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êµ­ì˜ ëŒ€ì¤‘ë¯¸ìˆ , 민간연화民間年畵 â‘¥ – 민간연화ì—서 찾아보는 ì±…ê±°ë¦¬ì˜ ì›ë¥˜

ì¤‘êµ­ì˜ ëŒ€ì¤‘ë¯¸ìˆ , 민간연화民間年畵 â‘¥
민간연화ì—서 찾아보는 ì±…ê±°ë¦¬ì˜ ì›ë¥˜

ë°•ê³ ë„åšå¤åœ–와 ì„¸ì¡°ë„æ­²æœåœ–(ì„¸ì¡°ê°€ì ˆë„æ­²æœä½³ç¯€åœ–)는 전통회화ì—서 출발하 였지만, íšŒí™”ì˜ ëŒ€ì¤‘í™”ì— ê¸°ì—¬í•œ 민간연화ì—ì„œë„ ì¦ê²¨ 그려진 제재ì´ë‹¤. ì´ëŸ¬í•œ ìž‘í’ˆì€ ë¬¸ì¸ì‚¬ëŒ€ë¶€ì˜ 고아한 ìƒí™œì„ 닮고 ì‹¶ì–´ 하는 ë¯¼ê°„ì˜ ìš”êµ¬ì— ì˜í•´ 그려지 거나 공방ì—서 ì¸ì‡„한 ìƒí™œë¯¸ìˆ í’ˆì´ì§€ë§Œ, ì‹ ë…„ì— ì‹¤ë‚´ë¥¼ 장ì‹í•˜ë©° 길ìƒì„ ê¸°ì› í•˜ëŠ” ì„¸í™”ë¡œì„œì˜ ê¸°ëŠ¥ì„ ìˆ˜í–‰í•˜ì˜€ë‹¤. ë°•ê³ ë„와 ì„¸ì¡°ë„ í˜•ì‹ì˜ 민간연화는 ì²­ë™ ê¸°, 향로, 화로, 서ì , 벼루 ê°™ì€ ë¬¸ë°©êµ¬ì™€ 화병, ê³¼ì¼ ë“±ì„ ê°™ì´ ê·¸ë ¤ ë„£ì€ ì¡°ì„ ì‹œ ëŒ€ì˜ ì±…ê±°ë¦¬ì™€ 유사한 형ì‹ê³¼ ë‚´ìš©ì„ ë³´ì—¬ì¤€ë‹¤. ì´ëŸ¬í•œ ì‚¬ì‹¤ì€ ì¤‘êµ­ì˜ ê¶ì¤‘회화 와 ë¯¼ê°„ì—°í™”ì˜ ìƒí˜¸ê´€ë ¨ì„± ì´ì™¸ì—ë„, 한국과 ì¤‘êµ­ì˜ ë¬¸í™”êµë¥˜ë¥¼ ì§ìž‘í•  수 있는 ìš”ì¸ì´ ë  ìˆ˜ 있다.

기명器皿 ë° ë°•ê³ åšå¤(골ë™í’ˆ)ì— ëŒ€í•œ 중국ì¸ë“¤ì˜ 가치관


ë°•ê³ ë„는 전통ì ì¸ ì •ë¬¼í™”ì˜ ì¼ì¢…ì´ë‹¤. 다양한 기명과 ê³µ ì˜ˆí’ˆì€ í•™ë¬¸í•˜ëŠ” ìƒë¥˜ê³„ì¸µì˜ ì§‘ì•ˆì„ ìž¥ì‹í•˜ëŠ” ìš©ë„로 사용 ë˜ë˜ 미술품ì´ë‹¤. ì´ëŸ¬í•œ ë¯¸ìˆ í’ˆì€ ëŒ€ë¶€ë¶„ 유êµë¥¼ 숭ìƒí•˜ ê³  우아한 ì•„ë¦„ë‹¤ì›€ì„ ì¶”êµ¬í•˜ëŠ” ì‚¶ì„ ìƒì§•한다. 거슬러 올 ë¼ê°€ë³´ë©´ ì´ë¯¸ 중국ì—서는 1107ë…„-1123ë…„ ì „í›„ì— ì™•ì‹¤ì—서 소장한 다양한 고기물å¤å™¨ç‰©ì„ 그려서,『선화박고ë„宣和 åšå¤åœ–ã€30ê¶Œì„ íŽ¸ì°¬í•˜ì˜€ë‹¤. ì´ ë•Œ 그려진 ê¸°ë¬¼ì€ ê³ ëŒ€ë¶€ í„° 전해온 ë„ìžê¸°, ì²­ë™ê¸°, 옥조ê°í’ˆ, ì•”ì„ì¡°ê°í’ˆ 등ì´ë‹¤. ì´ëŸ¬í•œ ì „í†µì€ ì˜¤ëžœ 기간 그대로 ì´ì–´ì§€ëŠ”ë°, ì²­ë™ê¸°ì™€ 기 ëª…ì„ ì™„ìƒí•˜ëŠ” ìž‘í’ˆì— ì‚¬ëŒ€ë¶€ë¥¼ 비롯한 다양한 ì¸ë¬¼ì´ 등 장하는 ê²ƒì€ í’ˆê²© 있는 ìƒí™œì„ ì¦ê¸°ëŠ” ìƒë¥˜ì¸µì„ ì€ìœ ì ìœ¼ 로 표현한 것ì´ë‹¤. ì¸ë¬¼ê³¼ 함께 ë§Žì€ ê¸°ëª…ë“¤ì´ ê·¸ë ¤ì§„ 작품 ì€ ë¬¸ì¸ë“¤ì´ ì¦ê²¨ ì‚¬ìš©í•˜ë˜ í™”ë³´ 중ì—ë„ ìžì£¼ 등장하는 소 재였다.(ë„ 1) 송대부터 íšŒí™”ì— ë“±ìž¥í•˜ëŠ” 다양한 ì²­ë™ê¸°ì™€ ë„ìžê¸° ë° ë‹¤ì–‘í•œ 길ìƒë¬¼ì€ 명대를 ê±°ì³ ì²­ëŒ€ì— ì´ë¥´ë©´ 기 ë¬¼ë§Œìœ¼ë¡œë„ íšŒí™”í™”ë˜ì—ˆë‹¤. 청대 양시정æ¢è©©æ­£(1697-1763)ì´ ì¤‘ì‹¬ì´ ë˜ì–´ 제작한 ã€Ží  ì •ì„œì²­ê³ ê°ì†Œ ã€ëŠ” ê¶ì¤‘ì—서 소장한 ì²­ë™ ê¸°ì— ëŒ€í•œ 기ë¡ë¬¼ì´ë‹¤. ê³ ê¸ˆì˜ ë„서를 모아서 ìƒˆë¡œì´ íŽ¸ì°¬ 하는 ê¶ì¤‘ì˜ ìž‘ì—…ì—ë„ ì œê¸°ì™€ ì˜ˆê¸°ç¦®å™¨ì˜ ì—­í• ì„ í•œ ì²­ë™ ê¸°ëŠ” 빠질 수 없는 중요한 항목으로 취급ë˜ì—ˆë‹¤. ì´ì™€ ê°™ì€ ì—­ì‚¬ì ì¸ 사실과 기ë¡ìœ¼ë¡œ ë³¼ 때 ‘박고ë„’는 유구한 ì „í†µì„ ê°€ì§„ íšŒí™”ì˜ ì†Œìž¬ì˜€ë‹¤. ê¶ì¤‘ì—서부터 ì‚¬ëŒ€ë¶€ì— ì´ë¥´ê¸°ê¹Œì§€ ì²­ë™ê¸°ì™€ ë„ìžê¸°ë¥¼ 비롯한 다양한 ê¸°ë¬¼ì„ ì™„ìƒí•˜ê³  회화화 하는 ê²ƒì€ í’ˆê²© 있는 ìƒí™œì˜ 표현ì´ì—ˆë‹¤. 그러나 민간ì—서 는 ì²­ë™ê¸°ì™€ ë„ìžê¸°ë¥¼ 벽사와 길ìƒì„ ìš°ì˜ì ìœ¼ë¡œ 표현하는 중요한 ìƒì§•물로 변화시켰다. 명대 민간ì—서는 부조형태로 목조ê°í•œ ë°•ê³ ë„ ìž¥ì‹í’ˆì„ 사 용하였으며, ì²­ëŒ€ì— ì´ë¥´ë©´ 다양한 형태로 ì œìž‘ëœ ë°•ê³ ë„는 중국 민간ì—서 ì‚¬ìš©í•˜ë˜ ë³´íŽ¸ì ì¸ ìƒí™œìž¥ì‹ìš©í’ˆì´ì—ˆë‹¤.(ë„ 2) 민간연화 ë°•ê³ ë„는 ê¸°ëª…ì— ìƒì§•ì ì¸ ê³¼ì¼ì´ë‚˜ 화훼를 ë” í•˜ì—¬ â€˜í™”í›¼ë°•ê³ â€™ì˜ í˜•ì‹ìœ¼ë¡œ ì œìž‘ëœ ê²ƒì´ ì¼ë°˜ì ì´ë‹¤. ì´ëŸ¬í•œ ì¢…ë¥˜ì˜ ì—°í™”ëŠ” ì „í†µíšŒí™”ì˜ ì†Œìž¬ì¸ ë°•ê³ ë„를 발전시켜, 사대 ë¶€ë“¤ì˜ ë¬¸í™”ë¥¼ ë™ê²½í•˜ëŠ” 대중들ì—게 íŒë§¤í•œ 작품ì´ë‹¤.

ê°•í¬ì—°ê°„(1662ë…„-1772ë…„) ì œìž‘ëœ <화훼박고ë„花å‰åšå¤åœ–>연화는 선명 한 색채와 뛰어난 ì¡°ê°ê¸°ìˆ ì„ 보여주는 채색íŒí™”작품ì´ë‹¤(ë„ 3). 민간 ì˜ ì—°í™”ìž‘ê°€ ì •ì‘ì¢…ä¸æ‡‰å®—(ìƒëª°ë…„미ìƒ)ì´ ì œìž‘í•œ <화훼박고ë„>ì˜ ì¡° 형과 기법, 구ë„는 ì¤‘êµ­íšŒí™”ì˜ ì‚¬ì‹¤ì ì¸ ê³µí•„ê¸°ë²•ì„ ë³´ì—¬ì¤€ë‹¤. ì •ì‘종 ì˜ <화훼박고ë„>는 ì‹ ë…„ì„ ì¶•í•˜í•˜ê³  ë”ìš± ì¦ê²ê²Œ 한 해를 시작하기 위 하여 ì§‘ì•ˆì„ ìž¥ì‹í•˜ëŠ” ë¯¼ê°„ë¯¸ìˆ í’ˆì˜ íŠ¹ìƒ‰ì„ ë¶„ëª…í•˜ê²Œ 보여준다. ì´ ìž‘ í’ˆì— ë“±ìž¥í•˜ëŠ” ê¸°ëª…å™¨çš¿ì€ ê³ ëŒ€ì— ì œì‚¬ìš©ìœ¼ë¡œ ì‚¬ìš©í•˜ë˜ ì²­ë™ê¸°ì´ë‹¤. ì²­ë™ê¸°ì˜ í‘œë©´ì— ìƒˆê²¨ì§„ ë„ì² ë¬¸ì–‘ì€ ë²½ì‚¬ì˜ ê¸°ëŠ¥ì„ ê°€ì§„ 다양한 천지 ê°„ì˜ ì‹ ë“¤ê³¼ 서수瑞ç¸ë“¤ì´ ìƒì§•í™”ëœ ê²ƒì´ë‹¤. ë°•ê³ ë„ ì¤‘ì˜ ì²­ë™ê¸°ëŠ” ë† ê²½ì‚¬íšŒì˜ ì‹ ì•™ê³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매년 행복과 í’ìš”ë¡œì›€ì„ ê¸°ì› í•˜ê¸° 위해 ì§‘ ì•ˆíŒŽì„ ìž¥ì‹í•˜ë˜ ë¯¼ê°„ì—°í™”ì˜ ì†Œìž¬ë¡œëŠ” 아주 ì í•©í•œ ê²ƒì´ ë¼ê³  í•  수 있다. ì¼ë°˜ì ìœ¼ë¡œ ë°ê³  경쾌한 ìƒ‰ì±„ì˜ ì‚¬ìš©ì€ ì„¸í™”ìš© 민간연 í™”ì—서 보여주는 공통ì ì¸ 미ê°ì´ë‹¤. ì´ ìž‘í’ˆì€ ê¸¸ìƒì ì¸ ì˜ë¯¸ë¥¼ ë‹´ê³  있는 모란, êµ­í™”, 사과, 불수ê°ä½›æ‰‹æŸ‘ ë“±ì˜ ê½ƒê³¼ ê³¼ì¼, í‰ì•ˆí•¨ê³¼ 장수를 기ì›í•˜ëŠ” 장ì‹ë¬¸ì–‘ì´ ê°€ë“한 화병과 ê¸°ë¬¼ì„ ë”하여 아름다움과 기ì›ì„ 분명하게 표현하고 있다. 한편 ì´ì„±ë¯¸ëŠ” “대ì˜ë°•ë¬¼ê´€ì˜ â€˜Kempfer series’ë¼ëŠ” 채색íŒí™”ë„는 ë…ì¼ì¸ ì˜ì‚¬ì¸ 캠í¼(Engelbert Kaempfer, 1651-1716)ê°€ 1692ë…„ 나가사키ì—서 구 입한 중국íŒí™”들ì´ë‹¤. ì´ ê°€ìš´ë° ëª‡ 장ì—서 ì±…ê°€ë„ì˜ ì‹œì›ì  구성요소 ë“¤ì„ ì°¾ì„ ìˆ˜ 있으며, ê·¸ 한 예로 <세화>를 들 수 있다.â€ë¼ê³  하며, 중국 ì˜ ë‹¤ë³´ê²©ê³¼ <화훼박고ë„>ê°€ 조선시대 ì±…ê°€ë„ì˜ ê¸°ì›ìš”소를 지니고 있 ìŒì„ 언급한 ë°” 있다. ì´ì™€ ê°™ì´ ì¼ë°˜ì ì¸ ë¯¼ê°„ì˜ <화훼박고ë„>는 ìƒì§•ì ì¸ 요소를 가진 꽃 ê³¼ ê³¼ì¼, 족ìžë‚˜ ë‘루마리 í˜•íƒœì˜ ê·¸ë¦¼, 장ì‹ì ì´ê³  화려한 기명과 ì„œì  ë“±ì˜ ì†Œìž¬ë¥¼ 취하여 세화로 제작한 것ì´ë‹¤. 명·청시기를 거치며 형성ë˜ëŠ” 사대부 문화와 ì‹œë¯¼ê³„ê¸‰ì˜ ìˆ˜ìš”ë¥¼ 연화제작 ìžë“¤ì€ ìž‘í’ˆì— ë°˜ì˜í•˜ì˜€ìœ¼ë©°, 길ìƒì ì¸ 요소를 첨 가하여 ìƒì§•ì ì¸ í‘œí˜„ì„ í•œ 것으로 ë³´ì¸ë‹¤. ì´ëŸ¬ 한 채색íŒí™”ë“¤ì€ ì „í†µíšŒí™”ì˜ í™”í’ì„ ëª¨ë°©í•˜ì—¬ í™” ì²©ìœ¼ë¡œë„ ì œìž‘ë˜ì—ˆë‹¤. ë¬¸ì¸ ì‚¬ëŒ€ë¶€ë“¤ì˜ ì‹ ë…„í’ì† ì„ ëª¨ë°©í•˜ì—¬ 선물로 주고받으며, ì‹ ë…„ì˜ í–‰ë³µì„ ê¸° ì›í•˜ëŠ” ìš©ë„로 ë„리 사용ë˜ì—ˆë‹¤. 17세기 후반부터 공방ì—서 íŒí™”로 ì œìž‘ëœ ë¯¼ê°„ì˜ ì„¸í™”ìš© 연화는 ê²½ 제력 있는 시민계급, ì¼ë°˜ëŒ€ì¤‘ì˜ ë¬¸í™”ì ì¸ í–¥ìœ ì— ì´ë°”지하였으며, ë¯¸ìˆ í’ˆì˜ ëŒ€ì¤‘í™”ì— í¬ê²Œ 기여하 였다.

ì¤‘êµ­ì˜ ë‹¤ë³´ê²©ê³¼ ì¡°ì„ ì˜ ì±…ê°€ë„

ë‹¤ë³´ê²©å¤šå¯¶æ ¼ì€ ë‚˜ë¬´ë¡œ 만들어진 가구ì´ì§€ë§Œ, 문 ì¸ë“¤ì˜ 고아한 문화를 ìƒì§•하는 í‘œì§€ë¡œì¨ ë°•ê³ ê²© åšå¤æ ¼ì´ë¼ê³ ë„ 불린다. 중국ì¸ë“¤ì˜ 골ë™í’ˆ, 문 방구, í™”í›¼ì— ëŒ€í•œ 사랑과 애호는 오랜 기간 서화 æ›¸ç•µì˜ ì¤‘ìš”í•œ 소재였다. í•™ìžë“¤ì€ ì¤‘êµ­ì˜ ë‹¤ë³´ê²© ì—서 조선시대 ì±…ê°€ë„(책거리)ì˜ ì›ë¥˜ë¥¼ 찾고 있 다.(ë„ 4) 명대 ê°€êµ¬ì— ëŒ€í•˜ì—¬ ë¶„ì„한 서ì ì—는 다 ë³´ê²©ì„ ì°¾ì„ ìˆ˜ 없고, 서ì ì„ 보관하고 ì •ë¦¬í•˜ë˜ ì„œê²©æ›¸æ ¼ì´ë‚˜ ëž€ê°€ê²©æ¬„æž¶æ ¼ì— ëŒ€í•˜ì—¬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ë³¼ 때, ë‹¤ë³´ê²©ì€ ì²­ëŒ€ë¶€í„° ì‚¬ìš©í•˜ë˜ ê°€êµ¬ì¢…ë¥˜ìž„ì´ ë¶„ëª…í•œ 것으로 ë³´ì¸ë‹¤. ì´íƒˆë¦¬ì•„ ì¶œì‹ ì˜ ê¶ì •í™”ê°€ì˜€ë˜ ë‚­ì„¸ë…•(GiuseppeCastiglione, 1688-1766)ì€ ì¤‘êµ­í™”ë‹¨ì— ì ì§€ ì•Šì€ ì˜í–¥ì„ ë¼ì³¤ë‹¤. 당시 중국ì—서는 ì„œì–‘íˆ¬ì‹œë²•ì„ ì„ ë²•ç·šæ³•ì´ë¼ 하고, 투시법으 로 그린 ê·¸ë¦¼ì„ ì„ ë²•í™”ç·šæ³•ç•µë¼ê³  하여 서양화 전래 초기부터 ì¸ê¸°ë¥¼ 얻고 있었으며, ì´ ì„ ë²•í™”ë¥¼ ì¼ë°˜ ì„œì–‘í™”ì¸ ìœ í™”ì™€ 구 별 ì§“ê³  있었다. 중국회화 전체를 살펴보면 ì„œì–‘í™”ë²•ì´ ë‘드러 지게 ì˜í–¥ì„ ë¼ì¹˜ì§€ëŠ” 않지만, 청대 초중기 ê¶ì •ì—서는 회화와 íŒí™”ì œìž‘ì— ì„œì–‘ì˜ ê¸°ë²•ì„ ë°›ì•„ë“¤ì¸ë‹¤. ë‚­ì„¸ë…•ì˜ <다보ê°ê²½> ì€ ì„œì–‘ì˜ íˆ¬ì‹œë²•ê³¼ ëª…ì•”ë²•ì„ ì ìš©í•˜ì—¬ 사실ì ì¸ í‘œí˜„ì„ í•˜ì˜€ 으ë˜, 중국ì¸ì˜ 완ìƒ(玩賞)문화를 삽입하는 ë°©ì‹ìœ¼ë¡œ êµë¬˜í•˜ê²Œ ë™Â·ì„œì–‘ì˜ ë¬¸í™”ê°€ 공존하는 ì–‘ì‹ì„ 보여준다. 그가 그린 <다 ë³´ê°ê²½å¤šå¯¶é–£æ™¯>ì€ ë‹¤ì–‘í•œ ì²­ë™ê¸°, ë„ìžê¸°, 서ì , 기물 ë“±ì„ ìž¥ ì‹ìž¥ì— 배치한 그림ì´ë‹¤. 가구와 ê¸°ëª…ì˜ ì‚¬ì‹¤ì ì¸ í‘œí˜„ì€ ë‹¹ì‹œ ì˜ ìƒë¥˜ì¸µë¬¸í™”를 여과 ì—†ì´ ë³´ì—¬ì£¼ëŠ”ë°, 청대 그려진 다른 작품 ì—ì„œë„ í™•ì¸ í•  수 있다.(ë„ 5) 한편, 문ì¸ê³¼ ìƒë¥˜ê³„ì¸µì˜ ì „ìœ ë¬¼ì´ì—ˆë˜ 문화향유 현ìƒì€ 경제 ë ¥ì„ ê°€ì§„ ì‹œë¯¼ê³„ê¸‰ì´ ì¦ê°€í•˜ë©´ì„œ 대중들ì—게 확산ë˜ì—ˆë‹¤. ì²­ 대 ë¶ê²½ì—서 ì œìž‘ëœ <다보격경>연화는 목íŒìœ¼ë¡œ ì¸ì‡„한 í›„ì— ìœ¡í•„ë¡œ ì±„ìƒ‰ì„ ë”하여 당시 ë¯¼ê°„ì˜ ì‹¬ë¯¸ê´€ì„ ë“œëŸ¬ë‚¸ë‹¤. 선명한 청색과 í°ìƒ‰, 먹으로 표현한 투시법, ê°ê°ì˜ 칸마다 그려진 장 ì‹ ë¬¸ì–‘, 다양한 화훼와 기명, ì„œì  ë“±ì€ ë¯¼ê°„ì—서 ì¶”êµ¬í•˜ë˜ ê¸¸ ìƒì ì¸ ì˜ë¯¸ë¥¼ 그대로 ë°˜ì˜í•œ 것으로 보여진다.(ë„ 6) 한국과 지리ì ìœ¼ë¡œ 가장 가까운 ì‚°ë™ì§€ì—­ì—서 ì œìž‘ëœ <가당배 ì¶•å®¶å ‚é…軸>ì€ ë‘ ìž¥ì´ ëŒ€ë ¨ì²˜ëŸ¼ 제작ë˜ì–´ ë‹¤ë³´ê²©ì˜ í˜•íƒœë¥¼ 만들어낸 목íŒì—°í™”ì´ë‹¤. í™”ë©´ì— ë³´ì´ëŠ” 서ì ì— 건륭 55ë…„(1790 ë…„)으로 ê¸°ìž¬ëœ ê²ƒìœ¼ë¡œ ë³¼ 때, 18세기 ë§ ìž‘í’ˆì¸ ê²ƒìœ¼ë¡œ 여겨진다. ìƒë‹¨ì˜ ì´ˆì„œè‰æ›¸ë¥¼ 제외하면, ì´ ëª©íŒì—°í™”ê°€ 보여주는 ë„ìžê¸°, ì²­ë™ê¸°, 화훼, 기명 ë° ì„œì ì˜ 배치와 í‘œí˜„ì€ ì¡°ì„ ì— ì„œ 유행한 ì±…ê°€ë„와 유사하다.(ë„ 7) 시기ì ìœ¼ë¡œ 조선시대 민화 책거리보다 먼저 ì œìž‘ëœ ê²ƒì„ ì°¸ê³ í•˜ë©´, ì‚°ë™ì§€ì—­ì˜ 연화가 조선시대 ë¯¼í™”ì— ë¼ì¹œ ì˜í–¥ì„ ì—¿ë³¼ 수 있다. ì¡°ì„ ì˜ ì±…ê±°ë¦¬ëŠ” 18세기 ë§ ì •ì¡°ëŒ€(1776-1800)ì— ê¶ì¤‘ì—서 ì²˜ìŒ ì œìž‘ë˜ì—ˆë‹¤ê³  알려져 있다. 비êµì  ì™¸êµ­ë¬¸ë¬¼ì— ê°œë°© ì ì´ì—ˆë˜ ì •ì¡°ëŒ€ì˜ ì‚¬íšŒë¶„ìœ„ê¸°ëŠ” ì¤‘êµ­ì˜ ë¬¸ë¬¼ì„ ë°›ì•„ë“¤ì´ ê³  í¡ìˆ˜í•˜ëŠ”ë° ì¼ì¡°í•˜ì˜€ì„ 것ì´ë‹¤. ë˜í•œ 왕실과 ìƒë¥˜ê³„층 ì´ ë¨¼ì € í¡ìˆ˜í•œ ì²­ëŒ€ì˜ ì™„ìƒ ë¬¸í™”ë¥¼ 표현한 ì±…ê°€ë„는 근대 기를 향해가는 대중ì—ê²Œë„ ì ì°¨ 확산ë˜ì–´ë‚˜ê°”ì„ ê²ƒì´ë‹¤. ì„œì±…ì´ ì¤‘ìš”í•œ 소재로 ì‚¬ìš©ëœ ì¡°ì„ ì˜ ì±…ê±°ë¦¬ëŠ” 유êµë¬¸í™”ê°€ 지배한 ì¡°ì„ ì‚¬íšŒì˜ ë‹¨ë©´ì„ ë³´ì—¬ì£¼ì–´ ì¤‘êµ­ì˜ ë‹¤ë³´ê²©ê³¼ëŠ” ì°¨ ì´ì ì„ 보여준다.

ì¤‘êµ­ì˜ ì„¸ì¡°ë„를 ë‹®ì€ ë¯¼í™” 책거리


ì‹ ë…„ì„ ì¶•í•˜í•˜ëŠ” ê·¸ë¦¼ì¸ ì„¸ì¡°ë„는 송대 황실ì—서 시작한 회화 ì†Œìž¬ì˜ í•˜ë‚˜ì´ë‹¤. 송 휘종徽宗(1082-1135)때부터 특 별히 유행하였는ë°, 주로 ê²¨ìš¸ì— ë³´ê¸° 힘든 화훼, ìˆ˜ëª©ì„ ì‚¬ ìƒí™”법寫生畵法으로 그렸다. ‘세조ë„’ì—는 주로 매화, ì‚° 차山茶, 수선, 장미 ë“±ì„ ì£¼ë¡œ 그렸는ë°, ê³§ 새해와 ë´„ì´ ë‹¤ 가오니 ì¦ê±°ìš´ ê¸°ë¶„ì„ ê³ ì·¨í•˜ê¸° 위하여 선물로 주고받거 나 ì§ì ‘ 사용하기 위한 ìš©ë„였다. 당시ì—는 ì‚¬ë¬¼ì„ ë¶„ì„하 ê³  연구해서 ê·¸ ì‚¬ë¬¼ì˜ êµ¬ì„±í•˜ëŠ” ì´ì¹˜ë¥¼ ê¹¨ìš°ì¹˜ê³ ìž í•˜ëŠ” ìœ ê°€ì˜ â€˜ê²©ë¬¼æ ¼ç‰©â€™ì‚¬ìƒì„ 중요시하여, 회화ì—ë„ ê·¸ê²ƒì´ ì ìš©ë˜ì—ˆë‹¤. ê·¸ ê²°ê³¼ 기명과 화조를 그린 세조ë„ì˜ ì±„ìƒ‰ì€ ì£¼ì‚¬, 백분, ì—°ì§€, ì„ë¡ ë“±ì˜ ì•ˆë£Œë¥¼ ì´ìš©í•˜ì—¬ 화려하고, 사실ì ìœ¼ë¡œ 그려졌다. 명·청 시기ì—는 화훼 위주로 ê·¸ë¦¬ë˜ ë¶ˆêµì˜ 제단ì—서 사용하는 좌 ìš°ì˜ í™”ë³‘ê³¼ 촛대, 향로 등 다섯 가지 ê¸°ëª…å™¨çš¿ì€ ë¬´ì—‡ì´ë“  함께 ê·¸ 리는 ê²ƒì´ ê°€ëŠ¥í–ˆë‹¤. 청대 í™©ì‹¤ì˜ ì„¸ì¡°ë„ì¤‘ì— í™”ë³‘ê³¼ 화훼가 그려진 형ì‹ì´ 있다. 강남 ì¶œ 신으로 ì¸ë¬¼, 누ê°, 화훼 ë“±ì„ ìž˜ 그렸으며, 옹정-건륭연간 í™”ì›ì´ì—ˆ ë˜ ìž¥ìœ„ë°©å¼µçˆ²é‚¦(ìƒëª°ë…„미ìƒ)ì€ ë‚­ì„¸ë…•ìœ¼ë¡œë¶€í„° ì„œì–‘í™”ë²•ì„ ë°°ì›Œ ë§Žì€ ê¸¸ìƒí™”를 그렸다. 그가 그린 여러 ìž‘í’ˆì€ ë‹¹ì‹œ 왕실ì—서 추구 í•˜ë˜ í™”í’ì´ì—ˆë‹¤.(ë„ 8) ì²­ë§ì— ì´ë¥´ë©´ 세조ë„ê°€ 대중화ë˜ë©´ì„œ 화면 ì— ê¸¸ìƒë¬¼ì´ 추가ë˜ì–´ í­ì£½, ì°¨í˜¸èŒ¶å£ºê°™ì€ ê¸°ë¬¼ì´ ë“±ìž¥í•œë‹¤. 기명과 화훼를 소재로 그린 세조ë„는 민간ì—ì„œë„ ì¦ê²¨ 그려졌으며, 목íŒìœ¼ 로 ì¸ì‡„한 ì—°í™”ë¡œë„ ì œìž‘ë˜ì–´ ë„리 사용ë˜ì—ˆë‹¤. <건륭10년역서병화 ë„æ›†æ›¸ç”花圖>와 <ê±´ë¥­ì‹œí—Œì„œë³‘í™”ë„æ™‚憲書ç”花圖>는 청대 민간 ì—서 ë°•ê³ ë„와 기명절지ë„ê°€ 결합한 형ì‹ìœ¼ë¡œ 제작한 길ìƒì—°í™”ì´ë‹¤. 새해를 ë§žì´í•˜ì—¬ ì¦ê±°ì›€ê³¼ ê²½ì‚¬ë¡œì›€ì„ ê¸°ì›í•˜ëŠ” ì˜ë¯¸ë¡œ ì œìž‘ëœ ë¯¼ê°„ ì˜ ì„¸ì¡°ë„는 그림 ì•ˆì— ì—­ì„œæ›†æ›¸ë¥¼ 넣거나, í™”ë³‘ì— ë´„ì˜ ì‹œìž‘ì„ ì•Œë¦¬ 는 ë™ë°±ê½ƒì„ 꽂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길ìƒë¬¼ë¡œëŠ” 화병, 백합, ê°, ì—¬ì˜ ë“±ì„ ê·¸ë ¤ 넣어 ‘í‰ì•ˆå¹³å®‰â€™ê³¼ ‘백사여ì˜ç™¾äº‹å¦‚æ„’를 ì˜ë¯¸í•˜ëŠ” 표 í˜„ì„ ê°•ì¡°í•œë‹¤. ì‹ ë…„ì„ ì¶•í•˜í•˜ë©° ê±°ì‹¤ì„ ìž¥ì‹í•˜ê¸° 위한 ìš©ë„로 ì œ ìž‘ëœ ìž‘í’ˆì´ë‹¤. ì´ ìž‘í’ˆë“¤ì€ ì‚¬ëŒ€ë¶€ë“¤ì´ ì¦ê²¨ ì‚¬ìš©í•˜ë˜ ê¸°ëª…ê³¼ 서 ì ì´ 주요 ì†Œìž¬ì¸ ë“¯ ë³´ì´ë‚˜, ê°€ì •ì˜ í‰ì•ˆì„ 빌며 ìž¬ë¬¼ì´ ë„˜ì³ë‚˜ê¸° 를 기ì›í•˜ëŠ” 길ìƒì ì¸ ì˜ë¯¸ë¥¼ 강하게 표현하였다. <건륭10년역서병화ë„>ì—는 화병받침대와 화병 ì˜¤ë¥¸ìª½ì˜ ì—°ë ¥å¹´ æ­·ì´ ë§ë ¤ë“¤ì–´ê°„ 모습 ë° ë¶€ê·€ë‹¤ì‚°å¯Œè²´å¤šç”£ì„ ìƒì§•하는 ë‹¤ëžŒì¥ ë¥¼ 길ìƒë¬¼ë¡œ 채íƒí•˜ì˜€ìœ¼ë©°, 작품 ì•ˆì— ê·¸ë ¤ì§„ 연력으로 건륭10ë…„ ì— ì œìž‘ëœ ê²ƒì„ ìœ ì¶”í•  수 있다. ë˜í•œ 검정색으로 ì¸ì‡„ë˜ì—ˆì§€ë§Œ 문 ì–‘ê³¼ 형태로 ë³¼ 때 청화백ìžì¸ 듯 ë³´ì´ëŠ” 화병ì—는 매화가지와 ë™ ë°±ê½ƒì„ ê½‚ì•„ í‰ì•ˆí•¨ê³¼ ì¦ê±°ìš´ ì‹ ì¶˜ì„ ê¸°ì›í•˜ëŠ” 길ìƒì ì˜ë¯¸ë¥¼ ìƒ ì§•ì ìœ¼ë¡œ 나타내었다. 대문 ì†ìž¡ì´ì²˜ëŸ¼ 매달린 사ìžë¨¸ë¦¬ëª¨ì–‘ì˜ í™”ë³‘ìž¥ì‹ì€ ë²½ì‚¬ì˜ ì˜ë¯¸ë¡œ 보아야 í•  것ì´ë‹¤. ì´ ìž‘í’ˆì€ ë„¤ 모서리마다 ìž¬ë¬¼ì„ ê¸°ì›í•˜ëŠ” ìƒì§•ì ì¸ 기물ì´ë‚˜ ëˆì„ 배치하여 ìž¬ë¬¼ì´ ë„˜ì¹˜ê¸°ë¥¼ ë°”ë¼ëŠ” 세ì†ì ì¸ 기ì›ì„ ë‹´ê³  있다. ì´ëŠ” 민간연화가 ì¼ë°˜ì ìœ¼ë¡œ 지닌 꽉 ì°¬ êµ¬ë„ ì•ˆì— ê¸¸ìƒì ì¸ ì˜ë¯¸ë¥¼ 강하게 표현한 세조ë„ì´ì§€ë§Œ ì‚¬ëŒ€ë¶€ë“¤ì˜ ë¬¸ë°©ìš©í’ˆê³¼ ê¸°ëª…ë“¤ì„ ì†Œìž¬ë¡œ íƒí•˜ì—¬, 민간ì—서 ì¶”êµ¬í•˜ë˜ ì‹¬ë¯¸ê´€ì„ ì‹­ë¶„ 드러내었다. <건륭시헌서병화ë„>는 <건륭10년역서병화ë„>와 유사한 구ë„ì˜ ì„¸ì¡°ë„ì´ë‹¤. 만사여ì˜è¬äº‹å¦‚æ„를 기 ì›í•˜ë©° 화병과 ì—¬ì˜ë¥¼ 그리고, ì—¬ì˜ ëì—는 ë™ì „ì„ ì¤„ì¤„ì´ ë§¤ë‹¬ì•„ 놓았다. ë‘ ìž‘ í’ˆì€ ìƒˆí•´ë¥¼ 맞으며 ìž¬ë¬¼ì´ ë„˜ì³ë‚˜ê¸°ë¥¼ 기ì›í•˜ëŠ” ì§ì ‘ì ì¸ í‘œí˜„ì„ ì•„ë¼ì§€ 않는 ë¯¼ê°„ì—°í™”ì˜ ì„¸ì†ì ì¸ í‘œí˜„ë°©ë²•ì„ ì—¬ì§€ì—†ì´ ë“œëŸ¬ë‚¸ 작품ì´ë‹¤.(ë„ 9, 10) ì´ì™€ ê°™ì€ ê¸°ëª…ì ˆì§€ë„와 ë°•ê³ ë„를 혼합한 형ì‹ì˜ 세조ë„는 19세기 후반 ì¡°ì„ ì— ì„œ ë§Žì´ ê·¸ë ¤ì§„ 민화 <책거리>와 공통ì ì„ 보여준다(ë„ 11). ì„ ë¹„ë“¤ì´ ì¢‹ì•„í•˜ëŠ” ì±…ê³¼ ê¸°ë¬¼ì„ ê·¸ë¦¬ê³ , ìƒì§•ì ì¸ ê³¼ì¼ì´ë‚˜ ê½ƒì„ ì¡°í™”ë¡­ê²Œ 그린 ì¡°ì„ ì˜ ì±…ê±°ë¦¬ëŠ” 붓으로 채색하여 섬세하고 화려한 색채를 보여준다. <책거리>ì—는 주요한 소재 로 ì±…ì„ ê·¸ë ¤ ë„£ì€ í‘œí˜„ì´ ë‘드러진다. 그렇지만 화훼와 다양한 ì¤‘êµ­ì‹ ê¸°ëª…ë“¤ ì„ ë°°ì¹˜í•˜ëŠ” 방법으로 ì›ì´ˆì ì¸ 소ë§ì„ 드러내는 ‘화훼박고ë„’와 ‘세조ë„â€™ì˜ í˜•ì‹ ì„ í‘œë°©í•œ 민간연화 세화와 형ì‹ê³¼ ë‚´ìš©ì´ ìœ ì‚¬í•˜ë‹¤ê³  ë³¼ 수 있다. 현대ì ì¸ 조형미를 ìžëž‘하는 조선시대 ì±…ê±°ë¦¬ì˜ ì›ë¥˜ë¥¼ ì¤‘êµ­ì˜ ë‹¤ë³´ê²©ì„ ë¹„ë¡¯ 한 여러 작품ì—서 찾아보았다. ‘세조ë„, 기명ë„, 화훼박고ë„, ë‹¤ë³´ê²©â€™ì˜ í˜•ì‹ì„ ë¤ ë¯¼ê°„ì—°í™”ëŠ” 전통회화ì—서 변화하여 í˜•ì„±ëœ ë‹¤ì–‘í•œ ë¯¼ê°„ì˜ ê¸¸ìƒí™”ì´ë‹¤. ì´ëŸ¬í•œ ìž‘í’ˆë“¤ì€ ì „í†µì‚¬íšŒê°€ 추구하는 가치를 ë°˜ ì˜í•˜ì˜€ê¸° 때문ì—, ë™ì¼í•œ 문화권ì—서 ìƒí™œ 한 ìš°ë¦¬ë¯¼ì¡±ì˜ ì •ì„œì™€ ìœ ì‚¬í•¨ì„ ë³´ì—¬ì¤€ë‹¤. 하지만 조선시대 책거리는 민간연화를 ë›° 어넘어 당당하게 전통미와 현대ì ì¸ ë¯¸ê° ì„ ìžëž‘한다. ê·¸ ë™ì•ˆ 간단하게 ì¤‘êµ­ì˜ ë¯¼ 간연화를 소개하고, ì¡°ì„ ë¯¼í™”ì™€ì˜ ê´€ê³„ë¥¼ 살펴보았다. 과거 한국과 ì¤‘êµ­ì€ ì„œë¡œ ì˜ í–¥ì„ ì£¼ê³ ë°›ìœ¼ë©°, ìžêµ­ì˜ 정서와 í’í† ì— ì í•©í•œ 문화를 형성하였다. ê·¸ 중ì—ì„œë„ ë¯¼ê°„íšŒí™”ì—서 찾아본 문화êµë¥˜ëŠ” 정통회 í™”ì˜ ì˜í–¥ê´€ê³„ê¹Œì§€ë„ ìœ ì¶”í•  수 있다는 것 ì„ ë³´ì—¬ì£¼ê³  있다. ë”°ë¼ì„œ 민간연화를 통 í•´ 반추해 본 ìš°ë¦¬ì˜ ìƒí™œì–‘ì‹ê³¼ íšŒí™”ì‚¬ì  ì¸ ì˜ë¯¸ë¥¼ ë°ížˆëŠ” ìž‘ì—…ì€ ìš°ë¦¬ì˜ ì „í†µë¬¸í™” 를 정확하게 ì¸ì‹í•˜ê³  ë°œì „ì‹œì¼œë‚˜ê°€ëŠ”ë° ë°˜ë“œì‹œ 필요한 과정ì´ë¼ê³  여겨진다.

글 ìš°ì˜ìˆ™(미술사 박사, 민화작가)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