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  ì™•ì¡°ì˜ ì´ë…ê³¼ ë°±ì„±ë“¤ì˜ ì—´ë§ì´ 고스란히 담긴 책거리

책거리는 í•™ë¬¸ì„ ìˆ­ìƒí–ˆë˜ 조선시대 문화를 대변하는 그림 중 하나다. 18ì„¸ê¸°ì— ì‹œìž‘ë˜ì–´ ì˜¤ëŠ˜ë‚ ê¹Œì§€ë„ ëŠìž„ì—†ì´ ì‚¬ëž‘ë°›ì„ ìˆ˜ ìžˆì—ˆë˜ ì±…ê±°ë¦¬ì˜ ë§¤ë ¥ì€ ë¬´ì—‡ì¸ì§€ ê·¸ ì´ë©´ì˜ ì´ì•¼ê¸°ë¥¼ 살펴보ë„ë¡ í•˜ìž.


ì±…ê°€ë„冊架圖란 ì±…ê°€å†Šæž¶ì•ˆì— ì±…ì„ ë¹„ë¡¯í•˜ì—¬ 여러 가지 ê¸°ë¬¼ë“¤ì„ ê°™ì´ ê·¸ë¦° ê·¸ë¦¼ì„ ë§í•˜ë©° 순우리ë§ë¡œ ‘책거리’ë¼ê³ ë„ 한다. 책거리란 볼거리, 길거리, 먹ì„거리, ì¼ê±°ë¦¬ ë“±ì˜ ë§ì²˜ëŸ¼ 명사 ë’¤ì— ë¶™ì—¬ 사용하는 용어ì´ë‹¤. 즉, 책가가 있는 ê·¸ë¦¼ì€ ë¬¼ë¡ ì´ê³  ì±…ê³¼ ê°ì¢… 기물까지 나열하는 형ì‹ì„ 취한 그림까지 í¬ê´„한다. ë”°ë¼ì„œ, 책거리는 ë‹¨ì–´ì˜ ë³¸ëž˜ ì˜ë¯¸ë³´ë‹¤ ë” ë„“ê²Œ ë´ë„ 무방할 것ì´ë‹¤.
책거리는 소유ìžì˜ 취향ì´ë‚˜ ìž…ë§›ì— ë”°ë¼ ì²¨ê°€í•˜ê±°ë‚˜ 빼서 ê·¸ë ¤ë„ êµ¬ë„ìƒ ë³„ë¡œ 어색하지 ì•Šì€ ìž¥ë¥´ë‹¤. 책거리ì—는 ì±…ì„ ì¤‘ì‹¬ìœ¼ë¡œ 문방사우와 진귀한 장ì‹í’ˆê³¼ ì¼ìƒìƒí™œìš©í’ˆ, ì·¨ë¯¸ìš©í’ˆë“¤ì„ ê·¸ë ¤ 넣으며 ì—¬ê¸°ì— ê°ì¢… ê³¼ì¼ê³¼ 주변ì—서 ë³¼ 수 있는 ìš”ì†Œë“¤ì´ ìžìœ ë¡­ê²Œ 결합하며, ì†Œìž¬ì— ë”°ë¼ í•™ë¬¸ì •ì§„, 출세, 장수, 부귀ì˜í™”, 다산, 청빈, 부부금슬, í’류 등 다양한 ì˜ë¯¸ê°€ ë‹´ê¸°ê¸°ë„ í•œë‹¤.
책거리로 유명한 í™”ì›ì€ 조선시대 ìµœê³ ì˜ ì±…ê±°ë¦¬ 화가로 ì¼ì»¬ì–´ì§€ëŠ” ì´í˜•ë¡(í›„ì— ì´ì‘ë¡, ì´íƒê· ìœ¼ë¡œ 개명함)ì´ ìžˆë‹¤.
ì´í˜•ë¡ì€ 할아버지 ì´ì¢…현, 아버지 ì´ìœ¤ë¯¼ì˜ 뒤를 ì´ì–´ 3대째 책거리를 그린 í™”ì›ì§‘안 출신ì´ë‹¤. 한편, ê¹€í™ë„ë„ ì±…ê±°ë¦¬ ê·¸ë¦¼ì„ ë§Žì´ ê·¸ë ¸ë‹¤ê³  하나 전하는 ìž‘í’ˆì´ ì—†ë‹¤. 남아있는 가장 ì˜¤ëž˜ëœ ì±…ê°€ë„ ë³‘í’ì€ ìž¥í•œì¢…ì´ ì œìž‘í•œ 것으로 현재 ê²½ê¸°ë„ ë°•ë¬¼ê´€ì— ì†Œìž¥ë˜ì–´ 있다.

ì±…ì„ ì‚¬ëž‘í•œ ë‚˜ë¼ ì¡°ì„ 

책거리가 등장한 ë°°ê²½ì—는 ì¡°ì„ ì˜ ì •ì¹˜ì  ì´ë…ì˜ ì˜í–¥ì´ 컸다고 í•  수 있다. ì¡°ì„ ì€ ìœ êµë¥¼ 정치·문화·사ìƒì˜ ì§€ë„ì  ì´ë…으로 삼았고, í•™ë¬¸ì„ ìˆ­ìƒí•˜ëŠ” 사대부가 ì™•ì„ ë³´ì¢Œí•˜ë©° 문치文治를 표방한 êµ­ê°€ì´ë‹¤. 그런 ì¡°ì„ ì—게 ì±…ì€ ì§€ì‹ì„ 습ë“하고 ìƒê°ê³¼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 수단ì´ì—ˆë‹¤. ë”°ë¼ì„œ êµ­ì™•ì€ ì™•ê¶Œì„ ìœ„í•´ì„œ ì±…ì˜ ì¸ì‡„와 ë³´ê¸‰ì„ ì ì ˆí•˜ê²Œ í†µì œí•˜ê¸°ë„ í–ˆë‹¤.
사대부 ë“±ì˜ ìƒë¥˜ì¸µ ì—­ì‹œë„ ì±…ì„ ëª¹ì‹œ 사랑했다. ì´ë“¤ì€ ì§€ì‹ì— 대한 ê°ˆì¦ì„ 겪고 있었고, 17세기 중반부터 ì¤‘êµ­ì— íŒŒê²¬ëœ ì¡°ì„  ì‚¬í–‰ë‹¨ì´ ê°€ì§€ê³  들어온 ì²­ë‚˜ë¼ ì„œì±…ê³¼ ë¬¸ë¬¼ì„ í†µí•´ ì´ë¥¼ 해소할 수 있었다. 당시 ì¡°ì„ ì€ ë§¤ë…„ 세 ì°¨ë¡€ì— ê±¸ì³ ì¤‘êµ­ì— ì‚¬í–‰ë‹¨ì„ íŒŒê²¬í–ˆìœ¼ë©° 보통 200~300명 ì •ë„ì˜ ì¸ì›ìœ¼ë¡œ 구성ë˜ì—ˆë‹¤. ì¡°ì„ ì˜ ì™¸êµ ì‚¬ì‹ ë“¤ì€ ë¶ê²½ì—서 ì±… 목ë¡ì´ ì í˜€ 있는 기다란 종ì´ë¥¼ 들고 서가를 기웃거리며 ì±…ì„ ì°¾ê³ , ì½ê³ , 필사하는 ë° ë§Žì€ ì‹œê°„ì„ í• ì• í–ˆë‹¤. 17세기 한 중국학ìžê°€ ì“´ 기ë¡ì—는 ì¡°ì„  ì‚¬ì‹ ë“¤ì˜ ì±…ì— ëŒ€í•œ ê´€ì‹¬ì´ ì„œìˆ ë˜ì–´ 있다. “조선ì¸ë“¤ì€ ì±…ì„ ê°€ìž¥ 사랑한다. ë¶ê²½ì— 파견 온 ì¡°ì„  ì‚¬í–‰ë‹¨ì€ ë§¤ì¼ ìž¥í„°ì— ë‚˜ê°€ ê³ ì „ ë° ì‹ ì„œ, 통ì†ì†Œì„¤ì„ 비롯해 ì¡°ì„ ì— ì—†ëŠ” 모든 ì±…ì— ëŒ€í•´ 사람들ì—게 묻고 ê°€ê²©ì— ìƒê´€ì—†ì´ 사들ì¸ë‹¤. 중국 í¬ê·€ë³¸ë“¤ì„ ì¡°ì„ ì—서 ì°¾ì„ ìˆ˜ 있다.â€

책거리를 사랑한 왕, 정조

사ë„세ìžì˜ 아들ì´ë©° ì˜ì¡°ì˜ ì†ìžì¸ ì •ì¡°(재위 1776~1800)는 특히 ì±…ì„ ì‚¬ëž‘í–ˆë‹¤. 정조는 왕실 ë‚´ì— ê·œìž¥ê°å¥Žç« é–£ì´ë¼ëŠ” 서고를 설치하여 ë…서로 다듬어진 ì§„ë³´ì ì´ê³  í˜ì‹ ì ì¸ í•™ìžë“¤ì„ 발굴하여 ì™•ê¶Œê°•í™”ì˜ ë””ë”¤ëŒë¡œ 삼는 등 ì±…ì„ í†µí•´ 문치文治를 êµ¬í˜„í•˜ê³ ìž í–ˆë‹¤.
정조는 ì±…ì„ ì‚¬ëž‘í•˜ëŠ” ë§Œí¼, ì±…ê°€ë„ë„ ëª¹ì‹œ 사랑했다고 한다. 그는 ì™•ì˜ ìƒì§•ì´ì—ˆë˜ 어좌 ë’¤ì˜ ì¼ì›”오봉ë„를 치우고, 대신 ì±…ê°€ë„ ë³‘í’ì„ íŽ¼ì¹˜ê¸°ë„ í–ˆë‹¤. 1791ë…„ 기ë¡ì—는 다ìŒê³¼ ê°™ì€ ë‚´ìš©ì´ ë‚¨ì•„ 있다. “정조가 어좌 ë’¤ì˜ ì±…ê°€ë„를 둘러보며 대신들ì—게 ë§í•˜ê¸°ë¥¼ â€œì´ ê·¸ë¦¼ì— ìžˆëŠ” ì±…ì„ ê²½ë“¤ì´ ì–´ì°Œ ì§„ì§œ ì±…ì´ë¼ê³  여기겠는가? ì˜ˆì „ì— ì •ì´ç¨‹é ¤ê°€ ì´ë¥´ê¸°ë¥¼ ë¹„ë¡ ì±…ì„ ì½ì„ 수 없다 하ë”ë¼ë„ ì„œì‹¤ì— ë“¤ì–´ê°€ ì±…ì„ ì–´ë£¨ë§Œì§€ë‹¤ ë³´ë©´ 오히려 ê¸°ë¶„ì´ ì¢‹ì•„ì§„ë‹¤ê³  하였다. 나는 ì´ ë§ì˜ ì˜ë¯¸ë¥¼ ì´ ê·¸ë¦¼ì„ í†µí•´ì„œ 알게 ë˜ì—ˆë‹¤.â€
심지어 정조는 ë‹¹ì‹œì˜ ìœ ëª… í™”ì›ì¸ 신한í‰ê³¼ ì´ì¢…í˜„ì´ ì±…ê±°ë¦¬ ê·¸ë¦¼ì„ ê·¸ë¦¬ì§€ 않았다는 ì´ìœ ë¡œ ê·€ì–‘ì„ ë³´ë‚¼ ì •ë„였다.
한편, 정조는 ë„화서圖畫署ì—서 선발한 10ëª…ì˜ í™”ì›ì„ 규장ê°ì— 파견 근무하게 하여 ì •ì¡° ìžì‹ ì´ ì§ì ‘ 그림ì„
주문·제작하게 하는 ìžë¹„ë ¹í™”ì›æ…ˆæ‚²å¶ºç•«å“¡ì´ë¼ëŠ” 새로운 ì œë„를 만들어 시행하였는ë°, ì´ë•Œ ê¶ì¤‘í™”ì›ë“¤ë„ ì •ì¡°ì˜ ëª…ì— ë”°ë¼ ì±…ê°€ë„를 그렸다.

ì±…ê°€ë„ì—서 책거리로


ì±…ê°€ë„는 왕실과 양반사대부가ì—서 ì‹œìž‘ëœ ê²ƒìœ¼ë¡œ 추정ë˜ëŠ”ë°, ê¶ì¤‘í™”ì›ë“¤ì´ 그린 ì±…ê°€ë„ ë³‘í’ì€ ì•„ë§ˆë„ ì„œê°€ë¥¼ 바탕으로 하는 ê²©ì‹ ìžˆê³  서책들로만 ê°€ë“í–ˆì„ ê²ƒì´ë‹¤. 그러나 ì¡°ì„  후기 ì²­ë‚˜ë¼ ë¬¸ë¬¼ì´ ìœ ìž…ë˜ë©´ì„œ ì±…ê°€ë„는 변형ë˜ê¸° 시작한다.
당시 중국ì—서는 다보ê°ê²½å¤šå¯¶å„景 ë˜ëŠ” 다보격多寶格ì´ëž€ 장ì‹ìž¥ì— ë„ìžê¸°ë‚˜ ì²­ë™ê¸°, 옥 ë“±ì˜ ì§„ê·€í•œ ë¬¼ê±´ë“¤ì„ ì§„ì—´í•œ ëª¨ìŠµì„ ê·¸ë¦° 서양화í’ì˜ ê·¸ë¦¼ì´ ìœ í–‰í•˜ì˜€ëŠ”ë°, ì´ëŸ¬í•œ í™”í’ì€ ì¡°ì„ ì˜ ì±…ê°€ë„ì—ë„ ì˜í–¥ì„ 주었다. ì±…ê°€ë„ì—는 ì ì  ì„œì±…ì´ ì‚¬ë¼ì§€ê³  대신 청나ë¼ì˜ 화려한 ë„ìžê¸°ë‚˜ 시계, 안경 ë“±ì˜ ê°’ë¹„ì‹¼ 기물들로 ê°€ë“찼고, 급기야 호피장막으로 ë®ížŒ ì±…ê±°ë¦¬ê¹Œì§€ë„ ë“±ìž¥í–ˆë‹¤. ì§€ê¸ˆë„ ê·¸ë ‡ì§€ë§Œ ê·¸ 당시 ìƒë¥˜ì¸µì—서는 중국ì—서 유행한 값비싼 장ì‹í’ˆë“¤ì„ 수집해 장ì‹ìž¥ì— ì§„ì—´í•´ 놓고 ê°ìƒí•˜ëŠ” 문화가 ìœ í–‰í–ˆë˜ ê²ƒìœ¼ë¡œ ë³´ì¸ë‹¤.
ìƒë¥˜ì¸µì—서 ì‹œìž‘ëœ ì±…ê±°ë¦¬ ì—´í’ì€ ì ì°¨ 경제ì ìœ¼ë¡œ 안정ë˜ì–´ê°€ê³  ìžˆë˜ ìˆ˜Â·ìƒê³µì—…ìžÂ·ë†ë¯¼ì˜ ì§‘ì•ˆì„ ìž¥ì‹í•˜ëŠ” 그림으로 ì¸ê¸°ë¥¼ 얻는다. ì´ ê³¼ì •ì—서 ì±…ê°€ë„ì˜ êµ¬ì„±ì€ ë³€í•˜ê¸° 시작한다. ê¶ì¤‘ì´ë‚˜ ìƒë¥˜ì¸µì—서 ê°ê´‘ì„ ë°›ë˜ ì±…ê°€ì— ê½‚ížŒ ì±…ê³¼ ê¸°ë¬¼ë“¤ì„ ê·¸ë¦° ì±…ê°€ë„는 민간으로 확산ë˜ëŠ” 과정ì—서 책가가 ë”ìš± 줄고 대신 ë„ìžê¸°, 꽃, ê³¼ì¼, ë™ë¬¼ ë“±ì˜ ë‹¤ë¥¸ ê¸°ë¬¼ë“¤ì´ ë“±ìž¥í•˜ê²Œ ëœë‹¤. 즉, 기존 ì±…ê°€ë„ì˜ í‹€ì´ ê¹¨ì§€ê³  ‘책거리’ë¼ëŠ” 새로운 형ì‹ì„ ë ê²Œ ëœ ê²ƒì´ë‹¤. ì´ì œ ì±…ê°€ë„ì—는 서가 대신 소형 íƒìžê°€ 등장하며, ê·¸ ìœ„ì— ì±…ê³¼ ê¸°ë¬¼ë“¤ì´ ìŒ“ì•„ìžˆë‹¤ë˜ê°€, ì±…ê³¼ ë¬¸ë°©ì‚¬ìš°ë¿ ì•„ë‹ˆë¼ ê°’ë¹„ì‹¼ ë„ìžê¸°, ì²­ë™ ê³¨ë™í’ˆ ë“±ì˜ ìž¥ì‹í’ˆê³¼ 거문고나 ìƒí™©ê³¼ ê°™ì€ ì•…ê¸°ë¥¼ 비롯해 ì€ìž¥ë„, 남바위, 담뱃대, 부채, 복주머니, 노리개, 안경, 향로, 술병과 술잔, 바둑íŒê³¼ 마작과 ê°™ì€ ì¼ìƒìƒí™œìš©í’ˆ ë“±ë„ í‘œí˜„ëœë‹¤.
ë˜í•œ í¬ë„, 오ì´, 가지, 수박, ì„류, 복숭아, 불수ê°, 옥수수, ê° ë“±ê³¼ ê°™ì€ ë‹¤ì‚°ì˜ ìƒì§•ì¸ ì”¨ ë§Žì€ ê³¼ì¼ê³¼ ì±„ì†Œë„ ë“±ìž¥í•˜ë©°, 매화·난초·국화·대나무 ë“±ì˜ ì‚¬êµ°ìžì™€ 모란, 연꽃, 장미, 수선화, 진달래, 목련, ì›ì¶”리 ë“±ì˜ ê°–ê°€ì§€ 꽃과 장수, 금전, 부부 ê¸ˆìŠ¬ì„ ìƒì§•하는 잉어, 금붕어, 나비, 호랑ì´, ìš© 등 ìƒì„œë¡œìš´ ë™ë¬¼ë“¤ë„ 다양하게 등장한다. 즉, 책거리는 ì†Œìœ í•˜ê³ ìž í•˜ëŠ” ì‚¬ëžŒì˜ ê°œì„±ê³¼ ì·¨í–¥ì´ ê·¸ëŒ€ë¡œ í‘œí˜„ëœ ì£¼ë¬¸Â·ì œìž‘í˜• 그림으로 발전하게 ë˜ëŠ” 것ì´ë‹¤.
한마디로 왕실과 양반사대부가ì—서 시작ë˜ì–´ ê¶ì¤‘í™”ì›ì˜ ì†ì— ì˜í•´ 엄격한 형ì‹ìœ¼ë¡œ 그려진 ì±…ê°€ë„ê°€ ì ì°¨ ì¼ë°˜ 백성들ì—게 확산ë˜ë©´ì„œ ê·¸ë“¤ì˜ ì›ì´ˆì  ìš•ë§ê³¼ ê²°í•©ë˜ì–´ êµ¬ì„±ì´ ë°”ë€Œê³  마침내 책거리로 변한 것ì´ë‹¤. ë”불어 민화 책거리는 ê¶ì¤‘ ì±…ê±°ë¦¬ì— ë¹„í•´ ë¶™ì´ëŠ” ê³µê°„ì´ í˜‘ì†Œí•œ 관계로 ì œí•œëœ í™”ë©´ì— ì˜¨ê°– ê¸°ë¬¼ë“¤ì„ ì••ì¶•í•˜ì—¬ 그려 ë„£ì„ ìˆ˜ ë°–ì— ì—†ê²Œ ë˜ì—ˆê³ , ì´ ê³¼ì •ì—서 ì±…ê±°ë¦¬ì˜ í¬ê¸°ëŠ” ì ì°¨ 작아졌고, ë™ì‹œì— 다양하고 ìžìœ ë¡œìš´ 구ë„ì˜ ì‹œë„ë„ ì´ë£¨ì–´ì¡Œë‹¤.
한편 민화 책거리는 ìƒì§•ì˜ ì˜ë¯¸ë„ 바뀌어서, ì±…ì€ ì´ì œ ì •ì¹˜ì  ë„구가 아닌 ì¶œì„¸ì˜ ìƒì§•ì´ ë˜ì—ˆê³ , 값비싼 ê¸°ë¬¼ë“¤ë„ ì§„ê¸°í•œ 골ë™í’ˆì´ 아닌 í–‰ë³µì„ ê¸°ì›í•˜ëŠ” ìƒì§•ì´ ë다. ë˜í•œ ê¸°ë¬¼ë“¤ë„ ì ì°¨ 중국 것ì—서 우리 것으로 바뀌었다. ì´ë¥¼í…Œë©´ 중국ì—서 수입한 값비싼 ë„ìžê¸°ëŠ” ì¡°ì„ ì˜ ì²­í™”ë°±ìžì™€ ê°™ì€ êµ­ì‚°í’ˆìœ¼ë¡œ 바뀌었고, ì¤‘êµ­ì˜ ì§„ê·€í•œ ê¸°ë¬¼ì´ í–‰ë³µê³¼ ì‚¬ëž‘ì˜ ìƒì§•ì¸ í™”ì‚¬í•œ 꽃과 ê³¼ì¼ë¡œ 대체ë다.

가장 ë§Žì´ ì‚¬ëž‘ë°›ëŠ” 민화, 책거리

오늘날 ë¯¼í™”ìž‘ê°€ë“¤ì´ ê°€ìž¥ 선호하는 그림 중 하나가 책거리ì´ë‹¤. 시ë ìœ¼ë¡œ 구íšëœ ì±…ê±°ë¦¬ì˜ ë©´ë¶„í• ê³¼ êµ¬ì„±ì€ ì°½ìž‘í•˜ê¸°ì— ì¢‹ì€ ìž¥ì ì„ 가지고 있다. ì±…ê±°ë¦¬ì— ë‚˜ì˜¤ëŠ” ê° ê¸°ë¬¼ë“¤ì˜ ì´ë¦„ì´ë‚˜ 사용처 ë“±ì€ ì±…ê±°ë¦¬ë¥¼ í‘œí˜„í•˜ëŠ”ë° ìžˆì–´ 반드시 알아야 한다. ì´ì™•ì´ë©´ 알고 그리는 ê²ƒì´ í‘œí˜„í•˜ê¸° ìœ„í•´ì„œë„ í›¨ì”¬ ê·¸ í­ê³¼ 깊ì´ê°€ ë”í•  것ì´ë‹¤.
민화 책거리ì—서는 í™”ë©´ì— ë³´ì´ëŠ” 다양한 ìš”ì†Œë“¤ì„ ê²°í•©ì‹œí‚¤ê¸° 위해 확대ì›ê·¼ë²•ê³¼ ê°™ì€ ì „í†µí™”ë²•ì„ êµ¬ì‚¬í•œë‹¤. ì œí•œëœ í™”ë©´ì— ì˜¨ê°– ê¸°ë¬¼ì„ ë°°ì¹˜í•˜ì—¬ 가로로 긴 책거리를 표현하는가 하면 세로로 긴 ê·¸ë¦¼ë„ ì–¼ë§ˆë“ ì§€ 제작할 수 있다.
ê³µê°„ì„ ë¬´í•œëŒ€ë¡œ 확장하는 과정ì—서 사용ë˜ëŠ” ì—­ì›ê·¼ë²•ì€ ì „í†µíšŒí™”ì—서 오래전부터 사용한 기법ì´ë‹¤. í‘œí˜„í•˜ê³ ìž í•˜ëŠ” ì‚¬ë¬¼ë“¤ì„ í•˜ë‚˜ì”© ë¼ì›Œ 넣으며 ì‘ì¶•ëœ ê³µê°„ 안ì—서 í‘œí˜„í•˜ê³ ìž í•˜ëŠ” 길ìƒì˜ ìƒì§•ë“¤ì„ ë¹ ì§ì—†ì´ ë¶€ê°ì‹œí‚¬ 수 있는 ê²ƒì´ ë¯¼í™” ì±…ê±°ë¦¬ì˜ í° ë§¤ë ¥ì´ë‹¤. ì¡°ì„ ì˜ ì„ ë°°í™”ê°€ë“¤ì´ ê·¸ëž¬ë“¯ 옛 ê¸°ë¬¼ë“¤ì„ ë¹¼ê³  ê·¸ ìžë¦¬ì— 새로운 것으로 채우면 근사한 현대 책거리가 나오는 것ì´ë‹¤.
ìš” 몇 ë…„ê°„ì˜ ëŒ€ëŒ€ì ì¸ 민화관련 행사는 우리 역사 ì†ì—서 ìžìƒì ìœ¼ë¡œ 발전한 ë¯¼í™”ì— ëŒ€í•œ ê´€ì‹¬ì˜ í­ì„ 넓혀 해마다 ì „êµ­ ê°ì§€ì—서 ìˆ˜ë§Žì€ ê³µëª¨ì „ê³¼ 전시를 갖게 하고 있으며 민화ì¸êµ¬ëŠ” ì´ì „ê³¼ 비êµí•˜ì—¬ ë‘ ë°°ë‚˜ ì¦ê°€í•˜ì˜€ë‹¤ëŠ” ê¸€ì„ ì½ì€ ì ì´ 있다. 마주 대하기 편안한 그림, 미소 짓게 하는 그림, 못 ê·¸ë ¤ë„ ìš©ì„œë˜ëŠ” 그림, 누구나 그릴 수 있는 그림, ì—¬ëŸ¿ì´ í•¨ê»˜ ë³´ë©´ ë” ì¢‹ì€ ê·¸ë¦¼, 행복과 ì¦ê±°ì›€ì„ 주는 우리 그림 민화가 ìš°ë¦¬ë“¤ì˜ ì†ì— ì˜í•´ ì˜¤ëŠ˜ë„ ê·¸ë ¤ì§€ê³  있다.
ì´ì²˜ëŸ¼ 오늘날ì—ë„ ì‚¬ëžŒë“¤ì˜ ì—´ë§ì„ 고스란히 ë‹´ì•„ë‚´ë©° 날로 성장하는 민화. ê·¸ ì¤‘ì‹¬ì˜ í•œ ìžë¦¬ë¥¼ 당당히 차지하고 있는 ì±…ê°€ë„는 전통ì ì´ë©´ì„œë„ 현대ì ì¸ 조형세계를 지니고 있어 지나간 ê³¼ê±°ë¿ ì•„ë‹ˆë¼ í˜„ìž¬ 우리 ê³ì—서 여전히 숨쉬고 있고, ì•žìœ¼ë¡œë„ ëŠìž„ì—†ì´ ì‚¬ëž‘ë°›ì„ ìˆ˜ 있는 그림ì´ë¼ 하겠다.


글 금광복 (대한민국민화전승문화재, (사)한국민화협회 ìƒìž„고문)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One comment on “ì¡°ì„  ì™•ì¡°ì˜ ì´ë…ê³¼ ë°±ì„±ë“¤ì˜ ì—´ë§ì´ 고스란히 담긴 책거리

  1. 안녕하세요! ì¤‘í•™êµ ë¯¸ìˆ êµì‚¬ 입니다.
    ë‹¤ë¦„ì´ ì•„ë‹ˆë¼ ë¯¸ìˆ ì‹œê°„ì— ì¡°ì„  후기 ë¯¼í™”ì— ëŒ€í•´ 가르치고 현대 민화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알려줄 ìƒê°ìž…니다.
    본 ê¸€ì— ë‚˜ì™€ìžˆëŠ” ê¹€ì˜ìˆ˜, 정명주, 김운화 ìž‘ê°€ë‹˜ë“¤ì˜ ë©‹ì§„ ê·¸ë¦¼ì„ ì‚¬ìš©í•´ë„ ê´œì°®ì„까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