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 œ1회 대갈문화축제, ì„±í™©ë¦¬ì— ì²« ë°œ

ì¸ì‚¬ë™ ë³µíŒì—서 ì—´í˜ ë™ì•ˆ 계ì†ëœ 우리 민화 í° ìž”ì¹˜ 다채로운 부대행사 í° ê´€ì‹¬ 국민 축제로 성장 가능성 제시

우리 ë¯¼í™”ì˜ ì¤‘ì¡°ë¡œ 불리는 ì„ êµ¬ìž ëŒ€ê°ˆ ì¡°ìžìš© ì„ ìƒ. ê·¸ì˜ ìƒì• ë¥¼ 기ë…하는 ì˜ë¯¸ì—서 ë§ˆë ¨ëœ â€˜ì œ1회 대갈문화축제’가 새해를 여는 2014ë…„ 1ì›” 3ì¼ë¶€í„° 12ì¼ê¹Œì§€ ì—´í˜ ë™ì•ˆ 서울 ì¸ì‚¬ë™ 가나ì¸ì‚¬ì•„트센터ì—서 열렸다. ì¡°ìžìš©ê¸°ë…사업회가 주최하고 가회민화박물관, 가나아트센터, 한국민화학회 ë“±ì´ ì£¼ê´€í•œ ì´ í–‰ì‚¬ëŠ” 민화를 중심으로 전시, 공연, 세미나, 체험행사 등 다양한 행사가 어우려져 ì‹ ë…„ ë²½ë‘ì˜ ì¸ì‚¬ë™ì„ 민화 ì´ì•¼ê¸°ë¡œ 꽃피게 했다.

*ì´ë¯¸ì§€ í´ë¦­ì‹œ ì›ë³¸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ì¡°ìžìš© 문화ìƒì‹œìƒì‹, ì¡°ìžìš© í•œí’€ì´ êµ¿

1ì›” 3ì¼ ì˜¤í›„ 3시부터 ì‹œìž‘ëœ ì˜¤í”„ë‹ í–‰ì‚¬ëŠ” 개막ì‹ì— ì´ì–´ ì œ1회 ì¡°ìžìš©ë¬¸í™”ìƒ ì‹œìƒì‹, ì¡°ìžìš© í•œí’€ì´ êµ¿ì˜ ìˆœìœ¼ë¡œ ì§„í–‰ë˜ì—ˆë‹¤.
우리 전통문화계 ë° ë¯¼í™”ê´€ê³„ìžë¥¼ 비롯, 내빈과 ê´€ëžŒê° ìˆ˜ë°± ëª…ì´ ì°¸ì„한 ê°€ìš´ë° ìœ¤ì—´ìˆ˜ 가회민화박물관 ê´€ìž¥ì˜ ì‚¬íšŒë¡œ ì§„í–‰ëœ ê°œë§‰ì‹ì—서는 김종규 ì¡°ìžìš©ê¸°ë…ì‚¬ì—…íšŒìž¥ì˜ ì¸ì‚¬ì— ì´ì–´ 심우성 한국민ì†ê·¹ì—°êµ¬ì†Œìž¥, 안창모 ê²½ê¸°ëŒ€í•™êµ êµìˆ˜ê°€ 축사로 í–‰ì‚¬ì˜ ì„±ê³µì  ê°œìµœë¥¼ 기ì›í–ˆë‹¤.
ì´ì–´ì„œ ì§„í–‰ëœ ì œ1회 ì¡°ìžìš©ë¬¸í™”ìƒ ì‹œìƒì‹ì—서는 í•™ìˆ ë¶€ë¬¸ì— ì •ë³‘ëª¨ ê²½ì£¼ëŒ€í•™êµ êµìˆ˜, ìž‘ê°€ë¶€ë¬¸ì— ë°•ìˆ˜í•™ 한국민화협회 고문, 특별ìƒì— 윤범모 ê°€ì²œëŒ€í•™êµ êµìˆ˜ê°€ 첫 수ìƒìžë¡œ ê²°ì •ë˜ì–´ ì˜ì˜ˆì˜ ì¡°ìžìš©ë¬¸í™”ìƒì„ 수ìƒí–ˆë‹¤.
ì¡°ìžìš©ë¬¸í™”ìƒì€ 대갈 ì¡°ìžìš© ì„ ìƒì˜ ì—…ì ì„ ê¸¸ì´ ê¸°ë¦¬ê³  ë¯¼í™”ê³„ì˜ ì§€ì†ì ì¸ ë°œì „ì„ í›„ì›í•˜ëŠ” ì˜ë¯¸ì—서 ì œì •ëœ ìƒìœ¼ë¡œ 학술부문, 작가부문, 특별ìƒì˜ 3부문으로 나뉘어 기ë…사업회가 위촉한 심사위ì›ë‹¨ì˜ 엄정한 심사를 ê±°ì³ ìˆ˜ìƒìžê°€ ê²°ì •ëœë‹¤.
ì˜¤í”„ë‹ í–‰ì‚¬ì˜ í•˜ì´ë¼ì´íŠ¸ëŠ” ‘조ìžìš© í•œí’€ì´ êµ¿â€™ì´ì—ˆë‹¤. 중요무형문화재 ì œ82호 ê¸°ëŠ¥ë³´ìœ ìž ê¹€ê¸ˆí™” ì„ ìƒì´ 주관한 í•œí’€ì´ êµ¿ì€ ì¡°ìžìš© ì„ ìƒì˜ ë„‹ì„ ìœ„ë¡œí•œë‹¤ëŠ” ë³¸ëž˜ì˜ ì˜ë¯¸ ì™¸ì— ì „í†µë¬¸í™”ì˜ ì¤‘ìš”í•œ ë ˆí¼í† ë¦¬ë¥¼ ê°ìƒí•˜ëŠ” ì˜ë¯¸ìžˆëŠ” 시간ì´ê¸°ë„ 했다.

전통 민화ì—서 í˜„ëŒ€ì  ì°½ìž‘ê¹Œì§€, 주제별 민화전시

ì œ1회 대갈문화축제는 서울ì—ì„œë„ ëŒ€í˜• 화랑으로 꼽히는 ì¸ì‚¬ë™ì˜ 가나ì¸ì‚¬ì•„트센터 ì „ê´€ì—서 펼ì³ì¡Œë‹¤. 1층ì—서 6ì¸µì— ì´ë¥´ê¸°ê¹Œì§€ 모든 전시장ì—서 다양한 전시와 행사, ì´ë²¤íŠ¸ê°€ 펼ì³ì§„ 것ì´ë‹¤.
1층ì—서는 ì¶•ì œì˜ ì£¼ì¸ê³µì¸ ì¡°ìžìš© ì„ ìƒì´ í‰ìƒ 수집한 민화 컬렉션으로 꾸며진 ‘조ìžìš©ë¯¼í™”ìˆ˜ì§‘ì „â€™ì´ ì—´ë ¸ë‹¤. 특히 그가 본격ì ìœ¼ë¡œ ë¯¼í™”ìˆ˜ì§‘ì„ í–‰í•œ 1960~70ë…„ëŒ€ì˜ ìž‘í’ˆë“¤ì´ ì¶œí’ˆë˜ì–´ ì „ì²´ í–‰ì‚¬ì˜ ë³¸ë ¹ì„ ê°€ìž¥ 충실히 설명하는 전시가 ë다. ì¡°ìžìš© ì„ ìƒì´ 특히 사랑한 것으로 알려진 까치호랑ì´ë¥¼ 비롯, 화조ë„(花鳥圖) ë³‘í’ ë“±ì´ íŠ¹ížˆ 관람ê°ë“¤ì˜ ê´€ì‹¬ì„ ëª¨ì•˜ë‹¤.
2층 전시장ì—서는 ‘현대민화공모전’ 수ìƒìž‘ì´ ì „ì‹œë˜ì—ˆë‹¤. ì´ë²ˆ 축제를 기ë…하여 새로 ë§ˆë ¨ëœ ê³µëª¨ì „ìœ¼ë¡œ 수ìƒìž‘ì€ â€˜ì „í†µì˜ ê³ ìˆ˜ì™€ í˜ì‹ ì  ì ìš© í˜¹ì€ ì˜¨ê³ ì§€ì‹ â€™ì´ë¼ëŠ” ê¸°ì¤€ì— ë”°ë¼ ì„ ì •ë˜ì—ˆë‹¤. ì „í†µì„ ì¶©ì‹¤ížˆ ê³„ìŠ¹í•˜ë©´ì„œë„ ì°¸ì‹ í•œ ì°½ì˜ë ¥ì´ ë‹ë³´ì´ëŠ” 나유미 ìž‘ê°€ì˜ <ë§¥>ì´ ëŒ€ìƒì„ 받았다.
전시장 3, 4ì¸µì— ê±¸ì³ì„œ ì§„í–‰ëœ â€˜ê²¨ë ˆë¯¼í™”ì „â€™ì€ ìš°ë¦¬ 현대 ë¯¼í™”í™”ë‹¨ì˜ ì›ë¡œë¡œ 존경받고 있는 íŒŒì¸ ì†¡ê·œíƒœ ì„ ìƒê³¼ ê·¸ì˜ ì œìžë“¤ì˜ 작품으로 êµ¬ì„±ëœ ê¸°íš ì „ì‹œì´ë‹¤. 송규태 ì„ ìƒì€ ë¯¼í™”ì˜ ì €ë³€ì´ í™•ëŒ€ë˜ê¸° 시작한 1990년대 ì´í›„ 가장 ë§Žì€ ì œìžë“¤ì„ 길러낸 ì¸ë¬¼ë¡œ, ì¡°ìžìš© ì„ ìƒê³¼ëŠ” ì—밀레박물관 개관 무렵부터 ìž‘í’ˆì˜ ë³´ìˆ˜ ë“±ì„ í†µí•´ ì¸ì—°ì„ 맺어 왔다. ì´ ì „ì‹œíšŒëŠ” íŒ”ìˆœì„ ë§žì€ ë…¸ëŒ€ê°€ë¥¼ 위한 헌정 전시회ì´ê¸°ë„ 했다.
5층 전시장ì—서 열린 ‘부ì íŠ¹ë³„ì „â€™ì€ ë¯¼í™”ì˜ ì˜ì—­ 안ì—ì„œë„ ì¡°ê¸ˆì€ íŠ¹ë³„í•œ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ë¶€ì ì„ 테마로 한 전시다. ìž¬ì•™ì„ ì«“ê¸° 위한 목ì ìœ¼ë¡œ ì œìž‘ëœ ì „í†µ ë¶€ì  ì¤‘ ê¸°ë³µì˜ ì˜ë¯¸ë¥¼ 넘어 민화 íŠ¹ìœ ì˜ ì˜ˆìˆ ì„±ì„ ìž˜ ë‹´ê³  있는 ìž‘í’ˆë“¤ì´ ì†Œê°œë˜ì—ˆë‹¤. ë¯¼í™”ì˜ ë„“ê³  다양한 ì˜ì—­ì˜ ì¼ë‹¨ì„ 보여줌과 ë™ì‹œì— ë¶€ì ì˜ ì˜ˆìˆ ì„±ì— ìƒˆì‚¼ ê´€ì‹¬ì„ ê°–ê²Œ 한 ì˜ë¯¸ìžˆëŠ” 전시회였다. 전시장ì—서는 ë¶€ì ì˜ 목íŒì— 안료를 묻혀 ì°ì–´ë‚´ëŠ” ê´€ëžŒê° ì²´í—˜í–‰ì‚¬ê°€ 무료로 ì§„í–‰ë˜ê¸°ë„ 했다.
민화 전시 외ì—ë„ ë¯¼í™”ì™€ ê´€ë ¨ëœ ë‹¤ì–‘í•œ 스페셜 테마 전시가 6층ì—서 열렸다. ë¯¼í™”ì˜ í™”ë ¤í•œ 색ê°ì„ 구현하는 ì•ˆë£Œì— ê´€í•œ 한국채색ìžë£Œ 전시, 전통 붓제작 ëª…ì¸ ë°±ì‚° ì „ìƒê·œ ì„ ìƒì˜ 전통 민화붓 ì „ì‹œë„ í•¨ê»˜ ì§„í–‰ë˜ì—ˆë‹¤. ‘민화 공예품 ë° ë¯¼í™”ìƒí’ˆ 전시’는 민화를 소재로 ê°œë°œëœ ë‹¤ì–‘í•œ 문화ìƒí’ˆë“¤ì„ 통해 민화와 현대ì¸ë“¤ì˜ ì‚¶ì´ ì–´ë–»ê²Œ ì—°ê²°ë  ìˆ˜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다양한 전통예술 공연과 민화세미나

ì—´í˜ ë™ì•ˆ ì´ì–´ì§„ 행사 기간 ë™ì•ˆ 우리 전통 문화 ì˜ˆìˆ ì˜ ì£¼ìš” ë ˆí¼í† ë¦¬ê°€ ë§¤ì¼ ê³µì—°ëœ ê²ƒë„ í° ë³¼ê±°ë¦¬ì˜€ë‹¤. 개막ì‹ì— ì´ì–´ 열린 í•œí’€ì´ êµ¿ì„ ì‹œìž‘ìœ¼ë¡œ 목계 마빡 공연, 사물놀ì´, 해금산조, ì „ë¼ë„ ë†ì•…, 김무경 ì•„ìŸì‚°ì¡° ë“±ì´ ë§¤ì¼ ê³µì—°ë˜ì—ˆë‹¤. ë˜í•œ íŒŒì¸ ì†¡ê·œíƒœ ì„ ìƒ íŒ”ìˆœ 기ë…ì‹, 현대민화공모전 시ìƒì‹ë„ 열렸다.
ê·¸ë°–ì— ë¯¼í™”ì— ëŒ€í•œ í•™ë¬¸ì  ì¡°ëª…ì„ ìœ„í•œ 학술행사로 한국민화학회(회장 정병모)ê°€ 주관한 민화세미나가 열렸다. 10ì¼, 1층 행사장ì—서 열린 학술 세미나ì—서는 ‘대갈 ì¡°ìžìš© ì„ ìƒì˜ ìƒì• ì™€ ì—…ì â€™ì„ í° ì£¼ì œë¡œ 허균 한국민예미술 ì—°êµ¬ì†Œìž¥ì´ â€˜ì¡°ìžìš© ì„ ìƒì˜ 민화관과 í•™íšŒì˜ ì—°êµ¬ë°©í–¥ 소론’, ìœ¤ì§„ì˜ í•œêµ­í•™ ì¤‘ì•™ì—°êµ¬ì› ì„ ìž„ì—°êµ¬ì›ì´ ‘조ìžìš©ì˜ 민문화 연구와 저술’, 경주대 문화재학과 박사과정 ì´ì˜ì‹¤ì´ ‘조ìžìš©ì˜ ì‚¶ê³¼ 민화’로 ê°ê° 발표를 진행했다.
ì—´í˜ ë™ì•ˆ ì§„í–‰ëœ ëŒ€ê°ˆë¬¸í™”ì¶•ì œëŠ” 행사 마지막 ë‚ ì¸ 1ì›” 12ì¼ ì˜¤í›„ 4시부터 열린 ‘조ìžìš© ì„ ìƒ 13주기 제례’로 대단ì›ì„ ì´ë£¨ì—ˆë‹¤.
í†µë¡€ì› ì›ìž¥ì´ìž 중요무형문화재 ì œ85호 ì„전대제 ì´ìˆ˜ìžì´ê¸°ë„ 한 제례전문가 ì›ìž¬ì‹ ì„ ìƒì˜ 집전으로 열린 ì´ë‚  기제사는 완벽한 전통 ì ˆì°¨ì— ë”°ë¼ ìž¥ì—„í•œ ì˜ì‹ìœ¼ë¡œ 치러졌다. ì´ ì—­ì‹œ ì¡°ìžìš© ì„ ìƒì— 대한 제사ì´ìž ‘전통 ì œë¡€ì˜ ì™„ë²½í•œ 재현’ì´ë¼ëŠ” ì˜ë¯¸ 있는 ê³µì—°ì˜ ì„±ê²©ì„ ë¤ ì´ë²¤íЏì´ê¸°ë„ 했다.
작가와 ë™í˜¸ì¸, 그리고 연구ìžë¥¼ í•©í•´ 민화 ì¸êµ¬ê°€ ì´ë¯¸ ì‹­ë§Œ ì—¬ ëª…ì„ í—¤ì•„ë¦°ë‹¤ëŠ” 통계가 나오는 현 시ì ì—서 ì´ë²ˆ 행사는 민화 중í¥ì˜ 기초를 ë‹¦ì€ í•œ 선구ìžë¥¼ 기리는 ë™ì‹œì— 민화가 21ì„¸ê¸°ì˜ ê°€ìž¥ 강력한 문화 콘í…츠 ìƒí’ˆìœ¼ë¡œ 성장할 수 있다는 ê°€ëŠ¥ì„±ì„ ë³´ì—¬ì¤€ ì˜ë¯¸ 있는 행사였다. 대갈문화축제는 앞으로 매년 ê°™ì€ ì‹œê¸°ì— ê°œìµœë  ì˜ˆì •ì´ë‹¤.

ì œ1회 ëŒ€ê°ˆë¬¸í™”ìƒ ìˆ˜ìƒìž

대갈문화ìƒì€ ì¡°ìžìš©ì„ ìƒì˜ ì—…ì ì„ 기리고 ë¯¼í™”ê³„ì˜ ì§€ì†ì ì¸ ë°œì „ì— ëŒ€í•œ ì—¼ì›ìœ¼ë¡œ ì œì •ëœ ìƒì´ë‹¤.
학술, 작가, 특별 부문으로 심사위ì›ë‹¨ì˜ 엄정한 심사를 ê±°ì³ ìˆ˜ìƒìžê°€ ì„ ì •ë˜ì—ˆë‹¤.

학술부문 정병모정병모학술부문 수ìƒìž 정병모 ê²½ì£¼ëŒ€í•™êµ êµìˆ˜ëŠ” 한국민화학회 회장, (사)경주민화센터 ì´ì‚¬ìž¥ìœ¼ë¡œ 활ë™í•˜ë©° ë¯¼í™”ì˜ ì €ë³€ 확대를 위해 ë…¸ë ¥í•˜ë©´ì„œë„ í™œë°œí•œ 학술 활ë™ìœ¼ë¡œ ë¯¼í™”ì˜ í•™ë¬¸ì  ê¹Šì´ë¥¼ 심화시키는 ë°ë„ í¬ê²Œ 기여했다는 í‰ì„ 받았다. 특히 『만화보다 ë” ìž¬ë¯¸ìžˆëŠ” 민화ã€(2013, 열다), 『민화, 가장 대중ì ì¸ 그리고 한국ì ì¸ã€(2012, ëŒë² ê°œ), ã€Žë¬´ëª…í™”ê°€ë“¤ì˜ ë°˜ëž€, 민화ã€(2011, 다할) ë“±ì˜ êµì–‘서를 통해 민화ì¸ì€ 물론 ì¼ë°˜ ëŒ€ì¤‘ë“¤ì´ ë¯¼í™”ì— ì¹œê·¼í•˜ê²Œ 다가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온 공로가 ë†’ì´ í‰ê°€ë˜ì—ˆë‹¤.
작가부문 박수학박수학작가 부문 수ìƒìž 박수학 씨는 ë¯¼í™”í™”ë‹¨ì˜ ì›ë¡œ íŒŒì¸ ì†¡ê·œíƒœ ì„ ìƒì˜ 첫 번째 ì œìžë¡œ 민화 í™”ë‹¨ì˜ 1세대 작가로 꼽히는 ëŒ€í‘œì  ì¸ë¬¼ì´ë‹¤. ì™•ì„±í•˜ë©´ì„œë„ ì°½ì˜ì ì¸ 작품 활ë™ê³¼ ëŠìž„없는 íƒêµ¬ì •신으로 후학들ì—게 í° ê·€ê°ì´ ë˜ì–´ì™”ì„ ë¿ ì•„ë‹ˆë¼, 후진 양성ì—ë„ ë‚¨ë‹¤ë¥¸ ì •ì—´ì„ ìŸëŠ” 등 진정한 작가 ì •ì‹ ì˜ ë°œí˜„ì„ ë³´ì—¬ì£¼ì—ˆë‹¤ëŠ” í‰ê°€ë¥¼ 받았다.
íŠ¹ë³„ìƒ ìœ¤ë²”ëª¨ìœ¤ë²”ëª¨íŠ¹ë³„ìƒì„ 수ìƒí•œ 윤범모 ê°€ì²œëŒ€í•™êµ êµìˆ˜ëŠ” ì´ë¯¸ 우리 ì‹œëŒ€ì˜ ëŒ€í‘œì ì¸ 미술í‰ë¡ ê°€ë¡œ ë„리 알려진 ì¸ë¬¼ì´ë‹¤. ê¸°ì¡´ì˜ í‹€ê³¼ ìƒì‹ì— 안주하지 않는 ì§„ë³´ì ì¸ ê°ê°ê³¼ 유려한 문장으로 ë…ìžë¥¼ 사로잡는 미술 í‰ë¡ ê³„ì˜ ì†ê¼½ížˆëŠ” ë…¼ê°ì´ê¸°ë„ 하다. 최근 그가 우리 민화를 í¬í•¨í•œ 전통 ì±„ìƒ‰í™”ì— ì£¼ëª©í•˜ë©´ì„œ 민화를 보는 시ê°ì— 새로운 íŒ¨ëŸ¬ë‹¤ìž„ì„ ì œì‹œí•˜ê³  있다는 í‰ê°€ë¥¼ 받았다.

 

구성·정리 : 한명륜 기ìž
사진 : ë°•ì„±ì¼ ê¸°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