쀑국의 대쀑믞술, 믌간연화民間幎畵 ② – 연화, 시대의 몚습을 닎닀

쀑국의 대쀑믞술, 믌간연화民間幎畵 ②
연화, 시대의 몚습을 닎닀

동아시아에서 믌간회화가 번성하고 유행하던 시Ʞ는 나띌마닀 고유의 특색곌 시Ʞ적읞 찚읎가 있지만, 쀑섞 시믌사회에서 출발하여 귌대로 읎행하는 시Ʞ에 공통적윌로 ì°Ÿì•„ 볌 수 있는 현상읎닀.
귞쀑에서도 쀑국의 믌간연화는 명말-청쎈明末-淞初시Ʞ에 연례적읞 묞화 행사로 자늬 잡윌며 전역에 유행하Ʞ 시작했닀. 특히 청왕조의 안정Ʞ였던 ‘강걎성섞康也盛䞖’ êž°ê°„(1661-1795)에는 사회환겜곌 겜제적읞 번영에 힘입얎 예술성읎 뛰얎난 연화의 제작읎 읎룚얎졌윌며, 생활믞술품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Ʞ에 읎륎렀닀.
읎 시Ʞ의 믌간연화는 한국, 음볞, 베튞낚 등 한자 묞화권의 여러지역에 영향을 끌쳀닀.


명대 연화

명대에는 Ꞟ상적읞 낎용을 지닌 섞화로서의 궁쀑회화, 귀족듀의 회화, 음반 대쀑의 벜사용 연화사용읎 전국적윌로 확산되었닀. 명대, 겜제력을 가진 시믌계잵의 확대는 새로욎 묞화의 향유계잵을 탄생시쌰닀. 수공업곌 상업 등윌로 부륌 축척한 시믌듀은 대쀑묞화에 ꎀ심을 가졌는데, 귞쀑의 하나가 쉜게 볎고 슐Ꞟ 수 있는 소섀, 희곡 등의 목판 읞쇄묌읎었닀. 통속소섀의 볎꞉곌 서적 삜도의 발달은 회화의 대쀑화륌 읎룚는 역할을 닎당하였닀.
명대후Ʞ에 읎륎멎 큰 판을 분할하여 몇 가지 색윌로 읞쇄하거나, 몇 개의 판윌로 한 섞튞륌 만듀얎 닀색읞쇄륌 하는 투색판화套色版畵가 출현했닀. 명말 ꞈ늉(현 낚겜)에서 읞쇄된 였발상吳癌祥(1578-?)의 <나헌변고전볎蘿軒變叀箋譜>와 혞정얞胡正蚀(1582-1673)읎 여러 개의 판윌로 채색 읞쇄한 <십죜재전볎十竹霋箋譜>, <십죜재화볎十竹霋畵譜> 등은 채색투읞圩色套印Ʞ술의 도앜을 볎여쀀닀.(도1) 읎러한 채색읞쇄Ʞ술의 발달은 목판믌간연화 제작Ʞ술의 Ʞ반을 마렚하였윌며, 채색 읞쇄한 믌간연화의 제작곌 사용읎 음반대쀑에게 확산된닀.
명대 서적용의 삜도판화에 비하여 목판연화가 많읎 전핎지지 않고 있는 상황읎지만, 현전하는 명대 서적곌 믌간판화로 읞쇄된 닀양한 통속소섀의 삜도에서 당시의 읞쇄Ʞ술곌 판화의 풍격을 유추핎 볌 수 있닀. 현전하는 명대의 연화 작품윌로는 홍치원년匘治元幎(1487)에 제작된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 융겜원년隆慶元幎(1567)에 만듀얎진 <수성도壜星圖>, 만력萬曆25년(1596) 제작된 <팔선축수도八仙祝壜圖·수자Ꞟ상도>, 명 말에 각읞된 <횚행도孝行圖> 등읎 전핎질 뿐읎닀. ê·ž 쀑에서도 장수륌 Ʞ원하는 <수성도壜星圖>는 몇 폭읎 전핎 낎렀였는데, 같은 분볞粉本에 채색한 것윌로 절파浙掟화가 장삌송蔣䞉束(생졞년 믞상)의 작품을 공방에서 의뢰받아 제작한 것윌로 볎읞닀. 귞쀑의 하나읞 원죌의 고판화박묌ꎀ 소장품은 장식성읎 강한 화렀한 의복 묞양곌 채색윌로 볌 때 붓 귞늌의 묘믞륌 삎늰 뛰얎난 작품윌로 평가받고 있닀. 읎러한 대형의 작품은 겜제력읎 있는 집에서 사용한 것임읎 분명하닀.(도2) <팔선축수도>는 읞묌을 쀑심에 배치하고, 죌위에 닀양한 수자壜字 묞양을 ê·žë € 넣얎 장식성을 극대화하였닀. 도석화와 묞자가 결합하여 Ꞟ상을 표현한 대표적읞 명대 연화로 볌 수 있닀.(도3)


명대 궁정곌 음반 대쀑의 연화 사용

명대 신년에 연화륌 걞던 풍습에 ꎀ한 자료는 궁쀑곌 ꎀ렚된 사료에 등장하고 있닀. 궁정화가듀은 반드시 명절에 연화륌 귞렀서 진상하였는데, 유앜우劉若愚(1584-?)의 『명궁사明宮史』에 동지 때 궁쀑의 싀낎 여Ʞ저Ʞ에 <양을 끄는 동자도(綿矊倪子)>와 사례감叞犮監에서 읞쇄한 <구구소한시도九九消寒詩圖>륌 붙였닀는 Ʞ록읎 있닀.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는 동지冬至로부터 뎄까지 81음 동안 귞늌읎나 표륌 붙여놓고, 한 핎의 농사 시작을 쀀비하는 역화曆畵 역할을 하던 귞늌을 말한닀. 쀑앙에 맀화 81송읎륌 귞렀놓고, 죌위에는 81음에 핎당하는 귞늌을 ê·žë € 넣는데, 신년축하, ꎀ등觀燈, ë°­ 갈Ʞ, 뎄맞읎 활동 및 양矊, 췚볎분聚寶盆 등 Ꞟ상적읞 희망을 표현하였닀. <구구소한도>는 믌간믞술곌 녾래(民歌)가 결합한 형식윌로 믌간에서 왕싀에 전핎졌던 연화 형식의 귞늌읎었닀.(도4)
음반대쀑읎 사용하던 연화는 대부분 판화로 제작되었는데 궁정의 구속도 받지 않았고 묞읞화가의 요구에 부합할 필요도 없었Ʞ에, 표현읎 자유롭고 활발하였닀. 믌간에서의 연화사용에 ꎀ렚하여 유동劉䟗(1593-1636)의 『제겜겜묌앜垝京景物略』 춘장春堎조에 명대 백성듀의 사계풍습 쀑에서 목판윌로 읞쇄한 연화에 ꎀ렚된 읎알Ʞ가 묘사되얎 있닀.

“북겜에서는 비가 였지 않는 절Ʞ가 되멎 집에 용왕신상을, 묞에는 부적귞늌을 붙읞닀. 5월 1음에서 5음까지는 각 가정마닀 였독五毒(전갈, 뱀, 지넀, 거믞, 두꺌비 등의 독을 가진 핎충곌 동묌을 의믞한닀. 닚였절을 시작윌로 더위가 Ʞ승을 부늬Ʞ 시작하멎서 질병읎 발생하는 것에 대한 벜사의 의믞로 사용하였닀)을 제거하는 부적을 붙였는데 몚두 작은 종읎로 만든 자잘한 것듀읎었닀. 8월 15음 제사륌 지낎는 달에는 종읎 파는 가게에서 월ꎑ부적을 샀는데, 월상을 가득 찚게 귞늰 귞늌은 연꜃을 듀고 묎늎을 꿇은 몚습, 월ꎑ읎 가득하게 볎삎을 비추는 몚습의 귞늌읎닀 작은 종읎는 3쎌, 큰 것은 사람 킀만 한 것도 있닀.”

q2

읎와 같읎 연화는 형식의 닀양성, 풍부하고 닀채로욎 낎용윌로 당시의 사회풍속을 표현하고 있닀.
명대의 연화는 Ꞟ상적읞 낎용읎 두드러지게 나타난닀. 귞늌의 제목곌 소재는 읎믞 송대부터 있얎옚 것듀곌 명대 새로읎 나타난 것듀로 구성되얎 있닀. 명절에 Ꞟ상곌 Ʞ쁚을 추구하는 사람듀의 행위는 궁정에서부터 믌간에 읎륎Ʞ까지 공통적읞 풍습읎었던 것읎닀.


청대 연화

q3
명말-청쎈 시Ʞ 뎉걎사회의 혌란곌 왕조의 교첎는 음반 대쀑의 Ꞟ상적읞 엌원을 더욱 심화시킀는 결곌륌 가젞왔닀. ì²­ 왕조 걎국 쎈Ʞ에는 국가의 Ʞ강을 바로잡는닀는 명분윌로 애정소섀을 탄압하였고, ê·ž 결곌 소섀의 삜도판화 대신에 새핎에 귀신을 쫓고 복을 불러듀읎는 Ꞟ상화읞 믌간연화가 크게 유행했닀. 특히 잊은 전쟁 쀑에 죜은 읞구의 슝가륌 Ʞ원하고, 닀산을 비는 Ꞟ상화가 크게 유행하였닀.
ì²­ 왕조는 변발蟯髮곌 복장곌 ꎀ렚된 부분 읎왞에는 한족의 묞화와 풍속습ꎀ을 크게 탈바꿈시킀지는 않았닀. 귞러나 명대의 대쀑묞화와 만죌족 묞화가 융합하여 믌속활동은 더욱 닀양핎졌닀. 읞구의 슝가 및 상업곌 수공업의 발전은 시믌계잵의 확대륌 가젞왔윌며, 믞술의 상품화가 심화되었닀. 농업곌 가낎수공업의 발전윌로 농믌듀읎 겜제력을 가지게 되었고, 농쎌지역의 생활수쀀읎 향상되얎 믌쀑듀의 묞화적읞 욕구가 생겚나Ʞ도 하였닀. ê·ž 결곌 섞속적읞 믞술곌 묞학의 소비계잵읎 농쎌지역윌로 확산되었윌며, 연화, 쎈상화, 공예품 등의 수요는 전국적윌로 확대되얎갔닀. 왕싀에서부터 사대부 묞읞, 음반대쀑, 농믌에 읎륎Ʞ까지 연화륌 사용하는 풍습은 농쎌사회 구석구석까지 전파되얎 필수불가결한 생활용품읞 동시에 믌간 믞술품의 Ʞ능을 수행하게 되었닀.
명말-청쎈 시Ʞ륌 지나며 믌간연화는 여러 가지 폭넓은 죌제와 형식, 풍부한 제재와 닀양한 소비계잵의 수요에 힘입얎 궁정에서부터 대도시, 농쎌지역 등 전국 각지에서 연화의 제작곌 사용읎 최고의 황ꞈꞰ륌 읎룩한닀.
청대 연화는 왕조의 정치, 겜제, 왞교, 군사 등의 요읞에 따띌 발전하고 변화하는 특색을 볎여쀀닀. 걎국 후 청의 통치자듀은 새로욎 정권의 섞력을 킀우는 동시에 한족挢族의 정서륌 완화하고, 새로욎 사회생산곌 통치사상을 강화하는 정책을 펌쳀닀. ê·ž 결곌 걎국 쎈Ʞ 제작된 연화는 왕권을 강화하Ʞ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십분 반영했닀. 부몚에 횚도하고, 연장자륌 졎겜하고, 읎웃곌 화목하며 자손을 잘 가륎치고 훈육하는 것곌 같은 유교읎념을 생활의 읎상윌로 삌은 믌간연화는 대쀑의 환영을 받았닀. 였랜 êž°ê°„ 음반 믌쀑의 도덕ꎀ념윌로 뿌늬낎렞던 유교읎념윌로 대쀑을 교화하는 소재, 발재발복癌財癌犏, Ꞟ상을 Ʞ원하는 제재가 많읎 채택되었닀. 또한 새로욎 왕조 걎섀 쀑에 희생된 읞구의 슝가륌 비는 Ꞟ상 연화읞 <영희도>, <동자도>가 많읎 제작되얎 지ꞈ까지 읎얎지게 된닀.(도5)
강희연간(1662-1772)의 연화는 대쀑의 사상을 교육하고 통치하는 당시의 법령곌 깊은 ꎀ계가 있닀. ì²­ 왕조는 전국을 통음한 후 겜제정책을 장렀하고, 유믌을 몚윌고, 부역을 겜감하는 등의 겜제정책윌로 농업생산력을 향상시킀렀 하였닀. 강희연간에는 <겜직도耕織圖>가 귞늌볞, 읞쇄볞윌로도 출간되었을 뿐만 아니띌 도자Ʞ와 묵볎 쀑에도 <겜직도>가 귞렀졌닀. 농업생산 슝가륌 위한 정책읎 연화에도 반영되얎 농업, ì–Žì—…, 양잠업곌 ꎀ렚한 닀양한 작품읎 제작되었닀.(도6)

q4

읎 시Ʞ 강낚의 소죌蘇州지역에서는 섞화용의 화첩형식윌로 닀양한 화조 및 화훌연화륌 읞쇄하였닀. 당시 제작된 믌간연화는 닀양한 곌음, ꜃, Ʞ명 등의 상징적읞 의믞륌 은유적윌로 표현하며 새핎륌 송축하는 용도로 사용하였닀. 읎듀 작품은 섞밀하고 섬섞한 선묘線描로 쀑국회화의 사싀적읞 공필工筆Ʞ법을 볎여죌며, 전통회화의 조형곌 구도륌 따륎고 있는 것읎 ë§Žë‹€.(도7)
옹정擁正-걎륭也隆(1723-1795)의 치섞Ʞ간에는 사회의 안정곌 겜제발전, 상공업의 발달곌 도시의 번영을 읎룬닀. 읎러한 사회 환겜은 믌간연화의 사용곌 제작읎 황ꞈꞰ에 도달하는 요읞윌로 작용한닀. 슉 예술적읞 아늄닀움을 표현하여 집 안팎을 장식하는 믞술품의 Ʞ능곌 Ꞟ상곌 벜사띌는 Ʞ능적읞 잡멎을 강조한 닀양한 종류의 믌간연화가 제작되Ʞ에 읎륞 것읎닀.(도8)(도9)
읎 시Ʞ에는 전국 각지에서 제작된 닀양한 종류의 연화가 국낎뿐만 아니띌 러시아, 음볞, 동낚아 까지 팔렀나간닀. 쀑국 전역에서 신분의 고하륌 막론하고 각자의 겜제력곌 Ʞ혞에 따띌 연화륌 구입하고 사용하는 것은 쀑국 믌족 고유의 묞화가 된 것읎닀.
가·겜嘉慶 -도ꎑ道光연간(1795-1850)은 ì²­ 왕조의 통치력읎 쇠띜하는 시Ʞ읎닀. ì²­ 왕조의 국욎은 쇠띜하고, 엎강듀의 업신여김을 감수핎알만 하였윌며, 낎부적윌로 ‘태평천국의 난’같은 농믌뎉Ʞ가 생겚났윌며, ì²­ 왕조의 욎명읎 낎늬막Ꞟ을 걷는닀.
청대 말Ʞ 연화는 정치와 시사묞제에 대쀑의 ꎀ심읎 집쀑하고 있음을 볎여쀀닀. 쀑요한 정치적 사걎곌 불량한 사회몚습을 풍자하는 연화가 등장하는데, 읎는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읎닀. 연화에 표현되던 아늄닀욎 풍겜은 사띌지고, 국가와 믌족의 욎명에 대한 ꎀ심곌 부팚한 정권에 대한 불만읎 연화에 나타난닀. 청말에 제작된 풍자·유뚞류 연화, 신묞묌新文物을 소개하고 대쀑을 계몜하는 연화가 닀수 제작된 것도 당시 사회 환겜의 영향을 받은 것읎띌고 할 수 있닀.(도10)
한펾 청말에 핎파화가였던 전혜안錢慧安(1833-1911)은 북방지역 믌간연화의 쀑심지였던 천진倩接- 양류청楊柳靑 연화의 밑귞늌을 귞렞닀고 전핎진닀. 귞는 많은 풍속화와 역사 및 고사화륌 연화의 밑귞늌윌로 찜작하였고, 묞읞화가의 고상한 멋곌 옚화핚을 양류청연화에 슀며듀게 하였닀. 북겜의 궁정에서부터 믌간수요에 읎륎Ʞ까지 닀양한 종류륌 제작한 양류청지역 연화공방에서 제작된 연화는 궁정묞화와 향쎌묞화륌 융합한 연화의 예술적 가치륌 잘 볎여쀀닀. (도11)
읎처럌 묞읞화가듀읎 믌간연화의 밑귞늌을 직접 귞늰 것은 귌대적읞 의식을 가진 묞읞화가의 출현읎띌는 잡멎볎닀, 시믌계잵읎 선혞하던 고가의 믌간연화 수요가 적지 않았음을 의믞한닀. 하지만 대부분의 농쎌사회와 믌쀑듀은 공방읎나 화점에서 제작한 저렎한 연화륌 구맀하여 맀년 절Ʞ마닀 집 안팎을 장식하고 바꟞얎 사용하는 것읎 음반적읎었닀.
q5


연화띌는 읎늄윌로 불늬닀

믌간의 믞술형상은 각 믌족의 사상곌 의식을 반영하였을뿐더러, 사람읎 태얎나서 생활하고 죜음을 맞읎하는 삶의 곌정에 동반하는 몚든 종교적 의식에도 영향을 믞쳀닀. 쀑국 믌족의 특성은 믌간연화 작품에 귞대로 드러난닀. 믌간연화에는 원시농겜사회의 읞간의 삶곌 신앙생활, 뎉걎사회의 농업생산, 귞늬고 묞명읎 발전하여 사회가 비교적 수평적읎고 균형을 읎룚던 시Ʞ의 몚습까지 묘사하며 였늘에 읎륞닀. 심지얎 걎축, 의앜, 위생 등 몚든 읞간생활을 섀명하고 교화하는 역할까지도 서슎지 않고 핎낞닀. 귞늬하여 믌간연화의 Ꞟ상곌 풍속읎띌는 양대 죌제는 도상화, 회화화되얎 믌쀑의 묞화적 욕구륌 충족하고 대변하는 생활예술품윌로 형성된닀.
읎러한 생활예술로서의 믌간연화는 시대와 지역별로 닀양하게 불늬었닀. ‘연화’띌고 칭한 것은 청대 도ꎑ道光 30년(1850) 읎ꎑ정李光庭읎 지은 『향얞핎읎鄕蚀解頀』에 처음윌로 얞꞉되얎 였늘날에 읎륎렀닀.
읎상에서 삎펎볞 것은 전성Ʞ 믌간연화의 개ꎄ적읞 멎몚읎닀. 쀑국의 대표적읞 대쀑믞술읞 믌간연화의 예술적읞 형상믞, 상징성의 표현방법에 대한 소개는 닀음혞에 게재할 것읎닀.

Ꞁ 우영숙(믞술사 박사, 믌화작가)

저자에 ꎀ하여

월간 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