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  ê¶ì„±ì˜ ìž¥ì‹ ë¯¸ìˆ (4), ê²½ë³µê¶ ê´‘í™”ë¬¸ì˜ í•´ì¹˜ìƒ

그림1 í˜„ìž¬ì˜ ê´‘í™”ë¬¸ 해치ìƒ(ë™íޏ)

▲그림1 í˜„ìž¬ì˜ ê´‘í™”ë¬¸ 해치ìƒ(ë™íޏ)

ê²½ë³µê¶ ê´‘í™”ë¬¸ì˜ í•´ì¹˜ìƒ

근대 ì¼ì œê°•ì ê¸° ì´í›„로 한낱 장ì‹ìš© ë™ë¬¼ìƒ ì •ë„로 ì·¨ê¸‰ë¼ ì˜¤ë˜ ê´‘í™”ë¬¸ 해치가 2008ë…„ 5ì›” 서울특별시 ìƒì§• ë™ë¬¼ë¡œ ì„ ì •ë˜ë©´ì„œ 본래 ì˜ë¯¸ë¥¼ ë˜ì°¾ëŠ” 계기를 ë§žì´í–ˆë‹¤. ê·¸ëŸ°ë° ë‹¹ì‹œ ì¼ë¶€ ê°œì‹ êµ ëª©ì‚¬ë“¤ì€ í•˜ìž˜ 것 없는 금수禽ç¸ë¥¼ ì„œìš¸ì˜ ìƒì§•으로 삼는 ê²ƒì€ ìš°ìƒ ìˆ­ë°°ì  ë°œìƒì´ë¼ë©´ì„œ 딴지를 ê±´ ë°” 있다. 그러나 ê¸ˆìˆ˜ë„ ê¸ˆìˆ˜ 나름ì´ë‹¤. 고대 ë™ì–‘ì¸ì—게 있어 ì¸ê°„ê³¼ 금수를 구별하는 ê¸°ì¤€ì€ ëª¸ì˜ í˜•ìƒì´ ì•„ë‹ˆë¼ ì •ì‹ ì— ìžˆì—ˆë‹¤. 광화문 해치ìƒì€ ìžì‹ ì„ 보는 ì‚¬ëžŒì˜ ì•ˆëª©ê³¼ 견ì‹ì˜ 높ì´ë§Œí¼ë§Œ 실체를 드러낸다.

1. ê´‘í™”ë¬¸ì„ ì§€í‚¤ëŠ” 해치ìƒ

방울 달린 목걸ì´ë¥¼ ëª©ì— ê±¸ê³  ê¶ê¶ 반대편으로 고개를 ëŒë¦¬ê³  있는 광화문 해치ìƒì€ 몸 ì „ì²´ê°€ 비늘로 ë®ì—¬ 있으며, 다리ì—는 화염무늬 갈기와 나선형 í„¸ì´ ë‚˜ìžˆë‹¤. ë‘ ëˆˆì€ ë¶€ë¦¬ë¶€ë¦¬í•˜ê³  코는 주먹코ì´ë©°, 약간 벌린 ìž… 사ì´ë¡œ 어금니와 송곳니가 드러난다.
근대 월간잡지 â‰ªë³„ê±´ê³¤â‰«ì— ê´‘í™”ë¬¸ê³¼ ì´ í•´ì¹˜ìƒì— 대한 기사가 ë³´ì¸ë‹¤.
“광화문ì´ëž€ 세 글ìžì˜ ë¬¸ì•¡ì€ ì •í•™êµì˜ í•„ì´ì˜¤, ìƒëŸ‰ë¬¸ì€ ì´ìœ ì›ì´ 찬하고 ì‹ ì„í¬ê°€ ì¼ìœ¼ë©°, ë¬¸ì „ì˜ ìŒí•´ì¹˜é›™ç¬è±¸(치豸는 ì‹ ì–‘ì´ì˜¤, ìŒì€ 해치ì´ë‹ˆ ì†ì¹­ 해타ì´ë‹¤)는 근세 미술대가 ì´ì„¸ìš±(í˜¹ì€ íƒœìš±æ³°æ—­)ì˜ ìž‘ì´ë‹¤.†(문내한, 〈경성 팔대문과 오대ê¶ë¬¸ì˜ 유래〉, 《별건곤》 ì œ23호, 1929ë…„ 9ì›” 27ì¼) 광화문 해치ìƒì´ ì´ì„¸ìš±æŽä¸–æ—­ì— ì˜í•´ 제작ë˜ì—ˆë‹¤ëŠ” 근거 기ë¡ì´ë‹¤. ì´ì„¸ìš±ì˜ ì •ì‹ ì§í•¨ì€ 당시 수ë„ë°©ìœ„êµ°ì¸ í›ˆë ¨ë„ê°ì˜ 기패관旗牌官(종9í’ˆ êµ°ê´€)ì´ì—ˆë‹¤.(김민규, 《별간역 연구》)
광화문 해치ìƒì„ ë‘ê³  ì–´ë–¤ 민ì†í•™ìžëŠ” ì •ìˆ˜ë¦¬ì— ë¿”ì´ ì—†ëŠ” 것으로 ë³´ì•„ 해치가 아니ë¼ê³  주장한 ë°” 있고, ë˜ ì–´ë–¤ í•™ìžëŠ” 경복ê¶ì„ 수호하는 ë™ë¬¼ ì •ë„로 ê°€ë³ê²Œ 보았다. 그런가하면 ì¼ë¶€ í’ìˆ˜ê°€ë“¤ì€ ê´€ì•…ì‚°ì˜ í™”ê¸°ç«æ°£ë¥¼ 막는 ë™ë¬¼ë¡œ í•´ì„하고 ìžˆê¸°ë„ í•œë‹¤. 그러나 ì´ ëª¨ë“  견해는 사실과 다르다.
1870ë…„ 2ì›” 12ì¼ ëŒ€í•œì œêµ­ì˜ ê³ ì¢…ì€ ì™•ì˜ ìˆ˜ë ˆë¥¼ 타고 광화문 밖으로 행차할 때 사람과 ë§ì´ 시위대 안으로 난입하는 ì¼ì´ 없게 하ë¼ë©´ì„œ 다ìŒê³¼ ê°™ì´ ëª…í•œë‹¤. “지금 ì´í›„로 ë™ê°€å‹•é§•í•  때 시위대 ì†ìœ¼ë¡œ ì¸ë§ˆê°€ 난입하는 ì¼ì´ 있으면 승정ì›ê³¼ 병조는 엄한 ì§ˆì±…ì„ ë©´ì¹˜ 못할 것ì´ë‹¤. 승정ì›ì€ 병조를 엄히 신칙하고, 해치ç¬è±¸ì´ë‚´ì—서는 ë°±ê´€ì´ ë§ì„ 타지 못하ë„ë¡ í•¨ê»˜ 엄히 신칙하ë¼â€(《승정ì›ì¼ê¸°ã€‹) ë°±ê´€ë“¤ì´ ë§ì„ í•´ì¹˜ìƒ ì•ˆìª½ 공간ì—서는 타지 못하게 한 것ì´ë‹ˆ ì´ë¡œì¨ ê·¸ ë™ë¬¼ìƒì´ 바로 광화문 앞 해치ìƒìž„ì´ ìž¬í™•ì¸ëœë‹¤.

2. 해치ìƒì˜ ìˆ˜ë‚œì˜ ì—­ì‚¬
그림 2 ì›ëž˜ ìžë¦¬ì— ìžˆì„ ë•Œì˜ í•´ì¹˜ìƒ ëª¨ìŠµ

▲그림 2 ì›ëž˜ ìžë¦¬ì— ìžˆì„ ë•Œì˜ í•´ì¹˜ìƒ ëª¨ìŠµ

ì¼ì œê°•ì ê¸°ì¸ 1923ë…„ 10ì›” ì–´ëŠ ë‚  ì €ë…, 광화문 앞 해치ìƒì€ 홀연히 어디론가 사ë¼ì ¸ 버린다. ê·¸ ì¦ˆìŒ ì¼ë³¸ ì‚¬ëžŒë“¤ì€ ë¶€ì—…ê³µì§„íšŒ(1923ë…„ 10ì›”)를 개최한다고 ë¶€ì‚°ì„ ë–¨ì—ˆê³ , ë˜ í•œíŽ¸ì—서는 ì´ë…ë¶€(1916ë…„ 6ì›” 기공, 1926ë…„ 완성) ê±´ë¬¼ì´ ì™¸í˜•ì„ ê±°ì˜ ê°–ì¶”ì–´ 가고 있었다. ì´ë…ë¶€ 공사로 ì¸í•´ ê²½ë³µê¶ ë‹´ì´ í—리고 ê¶ê¶í„°ì— ê¸¸ì´ ëš«ë¦¬ëŠ” 등 모든 ê²ƒì´ ë§Œì‹ ì°½ì´ê°€ ë˜ëŠ” íŒêµ­ì— 해치ë¼ê³  해서 ì œ ìžë¦¬ë¥¼ 지킬 수 있겠는가. 당시 해치ìƒì˜ ìˆ˜ë‚œì„ ì§€ì¼œ 본 ë™ì•„ì¼ë³´ 기ìžëŠ” ì´ëŸ° 기사를 ì¼ë‹¤.
â€œì„±ì´ í—린 í„°ì— ê¸¸ì´ ë˜ê³ , ìž„ê¸ˆì´ ìžˆë˜ ëŒ€ê¶ í„°ì— ì´ë…부가 들어서는ë°, ë„ˆë§Œì´ íŽ¸ì•ˆížˆ ì‚´ 수 있겠ëŠëƒ, 그러나 춘í’추우 ì§€í‚¤ë˜ ê·¸ ìžë¦¬ë¥¼ ë– ë‚  ë•Œì— ë„¤ê°€ 마ìŒì´ 있다면 방울 ê°™ì€ ëˆˆë§¤ì—ë„ ì‘당 ëˆˆë¬¼ì´ í˜ë €ìœ¼ë¦¬ë¼. 긴
세월 ë™ì•ˆ 위엄 있고 유순하게 경복ê¶ì„ 지키고 ì„°ë˜ ë„¤ê°€ 무슨 죄가 있어서 무지한 ì‚¬ëžŒë“¤ì´ ë‹¤ë¦¬ë¥¼ ë™ì´ê³  허리를 매어 ëŒì–´ê°”으랴. ë§ ëª»í•˜ëŠ” 너는 시키는 대로 ëŒë ¤ê°”ì„ ë¿ì´ì—ˆë‹¤.â€(ë™ì•„ì¼ë³´, 1923.10.23)
처ìŒì—는 해치ìƒì´ 어디로 옮겨 갔는지 몰ëžë‹¤. 얼마 후 ì´ë…ë¶€ 청사 서편 담장 ë°‘ì— ë°©ì¹˜ë˜ì–´ 있다는 ê²ƒì„ ì•Œê²Œ ëœ ê¸°ìžëŠ” ê·¸ê³³ì„ ì°¾ì•˜ë‹¤. 해치ìƒì€ ì¡°ê¸ˆì˜ ë°°ë ¤ë„ ë°›ì§€ 못하고 ê±°ì ì„ ì“´ 채 버려져 있었다. ì´ ëª¨ìŠµì„ ë³¸ 기ìžëŠ” ìš¸ë¶„ì„ ì°¸ì§€ 못하고 ë˜ ì´ëŸ° 기사를 ì¼ë‹¤.
â€œë„ˆì˜ ê¼´ì„ ë³´ëŸ¬ ëŒ€ê¶ ì•ˆì— ë“¤ì–´ê°€ë‹ˆ 너는 한편 모í‰ì´ì— 참혹히 들어 누워 있ë”ë¼. ê·¸ê²ƒì„ ë³¸ í°ì˜· ìž…ì€ ì‚¬ëžŒì˜ ê°€ìŠ´ì´ ì–´ì°Œ 편안할 수 있겠ëŠëƒ. ëì—†ì´ ì¼ì–´ë‚˜ëŠ” ê°íšŒë¥¼ 무엇ì´ë¼ 표현하겠ëŠëƒ. 무슨 í•˜ëŠ˜ë„ ëª» ë³¼ í° ì£„ë‚˜ ì§€ì€ ê²ƒì²˜ëŸ¼ ê±°ì ìžë¦¬ë¥¼ 둘러쓰고, 고개를 ëŒì´ì¼œ 우는 듯, ì•…ì„ ì“°ëŠ” 듯 반기는 듯 ì›ë§í•˜ëŠ” 듯한 해치를 발견하고 ê°€ìŠ´ì´ ëœ¨ë”하였다. 옛 주ì¸ì´ ê²½ë³µê¶ ë’¤ë¡œ 밀려 나가고 낯선 ì‚¬ëžŒë“¤ì´ ì§€ì–´ ë†“ì€ ì´ë…ë¶€ 새집 앞ì—서 모든 학대와 ê°–ì€ êµ¬ë°•ì„ ë‹¤ 받는 í•´ì¹˜ì˜ ì‹ ìƒì„ 염려하는 ì¡°ì„  ì‚¬ëžŒë“¤ì´ ë§Žì€ ê²ƒì„ ê·¸ê°€ 안다면 피나는 설움ì´ë¼ë„ ì°¸ì„ ë“¯ í•  것ì´ë‹¤.â€(ë™ì•„ì¼ë³´, 1925, 9.15)
수모를 당하고 ìžˆë˜ í•´ì¹˜ëŠ” ì´ë…ë¶€ ê±´ë¬¼ì´ ì™„ì„±ë˜ìž 청사 앞으로 옮겨졌다. ì¡°ì„ ì™•ì¡°ì˜ ì •ê¶ì„ ì§€í‚¤ë˜ í•´ì¹˜ê°€ ì¼ì œì˜ ì•„ì„±ì„ ì§€í‚¤ëŠ” ê¼´ì´ ëœ ê²ƒì´ë‹¤. 그렇게 있다가 í•´ë°© 후 ì œ3공화국 때 콘í¬ë¦¬íŠ¸ë¡œ ê´‘í™”ë¬¸ì„ ë³µì›í•˜ë©´ì„œ 해치ìƒì„ 문 좌우 ê¶ë²½ 가까ì´ì— 옮겨놓았다. 그리고 2010ë…„ì—는 ê´‘í™”ë¬¸ì„ ëª©ì¡°ë¡œ 다시 ì§€ì€ í›„ì—는 약 5m 남쪽으로 ì´ì „했다. ì›ìœ„치는 ì§€ê¸ˆì˜ ì •ë¶€ì¢…í•©ì²­ì‚¬ 앞쪽 근처였으니 ì´ ìžë¦¬ 역시 ì›ëž˜ ìžë¦¬ê°€ ì•„ë‹˜ì€ ë§í•  필요가 없다.

3. 해치ë¼ëŠ” ì¡´ìž¬ì˜ ì˜ë¯¸
그림3 해치ìƒì˜ 위치 변화

▲그림3 해치ìƒì˜ 위치 변화

ì¸ê°„ ì¤‘ì‹¬ì  ê´€ì ì—서 금수禽ç¸ëŠ” ì´ì„±ì„ 가지고 있지 ì•Šì€ í•˜ë“± ë™ë¬¼ì„ ì˜ë¯¸í•œë‹¤. 그래서 â€œê¸ˆìˆ˜ë§Œë„ ëª»í•œ 놈â€ì´ë¼ëŠ” ë§ì€ 가장 치욕ì ì¸ ë§ì´ ëœë‹¤. 고대 ë™ì–‘ì¸ì—게 있어 ì¸ê°„ê³¼ 금수를 구별하는 ê¸°ì¤€ì€ ëª¸ì˜ í˜•ìƒì´ ì•„ë‹ˆë¼ ì •ì‹ ì— ìžˆì—ˆë‹¤. ë³µí¬ì”¨ä¼ç¾²æ°(ì‚¼í™©ä¸‰çš‡ì˜ ì²«ì§¸ë¡œ 꼽히는 중국 전설ìƒì˜ 제왕)는 사람 ë¨¸ë¦¬ì— ë±€ì˜ ëª¸ì„ ê°€ì§€ê³  있고, ì‹ ë†ì”¨ç¥žè¾²æ°(삼황 중 ë‘ ë²ˆì§¸ 황제. ì •ì‹ ì´ë¦„ì€ ì—¼ì œ)는 ì†Œë¨¸ë¦¬ì— ì‚¬ëžŒì˜ ëª¸ì„ ì§€ë‹ˆê³  있다. ì´ë“¤ì€ 사람 형ìƒì€ 아니지만 성ì¸è–äººì˜ ë•ì„ ê°€ì§€ê³  있어 숭배할 만하다고 ìƒê°í–ˆë˜ 것ì´ë‹¤. 금수ì´ê³  금수가 아닌 ê²ƒì€ ëª¸ì˜ í˜•ìƒì´ ì•„ë‹ˆë¼ ì •ì‹ ê³¼ í–‰ë™ì— 있다고 ê·¸ë“¤ì€ ë³´ì•˜ë˜ ê²ƒì´ë‹¤.
고대ì¸ë“¤ì€ 기린·봉황·거ë¶Â·ìš©ì„ 사령四éˆì´ë¼ 불렀다. ê·¸ë§Œí¼ ì´ë“¤ ë™ë¬¼ì€ ì¸ê°„ ì´ìƒìœ¼ë¡œ 존귀하고 신령스러운 존재였기 때문ì´ë‹¤. 해치 ë˜í•œ 마찬가지였다.
ê³ ë¬¸í—Œì— ë‚˜íƒ€ë‚˜ëŠ” í•´ì¹˜ì˜ ì´ë¦„ì€ í•´ì¹˜è§£å»ŒÂ·ì‹ ì–‘ç¥žç¾ŠÂ·ì‹ì£„識罪·해타ç¬é§Â·í•´í˜¸è§Ÿè­· 등 다양하다. 해치ç¬è±¸ë¼ëŠ” ëª…ì¹­ì€ ì¤‘êµ­ì˜ ì—¬ëŸ¬ ê³ ì „ì— ìžì£¼ 등장하고 있지만, ì™¸í˜•ì  íŠ¹ì§•ì— ê´€í•´ì„œëŠ” ì„¤ëª…ì´ ì„œë¡œ 엇갈린다. 《사기집해å²è¨˜é›†è§£ã€‹ë‚˜ 《후한서》ì—서는 해치를 ì‚¬ìŠ´ì˜ ì¼ì¢…으로 설명하고 있고, 《설문해ìžã€‹ì—서는 소를 닮았다고 ë§í•˜ê³  있다. ì™•ì¶©ì˜ ã€Šë…¼í˜•è«–è¡¡ã€‹ì—서는 ë¿”ì´ í•˜ë‚˜ 달린 ì¼ê°ìˆ˜ä¸€è§’ç¸ë¼ê³  기ë¡í•˜ê³  있다.
《ì´ë¬¼ì§€ç•°ç‰©å¿—》ì—서는 “ë™ë¶ì§€ë°©ì˜ 거친 ê³³ì— ì‚¬ëŠ” ì§ìŠ¹ì„ í•´ì¹˜ë¼ê³  한다. ë¿”ì´ í•˜ë‚˜ì— ì„±í’ˆì´ ì¶©ì§í•˜ì—¬ ì‚¬ëžŒì´ ì‹¸ìš°ëŠ” ê²ƒì„ ë³´ë©´ 올바르지 못한 ì‚¬ëžŒì„ ë¿”ë¡œ 받고, ì‚¬ëžŒì´ ë…¼ëž€ì„ ë²Œì´ëŠ” ê²ƒì„ ë³´ë©´ 바르지 못한 ì‚¬ëžŒì„ ë¬¼ì–´ëœ¯ëŠ”ë‹¤â€ ë¼ê³  했다.
최근 중국 ê³ ê³ í•™ìžì™€ ì„œì˜ˆê°€ë“¤ì˜ í•´ì¹˜ì— ê´€í•œ 연구 ê²°ê³¼ì— ì˜í•˜ë©´ 해치는 ì§„ë‚˜ë¼ ì´ì „부터 ë´‰ë‹ˆå°æ³¥, í™”ìƒì„, ì¸ìž¥ ë“±ì— ìžì£¼ 나타났고, ê·¸ 형태는 양羊과 비슷하다고 한다. 산서성 í˜¼ì›æ¸¾æºì˜ ì´ìš•ì´ŒæŽå³ªæ‘ì—서 ì¶œí† ëœ ì „êµ­ì‹œëŒ€ ì²­ë™ê¸° 파편ì—서 해치ìƒì´ 발견ë˜ì—ˆëŠ”ë°, ì§§ì€ ê¼¬ë¦¬ì— ì–‘ì˜ ë°œêµ½ì„ ê°€ì§€ê³  있었고, ë¿”ì´ í•˜ë‚˜ 달린 ê²ƒì´ í™•ì¸ë˜ì—ˆë‹¤. ì—°êµ¬ì˜ ê²°ë¡ ì€ í•´ì¹˜ëŠ” 한 ì¢…ë¥˜ì˜ êµ¬ì²´ì ì¸ ë™ë¬¼ë¡œ 보기 어려우며, 처ìŒì—는 ì–‘ì˜ í˜•ìƒìœ¼ë¡œ 묘사ë˜ë‹¤ê°€ ë™í•œæ±æ¼¢ 시대 ì´í›„부터는 ì†Œì˜ í˜•ìƒì„ ë‹®ì€ ë™ë¬¼ë¡œ 변모했다는 것ì´ë‹¤.

4. 해치와 ê³ ìš”çšé™¶
그림4 《순종효황제산릉주ê°ì˜ê¶¤ã€‹ì— 수ë¡ëœ 해치

▲그림4 《순종효황제산릉주ê°ì˜ê¶¤ã€‹ì— 수ë¡ëœ 해치

《고종실ë¡ã€‹ 1870ë…„ 10ì›” 7ì¼ì— 해치와 ê´€ë ¨ëœ ë‹¤ìŒê³¼ ê°™ì€ ê¸°ì‚¬ê°€ ë³´ì¸ë‹¤.
“전êµí•˜ê¸°ë¥¼, â€˜ëŒ€ê¶ ë¬¸ì— í•´ì¹˜ç¬è±¸ë¥¼ 세워 한계를 정하니, ì´ê²ƒì´ ê³§ ìƒìœ„象é­ì´ë‹¤. ì¡°ì • ì‹ í•˜ë“¤ì€ ê·¸ 안ì—서는 ë§ì„ 탈 수가 없는ë°, ì´ê²ƒì€ 노마路馬(ì™•ì´ íƒ€ëŠ” 수레를 ë„는 ë§)ì— ê³µê²½ì„ í‘œí•˜ëŠ” 뜻ì—서ì´ë‹¤. 조금 ì „ì— ì¶œê¶í•  때 보니 종승ì¸å¾žé™žäººì´ ê·¸ 안ì—서 ë§ì„ 타고 있ë˜ë° ì´ê²ƒì´ ì–´ì°Œ 사체事體(ì¼ì˜ ì´ì¹˜ì™€ 정황)와 ë„ë¦¬ì— ë§žê² ëŠ”ê°€? ì „í›„ì— ê±¸ì³ ì‹ ì¹™í•œ 하êµë¥¼ 엄중히 했는ë°ë„ 한갓 형ì‹ì´ ë¼ë²„렸으니 ì´ê°™ì´ 하고서 어떻게 ê¸°ê°•ì´ ì„œê² ëŠ”ê°€? 지금부터는 사헌부ì—서 규찰하여 계문啓èží•˜ë¼.â€

ê³ ì¢…ì´ í•´ì¹˜ë¥¼ ë‘ê³  ìƒìœ„象é­ë¼ê³  했다. ‘ìƒè±¡â€™ì€ ‘법法’, ‘위é­â€™ëŠ” ‘고高’를 뜻한다. ‘ìƒìœ„’는 ê³ ëŒ€ì— ë²•ë¥ ì„ ë†’ì€ ì„±ë¬¸ ë°–ì— ê²Œì‹œí•œ ë°ì„œ 나온 ë§ë¡œ ê¶ê¶ë¬¸ì˜ ì˜ë¯¸ë¡œë„ 사용ë˜ì—ˆê³ , 전轉하여 ë²•ë¥ ì œë„ ë˜ëŠ” ë²•ì˜ ì—„ì •í•œ ì ìš©ì„ ì˜ë¯¸í•˜ëŠ” ë§ë¡œë„ 쓰였다.
해치가 법과 ì •ì˜ì˜ ìƒì§• ë™ë¬¼ìž„ì€ â€˜ë²•æ³•â€™ì˜ ê³ ìžå¤å­—ì¸ â€˜ë²•ç‹â€™ìž 모양만 ë´ë„ 알 수가 있다. ‘법ç‹â€™ì€ ‘법法’과 ‘치廌’를 결합하여 만든 글ìžë¡œ, 여기서 ‘수氵’는 ë¬¼ì´ í•­ìƒ ìˆ˜í‰ì„ ìœ ì§€í•˜ë“¯ì´ ë²•ì˜ í‰ë“±í•¨ì„ ì˜ë¯¸í•˜ê³  ‘치廌’는 í•´ì¹˜ì˜ ë˜ ë‹¤ë¥¸ ì´ë¦„ì´ë‹¤.
í•´ì¹˜ì— ëŒ€í•œ ≪논형論衡≫ 시ì‘íŽ¸æ˜¯æ‡‰ç¯‡ì˜ ê¸°ë¡ì„ ë³´ìž.
“해호觟護ë¼ëŠ” ì§ìŠ¹ì´ ìžˆëŠ”ë°, ì´ ì§ìŠ¹ì€ ë¿”ì´ í•˜ë‚˜ë°–ì— ì—†ìœ¼ë©°, 죄를 ì§€ì€ ì‚¬ëžŒì„ ì°¾ì•„ë‚´ëŠ” 신통한 재주를 가지고 있다 한다. ê³ ìš”çšé™¶ë¼ëŠ” ì‚¬ëžŒì´ ìˆœìž„ê¸ˆ 때 법관으로 있었는ë°, 죄가 있는지 없는지 ì˜ì‹¬ìŠ¤ëŸ¬ìš¸ 때 ì´ ë™ë¬¼ë¡œ 하여금 ê·¸ ì‚¬ëžŒì„ ë°›ê²Œ 하였다. 죄가 있는 사람ì´ë©´ 뿔로 받고, 죄가 없는 사람ì´ë©´ 받지 않았다.â€
ê³ ìš”çšé™¶ë¼ëŠ” ì‚¬ëžŒì€ ë‚˜ë¼ ì•ˆíŒŽì— íš¡í–‰í•˜ëŠ” ì˜¤ëž‘ìº ë¬´ë¦¬ë¥¼ ë¬¼ë¦¬ì³ ë°±ì„±ì˜ í”¼í•´ë¥¼ 줄였고, í˜•ë²Œì„ ì—„ê²©í•˜ê²Œ ì ìš©í•˜ì—¬ 어지러운 í’기를 ë°”ë¡œìž¡ì€ ìˆœèˆœì˜ í˜„ì‹ ì´ì—ˆë‹¤. 《맹ìžå­Ÿå­ã€‹ 〈진심盡心 ìƒä¸Šã€‰ì—, “ë„ì‘æ¡ƒæ‡‰ì´ë¼ëŠ” ì‚¬ëžŒì´ ìˆœ ìž„ê¸ˆì˜ ì²œìžê°€ ë˜ê³  고요가 ë²•ê´€ì´ ë˜ì—ˆëŠ”ë°, 순 ìž„ê¸ˆì˜ ì•„ë²„ì§€ 고수瞽çžê°€ 만약 ì‚¬ëžŒì„ ì£½ì˜€ë‹¤ë©´ 고요는 어떻게 하겠습니까?†하고 묻ìž, ë§¹ìžê°€ â€œë²•ì„ ì§‘í–‰í•˜ì—¬ ì‚´ì¸ìžì¸ 고수를 ë¶™ìž¡ì„ ë¿ì´ë‹¤â€ ë¼ê³  대답한 ë‚´ìš©ì´ ë³´ì¸ë‹¤. ì´ì²˜ëŸ¼ 고요는 ì² ë‘철미 법과 ì •ì˜ë¥¼ ê³µí‰í•˜ê²Œ 집행하는 ë²•ê´€ì˜ ìƒì§•으로 ì¸ì‹ë˜ì—ˆë‹¤.

그림5 â€˜æ³•â€™ì˜ ê³ ìžå¤å­—

▲그림5 â€˜æ³•â€™ì˜ ê³ ìžå¤å­—

법과 ì •ì˜ì˜ 수호ìžë¡œì„œ 해치는 사헌부 ê´€ì›ì˜ 모ìžë‚˜ ê³µë³µì˜ í‰ë°°ì— ìˆ˜ë†“ì•„ì§€ê¸°ë„ í–ˆë‹¤. 사헌부 법관과 ê´€ì›ë“¤ì´ 특별히 해치관ç¬è±¸å† ì„ ì“´ ê²ƒì€ ì‹œë¹„ê³¡ì§ì„ 정확히 분별하려는 ì˜ì§€ì˜ 표명ì´ì—ˆë‹¤. ≪경국대전≫ ê·œì •ì— ì˜í•˜ë©´, ì¡°ë³µ 사량관 ì•žì— í•´ì¹˜ë¥¼ ë¶™ì¸ë‹¤ê³  ë¼ ìžˆê³ , ì§‘ì˜åŸ·ç¾©(사헌부 종3í’ˆ) ì´í•˜ë„ 같다고 규정하고 있다. 중국ì—서는 어사御使가 í•´ì¹˜ê´€ì„ ì¼ë‹¤.
《신ì¦ë™êµ­ì—¬ì§€ìŠ¹ëžŒã€‹ ê²½ë„京都 사헌부 ì¡°ì—, “무릇 ê´€ë¶€ì˜ ì œëª…é¡Œå(ê´€ë¦¬ì˜ ê³µì ê³¼ 과오를 기ë¡í•˜ëŠ” 것)ì´ëž€ 옛날부터 ìžˆë˜ ê²ƒì´ë‹ˆ, í—Œë¶€æ†²åºœì— ìžˆì–´ì„œëŠ” 관계가 ë”ìš± 중한 것ì´ë‹¤. 지금부터 계ì†í•˜ì—¬ 해치관(冠)ì„ ë†’ì´ ì“°ê³  백필白筆(ì‚¬ê´€ì´ ì‚¬ìš©í•˜ëŠ” 붓으로 í•­ìƒ ì‚¬ëª¨ì— ë¹„ë…€ì²˜ëŸ¼ 꽂았다)ì„ ê½‚ê³  앉아 아무는 어질었고, 아무는 충성했고 아무는 아첨했고 아무는 간사했다고 í‰í•˜ì—¬, 착한 ê²ƒì€ ë²• 삼고 악한 ê²ƒì„ ê²½ê³„í•œë‹¤ë©´ 나ë¼ëŠ” 맑게 ë  ê²ƒì´ë‹¤â€ ë¼ëŠ” 기ë¡ì´ 있다. ì´ê²ƒì€ 고대ì¸ë“¤ì˜ ë§ˆìŒ ì†ì— 해치가 í•­ìƒ ë²•ì˜ ìˆ˜í˜¸ìžë¡œì„œ ì‚´ì•„ 있었ìŒì„ 보여주는 ì¢‹ì€ ì‚¬ë¡€ì´ë‹¤.
해치는 ì„ ì•…ì„ êµ¬ë³„í•˜ì—¬ ì •ì˜ë¥¼ 수호하는 ë™ë¬¼ì´ë‹¤. 그렇지만 광화문 ì•žì— í•´ì¹˜ìƒì„ 세운 ëœ»ì€ ë‹¨ìˆœížˆ ì´ ì´ìœ ì—ì„œë§Œì€ ì•„ë‹ˆë‹¤. 보다 ê¹Šì€ ê³³ì—는 ì¡°ì„ ì™•ì¡°ì˜ ë•치주ì˜ì— 대한 ì—¼ì›ê³¼ í¬ë¶€ê°€ ìžë¦¬ 잡고 있다. 해치와 ì§ì„ ì´ë£¬ 고요가 ë§í•œ 것처럼 ìœ ê°€å„’å®¶ì˜ ì •ì¹˜ì´ìƒì€ ë•치주ì˜ë‹¤. ì™•ì´ ëœ ìžëŠ” ì •ì¹˜ì  ìˆ˜ì™„ì„ ê¸°ë¥´ê¸°ì— ì•žì„œ 성심으로 ë•í–‰ì— ë…¸ë ¥í•˜ê³  ì •ì˜ë¡œì¨ 정사를 ìš´ì˜í•˜ë©´ ì²œí•˜ì˜ ì„ ëŸ‰í•œ ì¸ìž¬ë“¤ì´ 모여 국사 계íšì„ ëˆë…히 í•  것ì´ê³ , ë”°ë¼ì„œ 나ë¼ëŠ” 부강하고 ë°±ì„±ì€ íŽ¸ì•ˆí•˜ì—¬ ìž„ê¸ˆì˜ ê°í™”ê°€ 온 ì²œì§€ì— ë¯¸ì¹˜ê²Œ ëœë‹¤. ì´ê²ƒì´ ê³§ ‘광피사표화급만방光被四表化åŠè¬é‚¦â€™ì´ê³  ì´ ëœ»ì„ ì¶•ì•½í•œ ê²ƒì´ â€˜ê´‘í™”ë¬¸å…‰åŒ–é–€â€™ì´ë¼ëŠ” ê¶ë¬¸ ì´ë¦„ì´ë‹¤. 광화문과 해치ìƒ, ì´ë“¤ ì–‘ìžëŠ” 서로 ëª¨ì–‘ì€ ë‹¬ë¼ë„ 왕ë„정치를 ì´ ë•…ì— íŽ´ë ¤ëŠ” ì¡°ì„  êµ°ì‹ ë“¤ì˜ ì •ì¹˜ì  ì´ìƒê³¼ í¬ë¶€ë¥¼ ë‹´ê³  있다는 ì ì—서는 다를 ê²ƒì´ ì—†ë‹¤.

그림6 조경趙儆묘 출토 해치í‰ë°°(서울역사박물관 소장). ë¿”ì´ í•œ 개다

▲그림6 조경趙儆묘 출토 해치í‰ë°°(서울역사박물관 소장). ë¿”ì´ í•œ 개다

 

글 : 허균(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