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ì§€ì‹ì¸ë“¤ì˜ 서화 ì´ì•¼ê¸° â‘¡ ì¡°ì„ ì˜ ì„¸ì‹œ í’ì†ì„ 정리한 유ë“공Ⅱ

ë„1 《열하기행시주熱河紀行詩註》 필사본, 1ì±… 58장, ì¼ë³¸ ë™ì–‘문고 소장



유ë“ê³µì˜ ì„œí™” ì´í•´ëŠ” 예술ì ì¸ ì¸¡ë©´ë§Œì´ ì•„ë‹ˆë¼, 작가·제작 배경·전래 ë“±ì— ì´ë¥´ëŠ” 제반 ìš”ì¸ê¹Œì§€ë„ 함께 고려하여 접근하는 태ë„를 견지한다. 유ë“ê³µì˜ ì„œí™” ë…ë²•ì€ ì¸ë¬¸ ì‚¬íšŒì  ìž…ìž¥ì—ì„œì˜ ì ‘ê·¼ì´ë¼ê³ ë„ í•  수 있다. 지난 í˜¸ì— ì´ì–´ ì¡°ì„ ì˜ ì„¸ì‹œí’ì†ì„ 정리한 유ë“ê³µì˜ ì´ì•¼ê¸°ë¥¼ 들여다본다.

글 ìž„ìƒì„  (ë™ë¶ì•„역사재단 명예연구위ì›)


ê°•ë¬¼ì´ ê±°ê¾¸ë¡œ í˜ëŸ¬ì•¼ ê°ˆ 수 ìžˆì—ˆë˜ ì—°í–‰

유ë“ê³µ(柳得æ­, 1748~1807)ì€ ê°œì„±Â·í‰ì–‘·공주 등 êµ­ë‚´ì˜ ì˜› ë„ì지를 여행하고, 세 ë²ˆì— ê±¸ì³ ì‚¬ì‹ ë‹¨ì˜ ì¼ì›ìœ¼ë¡œ 청나ë¼ì— 다녀 왔다. ì¡°ì„ ì‹œëŒ€ì— ì™¸êµ­ì— ê°ˆ 수 있는 기회는 매우 드물었다. 유ë“ê³µì´ ìƒí™œí•˜ë˜ 18세기 후반 ê²½ ì¡°ì„ ì´ êµë¥˜í•˜ëŠ” 나ë¼ëŠ” 청나ë¼ì™€ ì¼ë³¸ë¿ì´ì—ˆê³ , ê·¸ê²ƒë„ êµ­ê°€ ê°„ì˜ êµë¥˜ì˜€ë‹¤. 특히 ì„ ì§„ë¬¸ë¬¼ì˜ ë„시 ì—°ê²½ç‡•äº¬ì— ê°ˆ 수 있는 ì‚¬ëžŒì€ ê´€ë¦¬, ìƒì¸, ì—­ê´€ì„ ë¹„ë¡¯í•˜ì—¬ ì¼ë°˜ì¸ ëª¨ë‘ ê¿ˆì—나 가능할 ì •ë„로 어려웠다. 심양瀋陽ì—서 만난 í•™ìžë“¤ì´ 언제 다시 올 수 있ëŠëƒëŠ” 물ìŒì— 유ë“ê³µì´ ì„œìª½ìœ¼ë¡œ í르는 ì‹¬ì–‘ì˜ ê°•ë¬¼ì´ ë™ìª½ìœ¼ë¡œ í를 ë•Œë¼ ë‹µí•˜ì˜€ë‹¤. ê°•ë¬¼ì´ ê±°ê¾¸ë¡œ í른다니, ë¶ˆê°€ëŠ¥ì— ê°€ê¹ë‹¤ëŠ” ë§ì´ì—ˆë‹¤.
유ë“ê³µì´ ì²˜ìŒìœ¼ë¡œ ì²­ë‚˜ë¼ ì‚¬í–‰ì— ë‚˜ì„  ê²ƒì€ 31세 ë•Œì¸ 1778ë…„(ì •ì¡° 2)ì´ë‹¤. 그해 7ì›” ì‹¬ì–‘ì— ìžˆëŠ” 능묘를 보러 오는 ì²­ë‚˜ë¼ ê³ ì¢…(건륭제, 1711~1799, 재위 1736~1796)ì„ ë¬¸ì•ˆí•˜ëŸ¬ 가는 ì¡°ì„  ì‚¬ì‹ ë‹¨ì˜ ì¼ì›ìœ¼ë¡œ ì‹¬ì–‘ì„ ë°©ë¬¸í–ˆë‹¤. 사행 ë™ì•ˆì— ë³´ê³  ë“¤ì€ ê²ƒì„ <ìë£¨ì—¬í•„æŒ¹å©æ—…ç­†>(《ì˜ìž¬ì§‘》권7)ì´ë¼ëŠ” ì´ë¦„으로 정리했다. ì루란 고대 만주 ì§€ì—­ì— ì‚´ë˜ ì¢…ì¡±ì¸ ìˆ™ì‹ è‚…æ„¼ì˜ í›„ì˜ˆì´ë©´ì„œ 고구려와 ë°œí•´ì˜ ì£¼ë¯¼ì´ê¸°ë„ í–ˆë˜ ë§ê°ˆì˜ 선조였다. ìë£¨ì˜ ê³ í–¥ì¸ ì‹¬ì–‘ì„ ë‹¤ë…€ì˜¨ 기ë¡ì´ë¼ëŠ” ì˜ë¯¸ë¡œ ì œëª©ì„ ì§€ì€ ê²ƒì´ë‹¤. ë‘ ë²ˆì§¸ëŠ” 유ë“ê³µ ë‚˜ì´ 43세 ë•Œì¸ 1790ë…„(ì •ë„ 14) 5ì›” ê±´ë¥­ì œì˜ íŒ”ìˆœì ˆ 축하 사절로서 박제가(朴齊家, 1750~1805)와 연경燕京(ì˜¤ëŠ˜ë‚ ì˜ ë¶ê²½)ì„ í–¥í•´ 출발했으나, ë„ì¤‘ì— ì¼ì •ì´ ë°”ë€Œì–´ 예ìƒì¹˜ 않게 ì—´í•˜ç†±æ²³ë„ ë‹¤ë…€ì™”ë‹¤. 열하는 오늘날 ë¶ê²½ìœ¼ë¡œë¶€í„° ë™ë¶ìª½ 225km 떨어진 승ë•시承德市ì¸ë°, 온천ì—서 나온 ê°•ë¬¼ì— ê²¨ìš¸ì—ë„ ê¹€ì´ ë‚˜ì„œ ìƒê²¨ë‚œ ì´ë¦„ì´ê³ , ì´ê³³ì— ì²­ë‚˜ë¼ í™©ì œê°€ ì—¬ë¦„ì— ë”위를 피하고 정무를 처리하는 í”¼ì„œì‚°ìž¥é¿æš‘山庄(í˜¹ì€ ì—´í•˜í–‰ê¶ç†±æ²³çƒ­è¡Œå®«)ì´ ìžˆì—ˆë‹¤. 열하는 ì²­ë‚˜ë¼ ê±´ë¥­ì œì˜ 70세 ìƒì¼ì„ 축하하기 위해 ë°•ì§€ì›ì´ ì—°ê²½ì—서 방문했고, ê·¸ ì—°í–‰ 기ë¡ì¸ 《열하ì¼ê¸°ç†±æ²³æ—¥è¨˜ã€‹ëŠ” 당시 ì¡°ì„ ì—서 베스트셀러ì´ê¸°ë„ 했다. 유ë“ê³µì€ ê·¸ë¡œë¶€í„° 10ë…„ë§Œì¸ ê±´ë¥­ì œì˜ 80세 ìƒì¼ì— 예ìƒì¹˜ 않게 열하를 방문했고, 사행ë¡ì˜ ì œëª©ë„ ã€Šì—´í•˜ê¸°í–‰ì‹œì£¼ç†±æ²³ç´€è¡Œè©©è¨»ã€‹ë¼ í–ˆë‹¤(ë„1). 열하를 기행한 ì²´í—˜ì„ ì‹œè©©ë¡œ 표현하고, 주註(설명)를 ë§ë¶™ì¸ 것ì´ë‹¤. 세 번째는 54세 ë•Œì¸ 1801ë…„(순조 1) 주ìžì„œæœ±å­æ›¸ 선본善本(ë¯¿ì„ ë§Œí•œ ì±…)ì„ êµ¬í•´ì˜¤ë¼ëŠ” ëª…ì„ ë°›ê³ , ì—°ê²½ì„ ë‹¤ë…€ì™”ë‹¤. ì—°ê²½ì„ ë‘ ë²ˆì§¸ 다녀왔다는 ì˜ë¯¸ì—서 사행 기ë¡ì„ 《연대재유ë¡ç‡•臺å†éŠéŒ„》ì´ë¼ 했다.

ë„2 <열하행ê¶ì „ë„熱河行宮全圖>, 미국 국회ë„서관 소장
– ì „ê²½ì„ ìœ„ì—서 내려다보는 구ë„ì´ë©°, ì—´í•˜ì— ìžˆë˜ ì²­ì‹¤ì˜ í–‰ê¶(피서산장)ê³¼ ê¶ê¶, ì •ì›, 그리고 ì£¼ìœ„ì˜ ì‚¬ë¬˜å¯ºå»Ÿ ê±´ì¶• ë“±ì„ ìžì„¸ížˆ 묘사했다.

ì²­ë‚˜ë¼ ë¬¸ì‚¬ì™€ í™”ê°€ë“¤ê³¼ì˜ êµìœ 

유ë“ê³µì€ ìš°ë¦¬ë‚˜ë¼ ì‚¬ëžŒ 최초로 요서é¼è¥¿ 지방ì—서 만리장성 ë°–ì„ ì§€ë‚˜ 열하로 ê°”ë˜ 1790ë…„ ì‚¬í–‰ì„ ê°€ìž¥ ìžëž‘스러워했다. ì´ë•Œì˜ ì •ê²½ì„ ìœ ë“공과 ê°™ì´ ê²€ì„œê´€ ìƒí™œì„ 한 성해ì‘(æˆæµ·æ‡‰, 1760~1839)ì€ ë‹¤ìŒê³¼ ê°™ì´ íšŒìƒí–ˆë‹¤.

“ì¼ì°ì´ 초정(박제가)ê³¼ 사신으로 ê°€ 열하산장으로부터 계문薊門으로 들어갔다. 열하는 옛 유성柳城ì´ë‹¤. ë•…ì´ ë³€ë°©ì˜ ë°–ê³¼ 접하고 ì‚°ì²œì´ í™©ëŸ‰í•˜ê³  í’ì†ì„ ìŠëŠ” 노래가 강경하여 진실로 마ìŒì† ê¹Šì´ ë¹„ìž¥í•¨ì„ ëŠê»´ ê·¸ í¥ì·¨ë¥¼ 드러낼 수 있었다. 연燕(ì—°ê²½)ì— ë“¤ì–´ê°€ì„œëŠ” ì¤‘ì£¼ä¸­å·žì˜ ì´ë¦„난 선비 반정균潘庭筠, ì´ì •ì›æŽé¼Žå…ƒ, 나빙羅è˜ì˜ 무리가 ê³µì—게 ë§Žì´ ê¸°ìš¸ì–´ ì†ì„ 잡고 ì†ë§ˆìŒì„ 드러냈다. 회회回回, 몽고蒙å¤, ìƒë²ˆç”Ÿç•ª, 면전緬甸, 대만㙜ç£ì˜ 여러 바깥 오랑ìºëŠ” 형ìƒì´ ê´´ì´í•˜ê³  건장했다. ë˜ ë¬¸ìžë¡œ 토ì†åœŸä¿—ì„ ë°ížˆë‹ˆ, ë¬¸ìž¥ì´ ë”ìš± ìžìœ ë¡œì›Œì¡Œë‹¤.â€
– 《연경재전집ç¡ç¶“齋全集》권11, <유ë“ê³µì„ ì• ë„하는 글[柳惠甫哀辭]>

유ë“ê³µì€ ì—´í•˜ì™€ ì—°ê²½ì—서 ê·¸ê³³ì˜ ë¬¸ì‚¬æ–‡å£«ì™€ í™”ê°€ë“¤ì„ ë§Œë‚˜ êµìœ í–ˆë‹¤. 청나ë¼ì˜ ì´ë¦„난 ì„ ë¹„ë“¤ì´ ë„리어 ì†ë§ˆìŒì„ 드러낼 ì •ë„ë¼ëŠ” ë°ì„œ 유ë“ê³µì˜ í•™ì‹ê³¼ ì¸í’ˆì„ 알 수 있다. ì²­ë‚˜ë¼ ìµœê³ ì˜ í™”ê°€ì˜€ë˜ ë‚˜ë¹™(ç¾…è˜, 1733~1799)ì„ ë§Œë‚œ ê²ƒë„ ì´ë•Œì˜€ë‹¤.

ì–‘ì£¼íŒ”ê´´ì˜ í•œ 사람, 나빙

ã€Šì—´í•˜ê¸°í–‰ì‹œì£¼ã€‹ì˜ <나양봉羅兩峰> í•­ëª©ì— ë‚˜ë¹™ì— ëŒ€í•œ ì¼í™”를 ìžì„¸ížˆ 서술하고 있다. ë‚˜ë¹™ì˜ í˜¸ëŠ” 양봉兩峰ì´ë©° 강소성 양주부 사람ì´ë‹¤. ì Šì€ ì‹œì ˆ í’류를 ì¦ê¸°ë©° 놀았고, 만년ì—는 불êµë¥¼ 신봉하였다. 아들 윤찬å…çº˜ì„ ë°ë¦¬ê³  ìœ ë¦¬ì°½ì˜ ê´€ìŒê°ì— 얹혀 살았는ë°, 실ì˜ì— ë¹ ì ¸ 가련하였다. ì–‘ë´‰ì€ ìœ ëª…í•œ 양주팔괴æšå·žå…«æ€ªì˜ 한 ì‚¬ëžŒì¸ ê³ í•­å¤æ­ ê¹€ë†(金農, 1687~1764, 호는 ë™ì‹¬å†¬å¿ƒ)ì—게 ê·¸ë¦¼ì„ ë°°ì› ëŠ”ë°, 세ìƒì— 전하는 ë™ì‹¬ì˜ ê·¸ë¦¼ì˜ íƒœë°˜ì´ ì–‘ë´‰ì˜ ì†ì—서 나온 것ì´ë‹¤. ê·¸ì˜ ì•„ë‚´ ë™ì„±æ¡åŸŽ 방씨方æ°ë„ 시를 잘 지었고, 아들 ìœ¤ì°¬ì€ ì†Œë´‰å°å³°ì´ë¼ 불리며 ê·¸ë¦¼ì„ ìž˜ 그렸다고 한다.
유ë“ê³µì´ ë§í•˜ëŠ” 양주팔괴란 청대 ê°•í¬åº·ç†™(1662~1722) 중기로부터 건륭乾隆(1736~1795) ë§ë…„까지 ì–‘ìžê°• ì¸ê·¼ì˜ 양주æšå·ž 지역ì—서 활ë™í•œ í’ê²©ì´ ë¹„ìŠ·í•œ 8ëª…ì˜ í™”ê°€ ê¹€ë†, 정섭鄭燮, 황신黃愼, ì´ì„ æŽé±”, ì´ë°©ì‘æŽæ–¹è†º, 왕사신汪士愼, 나빙, ê³ ìƒé«˜ç¿”ì„ ë§í•œë‹¤(ì¼ë¶€ 다른 ì‚¬ëžŒì„ í¬í•¨í•˜ê¸°ë„ 한다). ì´ë“¤ì˜ 그림과 글씨는 보통 사람들과 달리 관습ì ì´ì§€ 않고 때로는 비íŒì ì´ì–´ì„œ ‘팔괴(8ëª…ì˜ ê´´ì§œ)â€™ë¼ í–ˆë‹¤.

ë„3 나빙, <귀취ë„鬼趣圖> 8í­ ì¤‘ 3í­ê³¼ 8í­, 종ì´ì— 수묵채색, í™ì½© éœå¯¶æ 소장
– 3í­(27.6×24.4ãŽ)ì€ ë¹¨ê°„ìƒ‰ ì˜·ì„ ìž…ì€ ì—¬ì¸ì´ ê²€ì€ ëª¨ìžë¥¼ ì“´ ì™¼ìª½ì˜ ë‚¨ìžì—게 기대어 비극ì ì¸ ì‚¬ëž‘ì„ ë‚˜ëˆ„ê³ , 높다란 모ìžì™€ ì˜·ì´ ëª¨ë‘ í°ìƒ‰ì¸ ê·€ì‹ ì´ ìš°ì‚°ì„ ë“¤ê³  부채를 í”들며 전송하는 모습ì´ë‹¤. 8í­(27.5×20.8ãŽ)ì€ ì‚°ë¹„íƒˆì˜ í•œë¦¼å¯’æž—ì— ë‘ êµ¬ì˜ í•´ê³¨ì´ ì´ì•¼ê¸°ë¥¼ 나누고 있다. 서 있는 í•´ê³¨ì€ ë†’ì€ ì‹ ë¶„, ì†ì„ 모아 ëª¸ì„ ìˆ™ì¸ í•´ê³¨ì€ ë‚®ì€ ì‹ ë¶„ì„ ì˜ë¯¸í•œë‹¤ê³  한다.

ë‚˜ë¹™ì˜ <귀취ë„>

유ë“ê³µì€ ë‚˜ë¹™ì´ <귀취ë„鬼趣圖>를 잘 그린다고 했다(ë„3). 귀취鬼趣는 불êµì—서 중ìƒì´ 윤회전ìƒí•˜ê²Œ ë˜ëŠ” 6가지 세계 ì¤‘ì˜ í•˜ë‚˜ì¸ ì•„ê·€ë„餓鬼é“ì— ìžˆëŠ” ìžì´ë©°, ì•„ê·€ë¼ê³ ë„ 한다. ë‚˜ë¹™ì€ í•´ê°€ 지면 거리가 귀신으로 ê°€ë“ ì°¨ë©°, 부유한 ì§‘ì¼ìˆ˜ë¡ ë”ìš± ê·€ì‹ ì´ ë§Žì´ ë³´ì¸ë‹¤ê³  했다. ê·€ì‹ ë“¤ì˜ ëª¨ìŠµì„ í†µí•´ ì‹ ë¶„ì— ë§¤ì—¬ 있는 ì¸ê°„ 사회를 표현하는 ê¸°ë²•ì€ ë‚¨ì†¡(å—宋, 1127-1279) ì´í›„ í’ì†í™”ì˜ í•œ 전통으로 ìžë¦¬ 잡아 청나ë¼ê¹Œì§€ ì´ì–´ì¡Œë‹¤. 18세기ì—는 기담소설奇談å°èªªì´ 유행하고, ê²½ì œì  ë¶€ë¥¼ ì¶•ì í•œ 양주 지역 소금 ìž¥ìˆ˜ë“¤ì˜ ì·¨í–¥ ë“±ì„ ë°°ê²½ìœ¼ë¡œ 귀추ë„와 ë˜ í•˜ë‚˜ì˜ ê·€ì‹  ê·¸ë¦¼ì¸ ì¢…ê·œë„é¾é¦—圖가 유행했다.
유ë“ê³µì€ <귀취ë„>ê°€ 매우 진기하고 ê´´ì´í•˜ë‹¤ 묘사했다. 그가 본 <귀취ë„>ì—는 ì›ë§¤Â·ê¸°ìœ¤ì„ 비롯하여 장사전(蔣士銓, 1725~1785), ì •ì§„ë°©(程晉芳, 1718~1784), 옹방강(ç¿æ–¹ç¶±, 1733~1818), 전대í”(錢大昕, 1728~1804) ê°™ì€ ë‹¹ëŒ€ì˜ ëª…ì‚¬ë“¤ì˜ ê¸€ì´ ë§Žì•˜ë‹¤. 현존 작품ì—는 ë°•ì œê°€ì˜ ê¸€ì„ í¬í•¨í•˜ì—¬ 127íŽ¸ì˜ ì œë°œé¡Œè·‹ì´ ì‹¤ë ¤ 있다.

유ë“ê³µì´ ë‚˜ë¹™ìœ¼ë¡œë¶€í„° ë°›ì€ ê·¸ë¦¼ë“¤

유ë“ê³µì€ ë‚˜ë¹™ì—게서 그림 ë‘ ì ì„ 받았다. 하나는 유ë“ê³µ ìžì‹ ì˜ ì´ˆìƒí™”ì´ë‹¤. 1790ë…„ì˜ ì—°í–‰ì— ë™í–‰í•œ 박제가와 유ë“ê³µì´ ë©°ì¹  ë§Œì— ë°©ë¬¸í•˜ë‹ˆ, 주ì¸ì€ 없고 첩帖 ì•ˆì— ê°€ì§€ê°€ êº¾ì¸ ë§¤í™”ë¥¼ ê³ë“¤ì¸ 유ë“ê³µì˜ ì´ˆìƒí™”ê°€ 있었다. ë‚˜ë¹™ì€ ë§ë¶™ì¸ 시ì—서 “옛 친구가 요즘 완전히 나를 소ì›ì‹œí•˜ë‹ˆ, ì´ ë§¤í™” 한 가지를 누구ì—게 보내줄까?â€ë¼ë©° 유ë“ê³µì´ í•œë™ì•ˆ ìžì‹ ì„ 찾지 ì•Šì€ ê²ƒì— ì•„ì‰¬ì›Œí•˜ë©° íˆ¬ì •ì˜ ë§ˆìŒì„ 표현했다. ë‚˜ë¹™ì´ ìœ ë“ê³µì„ ì–¼ë§ˆë‚˜ 막역하게 ìƒê°í•˜ê³  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현재는 ë‚˜ë¹™ì´ ê·¸ë ¤ì¤€ 유ë“ê³µì˜ ì´ˆìƒí™”는 전하지 않고, ë°•ì œê°€ì˜ ì´ˆìƒí™”ë§Œì´ ë‚¨ì•„ 있다.
유ë“ê³µì´ ë°›ì€ ë˜ í•˜ë‚˜ì˜ ê·¸ë¦¼ì€ ë‚œì´ˆë„蘭è‰åœ–였다. 유ë“ê³µì„ ìœ„í•´ ë‚œì„ ê·¸ë¦¬ê³  가시나무[棘]를 보탠 그림ì´ì—ˆë‹¤. 유ë“ê³µì— ë¹„ìœ í•œ 난초가 ì¢‹ì€ ì‚¬ëžŒì´ë¼ë©´ 가시나무는 ë‚˜ìœ ì‚¬ëžŒì„ ê¸°ë¦¬í‚¨ë‹¤. 유ë“ê³µê³¼ì˜ ì´ë³„ì„ ì•ˆíƒ€ê¹Œì›Œ 한 ë‚˜ë¹™ì€ ì£¼ë³€ì˜ ì‚¬ëžŒë“¤ì´ ëª¨ë‘ ê°€ì‹œë‚˜ë¬´ ê°™ì€ ê²ƒì„ í•œíƒ„í–ˆë‹¤. 유ë“ê³µì´ ì–‘ìžê°• 남ë¶ìœ¼ë¡œ ë‚˜ë¹™ì˜ ë§ˆìŒì— 맞는 ì‚¬ëžŒì´ ìžˆì„ ê²ƒì´ë¼ 위로했지만, ë‚˜ë¹™ì€ ê³ ê°œë¥¼ 가로 저었다. 난초ë„를 사ì´ì— ë‘ê³  ì¡°ì„ ê³¼ ì²­ì˜ ìµœê³  ì§€ì‹ì¸ì´ ì´ë³„ì„ ì•„ì‰¬ì›Œí•˜ëŠ” ì •ê²½ì´ í•œ í­ì˜ ê·¸ë¦¼ì„ ë³´ëŠ” 듯하다.

ë„4 안기 소장품ì´ì—ˆë˜ ë™ì›(è‘£æº, ?~962)ì˜ <소ìƒë„瀟湘圖>, 견본채색, 50×141.4ãŽ, 北京故宫åšç‰©é™¢ 소장
– 안기 수장 ì´í›„ ì²­ 황실ì—서 소장, 마지막 황제 ë¶€ì˜å‚…儀가 장춘長春으로 가지고 갔으며, ê·¸ 후 민간으로 í˜ëŸ¬ê°”다. 1952ë…„
ê²½ 중국 화가 장대천(張大åƒ, 1899~1983)ì´ ì¤‘êµ­ ì •ë¶€ì— ê¸°ë¶€í•˜ê³ , 1959년부터 ê³ ê¶ë°•물ì›ì´ 소장하고 있다.

ì¡°ì„  ì¶œì‹ ì˜ ì²­ë‚˜ë¼ ìµœê³ ì˜ ìˆ˜ìž¥ê°€, 안기

유ë“ê³µì€ ë‚˜ë¹™ì˜ ì²˜ì†Œì—서 그가 소장하고 ìžˆë˜ ë‹¹ë‚˜ë¼ í™”ê°€ 한황(韓滉, 723~787)ì˜ <회골무녀ë„回鶻舞女圖>를 보았다. íšŒê³¨ì€ íšŒíšŒå›žå›žë¼ê³ ë„ 하며 오늘날 위구르족ì´ë‹¤. ë¬´ë…€ë„ ì†ì˜ ì—¬ì¸ì€ 뾰족한 모ìžë¥¼ ì“°ê³  ë³€ë°œì„ í•˜ì˜€ìœ¼ë©°, 구슬과 비취로 머리를 장ì‹í•˜ê³  있었는ë°, ìžëª» ì¡°ì„ ì˜ ì—¬ì¸ ê°™ì•˜ë‹¤. 아름다운 ëª¨ì§ ì˜·ì„ ìž…ê³  화려하게 춤추는 ìžíƒœê°€ 요염하고 고왔지만, 목ëœë¯¸ê°€ 지나치게 굵게 보였다. ê·¸ëŸ°ë° ì¶•è»¸ ëë¶€ë¶„ì— ìžˆëŠ” ‘조선안씨æœé®®å®‰æ°â€™ë¼ëŠ” ë‚™ê´€ì„ ë°œê²¬í•˜ê³ , 나빙ì—게 ë“¤ì€ ì´ì•¼ê¸°ë¥¼ ã€Šì—´í•˜ê¸°í–‰ì‹œì£¼ã€‹ì— ê¸°ë¡í–ˆë‹¤.

“안씨는 옹정(雿­£, 1723~1735) ì—°ê°„ì˜ ì‚¬ëžŒìœ¼ë¡œ, 형제 ë‘ ì‚¬ëžŒ 중 í˜•ì˜ ì´ë¦„ì€ ê¸°æ­§ì´ê³  호는 녹촌麓æ‘ì´ë©° ëŒ€ì™•ë¶€ä»£çŽ‹åºœì— ìžˆë‹¤ê°€ 양주로 와서 소금 ì¼ì„ 했다. ê·¸ ì‚¬ëžŒì€ ì•„ì£¼ ê³ ìƒí•œ 취미가 있어 ìˆ˜ìž¥í’ˆì´ ë§¤ìš° í’부하였고, 언젠가 ì§€ê¸ˆì˜ í™©ìƒ(건륭제)ì—게 서화를 바치고 백금 1천 ëƒ¥ì„ í•˜ì‚¬ë°›ì•˜ë‹¤. 본래 ì¡°ì„  사람 계통ì¸ë° ì–´ëŠ ê³³ì„ í†µí•´ ì¤‘êµ­ì— ë“¤ì–´ì™€ ì™•ë¶€çŽ‹åºœì— ë‚˜ì•„ê°„ 것ì¸ì§€ 알지 못한다. 실로 ìžì„¸ížˆ 알 수 없다. ì˜¤ëž˜ì „ì— ì´ë¯¸ 세ìƒì„ 떠났고, ë˜í•œ ìžì†ë“¤ì´ 몰ë½í•˜ì—¬ 다시 아취를 지니지 못하였다.â€

위 ë‚´ìš©ì€ ì•ˆê¸°ë¼ëŠ” ì¸ë¬¼ì„ ì¡°ì„ ì— ì†Œê°œí•œ ìµœì´ˆì˜ ê¸°ë¡ì´ë‹¤. 안기(安å², 1683~?)는 ìžë¥¼ ì˜ì£¼å„€å‘¨, 호는 녹촌 í˜¹ì€ ì†¡ì²œë…¸ì¸æ¾æ³‰è€äººì´ë¼ 했다. 소금 장사로 청대 최고 갑부가 ë˜ì–´ 천진天津 ì§€ì—­ì— ì„¸ìš´ ê°œì¸ ì›ë¦¼åœ’æž—ì—서 ì²œí•˜ì˜ ìœ ëª… 문ì¸ë“¤ê³¼ êµë¥˜í–ˆë‹¤. ê·¸ ì¼ê°€ëŠ” 대략 병ìžÂ·ì •묘호란 전후로 í¬ë¡œ í˜¹ì€ ì¡°ê³µ ì‚¬ì‹ ì˜ ì¼í–‰ìœ¼ë¡œ 청나ë¼ì—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기는 역대 유명 서화를 수집하고 《묵연휘관墨緣彙觀》(1742)ì´ë¼ëŠ” ìžì‹ ì˜ ì†Œìž¥í’ˆì„ ì†Œê°œí•˜ëŠ” ì±…ì„ ì €ìˆ í•˜ê¸°ë„ í–ˆë‹¤. ê·¸ì˜ ì‚¬í›„ 수장품 중 건륭제 ì–´ë¶€å¾¡åºœì— ì§„ìƒëœ ê²ƒì€ ì²­ 황실 서화 ìˆ˜ìž¥í’ˆì˜ ì¤‘ìš”í•œ ì¼ë¶€ê°€ ë˜ì—ˆë‹¤.
유ë“ê³µì˜ ã€Šì—´í•˜ê¸°í–‰ì‹œì£¼ã€‹ì—는 ì²­ë‚˜ë¼ ìµœê³ ì˜ í™”ê°€ ë‚˜ë¹™ì„ ë¹„ë¡¯í•œ ì²­ë‚˜ë¼ ë¬¸ì‚¬ë“¤ê³¼ì˜ ì •ë‹´ì´ ì‹¤ë ¤ 있다. ë‚˜ë¹™ì˜ <회골무녀ë„>를 통해 알게 ëœ ì¡°ì„  출신 수장가 ì•ˆê¸°ì— ëŒ€í•´ì„œë„ í° ê´€ì‹¬ì„ ê°€ì¡Œë‹¤. 유ë“ê³µì€ ê·¸ë¦¼ì„ ì½ê³  꼼꼼히 기ë¡í–ˆë‹¤.

[참고문헌]
유ë“ê³µ,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옮기고 ì—®ìŒ, 《열하를 여행하며 시를 짓다–熱河紀行詩註》, 2010, 휴머니스트
최ì—스ë”, <ç¾…è˜(1733~1799)ì˜ <鬼趣圖> 연구>, 《美術å²å­¸ç¡ç©¶ã€‹ 300, 2018
黃晶淵, <『墨緣彙觀ã€ì„ 통해 본 安å²ì˜ æ›¸ç•µæ”¶è— í™œë™>, 《明淸å²ç¡ç©¶ã€‹ 17, 2002
ìž„ìƒì„ , ã€Šì¡°ì„ ì˜ ì—­ì‚¬ 전문 외êµê´€, 유ë“공》, ë™ë¶ì•„역사재단, 2021


ìž„ìƒì„  | ë™ë¶ì•„역사재단 명예연구위ì›
í•œêµ­í•™ì¤‘ì•™ì—°êµ¬ì› í•œêµ­í•™ëŒ€í•™ì›ì—서 ì„·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시립미술관, ì„œìš¸ì—­ì‚¬ë°•ë¬¼ê´€ì„ ê±°ì³ ë™ë¶ì•„역사재단 연구위ì›ìœ¼ë¡œ
재ì§í–ˆìœ¼ë©° 현재 ë™ë¶ì•„역사재단 명예연구위ì›ì´ë‹¤.
저서로 <ì¡°ì„ ì˜ ì—­ì‚¬ 전문 외êµê´€, 유ë“ê³µ> <발해사 바로ì½ê¸°>
<ë™ì•„ì‹œì•„ì˜ ì—­ì‚¬ ë¶„ìŸ> ë“±ì´ ìžˆ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