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 œ2회 한국민화학회 학술논문 공모 ìµœìš°ìˆ˜ìƒ – ì´ê²½í¬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ê°ë¡œë„>ì˜ ë¯¼í™”ì  ìš”ì†Œ ê³ ì°°

국립해양박물관 학예연구실 유물관리팀장으로 ìž¬ì§ ì¤‘ì¸ ì´ê²½í¬ íŒ€ìž¥ì´ ì œ2회 한국민화학회 학술논문 공모전ì—서 최우수ìƒì„ 수ìƒí–ˆë‹¤. í‰ì†Œ 박물관 ìœ ë¬¼ì„ ë°œêµ´í•´ 소개하는 ë° ì ê·¹ 기여해 온 그는 ì´ë²ˆ 연구ì—서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ê°ë¡œë„>ì˜ ë¯¼í™”ì  ìš”ì†Œë¥¼ 고찰하며 새로운 ì—°êµ¬ì˜ ê¸°ì´ˆë¥¼ 닦았다.

글 ê¹€ì†¡í¬ ê¸°ìž ì‚¬ì§„ ì´ê²½í¬, 국립해양박물관 제공


“ê°ë¡œë„는 ì›ëž˜ ì‚¬ì°°ì˜ ì˜ê°€ë‹¨ì— ë´‰ì•ˆí•˜ë˜ ë¶ˆí™”ë¡œ 중ìƒì˜ ê·¹ë½ì™•ìƒì„ ë°”ë¼ëŠ” 종êµí™”ì´ì§€ë§Œ ê·œë²”í™”ëœ ì˜ˆë°°ìš© 불화와는 달리 세ì†ì˜ 다양한 ìƒí™œìƒì´ ê·¸ë ¤ì§€ê¸°ë„ í–ˆìŠµë‹ˆë‹¤. ì´ëŸ° í’ì†í™” ê°™ì€ í‘œí˜„ê¸°ë²•ì€ ë‹¹ì‹œ 민간ì—서 ê·¸ë ¤ì§€ë˜ ë¯¼í™”ì™€ ê´€ë ¨ì´ ë§¤ìš° 깊지요.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ê°ë¡œë„>ì—는 세부ì ì¸ 묘사나 표현기법 ë“±ì´ ì¼ë°˜ 불화와는 달리 ë…특한 ë‚´ìš©ì´ ë‹´ê²¨ 있어 ì´ ê·¸ë¦¼ì— ê¹ƒë“  ë¯¼í™”ì  ìš”ì†Œë¥¼ ìžì„¸ížˆ ë°í˜€ë³´ê³  싶었습니다.â€
해당 <ê°ë¡œë„>는 화면 ê°€ìš´ë° ê°ê°ì˜ 민ì†ì˜ìƒì„ ìž…ì€ ì„¸ê³„ ê°êµ­ì˜ ë¯¼ì¡±ë“¤ì´ ê·¸ë ¤ 있다는 ì ê³¼ í•œê¸€ì´ í‘œê¸°ë˜ì–´ 있다는 ì ì—서 전통불화와는 다소 다른 íŠ¹ì§•ì„ ë³´ì¸ë‹¤. ì´ëŠ” 근대 활ë™í–ˆë˜ 불화사 금용ì¼ì„­ì˜ 불화초를 바탕으로 그린 그림ì´ë©°, ì¼ì œê°•ì ê¸°ì— ì œìž‘ëœ ìž‘í’ˆì´ë‹¤. ì¼ì œê°•ì ê¸°ë¼ëŠ” ì‹œëŒ€ì  ë°°ê²½ 아래 우리 ë¯¼ì¡±ì˜ ì •ì„œë¥¼ ë©´ë©´ì— í‘œí˜„í•˜ê³ ìž í–ˆë‹¤ëŠ” ì ì€ í•˜ë‚˜ì˜ ë¯¼í™”ì  ìš”ì†Œë¡œ ë³¼ 수 있다. ì´ê²½í¬ ìœ ë¬¼ê´€ë¦¬íŒ€ìž¥ì€ íŠ¹ížˆ 한글표기와 백색 ì˜·ì˜ ì¡°ì„ ì¸ì„ ê°•ì¡°í•¨ìœ¼ë¡œì¨ ì¼ì œê°•ì ê¸° ê°€ìš´ë° ìš°ë¦¬ ë¯¼ì¡±ì˜ ì •ì²´ì„±ì„ í‘œí˜„í–ˆìŒì— 집중했다. 나아가 그가 세부ì ìœ¼ë¡œ ë¯¼í™”ì  ìš”ì†Œë¡œ 고찰한 ë¶€ë¶„ì€ ëŒ€ëžµ 네 가지ì¸ë°, ê·¸ 첫째는 바로 ë°˜ì•¼ìš©ì„ ì— ë³´ì´ëŠ” ìš©ì˜ í˜•íƒœë‹¤. 용선 ì•žë¶€ë¶„ì˜ ìš©ì˜ í‘œí˜„ì´ ê°ë¡œë„ ì´ˆë³¸ì„ ë°”íƒ•ìœ¼ë¡œ 제작하였다고 í•´ë„ ì •í˜•í™”ë˜ì§€ ì•Šì€ ìžìœ ë¡œìš´ 표현방법으로 그려졌다는 ì ì„ í•˜ë‚˜ì˜ ë¯¼í™”ì  ìš”ì†Œë¡œ 본 것. ë”불어 그는 색채를 통한 ê°ê°ì  표현과 ì‹œëŒ€ì˜ íë¦„ì„ ë°˜ì˜í•œ í™”ê°€ì˜ ê°œì„±ì ì¸ 산수표현 등 í™”ê°€ì˜ ì°½ì˜ì  태ë„는 민화 제작ìžë“¤ê³¼ ì¼ë§¥ìƒí†µí•˜ëŠ” 부분ì´ë¼ 제시했다. 즉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ê°ë¡œë„>는 ë‹¹ì‹œì˜ ë¬¸í™”ì™€ í’ì†ì„ ë°˜ì˜í•´ 새로운 ë„ìƒê³¼ 기법으로 제작한 근대기 불화ì´ìž 민족 정서를 ë°˜ì˜í•œ ë¯¼í™”ì¸ ì…ˆ. ì´ê²½í¬ ìœ ë¬¼ê´€ë¦¬íŒ€ìž¥ì€ â€œì´ ì‹œê¸° ë¶ˆí™”ì‚¬ë“¤ì€ ë¯¼ê°„ì˜ ìˆ˜ìš”ì™€ ìš”ì²­ì— ì˜í•´ ë¯¼í™”ì˜ ì œìž‘ì— ì°¸ì—¬í–ˆì„ ê°€ëŠ¥ì„±ì´ í¬ë‹¤â€ê³  제시하며, â€œì´ ì—°êµ¬ê°€ 근현대 ë¶ˆí™”ì—°êµ¬ë¿ ì•„ë‹ˆë¼ ì¼ë°˜íšŒí™”와 ë¯¼í™”ì—°êµ¬ì— ìžˆì–´ì„œ 중요한 단서가 ë  ê²ƒâ€ì´ë¼ ë¹„ì „ì„ ì œì‹œí–ˆë‹¤.

<ê°ë¡œë„>, ì¼ì œê°•ì ê¸°, 면본채색, 163×245ãŽ,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옛 그림ì—서 ì´ì•¼ê¸°ë¥¼ 발견하다

미술사를 전공한 ì´ê²½í¬ ìœ ë¬¼ê´€ë¦¬íŒ€ìž¥ì´ í•œêµ­íšŒí™”ì‚¬ë¡œ ë…¼ë¬¸ì„ ì“°ê¸°ë¡œ 결심한 ë°ì—는 안휘준 저서 《안견과 몽유ë„ì›ë„》가 계기가 ë˜ì—ˆë‹¤. ê·¸ë¦¼ì„ í†µí•´ ë‹¹ì‹œì˜ ì‹œëŒ€ìƒì„ 살펴보고 í™”ê°€ì˜ ì‚¶ê³¼ 예술혼, ê·¸ 사ìƒê¹Œì§€ 유추하고 ìƒìƒí•´ë³´ëŠ” ê³¼ì •ì´ ê·¸ì—ê² í° ì¦ê±°ì›€ìœ¼ë¡œ 다가온 것. 그는 “그림 ì†ì— 등장하는 당시 ì‚¬ëžŒë“¤ì˜ ì´ì•¼ê¸°ë¥¼ ì½ì–´ë‚¼ 수 있다는 ì ì´ 좋았다â€ê³  전했다. 최근ì—는 국립해양박물관 ì†Œìž¥ìœ ë¬¼ì„ ë“¤ì—¬ë‹¤ë³´ë©° 최근 ‘바다’와 â€˜ì—¬ì„±â€™ì´ ê°–ëŠ” ì˜ë¯¸ì— 관심 갖게 ë˜ì—ˆë‹¤ê³ .
“예부터 바다 ì‚¬ëžŒë“¤ì€ ì‹ ì—게 무사 항해를 기ì›í–ˆëŠ”ë°ìš”. ì´ëŸ° í•´ì–‘ì‹ ì•™ì€ ê´€ìŒì‹ ì•™ìœ¼ë¡œ ì´ì–´ì ¸ ê´€ìŒë³´ì‚´ì˜ 화신으로 ì—¬ì‹ ì´ ë“±ìž¥í•˜ê³ , 민간설화와 함께 신앙화ë˜ë©° ìš©ê¶ë¶€ì¸ 그림 등 무ì†í™”ê°€ 탄ìƒí–ˆì§€ìš”. 기회가 ëœë‹¤ë©´ ì´ì²˜ëŸ¼ 바다 ì‚¬ëžŒë“¤ì´ ì‹ ì•™í–ˆë˜ ì—¬ì„± ì‹ ì•™ì„ ì§€ê¸ˆ 남아 있는 다양한 ê·¸ë¦¼ì„ í†µí•´ í’€ì–´ë³´ê³ ìž í•©ë‹ˆë‹¤.â€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