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  ì†Œë°˜ì˜ ì•„ë¦„ë‹¤ì›€ ê·¸ 첫 번째, ì´ ìž‘ì€ ìƒì— 담긴 ê·¸ ë§Žì€ ì´ì•¼ê¸°

나전연입형ì¼ì£¼ë°˜ 조선후기, 지름 32.5cm, ë†’ì´ 19cm
ì´ ìž‘ì€ ìƒì— 담긴 ê·¸ ë§Žì€ ì´ì•¼ê¸°

ìš°ë¦¬ë‚˜ë¼ ì†Œë°˜ì€ ì°¸ìœ¼ë¡œ 아름답다. 단어를 그대로 í’€ì´í•´ â€˜ìž‘ì€ ìƒâ€™ì´ë¼ê³  ì •ì˜í•˜ê¸°ì—” 너무 ë§Žì€ ì´ì•¼ê¸°ê°€ 담겨있다. 시대마다 종류별, ìš©ë„별로 ì €ë§ˆë‹¤ì˜ ì•„ë¦„ë‹¤ì›€ì„ ë½ë‚´ë©°, 우리네 ì‚¶ì˜ ê°€ìž¥ 가까운 ê³³ì—서 화려하게 ë˜ ì†Œë°•í•˜ê²Œ ì‚¶ì„ ë¹›ë‚´ì¤€ ì†Œë°˜ì„ 2íšŒì— ê±¸ì³ ì†Œê°œí•˜ë ¤ê³  한다. ì†Œë°˜ì˜ ì•„ë¦„ë‹¤ì›€ì„ ì´í•´í•˜ê³  ê·¸ 종류까지 세세하게 살피는 기회가 ë˜ê¸¸ 바란다.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ì¡°ì„ ì˜ ì†Œë°˜å°ç›¤

â€œì†Œë°˜ì€ ìž‘ì€ ìƒì´ë‹¤â€
ì´ë ‡ê²Œ 짧게 ì •ì˜í•´ 버리ìžë‹ˆ 너무 아쉽다. 그러면 조금 ë” ìžì„¸ížˆ ì´ì•¼ê¸°í•´ ë³´ìž. ì†Œë°˜ì€ í‰í‰í•œ 반면盤é¢ê³¼ 다리로 ì´ë£¨ì–´ì§„ 작고 ë‚®ì€ ìƒì´ë‹¤. 다리가 지나치게 낮거나 없으면 소반ì´ë¼ê¸°ë³´ë‹¤ ìŸë°˜ì´ë¼ 해야 í•  것ì´ê³ , 반대로 다리가 지나치게 높으면 ì±…ìƒì´ë‚˜ íƒìžì— ê°€ê¹ë‹¤ê³  해야 한다.
정확하게 ì†Œë°˜ì˜ ë²”ìœ„ë¥¼ 정하기는 어렵지만, ì¼ë°˜ì ìœ¼ë¡œ 우리가 ë§í•˜ëŠ” ì´ëŸ¬í•œ ë²”ì£¼ì˜ ì†Œë°˜ì„ ê·¸ëƒ¥ 쉽게 ‘밥ìƒâ€™ì´ë¼ ë¶€ë¥´ê¸°ë„ í•œë‹¤. 그러나 본래 조선시대ì—는 ì†Œë°˜ì˜ ëª¨ì–‘ì„ ë‹¬ë¦¬ 하여 ë°¥ìƒ ìš©ë„ ì´ì™¸ì— ìž”ì¹˜ìƒ ë˜ëŠ” 아기 ëŒìƒ 등 여러 ìš©ë„로 사용하였으며 때로는 ì°»ìƒ, 술ìƒìœ¼ë¡œë„ 사용하고 공고ìƒì´ë¼ 하여 ìš”ì¦˜ì˜ ì² ê°€ë°©ì²˜ëŸ¼ ìŒì‹ì„ ìƒì— ë‹´ì•„ ë¨¸ë¦¬ì— ì´ê³  나르는 배달용으로 ì‚¬ìš©í•˜ê¸°ë„ í•˜ì˜€ë‹¤.
물론 ì£¼ëœ ìš©ë„는 ìŒì‹ì„ 차려 놓고 먹기 위한 것ì´ë‹¤. 특히 ê¶ì—서는 ê¶ë°˜ì´ë¼ 하여 민가ì—는 ì‚¬ìš©ì´ ê¸ˆì§€ëœ ì£¼ì¹ ê³¼ í‘ì¹ ì„ í•˜ê³  호화로운 ì¡°ê°ì„ 하는 등 ê³ ê¸‰ìŠ¤ëŸ¬ìš°ë©´ì„œë„ ì™•ì‹¤ì˜ ìœ„ì—„ì„ ê°„ì§í•œ 훌륭한 ì†Œë°˜ì´ ìžˆëŠ”ê°€ 하면, ë™ë„¤ ì–´ê·€ì— ìžˆë˜ ì£¼ë§‰ì—서는 술과 안주가 ê°€ë“한 ì†Œë°˜ì˜ ëª¨ìŠµì„ ì¡°ì„ ì‹œëŒ€ 회화ì—서 í”히 ë³¼ 수 있다. 조선시대 전통 ì†Œë°˜ì„ ìžì„¸ížˆ 들여다보면 ì–´ëŠ í•œ ê³³ 모난 ê³³ì´ ì—†ì´ ë‘¥ê¸€ë ¤ì ¸ 있어 우리 ì„ ì¡°ë“¤ì˜ ë„ˆê·¸ëŸ¬ìš´ 마ìŒì´ 그대로 ë°°ì–´ 있는 듯하다. 때로는 다리íŒì— 투ê°ì„ í•˜ê¸°ë„ í•˜ê³ , ìš´ê°ì— ì¡°ê°ì„ í•˜ê¸°ë„ í•˜ì˜€ìœ¼ë©° 천íŒì— ìžê°œë¥¼ ë„£ê¸°ë„ í•˜ëŠ” 등 ë©‹ì„ ë¶€ë ¸ìœ¼ë‚˜ ëˆˆì— ê±°ìŠ¬ë¦´ ë§Œí¼ í™”ë ¤í•˜ê±°ë‚˜ 유치하지는 않다. 때로는 ë°•ì¥, 모란, ì‹­ìž¥ìƒ ë¬¸ì–‘ ë“±ì„ ìƒˆê²¨ ë„£ì€ ì†Œë°˜ì´ ìžˆëŠ” 반면 그냥 아무 ê²ƒë„ ì—†ëŠ” 소박한 ì†Œë°˜ë„ ìžˆë‹¤. 조선시대 소반 모ë‘ì—는 우리 ì„ ì¡°ë“¤ì˜ ê±´ê°•ê³¼ í‰ì•ˆì„ ë°”ë¼ëŠ” ì—¼ì›ì´ 깃들어 있ìŒì„ 알 수 있다.

우리 ì†Œë°˜ì˜ ì—­ì‚¬

고대 미술사를 통해 ìš°ë¦¬ì˜ ì†Œë°˜ì— ê´€í•œ ìžë£Œë¥¼ 쉽게 ì ‘í•  수 있다. ìš°ì„  고구려 벽화 중 í•˜ë‚˜ì¸ â€˜ì•ˆì•…3호분’ ë™ì‹¤ ë¶ë²½ì— ë¬˜ì‚¬ëœ <부엌ë„>ì—는 ìŒì‹ìƒìœ¼ë¡œ 여겨지는 ì†Œë°˜ì˜ ëª¨ìŠµì´ ë³´ì¸ë‹¤. 찬찬히 들여다보면, 부엌 안ì—는 세 ì—¬ì¸ì´ ìžˆëŠ”ë° í•œ ì—¬ì¸ì€ ì•„ê¶ì´ì— 쭈그리고 앉아서 ë¶ˆì„ ì§€í”¼ê³  있고, ë˜ í•œ ì—¬ì¸ì€ ê·¸ ì•„ê¶ì´ê°€ 있는 부뚜막 위ì—서 ìŒì‹ì„ 준비하고 있다. 나머지 한 ì—¬ì¸ì€ 허리를 굽혀 접시를 ìƒìœ„ì— ì •ë¦¬í•˜ëŠ” ëª¨ìŠµì´ ë³´ì´ëŠ”ë° ì—¬ê¸°ì— ë³´ì´ëŠ” ìƒì˜ 형태가 사ê°ì˜ 천íŒì— 4ê°œì˜ ë‹¤ë¦¬ë¥¼ 부착한 것으로, 다리는 밖으로 벌어진 ëª¨ìŠµì„ í•˜ê³  있어 안정ê°ì´ 있는 형태ì´ë©° 부엌 안ì—서 접시를 올린 형ìƒìœ¼ë¡œ ë³´ì•„ 소반으로 여겨진다.
ì´ ìƒì„ ìžì„¸ížˆ ë³´ë©´ 다리가 그리 높지 ì•Šì€ ëª¨ìŠµì´ë©° ì—¬ì¸ì´ 허리를 굽힌 ê°ë„나 ì—¬ì¸ë“¤ì˜ 키로 비êµí•˜ì—¬ ë³´ë©´ ìš°ë¦¬ë‚˜ë¼ ì „í†µ ì†Œë°˜ì˜ ë†’ì´ì™€ 비슷하게 ë³´ì—¬ 좌ì‹ìƒí™œì— 사용ë˜ì—ˆì„ 것으로 추정ëœë‹¤.
‘무용ì´â€™ ì£¼ì‹¤ì— ê·¸ë ¤ì§„ <무용ë„>ì—ë„ ìŒì‹ì„ 운반하는 ë‘ ì—¬ì¸ì´ ë³´ì´ëŠ”ë° í•œ ì—¬ì¸ì€ 다리가 있는 ìƒì— ìŒì‹ì„ ë‹´ì•„ 운반하고 있으며 뒤따르는 ì—¬ì¸ì€ 다리가 없는 ìŸë°˜ì— ìŒì‹ì„ ë‹´ì•„ 나르는 ëª¨ìŠµì´ ë¬˜ì‚¬ë˜ì–´ 있다. 그림ì—서 ë³´ì´ë“¯ ë‘ ì—¬ì¸ì´ ê·¸ë¦‡ì´ ë†“ì¸ ì†Œë°˜ì„ ì‚¬ë¿ížˆ ë°›ì³ ë“¤ê³  가는 모습과 소반(ìŸë°˜) ìœ„ì— ìž‘ì€ ê·¸ë¦‡ì„ ë‘세 ê°œ ì •ë„ ì˜¬ë¦° 것으로 ë³´ì•„ ì´ë“¤ì€ ì–‡ì€ íŒìž¬ì¸ 천íŒê³¼ 다리 부분으로 짜여 있으며 ì—¬ì¸ì´ 쉽게 들어 나를 수 있는 ìž‘ì€ í¬ê¸°ë¡œ 제작ë˜ì—ˆìŒì„ ì§ìž‘í•  수 있다. ì´ë¥¼ 비êµí•˜ì—¬ ë³´ë©´ 무용ì´ì— 그려진 ìŒì‹ìƒì€ ì†Œë°˜ì˜ ê¸°ëŠ¥ 중 ìŒì‹ì„ 나르는 기능과 ì‹íƒì˜ ê¸°ëŠ¥ì„ ëª¨ë‘ ë³´ì—¬ì£¼ëŠ” ì¡°ì„ ì‹œëŒ€ì˜ ì†Œë°˜ê³¼ ê°™ì€ ê°œë…ì˜ ê²ƒì´ë¼ê³  여겨진다.
ë˜í•œ ‘ê°ì €ì´â€™ 현실 ë¶ë²½ì˜ <묘주부부좌ìƒë„>ì—는 ë‘ ì—¬ì¸ì´ ì•‰ì€ ìƒíƒœì—서 ê°ìžì˜ ì•žì— ìƒì„ 받고 있는 ëª¨ìŠµì´ ë³´ì´ëŠ”ë°, ì´ ë˜í•œ ìž…ì‹ìƒí™œì˜ íƒìžë¼ê¸°ë³´ë‹¤ëŠ” 좌ì‹ë¬¸í™”ì˜ ì†Œë°˜ì— ë” ê°€ê¹ë‹¤ê³  여겨진다.
고려시대ì—는 실질ì ì¸ 소반 관련 ìžë£Œë¥¼ 찾아보기 어려우나 여러 ë¬¸í—Œì— ì´ì™€ 유사한 ê¸°ë¬¼ì˜ ì‚¬ìš©ì— ëŒ€í•œ 기ë¡ì´ 있어 ê·¸ 짜임과 형태를 유추해 ë³¼ 수 있다. 특히 1123ë…„ 중국 ì†¡ë‚˜ë¼ ì‚¬ì‹ ì´ì—ˆë˜ 서ê¸ì´ 기ë¡í•œ 《고려ë„ê²½ã€‹ì— ë³´ë©´ ê³ ë ¤ì˜ ìŒì‹ë¬¸í™”ì— ëŒ€í•œ 설명과 함께 ë°˜, ì¡° 등 ì¼ë¶€ 소반과 ê°™ì€ ìŒì‹ìƒì— 대한 ê¸°ìˆ ì´ ìžˆë‹¤.
고려시대만 í•´ë„ ì¼ë¶€ ì¢Œì‹ ë¬¸í™”ê°€ í˜¼ìš©ëœ ìž…ì‹ë¬¸í™”로 ë³´ì´ë©°, ì†Œë°˜ì˜ ì‚¬ìš©ì´ ë³´íŽ¸ì ì´ê³  본격ì ìœ¼ë¡œ ëœ ì‹œê¸°ëŠ” 온ëŒë¬¸í™” ë° í‰ì¢Œìƒí™œì´ 주를 ì´ë£¨ëŠ” 조선시대ì´ë‹¤. 물론 ì™•ì‹¤ì˜ ì—°íšŒ 등ì—서는 íƒìžë¥¼ ë§Žì´ ì‚¬ìš©í•œ 기ë¡ì„ ë³¼ 수 있으나 í‰ì‹œì—는 ëŒ€ë¶€ë¶„ì´ ì†Œë°˜ì„ ì‚¬ìš©í–ˆë‹¤.
조선시대 초기 기ë¡ì¸ 《세종실ë¡ã€‹ ê¶Œ128 오례, 길례, ì„œë¡€ì˜ <제기ë„설>ì— ì˜í•˜ë©´ “조는 ê¸¸ì´ ì¼ì²™ 팔촌, 너비 팔촌 ì˜¤í”ˆì˜ ë°©í˜•ìœ¼ë¡œ 다리는 곡선ì´ë©° 족대를 대었고 중앙ì—는 í‘ì¹ ì„ í•˜ì˜€ìœ¼ë©°, 양단ì—는 ì£¼ì¹ ì„ í•˜ì˜€ë‹¤â€ë¼ëŠ” 기ë¡ì´ ìžˆëŠ”ë° ì´ë¥¼ 통해 조선시대 초기 ì†Œë°˜ì˜ ì „í˜•ì ì¸ 형태를 유추해 ë³¼ 수 있다.

안악3호분, <부엌ë„>
ê°ì €ì´, <묘주부부좌ìƒë„>
무용ì´, <무용ë„>
 
ì†Œë°˜ì˜ ê¸°ëŠ¥ê³¼ 발전
조선시대 소반행ìƒ(나주반)

▲조선시대 소반행ìƒ(나주반)

먼저 ì†Œë°˜ì„ ì£¼ë¡œ ì‚¬ìš©í–ˆë˜ ì¡°ì„ ì‹œëŒ€ì˜ ì£¼íƒ êµ¬ì¡°ì— ëŒ€í•´ 알아보ìž. ì¡°ì„ ì‹œëŒ€ì˜ ì£¼íƒì€ ì‹ ë¶„ì— ë”°ë¼ í¬ê²Œ 양반과 서민가옥으로 나눌 수 있다. 주ì¸ì˜ ì§€ìœ„ì— ë”°ë¥¸ 경제ì ì¸ 여건, ìƒí™œ 형태, ì§€ì—­ì  í’ì† ë“±ì— ë”°ë¼ ì£¼ë°©ì˜ í¬ê¸°ì™€ ë¶€ì† ê³µê°„ì˜ êµ¬ì¡°ë¥¼ 달리했다. ì¡°ì„  중기 ì´í›„ì— ë¶€ì—Œì€ ì•ˆë°©ê³¼ 붙여 ë§Œë“¤ì—ˆëŠ”ë° ì´ëŠ” 안주ì¸ì´ 부엌으로 ì¶œìž…í•˜ëŠ”ë° íŽ¸ë¦¬í•˜ë„ë¡ ë§Œë“  구조ì´ë‹¤. 안방 주ì¸ì´ 거처하는 ë°©ì—는 부엌과 대청, 다ë½ê³¼ 벽장, ë˜í•œ 찬방까지 딸린 ê²½ìš°ë„ ìžˆë‹¤. ì–‘ë°˜ì§‘ì— ìžˆì—ˆë˜ ì°¬ë°©ì€ ë¶€ì—Œì˜ í•œ 부분으로서 ë§·ëŒì§ˆ, ì§€ì§ì§ˆ ë“±ì˜ ì¼ì„ í•  수 있는 ê³³ì´ë©° ì´ê³³ì— ìŒì‹ì´ë‚˜ 살림살ì´ë¥¼ ë‘ê¸°ë„ í–ˆë‹¤.
반면 ì¼ë°˜ì ì¸ ì„œë¯¼ë“¤ì˜ ì£¼íƒ êµ¬ì¡°ëŠ” 취사와 ë‚œë°©ì„ ê²¸í•˜ëŠ” 부엌과 ë°©, 마루 등으로 구성ë˜ì–´ 있고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 ì‚°ê°„ê³¼ í‰ì•¼, ë„시와 ë†ì´Œì— ë”°ë¼ ì¡°ê¸ˆì”© 다른 구조를 ë³´ì¸ë‹¤. 남쪽 ì§€ë°©ì˜ ë†ë¯¼ ê°€ì˜¥ì¸ ê²½ìš° 부엌과 ë°©, ìœ—ë°©ì˜ ìˆœì„œë¡œ ë°°ì¹˜ëœ ì¼ìží˜• 구조ì´ê¸° ë•Œë¬¸ì— ë¶€ì—Œë„ ë‹¤ë¥¸ ë°©ê³¼ ê°™ì´ ë°ê³  통í’ë„ ìž˜ ë˜ì—ˆë‹¤. 중부 지방ì—서 발달한 ã„±ìž ì§‘ì—ì„œë„ ë¶€ì—Œì€ ì•ˆë°©ì— ë¶™ì—¬ì„œ 지었으므로 다른 ê³µê°„ë³´ë‹¤ë„ í–‡ë³•ì´ ì ë‹¹í•˜ê²Œ 들어오고 통í’ì´ ìž˜ë˜ê³  ì—¬ì„±ì´ ì™•ëž˜í•˜ê¸°ì— íŽ¸ë¦¬í–ˆë‹¤.
조선시대 주íƒì˜ 경우 난방용 ì˜¨ëŒ êµ¬ì¡° íŠ¹ì„±ì— ë”°ë¼ ë¶€ì—Œì˜ ë°”ë‹¥ë©´ì´ ì§€í‘œë³´ë‹¤ 낮으며 부엌ì—는 ì‹ì‚¬ë¥¼ 위한 ê³µê°„ì´ ë§ˆë ¨ë˜ì§€ 않았으므로 ì¡°ë¦¬ëœ ìŒì‹ì„ 소반 ìœ„ì— ì˜¬ë ¤ì„œ 방으로 ë‚ ë¼ì•¼ 했다. ë”°ë¼ì„œ ì†Œë°˜ì€ ìŒì‹ì„ 나르는 ìŸë°˜ì˜ 기능과 ì‹ì‚¬ë¥¼ 하는 ì‹íƒì˜ ê¸°ëŠ¥ì„ ê²¸í•˜ì—¬ì•¼ í•˜ê¸°ì— ê°€ë³ê³ ë„ ë§Žì€ ì–‘ì˜ ìŒì‹ì„ 나를 수 있ë„ë¡ ë…특한 구조로 발전ë˜ì–´ 왔다. ë”ìš±ì´ ì‹ê¸°é£Ÿå™¨ë“¤ì´ 무거운 유기é®å™¨ë‚˜ ë„기陶器 재질ì´ë©° 대부분 ì—¬ì„±ë“¤ì´ ìŒì‹ìƒì„ 차리고 운반해야 했으므로 가능한 한 ì†Œë°˜ì˜ ë¬´ê²Œë¥¼ 줄ì´ê³  혼ìžì„œ 들고 ë‚˜ë¥´ê¸°ì— ì•Œë§žì€ í¬ê¸°ê°€ 요구ë˜ì—ˆë‹¤. ë”°ë¼ì„œ ì†Œë°˜ì˜ ìƒíŒì¸ 천íŒì„ ì—¬ì¸ë„¤ì˜ 어깨 ë„“ì´ë³´ë‹¤ 약간 넓게 재단하여 ë“¤ê¸°ì— íŽ¸ì•ˆí•˜ê²Œ 하고, ì–‡ì€ íŒìž¬ì˜ 사용으로 무게를 줄였으며, 다리와 ìš´ê°ì€ 무거운 ìƒì²´ë¥¼ 받칠 수 있ë„ë¡ ê²¬ê³ í•œ 짜임형ì‹ì„ 취했다.
민가ì—서 ì¼ë°˜ì ìœ¼ë¡œ ì“°ì´ë˜ ì†Œë°˜ì„ ì‚´íŽ´ë³´ë©´ 너비가 약 40~50cm 내외ì´ë‹¤. ì´ ë„ˆë¹„ëŠ” ì—¬ì¸ë„¤ê°€ 부엌ì—서 ì†Œë°˜ì„ ë“¤ê³  ë§ˆë‹¹ì„ ì§€ë‚˜ ëŒ€ì²­ì— ì˜¤ë¥´ê³  안방ì´ë‚˜ 사랑방으로 ì´ë™í•˜ëŠ”ë° ì ë‹¹í•œ 것으로 ë³´ì¸ë‹¤. ì†Œë°˜ì˜ ë†’ì´ë„ 보통 25~30cm 내외로 ì—¬ì¸ë„¤ê°€ ëª¸ì„ ì‹¬í•˜ê²Œ 구부리지 않고 íŒ”ì„ ì›€ì§ì´ëŠ”ë° í° ë¶ˆíŽ¸ì´ ì—†ìœ¼ë©°, ì•‰ì€ ìƒíƒœì—서 ì†Œë°˜ì˜ ìŒì‹ì„ 섭취하기 위해 íŒ”ì„ ì›€ì§ì´ëŠ”ë°ë„ 효율ì ì¸ 높ì´ë‹¤. ì´ì²˜ëŸ¼ 우리 ì„ ì¡°ê°€ 사용한 조선시대 ì†Œë°˜ì´ ì¸ì²´ê³µí•™ì ì¸ 설계와 견실한 ì§œìž„ì´ ìžì—°ì ìœ¼ë¡œ ì ìš©ë˜ì–´ 제작ë˜ê³  사용ë˜ì—ˆë‹¤ëŠ” ì ì— 새삼 우리 ì„ ì¡°ì˜ ìžì—°ì„ 순조롭게 ì´ìš©í•˜ëŠ” 기질과 슬기를 ì°¾ì„ ìˆ˜ 있어 매우 놀ëžë‹¤.
조선시대ì—는 집집마다 ì†Œë°˜ì„ ì—¬ëŸ¬ 개씩 구비하고 있었다. ì´ëŠ” 유êµì´ë…ì˜ ì˜í–¥ìœ¼ë¡œ 남녀유별과 ë‚¨ë…€ë…¸ì†Œì˜ ìœ„ê³„ì§ˆì„œä½éšŽç§©åºê°€ 확연하여 겸ìƒì´ 아닌 ë…ìƒì„ 차렸으므로 ìƒì°¨ë¦¼ê³¼ ìš´ë°˜ì˜ íšŸìˆ˜ê°€ 많았고 ì´ì— ë”°ë¼ ëŒ€ê°€å¤§å®¶ì—서는 ìš©ë„와 규모별로 ìƒë‹¹í•œ 숫ìžì˜ ì†Œë°˜ì„ ìƒí™œí•„수품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했다. 민가ì—ì„œë„ ìµœì†Œí•œ 2~3개는 보유하고 있었으므로 ì „êµ­ì ìœ¼ë¡œ ê·¸ 수요는 ì…€ 수가 ì—†ì„ ì •ë„ì´ë©°, 장터ì—서 거래ë˜ëŠ” 전문 소반ìƒì€ 물론 ì†Œë°˜ì„ ì§€ê³  다니며 파는 í–‰ìƒë„ ìƒë‹¹ížˆ 발달했다.

ì†Œë°˜ì˜ ëª©ìž¬ì™€ ì¹ 

ì†Œë°˜ì˜ ëª©ìž¬ë¡œëŠ” ì€í–‰ë‚˜ë¬´, 가래나무, 호ë‘나무, ëŠí‹°ë‚˜ë¬´, 피나무, 소나무 ë“±ì´ ë§Žì´ ì‚¬ìš©ë˜ì—ˆëŠ”ë° ì´ë“¤ 목재는 ë„“ì€ íŒìž¬ë¥¼ ì†ì‰½ê²Œ 구할 수 있고 ì–‡ì•„ë„ ì‰½ê²Œ 터지거나 비틀리지 않는 장ì ì´ 있다. ì†Œë°˜ì˜ ê²½ìš°ëŠ” ìŒì‹ì„ 먹기 ì „í›„ì— ëŠ˜ 물기 있는 행주로 닦아내기 ë•Œë¬¸ì— ëª©ìž¬ì— ì¢€ì´ë‚˜ 벌레가 들기 쉽고 íŒìž¬ê°€ ê°ˆë¼ì§ˆ 염려가 있다. ë˜ ë¶€ì—Œì—서 방으로 옮겨야 하므로 ê°€ë²¼ìš°ë©´ì„œë„ ë„“ì€ íŒìž¬ë¥¼ 선호했다.
ì´ë“¤ 중 우리가 보통 í–‰ìžëª©ì´ë¼ 부르는 ì€í–‰ë‚˜ë¬´ì˜ 경우 비êµì  ë„“ì€ íŒìž¬ë¥¼ 구할 수 있는 장ì ì´ 있으며 ì–‡ì€ íŒìž¬ë¥¼ ì‚¬ìš©í•´ë„ í„°ì§€ê±°ë‚˜ 잘 휘어지지 않아 ì†Œë°˜ì˜ íŒìž¬ë¡œëŠ” 으뜸ì´ë‹¤. í–‰ìžëª©ì— ì˜»ì¹ ëœ ì†Œë°˜ì€ ë‘ë§í•  ê²ƒë„ ì—†ì´ ìµœìƒí’ˆì´ë‹¤.
호ë‘나무는 ë„“ì€ íŒìž¬ë¥¼ 구할 수 있어 소반재로서 사용ë˜ê¸°ëŠ” 하나 ì€í–‰ë‚˜ë¬´ì— 비하여 단단하고 무거운 편ì´ë‹¤. 해주반과 ê°™ì´ í†µíŒì„ 파내어 í…Œë‘ë¦¬ì¸ ë³€ì£½ì„ êµ¬ì„±í•˜ëŠ” 형ì‹ì—서는 단단한 ë³€ì£½ì„ ì–»ì„ ìˆ˜ 있으며 견고하여 ê´€ë¦¬ì— ì‰¬ìš°ë¯€ë¡œ 선호하는 ì´ë„ 있다.
소나무는 í•œì˜¥ì˜ ê¸°ë‘¥ì—서부터 실내 ê°€êµ¬ì— ì´ë¥´ê¸°ê¹Œì§€ 가장 보편ì ìœ¼ë¡œ 사용ë˜ëŠ” 수종으로 ìˆ˜ì¶•íŒ½ì°½ì˜ ë³€í™”ê°€ 별로 없으며 ìš°ë¦¬ë‚˜ë¼ ì „ì—­ì— ì‚°ìž¬ë˜ì–´ ìžë¼ê³  있기 ë•Œë¬¸ì— ìžìž¬ë¥¼ ì†ì‰½ê²Œ 구할 수 있다. 나뭇결 ë˜í•œ 시ê°ì ìœ¼ë¡œ 안정ë˜ì–´ ë³´ì¸ë‹¤. 특히 ì´‰ê°ì´ 부드럽다. ìŠµê¸°ì— ê°•í•˜ê³  단단하며 ë„“ì€ íŒìž¬ë¥¼ 구할 수 있어 소반용 목재로 나ì˜ì§€ 않다.
피나무는 ê°•ì›ë„ ì‚°ê°„ ì§€ë°©ì„ ë¹„ë¡¯í•œ ìš°ë¦¬ë‚˜ë¼ ì „ì—­ì—서 ë„리 ìžë¼ê³  있는 수종ì´ë‹¤. 비êµì  부드럽고 온순한 재질과 ë„“ê³  ë‘꺼운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어 ìžê·€ë‚˜ 까뀌로 ì†ì„ 파내는 함지와 ëª©ë¬¼ë ˆì¸ ê°ˆì´í‹€ë¡œ 회전시켜 제작하는 ì›ë°˜ ë“±ì— ì‚¬ìš©ëœë‹¤.
ëŠí‹°ë‚˜ë¬´ëŠ” ë™ë„¤ 어귀나 쉼터ì—서 ê·¸ëŠ˜ì„ ë§Œë“¤ì–´ 쉬게 하는 ì •ìžëª©ìœ¼ë¡œ ìˆ˜ëª…ì´ ê¸¸ë©° 높고 굵게 잘 ìžë¼ëŠ” 나무다. ë‚˜ë­‡ê²°ì´ ì•„ë¦„ë‹¤ì›Œ ê°€êµ¬ì˜ íŒìž¬, ìƒìžì™€ 함, 필통 ë“±ì— ì• ìš©ë˜ëŠ” 미장재ì´ë‚˜ 다른 ëª©ìž¬ì— ë¹„í•˜ì—¬ 무ê²ê³  비틀리는 ê²ƒì´ ë‹¨ì ì´ë¼ì„œ 소반목으로는 ì í•©ì§€ 않다. 그러나 천íŒì˜ 아름다운 ë¬´ê²°ì„ ë³´ê³ ìž í•˜ëŠ” ì´ëŠ” ì‚¬ìš©í•˜ê¸°ë„ í•œë‹¤.
목재로 ì œìž‘ëœ ì†Œë°˜ì— ì·¨ìƒ‰í•˜ì§€ ì•Šì€ ìƒíƒœë¥¼ 백골소반白骨å°ç›¤ì´ë¼ 부르는ë°, í‘œë©´ì— ì‹ë¬¼ì„± 기름ì´ë‚˜ ì˜»ì¹ ì„ í•˜ë©´ ì†Œë°˜ì˜ í‘œë©´ì— í ì´ ìƒê¸°ê±°ë‚˜ 때가 묻는 ê²ƒì„ ë§‰ê³  ë°©ìˆ˜ì˜ ê¸°ëŠ¥ë„ í•´ 준다. ë˜ ê±´ì¡°ëœ ë‚˜ë¬´ì— ì ë‹¹í•œ ì–‘ì˜ ê¸°ë¦„ì„ ë°”ë¦„ìœ¼ë¡œì¨ ìˆ˜ëª…ì„ ì—°ìž¥ì‹œí‚¤ê³  ë™ì‹œì— ë¯¸ìž¥íš¨ê³¼ç¾Žè£æ•ˆæžœë„ ì–»ì„ ìˆ˜ 있다. ìžì—°ìƒ‰ ê·¸ëŒ€ë¡œì˜ ëª©ìž¬ í‘œë©´ì— ê¸°ë¦„ì¹ ì„ í•˜ì—¬ 신선한 분위기를 ì–»ê¸°ë„ í•˜ë‚˜, ë‚˜ë­‡ê²°ì„ ìž˜ 살리고 ë˜ ì¤‘í›„í•œ ê°ì„ 주기 위해 착색한 후 ì¹ ì„ ìž…ížˆê¸°ë„ í•œë‹¤. ìƒë“±í’ˆ 소반ì—는 ì˜»ì¹ ì„ ì—¬ëŸ¬ 번 반복 ì¹ í•˜ì˜€ëŠ”ë° ì˜»ì¹ ì€ ê·¸ 특성으로 ì¸í•´ ê¸°ë¬¼ì„ ë³´í˜¸í•˜ê³  ì¶©í•´ ë°©ì§€, ê´‘íƒ ìœ ì§€ 등 여러모로 다른 ì¹ ì— ë¹„í•´ 격조 있는 ê³ ê¸‰ìŠ¤ëŸ¬ì›€ì„ ìœ ì§€í•´ 준다.
ì´ë ‡ë“¯ ìš°ë¦¬ì˜ ì†Œë°˜ì€ ìš°ì—°í•˜ê²Œ ìƒê²¨ë‚œ ê²ƒì´ ì•„ë‹ˆë¼ ìž¬ë£Œ ì„ íƒì—서부터 í¬ê¸° 제작ì—까지 ì¡°ì„ ì‹œëŒ€ì˜ ì‚¬íšŒ ì² í•™, 주거 환경, ì‹ìƒí™œ 습관 등 모든 ê²ƒì´ ë°˜ì˜ëœ 종합 ê±´ì¶•ë¬¼ì˜ ì¶•ì†ŒíŒìœ¼ë¡œ 여겨진다. ì •ë§ ì¢‹ì€ ì¡°ì„  ì†Œë°˜ì„ ì–»ê³ ìž í•œë‹¤ë©´ ì§ì ‘ ì†Œë°˜ì— ì†ì„ 대보고 ì„ ì¡°ë“¤ì˜ ìˆ¨ê²°ì„ ëŠê»´ì•¼ 한다.

 

글 : 박주열(나ë½ì‹¤ 갤러리 대표)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