€ 2~3ëª…ì˜ í™”ê°€ê°€ 그린 것으로 추정ë˜ëŠ”ë°, ì´ ê°€ìš´ë° ê°€ìž¥ ë§ˆì§€ë§‰ì— ë¶™ì¸ ê²ƒìœ¼ë¡œ ë³´ì´ëŠ” 그림 한 í­ì—는 ‘명재산림처사가å在山林處士家’ë¼ëŠ” 글씨가 ì í˜€ 있다.(ë„ 2) ì´ë¦„ì€ ì‚°ë¦¼ì— ì€ë‘”í•´ 사는 ì²˜ì‚¬è™•å£«ì˜ ì§‘ì— ìžˆë‹¤ëŠ” 뜻ì´ë‹¤. ê·¸ ì•„ëž˜ì— â€˜ì–‘ê³¡æ¥Šè°·â€™ ‘김완종金完é¾â€™ì´ë¼ëŠ” ì¸ìž¥ì´ ì°í˜€ 있다. í™”ê°€ì˜ ì‹¤ëª…å¯¦åì„ ë°ížŒ 그림ì´ì§€ë§Œ, ê¹€ì™„ì¢…ì— ëŒ€í•´ì„œëŠ” 전혀 알려진 ê²ƒì´ ì—†ë‹¤.
ê·¸ë¦¼ì˜ ì „ë°˜ì ì¸ í™”í’으로 ë³´ì•„ ë¯¼í™”í’æ°‘ç•µé¢¨ì˜ í™”ì¡°í™” 보다 í™”ê²©ì´ ë†’ë‹¤.(ë„ 3) 한 번 붙여놓으면, ê·¸ ìœ„ì— ë‹¤ë¥¸ 그림ì´ë‚˜ ë„배지가 ë¶™ì„ ë•Œê¹Œì§€ ë²½ì´ë‚˜ ë²½ìž¥ë¬¸ì„ ìž¥ì‹í•œ ì¼íšŒì„± 그림ì´ë‹¤. 그렇지만, ê·¸ë¦¼ì„ ë°”ê¿€ 때ì—ë„ ë–¼ì–´ë‚´ì§€ ì•Šì•˜ë˜ ë¬¸ë°° 그림ì´ê¸°ì— ë’·ë©´ì˜ ê·¸ë¦¼ë“¤ ë˜í•œ 온전히 ì‚´ì•„ë‚¨ì„ ìˆ˜ 있었다. 문배 ê·¸ë¦¼ì˜ ë¬˜ë¯¸ëž€ ì´ëŸ¬í•œ ë³´ì¡´ì˜ ë¯¸ë•ì— ìžˆëŠ” ê²ƒì€ ì•„ë‹ˆì—ˆì„까.

윤ì¦å°¹æ‹¯ ê³ íƒ ì•ˆì±„ì˜ ë¬¸ë°° 그림

ì´ë²ˆì—는 민간 ìƒë¥˜ì¸µì˜ 가옥ì—서 나온 문배 ê·¸ë¦¼ì˜ ì‚¬ë¡€ë¥¼ 살펴보ìž. ì¡°ì„  í›„ê¸°ì˜ ì„±ë¦¬í•™ìž ìœ¤ì¦å°¹æ‹¯(1629~1714)ì´ ì‚´ì•˜ë˜ ì¶©ë‚¨ 논산시 노성면 êµì´Œë¦¬ì˜ ê³ íƒì— 문배 그림 하나가 전한다. ì´ ê³ íƒ ì•ˆì±„ì˜ ì•ˆë°© ë¬¸ì— ë¶™ì–´ ìžˆë˜ ë„ë°°ì§€ 사ì´ì—서 그림 2í­ì´ 나왔다고 한다. “곽분양행ë½ë„郭汾陽行樂圖â€ë¥¼ 그린 그림ì´ë‹¤. ê³½ë¶„ì–‘ì€ ë³¸ëª…ì´ ê³½ìžì˜éƒ­å­å„€(697~781)ì´ë©°, ì•ˆë…¹ì‚°å®‰ç¥¿å±±ì˜ ë‚œ(755~763) 때 장안과 ë‚™ì–‘ì˜ ë°˜ëž€êµ°ì„ í† ë²Œí•˜ì—¬ 756ë…„ì— ë¶„ì–‘ì™•æ±¾é™½çŽ‹ì— ë´‰í•´ì§„ 실제 ì¸ë¬¼ì´ë‹¤. 곽분양행ë½ë„란 ê³½ë¶„ì–‘ì´ ìž…ì‹ ì¶œì„¸í•œ ë§Žì€ ìžë…€ë“¤ê³¼ 함께 연회를 ì¦ê¸°ë©°, ì¦ê±°ìš´ 한 때를 보내는 ìž¥ë©´ì„ ê·¸ë¦° 그림ì´ë‹¤.
ì´ 2í­ì˜ 그림 ê°€ìš´ë° í•œ í­ì€ 화면 ìœ„ìª½ì— â€˜ë¶„ì–‘ì¢Œë¶„ì–‘ì „ì¡°ì œì‹ ë„æ±¾é™½å汾陽殿æœè«¸è‡£åœ–’(ì´í•˜ ‘제신ë„’로 표기)ë¼ ì í˜€ 있다. ê³½ë¶„ì–‘ì´ ì „ê°ì— 앉아 여러 ì‹ í•˜ë“¤ì˜ ì¡°ë¬¸ì„ ë°›ëŠ” ìž¥ë©´ìž„ì„ ì•Œê²Œ ëœë‹¤. 나머지 한 í­ì€ 후ì†ë“¤ì´ 문안하는 장면으로 ‘분양제ì†ìˆ˜ì‹­ì¸ë¬¸ì•ˆë„汾陽諸孫數å人å•安圖’(ì´í•˜ ‘문안ë„’로 표기)ë¼ê³  ì í˜€ 있다. 한 나ë¼ì˜ 제후ì´ìž 한 ì§‘ì•ˆì˜ ì–´ë¥¸ìœ¼ë¡œì„œì˜ ê³½ìžì˜ì˜ ëª¨ìŠµì„ ê°ê° 분리하여 그린 듯하다. 권력과 다ìžì†å¤šå­å­«ì„ 누리는 길ìƒå‰ç¥¥ì„ 주제로 한 그림ì´ë‹¤. ê·¸ëŸ°ë° ì´ ë‘ ê·¸ë¦¼ì€ ë¶„í­åˆ†å¹…으로 나누어진 것ì´ì–´ì„œ ì¼ë°˜ì ìœ¼ë¡œ 알려진 한 장면으로 êµ¬ì„±ëœ ë³‘í’ í˜•ì‹ì˜ 곽분양행ë½ë„와는 êµ¬ì„±ì´ ë‹¤ë¥´ë‹¤.
<제신ë„>(ë„ 4)ì—는 ê³½ìžì˜ê°€ ì „ê°æ®¿é–£ì˜ ì¤‘ì•™ì— ì•‰ì•„ 있다. ê·¸ ì¢Œìš°ì— ë¶€ì±„ë¥¼ ë“  ë‚´ê´€ì´ ì„œ 있고, 왼편ì—는 종é¾ì„ 치는 신하가 ë³´ì¸ë‹¤. ì•žìª½ì˜ ê³„ë‹¨ 아래ì—는 관모를 ì“°ê³  관대冠帶를 맨 ì‹ í•˜ë“¤ì´ í™€ç¬ì„ 들고 3열로 서거나 앉아서 허리를 굽히고 있다. 계단 오른쪽ì—는 호위 병사가 ì˜ìž¥ë¬¼å„€ä»—ç‰©ì„ ë“¤ê³  있다. ê³µì‹ì ì¸ 조회 장면ì´ë‹¤. 화면 왼쪽ì—는 떨어져 나간 ê·¸ë¦¼ì— ë¶™ì–´ ìžˆë˜ ë‚±ìž¥ì˜ ê³ ì„œë“¤ì´ ë³´ì¸ë‹¤. <제신ë„>는 ê¸°ì¡´ì˜ ê³½ë¶„ì–‘í–‰ë½ë„ì—서는 ë³¼ 수 없는 장면ì´ì§€ë§Œ, ë¶„ì–‘ì™•ìœ¼ë¡œì„œì˜ ê¶Œìœ„ë¥¼ 나타내려는 ê³½ìžì˜ì˜ ëª¨ìŠµì´ ê°•ì¡°ë˜ì–´ 있다.
<문안ë„>(ë„ 5)ì—는 비스듬히 그린 건물 ì¤‘ì•™ì— ê³½ìžì˜ê°€ 앉아 있다. ê·¸ 앞으로는 아들과 사위 등 ìžë…€ 15ëª…ì´ ë“±ìž¥í•œë‹¤. ê·¸ëŸ°ë° ìžì†ë“¤ì˜ ëª¨ìŠµì´ íŠ¹ì´í•˜ë‹¤. ê³½ìžì˜ë¥¼ 향해 서 있지 않고, ê·¸ë¦¼ì˜ ì™¼ìª½ 아래 ë°©í–¥ì„ ì‘시하며, 움ì§ì´ëŠ” 모습ì´ë‹¤. 마치 ë¬¸ì•ˆì„ ë§ˆì¹˜ê³  ëŒì•„가는 듯한 장면처럼 ë³´ì¸ë‹¤. ê·¸ëŸ°ë° ì´ëŸ° 모습으로 문안ë„ê°€ 그려진다는 ê²ƒì€ ë§¤ìš° ì´ìƒí•˜ê¸° ì§ì´ 없다. 왜 ì´ëŸ° 모습으로 그려졌ì„까? ê¸°ì¡´ì˜ ê³½ë¶„ì–‘í–‰ë½ë„ì—는 ìžì†ë“¤ì˜ 문안 ìž¥ë©´ì´ ì—†ë‹¤. 대신 ê³½ìžì˜ì™€ ìžì†ë“¤ì´ 연회를 ê°ìƒí•˜ëŠ” ìž¥ë©´ì´ ë“¤ì–´ìžˆë‹¤. ì´ ìž¥ë©´ì—는 ìžì†ë“¤ ëŒ€ë¶€ë¶„ì´ ì–¼êµ´ì„ ë“œëŸ¬ë‚´ê³  있다. ë”°ë¼ì„œ ê¸°ì¡´ì˜ ê³½ë¶„ì–‘í–‰ë½ë„ì—서 연회를 구경하는 ìžë…€ë“¤ì˜ ëª¨ìŠµì„ ë¬¸ì•ˆ 장면으로 재구성하여 그린 것으로 추정해 본다. 즉, <문안ë„>ì—는 ê³½ìžì˜ë¥¼ ê±´ë¬¼ì˜ ì¤‘ì‹¬ì— ê·¸ë¦° ë’¤, 다른 곽분양행ë½ë„ì—서 ê³µì—°ì„ êµ¬ê²½í•˜ëŠ” ìžì†ë“¤ì˜ ëª¨ìŠµì„ ì˜®ê²¨ì™€ 그린 ê²ƒì´ ì•„ë‹Œê°€ 추측ëœë‹¤. ê¸°ì¡´ì˜ ë„ìƒì„ 조합하여 그리는 과정ì—서 매우 불합리한 모양으로 ìž¬êµ¬ì„±ëœ ê·¸ë¦¼ì¸ ê²ƒìœ¼ë¡œ ë³´ì¸ë‹¤.
ê¶ì¤‘ í™”ì›ì´ 그린 <곽분양행ë½ë„>는 대부분 병í’형ì‹ì´ë‹¤. 삼성미술관 Leeum ì†Œìž¥ì˜ <곽분양행ë½ë„>ì—는 ê³½ìžì˜ê°€ ìžì†ë“¤ì´ 둘러선 ê³µê°„ì˜ ìš©ìƒé¾åºŠì— 앉아 ë¬´ìš©ìˆ˜ë“¤ì´ ì¶¤ì¶”ëŠ” ìž¥ë©´ì„ ë°”ë¼ë³´ê³  있다.(ë„ 6) ì¢Œìš°ì˜ ì¡°ë³µì„ ìž…ì€ ì•„ë“¤ê³¼ 사위를 신하보다 약간 í¬ê²Œ 그렸다. ì´ì™¸ì—ë„ ì²˜ì²©å¦»å¦¾, 신하, ê¶ë…€ ë“±ì´ ì–‘ìª½ìœ¼ë¡œ 둘러 서 있다.
<문안ë„>ì— ê·¸ë ¤ì§„ ì¸ë¬¼ë“¤ì˜ 모습과 비êµí•´ ë³¼ 수 있는 부분ì´ë‹¤. ë„ë°°ì§€ ì†ì— 남아 ìžˆë˜ ê³½ë¶„ì–‘í–‰ë½ë„ 2ì ì€ 아래 ìœ„ìª½ì— í‘¸ë¥¸ìƒ‰ ë¹„ë‹¨ì´ ë¶™ì—¬ì ¸ 있다. 병í’으로 장황할 때 ë¶™ì¸ íšŒìž¥å›žè£ ë¹„ë‹¨ìœ¼ë¡œ 추측ëœë‹¤. ì´ ê·¸ë¦¼ì´ ì›ëž˜ 여러 ì ìœ¼ë¡œ êµ¬ì„±ëœ ë³‘í’ì˜ í•œ í­ìž„ì„ ì¶”ì¸¡í•˜ê²Œ 하는 단서ì´ë‹¤. 병í’ì´ ë§ì‹¤ë˜ê±°ë‚˜ í•´ì²´ë˜ìž ê·¸ ê°€ìš´ë° ë‚¨ì€ ê²ƒì„ í•œë™ì•ˆ 벽장ì´ë‚˜ 문ì§ì— 붙여 ë‘었고, ì´í›„ ì´ë¥¼ 바꾸기 위해 ê·¸ ìœ„ì— ë„배지를 ë°œëžë˜ 것으로 추측ëœë‹¤. ìž‘í’ˆì˜ ìš´ëª…ë„ ì´ ì •ë„ë©´ ì •ë§ ê¸°êµ¬í•˜ë‹¤. ì›ëž˜ 병í’ì— ê·¸ë ¤ì§„ ê·¸ë¦¼ì´ ëœ¯ê²¨ ë²½ìž¥ë¬¸ì— ë¶™ì—¬ì¡Œìœ¼ë©°, ê·¸ ìœ„ì— ë‹¤ì‹œ 바른 ë„ë°°ì§€ ì•„ëž˜ì— ë¬»í˜€ 있다가 ì„¸ìƒ ë°–ìœ¼ë¡œ 나온 것ì´ë‹¤.
ì´ ê³½ë¶„ì–‘í–‰ë½ë„ 2ì ì€ ë¯¼ê°„í™”ê°€ì˜ ì†œì”¨ê°€ ì•„ë‹ˆë¼ ì¸ë¬¼ ë¬˜ì‚¬ì— ê²½í—˜ì´ ìžˆëŠ” í™”ê°€ì˜ í•„ì¹˜ë¡œ ì§ìž‘ëœë‹¤. ì´ ê·¸ë¦¼ì˜ ë²”ë³¸ç¯„æœ¬ì´ ë˜ëŠ” ê·¸ë¦¼ì´ ìžˆì—ˆê³ , ì´ë¥¼ 근거로 하여 ì±„ìƒ‰ì„ ë”í•´ 그린 것ì´ë‹¤. 약간 ë¶‰ì€ ìƒ‰ê°ì— ìµìˆ™í•œ 듯한 분위기는 혹시 불화를 그린 í™”ìŠ¹ç•µåƒ§ì˜ ê·¸ë¦¼ì´ ì•„ë‹ˆì—ˆì„까 추측해 본다.
ì¡°ì„ ì‹œëŒ€ì˜ ì‚¬ëžŒë“¤ì—게 ê³½ìžì˜ëŠ” 가장 ì´ìƒì ì¸ ì‚¶ì˜ ì£¼ì¸ê³µì´ì—ˆë‹¤. ê³½ìžì˜ì²˜ëŸ¼ 부귀ì˜í™”를 누리는 ê²ƒì€ ëˆ„êµ¬ë‚˜ ë°”ë¼ëŠ” 소ë§ì´ì—ˆë‹¤. 장수長壽하고, ë†’ì€ ê´€ì§ì— 올ëžìœ¼ë©°, ìžì†ë“¤ì´ 번성했으니 ì´ë³´ë‹¤ ë” ë°”ëž„ ê²ƒì´ ìžˆê² ëŠ”ê°€? 세ìƒì—서 가장 행복한 ì‚¬ëžŒì„ ë“¤ë¼ë©´ 주저 ì—†ì´ ê³½ìžì˜ë¥¼ ê¼½ì•˜ì„ ê²ƒì´ë‹¤. 그러한 소ë§ì€ 벽장문 ì†ì— ê°ì¶”ì–´ì ¸ ìžˆë˜ ì´ <곽분양행ë½ë„> 2ì ì—ì„œë„ ì½ì„ 수 있다.

ë¯¼ê°„ì˜ ë²½ìž¥ë¬¸ì— ë¶™ì¸ ê·¸ë¦¼

중산층 주íƒì˜ 경우는 ì–´ë–¤ 문배 ê·¸ë¦¼ì„ ì„ í˜¸í–ˆì„까? ì¡°ì„  ë§ê¸°ì— 유행한 「한양가ã€(1848)ì—는 “다ë½ë²½ì— 계견사호鷄犬ç…虎â€ë¼ëŠ” 가사가 있다. 즉 다ë½ì˜ 벽장문ì—는 닭·개·사ìžÂ·í˜¸ëž‘ì´ ë“±ì˜ ê·¸ë¦¼ì„ ë¶™ì¸ë‹¤ëŠ” 대목ì´ë‹¤. ëª¨ë‘ ë³µì„ êµ¬í•˜ê³  ì‚¬ì•…í•¨ì„ ë¬¼ë¦¬ì¹œë‹¤ëŠ” ì˜ë¯¸ë¥¼ ë‹´ì€ ê·¸ë¦¼ì¼ ê²ƒì´ë‹¤. 1888ë…„ í”„ëž‘ìŠ¤ì˜ ì¸ë¥˜í•™ìž 샤를 ë°”ë¼(1842~1893)ê°€ 구입한 민화 ê°€ìš´ë° â€˜ê³„ê²¬ì‚¬í˜¸â€™ ê·¸ë¦¼ì´ ì†Œê°œëœ ë°” 있다.(ë„ 7) ì•„ë§ˆë„ ã€Œí•œì–‘ê°€ã€ì— 기ë¡ëœ 세화歲畵가 바로 ì´ëŸ° 그림ì´ì—ˆìŒì„ 시사해 준다. 샤를 ë°”ë¼ê°€ 구입한 ì´ ê·¸ë¦¼ë“¤ì€ ë‹¹ì‹œì˜ ê¸°ì¤€ìž‘ì´ë¼ í•´ë„ ì†ìƒ‰ì´ 없고, ìƒí™œìž¥ì‹í™”ì˜ ì¢‹ì€ ë³¸ë³´ê¸°ë¼ í•´ë„ ì§€ë‚˜ì¹¨ì´ ì—†ë‹¤. 정사ê°í˜•ì˜ í™”ë©´ì— ê·¸ë¦° 4ì ì˜ ê·¸ë¦¼ì€ ê°„ëžµí•œ 형태ê°ì— 조형ì ìœ¼ë¡œ 변용시킨 ë¶€ë¶„ë“¤ì´ ê½¤ë‚˜ 다채롭다. 화염문ç«ç„°é–€ì„ ë ê³  있는 사ìžì˜ ëª¨ì–‘ì€ ì´ì „ 시기 ë¬´ê´€æ­¦å®˜ë“¤ì˜ í‰ë°°ì— 그려진 사ìžì˜ ë„ìƒê³¼ ê°™ì€ ê³„í†µì´ë‹¤. í˜¸ëž‘ì´ ê·¸ë¦¼ ë˜í•œ ë””ìžì¸ì ì¸ 요소가 잘 ë¶€ê°ë˜ì–´ 있다. ë¬¸ì— ë¶™ì¸ ê·¸ë¦¼ì´ ì•„ë‹ˆë¼ ì‹œìž¥ì— ë‚˜ì˜¨ ê·¸ë¦¼ì„ êµ¬ìž…í•œ 것ì´ë¼ 120ë…„ì´ í›Œì© ë„˜ì€ ì§€ê¸ˆê¹Œì§€ë„ ê·¸ë¦¼ì˜ ìƒíƒœê°€ 매우 좋다.
서울 ê¶ê°€å®®å®¶ì˜ 문배 ê·¸ë¦¼ì— ê·¸ë ¤ì§„ 화조와 화훼, 명문가 ê³ íƒì˜ ë¬¸ì— ë¶™ì˜€ë˜ ê³½ë¶„ì–‘í–‰ë½ë„, ì„œë¯¼ë“¤ì˜ ë¬¸ë°°ìš© ê·¸ë¦¼ì¸ â€˜ê³„ê²¬ì‚¬í˜¸â€™ê¹Œì§€ 다양한 ì£¼ì œì˜ ê·¸ë¦¼ë“¤ì´ ë¬¸ ìœ„ì— ë¶™ì—¬ì§€ê³  ë˜ ì‚¬ë¼ì ¸ 갔다. 새로 ë¶™ì¸ ê·¸ë¦¼ì´ë”ë¼ë„ 언제까지나 ê·¸ ìžë¦¬ì— 붙어 ìžˆì„ ìˆ˜ëŠ” 없다. 때가 ë˜ë©´ 새 ê·¸ë¦¼ì— ìžë¦¬ë¥¼ 내어주어야 하고, ë°•ë½ì´ë‚˜ ë³€ìƒ‰ì´ ì§„í–‰ë˜ë©´, 예외 ì—†ì´ ìƒˆë¡œìš´ ê·¸ë¦¼ì˜ ë’·ë©´ì— í•œ ê²¹ì˜ ì¢…ì´ë¡œ 남게 ë  ë¿ì´ë‹¤.
문배 ê·¸ë¦¼ì— ë¶™ì–´ ìžˆë˜ ê·¸ë¦¼ê³¼ 글씨를 í•´ì²´í•´ ë³´ë©´, ì–´ë–¤ 그림과 종ì´ê°€ 차례로 붙어 있었는지 알 수 있다. 뜯어진 고서 한 장, 고문서 한 장ì¼ì§€ë¼ë„ ê·¸ ì‚¬ì—°ì„ ì´ì•¼ê¸°í•˜ëŠ” 중요한 단서가 ëœë‹¤. ìž‘ì€ ë¬¸ ìœ„ì— ë§Œë“¤ì–´ì§„ 지층紙層ì—는 그림만 ìžˆì—ˆë˜ ê²ƒì´ ì•„ë‹ˆë‹¤. ê·¸ë¦¼ì— ë‹´ê¸´ 소ë§ê³¼ 사연, 그리고 ê²¹ê²¹ì´ ìŒ“ì¸ ì‹œê°„ì˜ ë‹¨ì¸µë“¤ì´ ê³¼ê±°ì™€ 현재를 ì´ì–´ì£¼ë©° 함께 남아 있는 것ì´ë‹¤.

 

글 : 윤진ì˜(í•œêµ­í•™ì¤‘ì•™ì—°êµ¬ì› ì±…ìž„ì—°êµ¬ì›)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