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  ì†Œë°˜ì˜ ì•„ë¦„ë‹¤ì›€ ê·¸ ë‘ ë²ˆì§¸, 개성 있는 모양, 아름다운 무늬

나전통ì˜ë°˜ ë†’ì´ 27cm, 44.5X34.6cm, 조선후기

▲나전통ì˜ë°˜ ë†’ì´ 27cm, 44.5X34.6cm, 조선후기

개성 있는 모양, 아름다운 무늬

조선시대 소반ì—는 ê·¸ 시대를 지나온 ì„ ì¡°ë“¤ì„ ì‚¶ê³¼ 마ìŒì´ 담겨 있다. 소박하고 다소곳하게 ë§ì—†ì´ 놓여 있지만 ê·¸ ë‚˜ë¦„ëŒ€ë¡œì˜ ë…특한 지역별, 형태별 íŠ¹ì§•ì„ ê°„ì§í•˜ê³  있는 것ì´ë‹¤. ì¡°ì„ ì˜ ì†Œë°˜ì—서 공통ì ìœ¼ë¡œ ëŠê»´ì§€ëŠ” 소박한 아름다움 ì´ì™¸ì— ê°ê°ì˜ ì†Œë°˜ë“¤ì´ ì–´ë– í•œ ì°¨ì´ì ì„ 가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ê°ê°ì˜ í˜•íƒœì— ë‹´ê¸´ 개성과 아름다움

‘소반’ 하면 가장 ë§Žì´ ë– ì˜¬ë¦¬ëŠ” ê²ƒì´ ì•„ë§ˆ â€˜ê°œë‹¤ë¦¬ì†Œë°˜â€™ì¼ ê²ƒì´ë‹¤. 개다리소반ì´ë¼ëŠ” 명칭ì—는 무ê²ì§€ ì•Šìœ¼ë©´ì„œë„ êµ¬ìˆ˜í•˜ê³  친근한 ëŠë‚Œ, ìƒì„ 가운ë°ì— ë‘ê³  마주한 사람과 ë”ìš± 친숙해지는 ëŠë‚Œ, ì˜¤ëž˜ëœ ì§€ì¸ê³¼ ìŠ¤ìŠ¤ëŸ¼ì—†ì´ ì„œë¡œì˜ ê°ì •ì„ í„°ë†“ê³  ì¦ê²ê²Œ 얘기하는 분위기 ë“±ì´ ëŠê»´ì§„다.
ê°œë‹¤ë¦¬ì†Œë°˜ì€ ë‹¤ë¥¸ ë§ë¡œ 구족반狗足盤ì´ë¼ 부른다. ê°™ì€ ë¶€ë¥˜ì˜ ì†Œë°˜ ì¤‘ì— í˜¸ì¡±ë°˜è™Žè¶³ç›¤ì´ ìžˆëŠ”ë° í˜¸ì¡±ì€ í˜¸ëž‘ì´ë‹¤ë¦¬ì™€ 비슷하다 í•´ 붙여진 ì´ë¦„. 그러나 보통 í˜¸ì¡±ë°˜ì„ í˜¸ëž‘ì´ë‹¤ë¦¬ì†Œë°˜ì´ë¼ê³ ëŠ” 하지 않는다. 뭔지 모르게 좀 ë” ë¬´ê²Œê°ì´ 실려 있는 단어처럼 여겨진다. 개다리소반과는 다르게 선뜻 다가가기 어려운 ê±°ë¦¬ê° ê°™ì€ ê²Œ ëŠê»´ì§„다. 아마 í˜¸ì¡±ë°˜ì€ ê°œë‹¤ë¦¬ì†Œë°˜ë³´ë‹¤ 고급ì´ê±°ë‚˜ 비쌀 것ì´ë¼ê³  여기는 ì‚¬ëžŒë„ ë§Žì„ ê²ƒì´ë‹¤. 반대 ê°œë…으로 본다면 ê°œë‹¤ë¦¬ì†Œë°˜ì€ ì„œë¯¼ë“¤ì´ ì¦ê²¨ ì‚¬ìš©í•˜ë˜ ë§‰ì†Œë°˜ì¯¤ìœ¼ë¡œ ìƒê°í•  ìˆ˜ë„ ìžˆê² ë‹¤. 그러나 실제 개다리 ì†Œë°˜ì˜ ìƒê¹€ì€ 매우 우아하며 주로 중ìƒë¥˜ 계층ì—서 ì‚¬ìš©í–ˆë˜ ê³ ê¸‰ì†Œë°˜ì´ë‹¤. í˜„ìž¬ë„ ê°’ì´ ë¹„ì‹¸ 쉽게 구입할 수 없는 ê²ƒì´ ë°”ë¡œ 개다리소반ì´ë‹¤. ì•„ì‰½ê²Œë„ ì¹œìˆ™í•œ ëŠë‚Œì˜ ì´ ëª…ì¹­ì„ ì–´ë””ì—서 언제부터 ì¼ëŠ”ì§€ëŠ”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ì†Œë°˜ì˜ ìˆ¨ê²¨ì§„ ë§¤ë ¥ì„ ì°¾ì•„ë³´ê¸° 위해 ì¡°ì„  ì†Œë°˜ì˜ í˜•íƒœë³„, 지역별 명칭과 íŠ¹ì§•ì— ëŒ€í•´ ìžì„¸ížˆ 알아본다.

형태별 ë¶„ë¥˜ì˜ ë”°ë¥¸ ì¡°ì„  소반

형태별로 분류하면 í¬ê²Œ ìƒíŒì˜ 형태와 ë‹¤ë¦¬ì˜ í˜•íƒœë¡œ 달리 ë³¼ 수 ìžˆëŠ”ë° ìƒíŒì˜ 경우 ì›í˜•ì˜ ì›ë°˜ì´ 있으며 네모난 사ê°ë°˜ìœ¼ë¡œë¶€í„° 8ê°ë°˜, 10ê°ë°˜, 12ê°ë°˜ ë“±ì´ ìžˆë‹¤. ë˜í•œ 꽃잎형으로 ëœ í™”í˜•ë°˜èŠ±å½¢ç›¤ì´ ìžˆìœ¼ë©° ë°˜ì›í˜•ì¸ ë°˜ì›”ë°˜ë„ ìƒíŒì˜ 한 ì¢…ë¥˜ì— ì†í•œë‹¤. ìƒíŒìœ¼ë¡œì˜ 분류와 달리 ë‹¤ë¦¬ì˜ í˜•íƒœì— ë”°ë¼ ë¶„ë¥˜í•  경우ì—는 ì†Œë°˜ì˜ ëª…ì¹­ì´ ë°”ë€Œê¸°ë„ í•œë‹¤. í”히 ì†Œë°˜ì˜ ëª…ì¹­ì„ ë§í•  때 ë§Žì´ ì‚¬ìš©í•˜ê¸°ë„ í•˜ëŠ”ë° ë” ê°€ê¹Œì´ ê°€ë³´ë©´ 다ìŒê³¼ 같다.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①구족반狗足盤

ì´ë¯¸ 언급한 êµ¬ì¡±ë°˜ç‹—è¶³ç›¤ì˜ ê²½ìš° 굵고 튼튼한 ë‹¤ë¦¬ì˜ ìœ—ë¶€ë¶„ì€ ë‘드러지게 ê°ì´ 지어 있으며 아래로 내려가면서 밖으로 둥글게 벌어지다가 안으로 êµ½ì€ ëª¨ìŠµì´ ê°œ(犬)다리와 같다 하여 개다리소반 ë˜ëŠ” 구족반ì´ë¼ 부른다. ì´ë ‡ê²Œ ê°ì´ ì§„ 힘찬 다리는 실제 ê°œì˜ ë‹¤ë¦¬ 모양ì´ëž€ ê·¼ì›ì„ 찾지 못하고 있으나 ì¡°ì„ ì‹œëŒ€ì˜ êµìžìƒì´ë‚˜ 장과 ë†ì˜ 다리 부분ì—ë„ ì´ì™€ ê°™ì€ êµ¬ì¡± 형태가 ë§Žì´ ë‚˜íƒ€ë‚œë‹¤. êµ¬ì¡±ë°˜ì€ íŠ¹ížˆ ë‹¤ë¦¬ì˜ í˜•íƒœê°€ ì „ì²´ ëŠë‚Œì„ 좌우하는ë°, 충주지방 ê²ƒì€ êµµê³  힘차며, 경기지방 ê²ƒì€ ê¸¸ê³  가늘며 경쾌하게 ë»—ì–´ 있고, ë¶í•œì§€ì—­ ê²ƒì€ í•˜ë¶€ê°€ 약간 휘어져 부드러운 ëŠë‚Œì´ 있다.
천íŒì€ 8ê°, 12ê°, ì›í˜•ì´ ìžˆë‹¤. ì¼ë°˜ì ìœ¼ë¡œ ì›í˜• 천íŒì€ ì²œíŒ ë‘˜ë ˆì— ë³€ì£½ì„ ë”°ë¡œ 대지 않고 천íŒì„ 깎아 ìš´ê°ê³¼ 함께 한 ë©ì–´ë¦¬ì˜ 목재를 ê°ˆì´í‹€ë¡œ 회전시켜 깎는다. 그러나 ì²œíŒ í•˜ë‹¨ì˜ ìš´ê°ì„ ë³„ë„ ì œìž‘í•˜ì—¬ 톱으로 í™ˆì„ ë‚´ì–´ 둥글게 ëª¨ì ‘ì´ í•´ê°€ë©° ë¶™ì¸ ê²ƒë„ ìžˆë‹¤.
ì´ëŸ° 형ì‹ì˜ ì†Œë°˜ì´ ì¶©ì£¼ì§€ë°© ì¼ì›ì—서 주로 ìƒì‚°ëœë‹¤ 하여 충주반ì´ë¼ê³  ë¶€ë¥´ê¸°ë„ í•œë‹¤.

②호족반虎足盤
ì†Œë°˜ì˜ ë‹¤ë¦¬ê°€ í˜¸ëž‘ì´ ë‹¤ë¦¬ê°™ì´ ë‚ ë µí•˜ê²Œ ìƒê²¼ë‹¤í•˜ì—¬ 호족반ì´ë¼ 부르며, 여러 소반 중 가장 보편ì ìœ¼ë¡œ 대중ì—게 ë„리 ì‚¬ìš©ëœ ì†Œë°˜ì´ë‹¤. 천íŒê³¼ ê·¸ 아래 ìš´ê°, ì´ì— ë¼ì›Œì§„ 호족과 ë‘ ë‹¤ë¦¬ì˜ íž˜ì„ ë°›ì³ì£¼ëŠ” 족대 ë“±ì´ ê¸°ë³¸í˜•ì‹ì´ë‹¤. 다리 ìœ—ë¶€ë¶„ì´ ë‘툼한 형태로 힘차게 밖으로 내밀어지다가 다시 안으로 구부러져 내려오면서 맨 ë부분ì—서 밖으로 다시 ì‚´ì§ ë‚´ë°€ì–´ì§„ 모습ì´ë‹¤. 천íŒì€ 12ê°ì´ 기본ì´ë‚˜ 6ê°, 8ê°, ì›í˜•, 화형 등 매우 다양하며 호족 ë˜í•œ ì§§ê³  통통한 것, 길고 날렵한 것, ë‚ ì¹´ë¡­ê³  힘찬 것 등 ê° ì§€ë°©ì˜ íŠ¹ì„±ì„ ìž˜ 나타내고 있다. ë˜í•œ í˜¸ì¡±ì˜ ì¢…ì•„ë¦¬ì— ë‹¹ì´ˆë¬¸ê³¼ 죽절문 ë“±ì„ íˆ¬ê°í•˜ì—¬ 화사하게 ê¾¸ë¯¸ê¸°ë„ í•œë‹¤.
ë‹¤ë¦¬ì˜ ë†’ì´ê°€ ì¼ë°˜ì ì´ë©° ë°˜ç›¤ì´ ë„“ì€ ê²ƒì€ ì‹ì‚¬ìš©ì´ì§€ë§Œ, ë„“ì€ ì²œíŒê³¼ 훤칠하게 높게 ë»—ì€ í˜¸ì¡±ìœ¼ë¡œ 날렵하며 당당하게 ë³´ì´ëŠ” ê²ƒì€ ì‹ì‚¬ìš©ë³´ë‹¤ëŠ” ì§‘ì•ˆì˜ í˜¼ë¡€ë‚˜ 고사 등 ê°ì¢… 예ì‹ì— 사용ë˜ì—ˆë‹¤. ë–¡ì´ ë‹´ê¸´ 시루를 올려놓는 ì‹œë£¨ë°˜ë„ ìžˆë‹¤.

â‘¢ì›ë°˜åœ“盤

천íŒê³¼ í•˜ë‹¨ì˜ êµ½ì´ ë‘¥ê·¼ í˜•íƒœì˜ ì†Œë°˜ì„ ë§í•˜ëŠ”ë°, ê°•ì›ë„ì—서 ì œìž‘ëœ ì›ë°˜ì€ 천íŒê³¼ í•˜ë‹¨ì´ í•œ ë©ì–´ë¦¬ë¡œ ë˜ì–´ 있는 ê²ƒì´ ì¼ë°˜ì ì´ë‚˜ ë‘ ë©ì–´ë¦¬ë¡œ 나누어 제작 후 ì´ì–´ 붙여 만든 ê²ƒë„ ìžˆë‹¤. ì›ë°˜ì˜ ì œìž‘ì€ ëª©ìž¬ì˜ ì¤‘ì‹¬ì— ê°ˆì´í‹€ì¸ 수ë™ì‹ íšŒì „ë¬¼ë ˆì˜ ì¶•ì„ ë§žì¶˜ 후 ëŒë ¤ íŒŒë‚´ëŠ”ë° ì´ ìž‘ì—…ì„ â€˜ê°ˆì´ì§ˆâ€™ì´ë¼ 부른다. ë°œì´ë‚˜ ì†ì˜ 힘으로 회전시켜 깎기 ë•Œë¬¸ì— ëŠë¦° ì†ë„로서 투박하게 깎ì´ë‚˜ íšŒì „ëœ ì¹¼ìžêµ­ìœ¼ë¡œ 깊게 íŒ¨ì¸ ê³¨ì„ ì„ ëŠë‚„ 수 있어 오히려 힘차고 ìƒë™ì ì´ë‹¤.
20세기 ì´ˆ ì „ë™ì‹ ê°ˆì´í‹€ë¡œ ì œìž‘ëœ ì›ë°˜ì€ 빠른 회전 ì†ë„로 ì¸í•´ 기능ì ì´ê³  경쾌한 ì¡°í˜•ì„ ë³´ì´ê³  있으며, ìž‘ì—…ë„ ì†ì‰½ê³  ì •êµí•˜ì—¬ ìžìœ ë¡œìš´ 형태를 조성할 수 있으므로 천íŒê³¼ 하부를 ì´ì–´ë¶™ì´ê¸°ê°€ 수월하고 ëª©ìž¬ë„ ì ˆì•½í•  수 있어 대량 ìƒì‚°ì´ 가능하여 ë§Žì€ ì–‘ì˜ ì›ë°˜ì´ 제작ë˜ì—ˆë‹¤. ê°•ì›ë„지방ì—서 ìƒì‚°ëœ ì¼ë°˜ì ì¸ ì›ë°˜ì€ 높ì´ê°€ 10cmì •ë„ì´ë©°, 소나무, 피나무로 제작ë˜ê³  간혹 수축 íŒ½ì°½ì´ ì ê³  ê°€ê³µì´ ì†ì‰¬ìš´ ì€í–‰ë‚˜ë¬´ë¥¼ ì‚¬ìš©í•˜ê¸°ë„ í•œë‹¤. ì†Œë°˜ì˜ ë¬´ê²Œë¥¼ 줄ì´ê³  ë˜ ë³€í˜•ë˜ê±°ë‚˜ 터지는 현ìƒì„ 방지하기 위해 í•˜ë‹¨ì˜ ë‚´ë¶€ë¥¼ 파내는 등 ì„ ì¡°ë“¤ì˜ ì§€í˜œë¥¼ ì—¿ë³¼ 수 있다.

④공고ìƒå…¬æ•…床

야외나 관청ì—서 ì‹ì‚¬ë¥¼ 위해 ìŒì‹ì„ 운반하거나 ì‹íƒìœ¼ë¡œë„ 쓰는 등 ë³µí•©ì  ê¸°ëŠ¥ì„ ê°–ê³  있는 소반으로 ì¼ëª… 번ìƒç•ªåºŠì´ë¼ê³ ë„ 한다. 무거운 그릇들과 ìŒì‹ 그리고 ì†Œë°˜ì˜ í•˜ì¤‘ì„ ê°ë‹¹í•˜ë©° 먼 거리를 운반하고 ë˜ íŽ¸ì•ˆí•œ ì‹ì‚¬ë¥¼ 위해 ì¸ì²´ê³µí•™ì ì¸ 설계가 필수ì ì´ë‹¤. 공고ìƒì˜ íŠ¹ì§•ì€ ìƒì„ ë¨¸ë¦¬ì— ì´ê³  ê±¸ì„ ë•Œ ë°–ì„ ë‚´ë‹¤ë³¼ 수 있ë„ë¡ ë§ë‘í˜•ì˜ ì°½çª“ì„ ëš«ì—ˆê³  ì–‘ ì¸¡ë©´ì— ì†ìž¡ì´ 구ë©ì„ 만들었으며, ì†Œë°˜ì˜ ë¬´ê²Œë¥¼ 줄ì´ê³  ì¡°í˜•ì„±ì„ ìœ„í•´ ì¸¡ë©´ì— ì•„ìžë¬¸äºžå­—æ–‡ ë“±ì„ íˆ¬ê°í•˜ê¸°ë„ 한다. ëŒ€ë¶€ë¶„ì´ ì–‡ì€ íŒìž¬ë¥¼ ì‚¬ìš©í•˜ì—¬ë„ íœ˜ê±°ë‚˜ 터지지 않으며 가벼운 ì€í–‰ë‚˜ë¬´ íŒìž¬ë¥¼ ë§Žì´ ì‚¬ìš©í•˜ì˜€ë‹¤.

⑤ì¼ì£¼ë°˜ä¸€æŸ±ç›¤

ê¸°ë‘¥ì´ í•˜ë‚˜ë¡œ ë˜ì–´ ì¼ì£¼ë°˜ ë˜ëŠ” 단ê°ë°˜å–®è„šç›¤ì´ë¼ 부른다. ì´ëŸ° ì†Œë°˜ì€ ê¸°ë‘¥ì´ í•˜ë‚˜ì´ë¯€ë¡œ 네 다리를 가진 전통 ì†Œë°˜ì— ë¹„í•´ 실제로 íž˜ì„ ë°›ê¸° 어렵다. ë˜í•œ ë°˜ì´ ë„“ì§€ 않기 ë•Œë¬¸ì— ì‹ì‚¬ë³´ë‹¤ëŠ” ê³¼ì¼ì´ë‚˜ 약, 냉수, ì°¨ ë“±ì„ ìœ„í•œ 다과용 소반으로 ì§ìž‘ëœë‹¤.
ì¼ì£¼ë°˜ì˜ ëŒ€ë¶€ë¶„ì€ ì •êµí•˜ê²Œ ìž…ì²´ ì¡°ê°ëœ 운당초형雲å”è‰å½¢ì´ 네 ë°œ ìœ„ì— íŒ”ê±¸ì´ì™€ 등가ì—서 ë³´ì´ëŠ” 형ì‹ì¸ 네 ì¤„ì„ ê¼¬ì•„ 올린 ê¸°ë‘¥ì„ ë§Œë“¤ê³ , ê·¸ 위로 다시 하단과 ê°™ì€ ìš´ë‹¹ì´ˆí˜• ë°›ì¹¨ì´ 12ê°ì˜ ë°˜ç›¤ì„ ë°›ì¹˜ê³  있는 형태가 많다. 나전연엽ì¼ì£¼ë°˜ì€ 연잎형 천íŒì— ì—°ì˜ ì¤„ê¸°ë¥¼ ëŠìŒì§ˆë¡œ 구성하고 연봉과 연꽃, ê±°ë¶, 물고기 ë“±ì„ ì¤„ìŒì§ˆë¡œ 시문하여 ì—°ëª»ê°€ì˜ ì „ê²½ì„ í‘œí˜„í•œ ê²ƒì´ ì˜ˆì˜ë‹¤.

지역 특색 ë‹´ì€ ì¡°ì„  ì†Œë°˜ì˜ ë¶„ë¥˜

지역별로 분류하면 나주반과 통ì˜ë°˜, 해주반과 ê°•ì›ë°˜ 등으로 í¬ê²Œ 분류할 수 있다. 우리나ë¼ëŠ” 고대부터 ê°•ì„ ê¸°ë°˜ìœ¼ë¡œ ë†ê²½ì‚¬íšŒë¥¼ ì´ë£¨ì—ˆìœ¼ë©° ë†’ì€ ì‚°ë§¥ì„ ë¶„ê¸°ì ìœ¼ë¡œ ê° ì§€ë°©ìœ¼ë¡œ 나뉘어 있는 지형 조건으로 ì¸í•´ 지방 ê°„ì˜ êµí†µì„ 불편하게 하고 고립시키는 ìš”ì¸ì´ ë˜ì–´ 지방마다 ê°ê¸° 다른 ì§€ì—­ë¬¸í™”ì˜ íŠ¹ìƒ‰ì„ ì°¾ì•„ë³¼ 수 있다.
목공예 분야ì—ì„œë„ ì§€ë°© íŠ¹ì‚°ì˜ ëª©ìž¬ì™€ ìƒí™œì–‘ì‹ì— ë”°ë¼ ì§€ë°©ìƒ‰ì´ ê°•í•œ ëª©ê°€êµ¬ë“¤ì´ ì œìž‘ë˜ì—ˆìœ¼ë©° 특히 ì†Œë°˜ì´ ê²½ìš°ëŠ” 다ìŒê³¼ ê°™ì´ ê° ì§€ë°©ë³„ íŠ¹ìœ ì˜ í˜•íƒœì™€ ì œìž‘ê¸°ë²•ì„ ê°–ê³  있다.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①나주반羅州盤

천íŒì˜ ëª¨ì–‘ì— ë”°ë¼ 4ê°ë°˜, 12ê°ë°˜, 호족반, 다ê°ë°˜ ë“±ì´ ì „í•´ì§€ëŠ”ë° ì¼ë°˜ì ìœ¼ë¡œ 우리가 ë§í•˜ëŠ” ë‚˜ì£¼ë°˜ì€ 4ê°ë°˜ì´ 전형ì ì´ë‹¤.
ë‘드러진 íŠ¹ì§•ì€ ì²œíŒì˜ 네 귀가 ê°ìœ¼ë¡œ 접혀 있고 ì²œíŒ ì•„ëž«ë©´ì— ê²¬ê³ í•˜ê²Œ ë¼ì›Œì§„ ìš´ê°ì— ê³§ê³  êµµì€ ë‹¤ë¦¬ë¥¼ ë¼ì›Œ ìƒíŒì„ 받치고 있는 형ìƒì˜ 특별한 íŠ¹ì§•ì´ ìžˆë‹¤. 기둥 사ì´ì˜ 가로 지른 ê°€ë½ì§€ì¸ 중간대는 서로 물려 있으며 다리ì—는 íž˜ì„ ë°›ì³ì£¼ëŠ” 족대가 있다.
무거운 ê·¸ë¦‡ì„ ì˜¬ë ¤ë†“ê³  ë‚ ë¼ì•¼ í•˜ê¸°ì— ìš°ì„  가벼워야 한다는 ì ì„ 고려하였으며 구조와 짜임ì—ì„œë„ íš¨ìœ¨ì„±ì„ ìµœëŒ€í•œ ë†’ì¸ í•œêµ­ ëª©ê°€êµ¬ì˜ ëŒ€í‘œì ì¸ 소반ì´ë‹¤. ê°€ë½ì§€ì¸ 중대와 ë‹¤ë¦¬ì— ì¡°í˜•ì  ë³€í™”ë¥¼ 주어 íž˜ì°¨ë©´ì„œë„ ì•„ë¦„ë‹¤ì›€ì„ êµ¬ì‚¬í•œ ê²ƒë“¤ë„ ìžˆë‹¤. 특히 나주반ì—는 가능한 한 화려한 장ì‹ì„ 피하고 ì¡°ê°ì„ í•˜ë˜ ê°„ë‹¨í•˜ê²Œ 하고 ìƒì¹ ì„ 하여 ë‚˜ë¬´ì˜ ìžì—°ìŠ¤ëŸ° 목리를 그대로 살린 지혜로움과 ìˆ˜ìˆ˜í•¨ì„ ë³¼ 수 있다.

②통ì˜ë°˜çµ±ç‡Ÿç›¤

ë‘꺼운 통나무를 깎아 한 나무로 ìƒíŒ(천íŒ)ì„ íŒŒë‚´ì–´ í…Œë‘ë¦¬ì¸ ë³€ì£½ì„ í˜•ì„±í•˜ì˜€ìœ¼ë©° 모서리ì—는 버선코형 ê³¡ì„ ì´ ìžˆë‹¤. 네 ê¸°ë‘¥ì´ ì²œíŒì˜ í•˜ë‹¨ì— ë¼ì›Œì ¸ 있고 ê·¸ 사ì´ë¥¼ 중대를 둘러 단단히 고정하였다. 즉 ë‚˜ì£¼ë°˜ì´ ì¤‘ëŒ€ê°€ í•˜ë‚˜ì¸ ë°˜ë©´ 통ì˜ë°˜ì€ 아래 위 ë‘ ê³³ì—서 다리를 고정시켜 ë”ìš± 튼튼한 구조를 ì´ë£¬ë‹¤. 통ì˜ì†Œë°˜ì€ 타 ì§€ë°©ì— ë¹„í•˜ì—¬ 매우 견고하고 장ì‹ì ì´ì–´ì„œ 오늘날 êµìžìƒì—ë„ ì´ ì „í†µì–‘ì‹ì´ ë§Žì´ í™œìš©ë˜ê³  있다. 나전통ì˜ë°˜ì€ 천íŒì— í†µì˜ ì§€ë°©ì˜ ëª…ì‚°åç”£ì¸ ë¬´ì§€ê°¯ë¹› ìžê°œë¡œ 물고기와 물 ì†, 복숭아나무 ë“±ì˜ ìžì—°í’경과 ê°ì¢… 길ìƒë¬¸ì„ 나전으로 ì‹œë¬¸í•˜ê¸°ë„ í•œë‹¤. ë˜ ëŠ¥í˜• 변죽ì—는 ì‚´ì§ ì£¼ì¹ ì„ í•˜ì—¬ 화사하게 ë³´ì´ë„ë¡ ë§Œë“¤ê¸°ë„ í•˜ëŠ” 등 ì „ 세계 ì–´ë””ì— ë‚´ë†“ì•„ë„ ë¹ ì§ì´ 없는 우리 전통 ì†Œë°˜ì˜ ëª…í’ˆì´ë‹¤. 여기 ì‚¬ì§„ì— ë³´ì´ëŠ” 통ì˜ë°˜ì„ ë³´ê³  있노ë¼ë©´ 넘실대는 ë™í•´ë°”다 위로 떠오르는 아침 í•´ê°€ ìƒê°ë‚œë‹¤. ì•„ë§ˆë„ ì´ ì†Œë°˜ì„ ë§Œë“  조선시대 ê·¸ 장ì¸ë„ ê°™ì€ ìƒê°ì„ 가진 듯하다. 멋지다.

③해주반 海州盤

í™©í•´ë„ í•´ì£¼ 지역ì—서 ì œìž‘ëœ ì†Œë°˜ì„ ì¹­í•œë‹¤. í•´ì£¼ë°˜ì€ ì¼ë°˜ì ì¸ ì†Œë°˜ì˜ ë‹¤ë¦¬ê°€ 네 개로 êµ¬ì„±ëœ ê²ƒê³¼ëŠ” 달리 ë„“ì€ íŒê°æ¿è„š ë‘ ê°œê°€ 약간 외반 ë˜ê²Œ 밖으로 ë»—ì–´ 있다. ì´ëŠ” ìˆ˜ì§ êµ¬ì¡°ë³´ë‹¤ ìƒë‹¨ì˜ í•˜ì¤‘ì„ ë§Žì´ ë°›ìœ¼ë©° 시ê°ì ìœ¼ë¡œë„ 안정ê°ì„ 준다.
천íŒì€ ì¼ë°˜ì ìœ¼ë¡œ 통ì˜ë°˜ì²˜ëŸ¼ 통íŒì„ ë²„ì„ ì½”ì¸ ëŠ¥í˜•ìœ¼ë¡œ 깊게 파내어 부드러운 ëª¨ìŠµì˜ ë³€ì£½ì„ í˜•ì„±í•˜ê³  있다. íŒê°ì—는 ë§Œìžå字를 비롯하여 모란, 꽃과 나비, 파초, ë¬¸ìž ë“± 여러 ì¢…ë¥˜ì˜ ë¬´ëŠ¬ê°€ 사용ë˜ëŠ”ë° ì´ëŠ” ì†Œë°˜ì„ ê°€ë³ê²Œ 하고 ë˜ íˆ¬ê°é€åˆ»íš¨ê³¼ê°€ 막혀 있는 너른 íŒìž¬ë¥¼ 경쾌하게 ë³´ì´ë„ë¡ í•œë‹¤.
ì–‡ì€ íŒê°ìœ¼ë¡œëŠ” 무거운 ì‹ê¸°ë“¤ì„ 올려놓는 ìƒíŒì˜ í•˜ì¤‘ì„ ê²¬ë””ê¸°ê°€ 어려우므로 ì–‘ íŒê°ê³¼ ìƒíŒ 사ì´ë¥¼ 고정시키는 ìš´ê°ì„ ì„¤ì¹˜í•˜ì˜€ëŠ”ë° ì´ˆì—½í˜•ì˜ ë‹¨ìˆœí•œ ì„ ê³¼ 당초문 ë“±ì˜ íˆ¬ê° ë˜ëŠ” ì¡°ê° ìž¥ì‹ì„ í•˜ê¸°ë„ í•œë‹¤. ë˜í•œ 해주반ì—는 족대가 ì—†ì´ íŒê°ì— ëŠ¥í˜•ì˜ í’í˜ˆì„ ëš«ê±°ë‚˜ ìž‘ì€ í¬ê¸°ì˜ ë§Œìžåå­— íˆ¬ê° ë“±ì„ ëš«ì–´ 단아하면서 경쾌한 ëŠë‚Œì„ 주는 ê²ƒë„ ìžˆë‹¤.

④강ì›ë°˜ 江原盤

ê°•ì›ë„ 지방ì—서 ìƒì‚°ëœ ì†Œë°˜ì€ ë¹„êµì  ë‘꺼운 소나무 íŒìž¬ë¥¼ 깊고 거칠게 파내어 투박하게 제작ë˜ì—ˆìœ¼ë‚˜ 순수한 ì •ê°ì´ ëŠê»´ì§€ëŠ” ì§€ë°©ì  íŠ¹ì„±ì„ ë³´ì´ê³  있다. 천íŒì„ 구성하는 네 귀는 ì¼ë°˜ì ì¸ 둥근 형태보다 사ê°ì— 가까운 ì¢ì€ 곡선으로 처리하였다. 특히 양측 íŒê°(다리)ì˜ í¬ê³  네모난 구ë©ì€ 투박한 형태와 ìž¬ì§ˆì— ê²½ì¾Œí•¨ì„ ì¤€ë‹¤. 족대는 íŒê° í•˜ë‹¨ì— ã„·ìží˜• ê°ëª©ìœ¼ë¡œ 촉짜임 í•˜ì˜€ëŠ”ë° ì²œíŒê³¼ 시ê°ì ìœ¼ë¡œ 통ì¼ê°ì„ 준다. ìžê·€ë¡œ 거칠게 ê¹Žì€ ì²œíŒê³¼ ë‘꺼운 ì¸¡ë„ ì‚¬ì´ì˜ 단순한 ìš´ê° ë“±ì—서 ê°•ì›ë„ ëª©ê°€êµ¬ì˜ ê±´ê°•í•˜ê³  ìˆœë°•í•¨ì„ ì—¿ë³¼ 수 있다. 사ê°ë°˜ê³¼ ì›ë°˜ì´ 있다.

 

글 : 박주열(나ë½ì‹¤ 갤러리 대표)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