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 •ì€ ìž‘ê°€ì™€ 함께하는 나비 그리기 â… 

ì •ì€, <傳 전기 화조충어ë„>, 2021, 44×32ãŽ



나비는 ë¯¼í™”ì— ê°€ìž¥ ë§Žì´ ë“±ìž¥í•˜ëŠ” ëŒ€í‘œì  ë„ìƒ ì¤‘ 하나다. 나비를 잘 그리기 위해서는 ë‚˜ë¹„ì˜ ìƒê¹€ìƒˆì™€ 구조, 기본 필법 ë“±ì„ ìµížˆëŠ” ê²ƒì´ í•„ìš”í•˜ë‹¤. 나아가 섬세한 ë””í…Œì¼ ë¬˜ì‚¬ì™€ ìžì—°ìŠ¤ëŸ° ìƒ‰ê° í‘œí˜„ê¹Œì§€ 갖춘다면 작품 ì „ì²´ì— ì™„ì„±ë„를 ë†’ì¼ ìˆ˜ 있다. ì´ë²ˆ 호부터 ì´ 4íšŒì— ê±¸ì³ ì •ì€ ìž‘ê°€ì™€ 함께 나비를 그리는 여러 기법과 노하우 ë“±ì„ ì „í•œë‹¤.
정리 ê¹€ì†¡í¬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들어가기 전

나비를 그리기 ì „ì— ë‚˜ë¹„ì˜ êµ¬ì¡°ì™€ 기본 ì„ í˜•ì„ ìµí˜€ë‘는 ê²ƒì€ í•„ìˆ˜ë‹¤.
ì •ë‘법, 서미법, ì •ë‘서미법, 유엽법 등 여러 í•„ë²•ì„ ì—°ìŠµí•˜ì—¬ ìƒí™©ì— 맞게 구사하ë„ë¡ í•œë‹¤.


초본 그리기


1
ë©´ìƒí•„ì— ì¤‘ë¨¹ì„ ë¬»í˜€ 나비와 물잠ìžë¦¬, 방아깨비, 잎사귀 ë“±ì„ ê·¸ë¦¬ê³ 
우측 ìƒë‹¨ì— 피어 있는 ìž¥ë¯¸ê½ƒì€ ë´‰ì±„ 연지로 그린다.


2
주요 나비와 ê³¤ì¶©ë“¤ì˜ ë‚ ê°œì™€ ë°° ë“±ì„ ì²­ë¨¹ìœ¼ë¡œ 분염한다.
ì²­ë¨¹ì´ ì•„ë‹Œ ë¨¹ì„ ì‚¬ìš©í•´ë„ ë¬´ë°©í•˜ë‹¤. ë†ë„는 진한 중먹으로 조절한다.
ì ë‹¹í•œ ìœ„ì¹˜ì— ë¨¹ì„ ì¹ í•œ 후 바림붓으로 펴 주어 ìŒì˜ì„ 만들어주면
ëœë‹¤. 채색 ì „ì— ë¶„ì—¼ì„ ë¯¸ë¦¬ 하는 ì´ìœ ëŠ” 추후 채색할 때
보다 ë§‘ì€ ì—°ì¶œì´ ê°€ëŠ¥í•˜ê¸° 때문ì´ë‹¤.


3
6번 범나비 ë‚ ê°œì— ë¬´ëŠ¬ë¥¼ 그린다. ë¶“ì— ì—°ë¨¹ì„ ì „ì²´ì ìœ¼ë¡œ 묻힌 후
ë¶“ ëì— ì§„ë¨¹ì„ ì‚´ì§ ë¬»í˜€ ì ì„ ì°ëŠ”ë‹¤. ë¶“ì„ ë¹„ìŠ¤ë“¬ížˆ 눕혀 누르듯
ì ì„ ì°ì–´ì£¼ë©´ ë¨¹ì˜ ë†ë‹´ì´ ìƒê¸°ë©´ì„œ ìžì—°ìŠ¤ëŸ¬ìš´ 무늬를 표현할 수 있다.


4
ë‚˜ë¹„ë“¤ì˜ ë”듬ì´ë¥¼ 가늘게 그린다.
위ì—서 아래로 ë˜ëŠ” 아래ì—서 위로 ê·¸ë ¤ë„ ë˜ì§€ë§Œ 곤봉 ëª¨ì–‘ì„ ë‹®ì€
ë”듬ì´ì˜ íŠ¹ì§•ì„ ìž˜ ì‚´ë ¤ 표현한다. ëì„ ë­‰ëší•˜ê²Œ 누르는
ì •ë‘ì„œë¯¸ë²•ì„ ìµí˜€ë‘”다면 ìžìœ ìžìž¬ë¡œ ì—°ì¶œí•˜ê¸°ì— ìˆ˜ì›”í•˜ë‹¤.


밑색 칠하기


5
1번과 5번 ë‚˜ë¹„ì˜ ë‚ ê°œì™€ 몸통, 3번 나비와 벌, ë°©ì•„ê¹¨ë¹„ì˜ ë°°,
장미 ë“±ì— í˜¸ë¶„ì„ ì¹ í•œë‹¤.


6
1번, 2번, 6번 나비와 화면 맨 ì•„ëž˜ì— ìœ„ì¹˜í•œ 노란 곤충(반딧불ì´)ì„
봉채 등황과 호분, ì†ŒëŸ‰ì˜ ë´‰ì±„ 황토를 ì„žì€ ìƒ‰ìœ¼ë¡œ 칠한다.


7
봉채 등황과 봉채 주를 ì„žì€ ìƒ‰ì— â‘¥ë²ˆì— ì‚¬ìš©í•œ ìƒ‰ì„ ì†ŒëŸ‰ ì„žì€ í›„
3번 ë‚˜ë¹„ì˜ ë…¸ëž€ 날개를 칠한다.


8
봉채 대ìžì— ì—°ì§€, ë³¸ë‚¨ì„ ì„žì€ ìƒ‰ìœ¼ë¡œ 3번 ë‚˜ë¹„ì˜ ê°ˆìƒ‰ ë‚ ê°œ 부분과
4번 ë‚˜ë¹„ì˜ ë‚ ê°œë¥¼ 칠한다.


9
â‘§ê³¼ ê°™ì€ ìƒ‰ìœ¼ë¡œ ìž ìžë¦¬ë¥¼ 칠한다.
물잠ìžë¦¬ì˜ 날개는 ë‘ ë²ˆ ë§ì¹ í•˜ì—¬ 반투명한 ëŠë‚Œì´ 나ë„ë¡ ë„í¬í•œë‹¤.


10
â‘¦ì— ì‚¬ìš©í•œ ìƒ‰ì— ëŒ€ìžì™€ ë¨¹ì„ ì„žì–´ 화면 ì•„ëž˜ì— ìœ„ì¹˜í•œ
기다란 난초 잎과 장미 잎사귀를 칠한다.


11
봉채 본남으로 ë³´ë¼ìƒ‰ ë‚œì´ˆê½ƒì„ 1차로 칠한다.
단, 꼼꼼하게 칠하기보다는 엉성하게 대충 칠해야
추후 다양한 색ê°ì´ 표현ëœë‹¤.


12
â‘©ì— ì‚¬ìš©í•œ ìƒ‰ì— í˜¸ë¶„ì„ ì†ŒëŸ‰ 섞어 ë²Œì˜ ë‚ ê°œë¥¼ 칠한다.


13
â‘«ì— ì‚¬ìš©í•œ ìƒ‰ì— ë´‰ì±„ 미ê°ì„ 소량 섞ì€
ë°ì€ 카키색으로 방아깨비를 칠한다.


14
봉채 대ìžì— ì—°ì§€, 황토를 ì„žì€ ìƒ‰ìœ¼ë¡œ 2번 나비 ë‚ ê°œ ëì„
바림해준다. ì´ë¯¸ ë˜ì–´ìžˆëŠ” 먹 ë¶„ì—¼ì´ ìžì—°ìŠ¤ëŸ½ê²Œ 비칠 수 있ë„ë¡
ë„“ê³  맑게 칠해주는 ê²ƒì´ ì¤‘ìš”í•˜ë‹¤.


2ì°¨ 바림 ë° ì„¸ë¶€ë¬˜ì‚¬


15
봉채 대ìžì— ì—°ì§€, 황토를 ì„žì€ ìƒ‰ìœ¼ë¡œ
장미 ìžŽì‚¬ê·€ì˜ ì•ˆ ìª½ì„ ë‘¥ê¸€ê²Œ 바림한다.
밑색과 ê²½ê³„ì„ ì´ ë„ˆë¬´ 뚜렷하게 ìƒê¸°ì§€ 않ë„ë¡ í•œë‹¤.


16
â‘®ì— ì‚¬ìš©í•œ 색으로 1번 나비 ë‚ ê°œì˜ ì•ˆìª½ì— ìŒì˜ì„ 넣어 준다.


17
⑦ì—서 3번 ë‚˜ë¹„ì˜ ë°‘ìƒ‰ìœ¼ë¡œ ì‚¬ìš©í–ˆë˜ ìƒ‰ìœ¼ë¡œ 2번 나비와
6번 나비 ë‚ ê°œì˜ ì•ˆ ìª½ì„ ë°”ë¦¼í•œë‹¤. ì¤‘ì‹¤ì„ ìœ„ì£¼ë¡œ 바림해주고,
맨 아래 위치한 반딧불ì´ë„ ê°™ì€ ìƒ‰ìœ¼ë¡œ 바림한다.


18
â‘§ì— ì‚¬ìš©í•œ 색으로 3번 ë‚˜ë¹„ì˜ ë‚ ê°œ 가장ìžë¦¬ë¥¼
1mm가량 남기고 바림해준다.


19
봉채 ë³¸ë‚¨ì„ ì•„ì£¼ ë¬½ì€ ë†ë„로 하여 ë‚œì´ˆìžŽì˜ ë°˜ìª½ë§Œ 바림해준다.
장미 ìžŽì‚¬ê·€ì˜ ìžŽë§¥ì„ ì¤‘ì‹¬ìœ¼ë¡œ 바림하여 ìžŽì‚¬ê·€ì— ìž…ì²´ê°ì„ ë”한다.


20
ë“±í™©ì— ë´‰ì±„ ë³¸ë‚¨ì„ ì†ŒëŸ‰ ì„žì€ ìƒ‰ìœ¼ë¡œ ë²Œì˜ ê°€ìŠ´ 부분ì„
아주 묽게 바림한다.


21
봉채 대ìžì— ë¨¹ì„ ì„žì€ ìƒ‰ì„ ì—°ë¨¹ì˜ ë†ë„로 조절하여
6번 나비 ë‚ ê°œì— ìžˆëŠ” ë°˜ì  ìœ„ì— ì°ëŠ”ë‹¤.


22
마르기 ì „ì— ã‰‘ì— ë¨¹ì„ ì¶”ê°€í•´ 조금 ë” ì§„í•˜ê²Œ 조절하여 ë°˜ì  ìœ„ì—
ì ì„ ì°ì–´ ëª¨ì–‘ì´ ì¼ì •하지 않고 유연한 ë°˜ì ì„ 표현한다.
단, 바로 옆 근접한 ê³³ì— ì—°ì†ìœ¼ë¡œ ì ì„ ì°ìœ¼ë©´ 번지기 쉬우므로
주ì˜í•œë‹¤.


23
ã‰’ì— ì‚¬ìš©í•œ 색으로 2번 나비 ë‚ ê°œì˜ ë¶„ì—¼ ë¶€ë¶„ì„ ë°”ë¦¼í•œë‹¤.
ë°‘ì˜ ë…¸ëž€ ë°”íƒ•ìƒ‰ì´ ë¹„ì¶° ë³´ì´ëŠ” ë¶€ë¶„ì´ ìžˆëŠ”ë°, ì ì˜ 외곽ì„
먼저 그린 í›„ì— ê·¸ 부분만 남겨 놓고 칠한 후 바림하면
쉽게 바림할 수 있다.


24
봉채 í™©í† ì— ì†ŒëŸ‰ì˜ ëŒ€ìžë¥¼ ì„žì€ ìƒ‰ìœ¼ë¡œ 5번 ë‚˜ë¹„ì˜ ì¤‘ì‹¤ì„
넓게 바림한다.


25
연먹으로 1번 ë‚˜ë¹„ì˜ ë‚ ê°œ ë 부분과 ë°° 부분 등ì„
바림하여 표현한다. 마르고 난 후, ë¨¹ì˜ ë†ë‹´ì„ ì´ìš©í•´
ë‚ ê°œ ë¬´ëŠ¬ì˜ ê°•ì•½ì„ ì‚´ë ¤ 표현한다. ë‚˜ë¹„ì˜ ë¬´ëŠ¬ë¥¼ 표현할 때는
ë¶“ì„ ì„¸ìš°ê¸°ë³´ë‹¤ëŠ” ì‚´ì§ ëˆ•í˜€ì„œ 앞으로 ë°€ ë“¯ì´ ê·¸ë ¤ì•¼ 강약
ì¡°ì ˆì€ ë¬¼ë¡ ì´ê³  ì„ ì˜ ë‘께를 ë” ìžì—°ìŠ¤ëŸ½ê²Œ 표현할 수 있다.


26
봉채 ë“±í™©ì— ì†ŒëŸ‰ì˜ ëŒ€ìžë¥¼ ì„žì€ ìƒ‰ìœ¼ë¡œ 1번 나비ì˜
노랗게 ë³´ì´ëŠ” ë¶€ë¶„ì˜ êµ°ë°êµ°ë°ë¥¼ 바림한다.


27
봉채 ë“±í™©ì— ë¯¸ê°ì„ ì„žì€ ìƒ‰ìœ¼ë¡œ 2번 나비와 6번 나비ì˜
ëª¸í†µì„ ì¹ í•˜ê³ , 1번, 3번 나비 ëª¸í†µì˜ ë¶„ì—¼í•œ 부분ì„
한 번 ë” ë°”ë¦¼í•œë‹¤.


28
호분으로 3번 ë‚˜ë¹„ì˜ ë’·ë‚ ê°œ 아래 ë¶€ë¶„ì„ ë°”ë¦¼í•˜ê³ 
ì ì´ë‚˜ 디테ì¼ì„ 표현한다.


29
분채 í™ë§¤ì— 호분, ê·¹ì†ŒëŸ‰ì˜ ë¯¸ê°ì„ ì„žì€ ìƒ‰ìœ¼ë¡œ
맨 아래 ë‚œì´ˆê½ƒì„ ë°”ë¦¼í•œë‹¤.


30
봉채 연지와 봉채 주를 ì„žì€ ìƒ‰ìœ¼ë¡œ ë‚˜ë¹„ë“¤ì˜ ëˆˆê³¼
ë°©ì•„ê¹¨ë¹„ì˜ ë‹¤ë¦¬ì™€ ë”듬ì´ë¥¼ 채색한 후 마디와 털 등 디테ì¼í•œ
ë¶€ë¶„ì„ ê·¸ë¦¬ê³  ë°˜ë”§ë¶ˆì´ ë“±ê»ì§ˆì˜ ì¤‘ì•™ì— ì„ ì„ ê·¸ì–´ì¤€ë‹¤.
ì´ì–´ ë³´ë¼ìƒ‰ 난초 ê½ƒìžŽì˜ ì¤‘ì•™ì— ì„ ê³¼ ê½ƒìˆ ì„ ê·¸ë ¤ì£¼ëŠ”ë°,
특히 ê½ƒìˆ ì„ ê·¸ë¦´ 때는 ë¶“ì„ ì§€ê·¸ì‹œ 눌렀다가 아래로 빼주는
ì •ë‘서미법으로 그려 꽃술 ëª¨ì–‘ì„ ì‚´ë¦°ë‹¤.


31
ã‰šì— ì‚¬ìš©í•œ ìƒ‰ì„ ë¬½ì§€ 않게 하여 3번 나비 ë‚ ê°œ
사ì´ì‚¬ì´ì— ì‚´ì„ ì³ì¤€ë‹¤.


32
분채 í™ë§¤ì— 봉채 ë“±í™©ì„ ì„žì€ ìƒ‰ìœ¼ë¡œ 장미 ê½ƒìžŽì„ ë°”ë¦¼í•˜ê³ 
(ì•ˆìª½ì€ ê°•í•˜ê²Œ, 가장ìžë¦¬ëŠ” 약하게),
ê°™ì€ ìƒ‰ì— ì†ŒëŸ‰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ê½ƒì˜ ë ì„ ì„ ì³ì¤€ë‹¤.


33
ã‰šì— ì‚¬ìš©í•œ ìƒ‰ì„ ë¬½ê²Œ 조절하여 화면 우측 ìƒë‹¨ì— 위치한
장미 ìžŽì‚¬ê·€ì˜ ìžŽë§¥ê³¼ 가시 ë“±ì„ í‘œí˜„í•œë‹¤. 가시를 그릴 때는
ë¶“ì„ ì„¸ì› ë‹¤ê°€ 지그시 눌러주면 ìžì—°ìŠ¤ëŸ¬ìš´ ì—°ì¶œì´ ê°€ëŠ¥í•˜ë‹¤.


34
ë¨¹ì— ë´‰ì±„ 대ìžë¥¼ 소량 ì„žì€ ìƒ‰ìœ¼ë¡œ 물잠ìžë¦¬ì˜ 꼬리와
ëª¸í†µì„ ë°”ë¦¼í•˜ê³  ê°™ì€ ìƒ‰ìœ¼ë¡œ 가장ìžë¦¬ ëì„ ì„ ì¹œë‹¤.


35
봉채 대ìžë¡œ 난초잎 êµ°ë°êµ°ë°ë¥¼ 러프하게 툭, 툭 ì³ê°€ë©° ìƒ‰ì„ ì˜¬ë ¤ì¤€ë‹¤.
ë¨¹ì— ë´‰ì±„ 대ìžë¥¼ ì„žì€ ìƒ‰ìœ¼ë¡œ 나비 ë ì„ ì„ ì³ì„œ 마무리해주고,
í˜¸ë¶„ì„ ì´ìš©í•´ 3번 ë‚˜ë¹„ì˜ ì ì´ë‚˜ 주름 ë“±ì˜ ë””í…Œì¼ì„ 표현한다.
ì „ì²´ì ìœ¼ë¡œ ìž‘í’ˆì„ ì‚´íŽ´ë³´ë©° 무늬가 예ì˜ì§€ ì•Šì€ ë¶€ë¶„ì„ ì •ë¦¬í•˜ë©°
마무리한다. ëì„ ì€ ë°”ë¦¼ìƒ‰ë³´ë‹¤ 약간 ì–´ë‘ìš´ 색으로 ê°•ì•½ì„ ì‚´ë ¤
형태를 정리해준다.


ì •ì€ | 작가

ë³µë‹´í™”ì› ë¯¼í™”ì—°êµ¬ì†Œë¥¼ ìš´ì˜í•˜ë©°, ë¯¼í™”ì— ì‹œëŒ€ì •ì‹ ì„ ë‹´ì•„
재해ì„하는 ìž‘ì—…ì„ í•˜ê³  있다. ê¶ì¤‘장ì‹í™”전수관 전수화ì›ì´ë©°
저서로는 《복담화첩》 ì œ1ê¶Œ í•´ìƒêµ°ì„ ë„, ì œ2ê¶Œ ë°±ë™ìžë„ê°€ 있다.
ì´í™”ì—¬ìžëŒ€í•™êµ 미술대학 졸업, ë™êµ­ëŒ€í•™êµ ëŒ€í•™ì› ë¯¼í™” ì „ê³µ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