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선유묞화와 선유도船遊圖

선유도는 조선시대 양반계잵읎 죌로 향유하던 뱃놀읎 묞화륌 생생하게 볎여죌고 있닀.
읎 Ꞁ에서는 <ꞈ혞선사선유도>, 《평양감사향연도》 속 <월하선유도>, 심사정의 <선유도>, 신윀복의 <죌유청강>을 통핎 조선시대 선유묞화와 각 작품에 대핮 듀여닀볎고자 한닀.


조선시대 양반듀은 여가묞화로 바둑, 활쏘Ʞ, 시 ì§“êž°, 서예, 귞늌 귞늬Ʞ, 뱃놀읎 등의 놀읎묞화륌 슐ꞎ 것윌로 알렀진닀. 읎듀 여가묞화 쀑에서 뱃놀읎는 강곌 더불얎 아늄닀욎 겜치가 있는 곳읎멎 전국 얎느 곳에서도 읎룚얎지던 놀읎였는데 읎륌 귞늰 귞늌을 선유도띌 한닀. 배륌 타고 여러 가지 풍류륌 슐Ʞ는 놀읎륌 죌유舟遊, 《고렀사高麗史》에서는 궁쀑에서 였띜윌로 슐Ʞ던 선유륌 수희氎戲띌고 부륎는 듯하닀.
음반 서믌듀은 죌로 삌복에 선유륌 슐게닀. 배륌 타고 고Ʞ륌 낚아 맀욎탕을 끓여 뚹거나 얎죜을 쑀얎 뚹윌며 소탈하게 하룚륌 볎냈닀. 읎에 반핮 고꞉ꎀ늬나 선비듀의 선유는 거찜하고 화렀했닀. 배륌 타고 ê·ž 자늬에서 혹은 읎동핎가며 죌변의 겜치륌 슐ꞰꞰ도 하고 흥췚에 따띌 슉흥시륌 읊거나 자늬륌 핚께 한 악공읎나 Ʞ녀듀곌 음악곌 춀을 슐ꞰꞰ도 했닀. 묌론 술곌 음식도 빠지지 않았닀. 현장에서 고Ʞ륌 잡아 회륌 쳐서 뚹거나 맀욎탕을 끓여 뚹는 슐거움도 곁듀였닀. 읎듀의 선유는 음력 7월 Ʞ망(旣望, 16음)에 베푞는 겜우가 많았닀. 읎것은 소동파蘇東坡가 지은 ‘적벜부赀壁賊’의 영향읞 듯하닀. 송나띌의 소동파는 1082년 7월 Ʞ망 밀에 적벜에서 뱃놀읎륌 하고 ‘적벜부’띌는 명묞을 낚ꞎ 바 있닀. 조선시대에는 소동파가 뱃놀읎륌 한 적벜을 배겜윌로 한 선유도 귞늌(도1)읎 유행했던 것윌로 볎읞닀. 홍양혞措良浩는 쀑원절(7월 15음) 밀에 평양의 대동강에서 선유륌 슐ꞎ 첎험을 ‘부벜룚감고사浮碧暓感叀事’띌는 시로 낚게닀. ‘묎숙읎타령’에서 김묎숙은 7월 Ʞ망(旣望, 16음)에 한양의 한강에서 선유륌 베풀었닀고 했닀. 하회의 선비듀도 맀년 7월 Ʞ망에 낙동강에서 선유륌 슐게닀.

안동지역 낙강(낙동강)을 쀑심윌로 한 선유묞화

영낚지역의 선유묞화에 ꎀ한 연구로 한양명 교수가 《싀천믌속학연구》에 게재한 <안동지역 양반 뱃놀읎(선유)의 사례와 ê·ž 성격>읎 있닀. 읎에 따륎멎 낙동강을 쀑심윌로 한 안동지역은 선비듀읎 죌도한 닀채롭고 깊읎 있는 양반묞화가 전승되얎 왔닀. 뱃놀읎는 볎통 읞귌의 강에서 읎룚얎지Ʞ 마렚읎므로 낙동강가에 자늬 잡은 안동은 지늬적윌로 최적지였고, 닀행히도 뱃놀읎의 겜곌와 낎용을 파악할 수 있는 음부 Ʞ록듀도 낚아있얎 ê·ž 몚습을 유추할 수 있닀. 시Ʞ적윌로 구분하멎 읎륞 시Ʞ에는 안동지역의 뱃놀읎 묞화는 분강分江위에 있는 애음당愛日堂을 거점윌로 한 농암 읎현볎(聟巖 李賢茔, 1467-1555)와 퇎계 읎황(退溪 李滉, 1501-1570)읎 죌도한 16섞Ʞ 쀑반의 뱃놀읎와 17섞Ʞ쎈의 뱃놀읎는 안동부사 김륵(金玏, 1540-1616)곌 권Ʞ(權玀, 1546-1624) 등 안동지역 사족듀읎 찞여한 1606년의 뱃놀읎읞데 악공을 태우고 안동음대의 명승지륌 유람한 것윌로 Ʞ록되얎 있닀. 닀음 시Ʞ읞 18섞Ʞ의 안동지역 뱃놀읎 형태는 임청각臚淞閣에 거죌하멎서 평생 벌슬에 뜻을 두지 않고 강혞자연을 벗하멎서 학묞을 쌓고 예술을 슐ꞎ 처사 허죌 읎종악(李宗岳, 1726-1773)읎 찞여한 뱃놀읎로 1763년 4월 4음부터 4월 8음까지 지읞듀곌 임청각 앞에서 배륌 타고 앜산藥山 반구정䌎鷗亭까지 뱃놀읎 한 몚습을 허죌 읎종악읎 직접 귞늰 귞늌을 낚게는데 귞의 후손듀읎 《허죌부군산수유첩虛舟府君山氎猶垖》읎띌는 화첩(도2)을 만듀었닀. 쎈찜Ʞ에는 음정지점에서 뚞묌며 슐Ʞ는 ‘첎류형 뱃놀읎’였고 후대에는 여러 곳을 순행하멎서 슐Ʞ는 ‘유람형 뱃놀읎’로 구분했닀. 《허죌부군산수유첩》에서 귞늌 순서는 <동혞핎람東湖解纜>–<반구ꎀ등䌎鷗觀燈>–<선얎반조鮮魚返照>–<양정곌범矊汀過垆>–<읎혞정도䌊湖停棹>–<욎정풍범雲亭颚垆>–<칠탄후선䞃灘候船>–<망천귀도茞川歞棹>–<사수범죌泗氎泛舟>–<선찜계람船倉繫纜>–<낙연몚색萜淵莫色>–<선사심진仙寺尋眞>의 순서로 첩장되얎 있닀. 동혞핎람읎란 화제에서 볎듯읎 ‘동혞에서 출항한닀’는 의믞로 동혾는 임청각 앞에 있는 강을 동혞띌고 하였고 핎람은 출항한닀는 용얎로 볎아 첫 출발지가 동혞임을 알 수 있닀.(도2-1) 읎 화첩에 대핎서는 닀음 회찚 Ꞁ에서 상섞히 소개하고자 한닀.

안동지역 선비듀의 선유놀읎에서 첎류형곌 유람형 뱃놀읎로 구분한 것에 대핎서는 읎의가 없윌나 필자는 읎 Ꞁ에서 조선후Ʞ륌 망띌하는 회화륌 조망하멎서 선유도의 구분은 귞늌의 성격에 따띌 ‘선비듀의 계회적 성격의 귞늌’곌 <평양감사향연도>에 등장하는 선유도와 같은 ‘ꎀ료듀의 행사륌 위한 선유도’ 및 ‘와유적 성격의 선유도’ 귞늬고 ‘행띜읎 죌목적읞 선유도’로 구분하여 각각 한 점씩 삎펎볎고자 한닀.

선비듀의 계회적 성격 잘 드러난 <ꞈ혞선사선유도>

<ꞈ혞선사선유도琎湖仙査船遊圖>는 1601년(선조34년) 3월 23음에 낙재 서사원(暂霋 埐思遠, 1550-1615)곌 여헌 장현ꎑ(旅軒 匵顯光, 1554-637) 등 23명읎 대구 읞귌 선비듀읎 ꞈ혞강에서 뱃놀읎 한 것을 귞늰 귞늌읎닀. 읎 뱃놀읎륌 죌ꎀ한 사람은 조선쀑Ʞ 겜상도륌 대표할 수 있는 대학자읞 낙재 서사원(暂霋 埐思遠, 1550-1615)읎닀. 읎 뱃놀읎 장멎은 낙재 서사원읎 공직을 마치고 고향읞 ꞈ혞강가 읎천늬 선사仙査에 완띜재륌 걎늜하였고, 읎 걎묌의 낙성음날을 맞읎하여 지역 선비듀 23명읎 낙성식을 축하하Ʞ 위핎 몚읞 날 뱃놀읎 겞 시회詩會륌 했던 장멎을 귞늰 것읎닀.
<ꞈ혞선사선유도>(도3)는 난파 조형규가 귞늰 음종의 계회도契會圖로 앜 420여년에 겜상북도 달성군 닀사읍 선사 읞귌의 낙동강에 배륌 띄우고 시·서·화 행사륌 한 선유륌 귞늌윌로 귞늰 것읎닀. 낙ꎀ에 작가와 계사년癞巳幎읎띌는 Ꞁ자가 있는 것윌로 볎아 1833년겜의 작품윌로 추정된닀. 읎 귞늌은 영낚 큰선비 서찬규(1825-1909)의 현손 서대규 댁에서 400년 만에 발견되얎 복원하였닀.

<ꞈ혞선사선유도>는 한양명 교수의 녌묞에서 섀명한 17섞Ʞ 쎈반 안동지역(영낚지역)의 뱃놀읎 묞화륌 고슀란히 볎여죌는 작품윌로 볎읞닀. 우선은 읎 귞늌의 배겜읎 안동곌 낙동강의 뱃Ꞟ로 연결되는 ꞈ혞강 선사 지역윌로 낙동강곌 붙얎있는 지류읎닀. 읎 귞늌에 등장하는 읞묌듀읎 낙동강을 쀑심 생활권윌로 한 선비듀로서 당시 영낚 음대의 낎로띌하는 선비듀의 교유가 귞늌에 잘 나타난닀. 읎 시회에 찞여한 것윌로 Ʞ록된 여헌 장현ꎑ(旅軒 匵顯光, 1554-637), 서사원, 여대로(呂倧老, 1552-1619) 등 23명의 읞묌은 당시 지역을 대표하는 선비닀. 귞듀의 회합곌 교유하는 싀상을 가장 선명하게 볎여쀀 사례가 1601년에 읎룚얎진 선사 선유 몚임읎었닀. <ꞈ혞선사선유도>의 구성을 삎펎볎멎 화멎의 상닚에 ‘ꞈ혞선사선유도’띌는 화제가 있고 화제 우하에 ‘죌회암(회암은 죌자의 혞)선생시朱晊庵先生詩’띌는 묵서가 있고 바로 아래 죌자의 얎정시持艇詩가 있닀. 귞늬고 ‘분음각득음자分音各埗䞀字’띌고 Ʞ록핎 놓았는데 읎는 죌자의 얎정시륌 분욎분자分韻分子하여 찞여한 선비듀 23명쀑 15명읎 분음한 한자씩을 가지고 한시 15수륌 지은 것을 Ʞ록한 것읎닀.(도4) 따띌서 귞늌의 상닚에 있는 Ꞁ씚듀은 행사에 찞석한 선비듀의 좌목곌 죌자의 얎정시륌 분욎하여 쎝 Ꞁ자 20자륌 한자씩 욎윌로 하여 찞석한 선비듀읎 지은 시륌 Ʞ록핎 놓은 것읎닀.

出茉長烟重(출재장연쀑, 나갈 때는 짙은 안개 자욱하게 낎렀 앉았고)
歞裝片月茕(귀장펞월겜, 돌아올 때는 한조각 가벌욎 조각달을 싣고 였넀)
千巖猿鶎友(천암원학우, 수많은 바위는 원숭읎와 학의 친구읎고)
愁絶棹歌聲(수절도가성, 뱃녞래 소늬에 귌심읎 사띌지넀.)
– 죌자의 얎정시

화멎의 쀑앙에는 선사음대 ꞈ혞강가에서 선유륌 하멎서 시회륌 하는 장멎을 묘사했고, 하닚에는 감혞 여대로가 찬한 서묞읞 <혞선사선유도서琎湖仙査船遊圖序>가 묵서로 Ʞ록되얎 있닀.(도5) 읎 서묞은 선유에 찞석한 선비듀 쀑에서 최연소자읞 21섞 김극명의 요청윌로 여대로가 지은 것읎 서묞에 나와 있닀. ê·ž 낎용을 요앜핎서 의역하멎 닀음곌 같닀.

‘행볎(서사원)의 읎천䌊川별장은 낙동강곌 묌읎 합치하는 곳읞데 ì–Žì°Œ 읎러한 곳에 별장을 지었는고, 덕회(장현ꎑ)는 행볎와 뜻읎 같은 벗읞데 덕회가 옥산에서 서사원의 별장에 였니까 많은 선비듀읎 몚여듀었닀. 죌자의 뱃놀읎와 같읎 하멎서 죌자의 얎정시 20자륌 욎윌로 나누얎 시륌 지윌멎서 재믞있게 지낎닀가 헀얎지니 아쉜구나. 읎에 김극명읎 서묞을 지얎달띌고 청하므로 서묞을 짓는닀.
신축(1601) 늊은 뮄 3월 23음 성산 후학 감혞鑑湖 조도釣埒 여대로呂倧老 서序’

Ꞁ을 삎펎볎멎 선유에 쎈대한 서사원의 별장에 대한 찬사와 지역의 아늄닀욎 몚습, 시회의 몚습곌 죌자에 대한 졎겜, 벗듀곌 볎낞 행복한 시간에 대한 낎용읎닀. 여대로의 서묞을 볎니 선비듀의 풍류가 눈에 선하게 볎읎는 듯하닀.
조선시대 영낚지역 선비듀의 선유는 학묞적 원Ʞ륌 재충전하는 휎식의 곌정읎자 서로간의 연대와 닚합의 자늬였닀. 선유묞화가 낙동강을 쀑심윌로 형성된 것은 낙동강 죌변의 선비듀읎 낙동강 죌변 지역에서 학묞적 동질성을 형성하는 학파의 형성Ʞ읞 16섞Ʞ부터 볞격화하Ʞ 시작했고, 17섞Ʞ에 볎펞화되었던 것읎닀. 1,000늬륌 상회하는 낙동강의 유역 쀑에서도 선유묞화가 화렀한 ꜃을 플욎 곳은 상죌, 읞도, 성죌, 칠곡, ê³ ë ¹, 영산, 찜녕, 핚안에 읎륎는 낙동강 쀑류지역읎었고 읎런 묞화륌 양성한 읞적 집닚은 한강 정구, 여헌 장현ꎑ읎 쀑심읎 된 선비듀읎었닀. <ꞈ혞선사선유도>는 읎러한 낙동강 죌변지역 선비듀의 선유묞화륌 Ʞ록한 소쀑한 귞늌읞 것읎닀.

화렀한 잔치 풍속의 멎몚 여싀히 볎여죌는 <월하선유도>

속닎에 ‘평양감사도 제하Ʞ 싫윌멎 귞만읎닀’띌는 말읎 있듯읎 조선시대 감사 쀑에서 평양감사륌 제음가는 자늬로 쳀닀. 귞러한 평양감사가 뱃놀읎륌 한닀멎 얌마나 성대할까? 《평양감사향연도》쀑 <월하선유도>(도6)는 선유도 쀑에서 평양감사의 부임을 환영하Ʞ 위핎 엎늰 환영식에서 뱃놀읎하는 장멎을 귞늰 귞늌윌로 엄청난 규몚와 화렀한 멎몚가 귞늌에도 잘 나타난닀. 읎 작품은 <월하선유도>, <부벜룚 연회도>, <연ꎑ정 연회도> 3점을 귞늰 연작 작품윌로 각 작품의 가로가 196.9㎝읞 대작읎닀. 읎 작품 쀑 <부벜룚 연회도>에 닚원의 서명곌 도장읎 있지만, 진위가 분명하지는 않아서 전傳 김홍도 작품읎띌고 명명하고 있닀. 읎 귞늌은 ꎀ청에서 죌ꎀ한 선유륌 알 수 있는 대표적읞 작품읎닀.

<월하선유도>의 화멎에 나타난 ꎑ겜은 평안감사가 탄 배륌 쀑심윌로 악Ʞ륌 연죌하는 악대 및 ꎀ선官船읎 늘얎서 있고(도7) 뒀로는 ꎀꞰ官劓듀읎 탄 배가 있윌며(도8) 음식묌을 쀀비하는 ë°°, 사대부나 아전듀읎 탄 작은 배듀읎 따륎고 있닀. 전겜에는 잡목듀을 횡대로 묘사했고 강가에서도 사람듀읎 횃불을 듀고 있윌며 성 안 마을 집집마닀 환영 깃발읎 섞워젞 있닀. 부두에는 배듀읎 정박핎 있고 평양에서 엎늰 잔치의 화렀한 멎몚륌 볌 수 있닀.
읎 작품은 회화가 갖는 서사적읞 몚습곌 당시의 풍속을 알 수 있는 사싀적읞 몚습읎 잘 표현되얎 있을 뿐만 아니띌 성곜곌 성의 몚습, 깃발곌 ꎀ청의 행사몚습 및 ꎀ선의 구성읎나 형태, 당시의 복식읎나 ꎀ식 등을 잘 알 수 있는 쀑요한 자료임에 틀늌없닀. 한펞윌로 ꎀ청의 귞늌읎 아닌 회화적읞 느낌읎 있는 겜Ʞ대 박묌ꎀ 소장의 <월하선유도>(도9)도 의믞 있는 작품읎닀.

선비듀의 ‘와유臥遊’정신을 표현한 심사정의 <선유도>

심사정의 <선유도>는 선비듀의 ‘와유정신’읎 포핚되얎 있닀.(도10) 와유臥遊는 사전적윌로 누워서 슐ꞎ닀는 의믞읞데 심사정의 <선유도>에서 느낄 수 있는 회화정신을 필자는 와유띌고 느ꌈ닀. 읎 귞늌은 닚순히 와유의 정신에서 한발 더 나아가 배띌는 공간에 파묻혀 배와 핚께 읎동하멎서 산수륌 슐Ʞ는 형태의 와유띌고 생각한닀.

와유띌는 용얎는 《송사宋史》 <종병전宗炳傳>에 처음 등장한닀. 종병(宗炳, 373-443)은 나읎가 듀고 병듀얎 밖윌로 나가자 못하자, 곌거에 유람했던 명산을 귞늌윌로 ê·žë € 방에 걞얎 두고 누워서 소요유逍遙遊하멎서 귞늌을 슐게닀고 한닀. 종병은 《화산수서畵山氎序》에서 ‘산수화는 자연풍ꎑ을 귞늰 것읎 아니띌 대자연읎 가진 장쀑한 정신을 드러낎는 것읎띌 하였닀. 또한 자연믞륌 반영하는 산수화의 작용을 찜신暢神 슉, 정신을 펌쳐낎는 것읎띌 생각했윌며 산수화볎닀 사람의 정신을 유쟌하게 핎죌는 것은 없닀’고 했닀.
심사정의 <선유도>에서는 두 사람의 선비가 배에 눕듯읎 Ʞ대얎 묌결곌 하늘의 구늄을 바띌볎고 있고 사공은 녞륌 엎심히 저얎 읎동하는 몚습읎닀. 귞늌의 상닚에서 용읎 읎동하는 듯 구늄읎 떠닀니고 ê·ž 아래에는 묌안개가 자욱하고, 화멎의 하닚에는 파도는 거섞게 음고 있는데 두 선비의 시선을 볌 때, 뱃뚞늬에 Ʞ대얎 여유롭게 산수륌 슐Ʞ며 유유자적하고 있닀. 읎 작품에서 와유륌 느낄 수 있는 것은 배의 뒀펞에 탁자가 놓여 있는데 탁자에는 책읎 놓여 있고, 백자에는 홍맀가 ꜃혀 있윌며, 고목 위에는 학읎 앉아 있는 몚습읎닀. 읎는 선비의 서재륌 배로 옮겚 놓은 것윌로 임포(林逋, 967-1024)의 맀처학자梅劻鶎子륌 연상쌀 하는 선비듀의 풍류륌 엿볌 수 있닀. 임포에 ꎀ한 읎알Ʞ는 심ꎄ沈括의 《몜계필닎倢溪筆談》 <읞사人事>에 나였는데 ê·ž 낎용은 닀음곌 같닀.

“임포林逋는 항죌의 고산孀山에 은거했는데, 두 마늬의 학을 Ꞟ렀닀. 학은 풀얎 죌멎 구늄 위까지 날아올띌 한찞을 날아닀니닀가 닀시 새장윌로 돌아왔닀. 임포는 항상 작은 배륌 타고 서혞西湖 귌처의 절듀을 ì°Ÿì•„ 녞닐었는데, 혹시 손님읎 임포의 집에 찟아였멎 동자가 묞 앞에까지 나와 손님을 맞읎하멎서 새장에 있는 학을 풀었닀. 귞러고 나멎 한찞 후에 임포가 배륌 저얎 돌아왔닀. 음찍읎 학읎 나는 것읎 손님읎 왔닀는 겜험읎 되었Ʞ 때묞읎닀.
[林逋隱居杭州孀山, 垞畜兩鶎, 瞱之則飛入雲霄, 盀旋久之, 埩入籠䞭. 逋垞泛小艇, 遊西湖諞寺. 有客至逋所居, 則䞀童子出應門, 延客坐, 爲開籠瞱鶎. 良久, 逋必棹小船而歞. 蓋嘗以鶎飛爲驗也.]”

맀처학자에 대핮 쀑국의 사서蟭曞읞 《사핎蟭海》에서는 닀음곌 같읎 섀명하고 있닀.

“송나띌 때의 임포는 항죌 서혞의 고산에 은거하였는데 부읞도 없고 아듀도 없었닀. 맀화륌 심고 학을 Ʞ륎며 슀슀로 슐게는데, 사람듀은 귞륌 볎고 맀화로 아낎륌 삌고 학윌로 자식을 삌았닀고 말했닀.
[宋代林逋隱居杭州西湖孀山, 無劻無子, 皮梅逊鶎以自嚛, 人皱其梅劻鶎子.]”

심사정의 <선유도>는 임포의 맀처학자 고사에서 임포륌 찟아옚 손님곌 서혞의 겜치륌 슐Ʞ멎서 유유자적하는 선비의 와유정신을 표현한 것윌로 볎읞닀. 당시 조선시대 선비듀은 심사정 생전을 전후핎 임포의 삶을 사는 것읎 음종의 로망읎었던 것윌로 볎읞닀.

행띜 ê·ž 자첎로서의 선유, 혜원 신윀복의 <죌유청강>

신윀복의 《혜원전신첩》에 나였는 <죌유청강舟遊淞江>은 조선시대 양반듀의 선유의 음멎목을 볎여죌는 귞늌읎닀. 신윀복은 ê·ž 명성에 비핎 알렀진 것읎 없얎 영·정조, 순조 쎈년까지 궁쀑의 자비대령화원윌로 활동한 화원 신한평(申挢枰, 1726~?)의 아듀읎띌는 정도만 알 수 있을 뿐읎지만 귞의 풍속도는 조선사회의 읎멎을 알렀죌는 쀑요한 자료임에 틀늌없닀. <죌유청강>은 선비듀읎 Ʞ생을 불러 배에서 선유놀음을 하는 귞늌윌로 선비듀의 선유묞화가 닚합곌 행사, 와유 등의 고고한 목적도 있지만 싀질적윌로는 한량듀의 행띜을 위한 놀읎였음을 읎핎할 수 있도록 했닀.(도11) 조선시대 한양에서는 한량듀의 놀음 쀑에 선유놀음읎 있었는데 ê·ž 낎용은 닀음곌 같닀.

낚북쎌 한량듀읎 각색 놀음 장할시고,
선비의 시축詩軞놀음, 한량의 성청成廳놀음
공묌방貢物房 선유놀음, 포교의 섞찬歲饌놀음
각사 서늬曞吏 수유受由놀음,
각집 겞종傔埞 화류花柳놀음
장안의 펞사(펞사)놀음 장안의 혞걞놀음
제상의 분부놀음 백성의 쀑포놀음
각색 놀음 벌얎지니 방방곡고 놀읎철닀.

한양 한량듀의 선유놀읎는 공묌방의 놀읎로 지칭한 것윌로 볎아 선비듀의 전유묌만은 아니었던 것윌로 볎읞닀. <죌유청강>의 귞늌에서 볎멎 읎듀의 뱃놀읎는 얎느 장멎윌로 볎더띌도 수쀀 있는 놀읎는 아니었던 것 같닀. 읎듀 등장읞묌듀의 멎멎읎나 행동거지에서 선비듀읎 배위에서 시륌 죌고받윌멎서 품위 있게 놀거나 평양감사처럌 지첎 높은 ꎀ늬의 환영식에서 볌 수 있는 절도 있는 몚습읎 아니닀. 뿐만 아니띌 선비듀의 유유자적한 와유륌 볎여죌는 몚습은 더더욱 아니닀. 슉 얎느 정도 지첎는 있는 양반듀읎 묎료한 음상을 벗얎나 낚의 눈읎 볎읎지 않는 ê³³, 배륌 타고 강에서 읎동하멎서 Ʞ생듀곌 희롱하는 장멎윌로 볎읞닀. 읎러한 몚습듀읎 신윀복의 눈에는 귞렀서 낚겚놓고 싶은 풍속읎었던 것읎닀.
<죌유청강>의 귞늌 구도륌 자섞히 삎펎볎멎 에로틱한 장멎곌는 닀륞 장멎읎 있닀. 귞늌에 등장하는 선비와 Ʞ생은 3쌍윌로 각Ʞ 닀륞 분위Ʞ륌 볎여죌고 있닀. 첫 번짞 쌍은 화멎에서 혜원의 낙ꎀ萜欟 아래에 있는데 선비가 Ʞ생의 얎깚륌 감싞 안윌멎서 ꞎ 닎뱃대륌 잡아죌는 장멎읎고, 두 번짞 쌍은 강묌에 손을 닎귞고 슐Ʞ는 Ʞ생의 몚습을 닀정하게 바띌볎는 선비의 몚습읎닀. 두 쌍의 몚습은 애정을 닎은 장멎읎띌고 할 수 있는데 나뚞지 한 쌍의 Ʞ생곌 선비의 몚습에서 묎얞가 부조화가 있는 듯한 몚습읎닀. Ʞ생은 선믞船尟에서 생황을 불멎서 토띌진 듯하고 Ʞ생의 파튞너읞 선비는 ë°° 쀑앙의 포장 밑에서 뒷짐을 진채 안타까욎 몚습윌로 Ʞ생을 바띌볎고 있닀. 읎 장멎의 비밀은 아마도 선비의 허늬띠에 있는 것윌로 추정된닀. 읎 선비는 허늬에 섞조대现絛垶띌는 흰색의 허늬띠륌 ì°šê³  있닀. 읎것은 읎 선비가 상쀑喪䞭읎띌는 것을 나타낮는 것읎닀. 묌론 당시에는 읎 귞늌을 볎멎 당장 상쀑의 선비띌는 것을 알겠지만 지ꞈ은 비밀을 풀 듯 자섞히 듀여닀볎아알 알 수 있닀. 신윀복은 귞늌 속에서 선유의 향략을 읎알Ʞ하멎서도 읎 시대가 유교적읞 가치는 여전히 지쌜알하는 것임을 암시하고 있닀.
읎처럌 선유도는 조선시대 양반계잵읎 죌로 향유하던 뱃놀읎 묞화륌 생생하게 볎여죌고 있윌며, 귞늌을 통핎 선유의 목적은 닚합읎나 평양감사향연도 쀑의 <월하선유도>와 같읎 공식행사의 음부로썚, 혹은 선비듀의 와유륌 위한 목적읎나 였로지 향띜을 위한 뱃놀읎 등 닀양핚을 알 수 있닀.


찞고묞헌
《한국섞시풍속사전》 <선유>, 국늜믌속박묌ꎀ
한양명, <한동지역 양반 뱃놀읎(선유)의 사례와 ê·ž 성격>
《싀천믌속학연구》(싀천믌속학회, 2008)
팔거역사묞화연구회, 《ꞈ혞강 선유 및 누정묞학》
(팔공신묞출판부, 2017)
김학수, <선유륌 통핎 볞 낙강연안지역 선비듀의 집닚의식: 17섞Ʞ 한렀학읞(寒旅孞人)듀을 쀑심윌로>
《영낚학》 18혞(겜북대학교 영낚묞화연구원, 2010)
송신용 교죌, 《한양가》


Ꞁ 읎상국 ((사)한국믌화섌터 읎사장)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