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경 작가와 함께하는 문ìžë„ 그리기Ⅲ

제주문ìžë„는 소탈한 듯 강렬한 í‘œí˜„ì´ íŠ¹ì§•ì´ë‹¤.
ì´ë²ˆ ìž‘í’ˆì˜ ê²½ìš° 붉ì€ìƒ‰ê³¼ 푸른색 ê³„ì—´ì˜ ì•ˆë£Œê°€ 주를 ì´ë¤„ 단순한 듯 ë³´ì´ì§€ë§Œ
ì•ˆë£Œì˜ í˜¼í•©ë°©ì‹ì— ë”°ë¼ ê° ìƒ‰ìƒì˜ 명ë„나 채ë„는 얼마든지 다채롭게 í‘œí˜„ë  ìˆ˜ 있다.

정리 문지혜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초본작업


1
중먹으로 ì´ˆë³¸ì„ ê·¸ë¦°ë‹¤.


1차색 칠하기


2
í˜¸ë¶„ì— ë¶„ì±„ 황토를 섞어 명ë„를 낮춘 색으로 문ìžë„ 밑색, 사당 창문과
윗지붕, 화분 ë“±ì„ ì¹ í•˜ê³  꽃 ê°€ìš´ë° ê½ƒìˆ ì´ ìœ„ì¹˜í•œ ë¶€ë¶„ì„ ë°”ë¦¼í•œë‹¤.


3
연단(í˜¹ì€ ë¶„ì±„ 주황)으로 문ìžë„ ê¸€ìž ë ë¶€ë¶„ì„ ì±„ìƒ‰í•œë‹¤.


4
ì—°ë‹¨ì— ë¶„ì±„ 황 ë˜ëŠ” 황주를 섞어 문ìžë„ì˜ ë‹¨ì²­ 휘 문양 ì¼ë¶€ë¥¼ 채색한다.


5
â‘£ì— ê²½ë©´ì£¼ì‚¬ë¥¼ 조금 섞어 꿩깃털, 사당 ê·¼ì²˜ì˜ í™ë”미 ë“±ì„ í‘œí˜„í•œë‹¤.
ê°™ì€ ìƒ‰ìœ¼ë¡œ 새부리, 화분, 나팔꽃, 항아리를 칠한다.
ë¶‰ì€ ìƒ‰ ê³„ì—´ì˜ ë¹„ìŠ·í•œ 색ì´ë¼ í• ì§€ë¼ë„ 분채 주나 분채 ì–‘í™ì„
섞어가며 ë°‘ìƒ‰ì„ ì¹ í•˜ë©´ ê·¸ë¦¼ì˜ ìƒ‰ê°ì„ 한층 í’성히 표현할 수 있다.


6
ì„간주로 사당 나무 ê¸°ë‘¥ì„ ì±„ìƒ‰í•œë‹¤.


7
분채 주황으로 êµ­í™” ê½ƒìžŽì„ ì¹ í•œë‹¤.
분채 단ìžë¥¼ 활용하면 ë”ìš± 화려한 색ê°ì„ 만들 수 있다.


8
편채 ê°ìƒ‰ì— 봉채 ë…¹ì²­ì„ ì„žì€ ìƒ‰ìœ¼ë¡œ 나팔꽃 ì´íŒŒë¦¬ë¥¼ 채색한다.


9
ë¶“ì— â‘§ì„ ë¬»ížŒ ë‹¤ìŒ ë¹ˆ ì ‘ì‹œì— ë¬¸ì§ˆëŸ¬ 물기를 뺀다.
ëì´ ê°ˆë¼ì§„ 붓으로 항아리 ì†ì„ 한 ë²ˆì— ê·¸ë ¤ 투박하게 표현한다.


10
편채 ê°ìƒ‰ì— í˜¸ë¶„ì„ ì¡°ê¸ˆ ë„£ì€ ìƒ‰ìœ¼ë¡œ 문ìžë„ ë ë¶€ë¶„ì˜ ìƒˆë¨¸ë¦¬ 모양 등ì„
칠한다. ê°™ì€ ìƒ‰ìœ¼ë¡œ 나비 ë‚ ê°œ ë¬¸ì–‘ì„ í‘œí˜„í•˜ê³  사당 지붕 ë°‘ìƒ‰ì„ ì¹ í•œë‹¤.


11
ì´íŒŒë¦¬ë¥¼ 채색할 때 ë©´ì ì„ 완전히 채우기보다 듬성듬성
ì—¬ë°±ì„ ë‚¨ê²¨ë„ ë©‹ìŠ¤ëŸ½ë‹¤. ì´íŒŒë¦¬ìƒ‰ì´ 마르기 ì „ì— ë‹¤ë¥¸ 색ì„
조금 섞어 다채롭게 표현해 본다.


12
봉채 ë…¹ì²­ì— íŽ¸ì±„ ê°ìƒ‰ì„ 조금 ì„žì€ ìƒ‰ìœ¼ë¡œ 사당 ì˜†ì— ìœ„ì¹˜í•œ 나뭇잎ì„,
ì„간주와 봉채 ë°±ë¡ì„ ì„žì€ ìƒ‰ìœ¼ë¡œ ìž‘ì€ ê½ƒë“¤ì´ í”¼ì–´ìžˆëŠ” ë¶€ë¶„ì„ ì¹ í•œë‹¤.


13
편채 ê°ìƒ‰ì— ë¨¹ì„ ì„žì–´ 만든 색으로 ì§€ë¶•ì„ ì„ ë§ê·¸ë ¤ 푸른 색ê°ì„ 한층
선명히 표현한다. ê°™ì€ ìƒ‰ìœ¼ë¡œ 창호문 외곽선, 창살 ë“±ì„ ë§ê·¸ë¦°ë‹¤.


14
편채 ê°ì— ë¨¹ì„ ì„žì€ ìƒ‰ìœ¼ë¡œ ê¿© ê¹ƒí„¸ì„ ê·¸ë¦°ë‹¤.
ë°”íƒ•ì— í˜¸ë¶„ì„ ì¹ í–ˆê¸° ë•Œë¬¸ì— ìƒ‰ì´ ë§ˆë¥´ê³  나면 ë”ìš± ë°ê²Œ 발색ëœë‹¤ëŠ” ì ì„
ê°ì•ˆí•´ 표현하고ìží•˜ëŠ” 색보다 조금 ë” ì§„í•œ 색으로 ê¹ƒí„¸ì„ ë¬˜ì‚¬í•œë‹¤.


15
먹으로 ê¿© ë°° ë¶€ë¶„ì˜ ê¹ƒí„¸ì„ ì ì ì´ ì°ì–´ 표현한다.
ì·¨í–¥ê» ë‹¤ì–‘í•œ ë¶“ì„ í™œìš©í•˜ë©´ ë”ìš± 재밌는 ê·¸ë¦¼ì„ ê·¸ë¦´ 수 있다.


16
분채 단ìžì— 주를 ì„žì€ ìƒ‰ìœ¼ë¡œ ê½ƒìžŽì„ ì¹ í•œë‹¤.
꽃술 있는 ë¶€ë¶„ì„ ì¤‘ì‹¬ìœ¼ë¡œ ì„ ì„ ì•ˆìª½ìœ¼ë¡œ 그린 ë’¤ ëŒì–´ë‹¹ê¸°ë“¯
바림하여 꽃술 ë¶€ë¶„ì„ ìžì—°ìŠ¤ë ˆ 표현한다.
ìƒ‰ì´ ë§ˆë¥´ê³  나면 호분으로 ê½ƒìˆ ì„ ì ì ì´ ì°ì–´ ê½ƒì„ ì™„ì„±í•œë‹¤.


ë¬¸ìž ë‚´ 물결 그리기 ë° ë§ˆë¬´ë¦¬ 작업


17
ë¬¸ìž ì†ì— 물결 파장으로 ë³´ì´ëŠ” 비백처리를 하기 위해
ë¶“ì— ì¤‘ë¨¹ì„ ë¬»ížŒ ë’¤ ì ‘ì‹œì— ë¹„ë²¼ ë¶“ëì„ ê°ˆë¼ì§€ê²Œ 만든다.
붓으로 물결 ëª¨ì–‘ì„ ë¬˜ì‚¬í•˜ê¸° ì „ 별ë„ì˜ ì¢…ì´ì— ì„ ì„ ê·¸ì–´
ì„ ì˜ ëª¨ì–‘ì´ë‚˜ 굵기 ë“±ì„ í™•ì¸í•œë‹¤.


18
ì›ëž˜ 제주문ìžë„ 바탕ì—는 ë¨¹ì´ ì—†ì§€ë§Œ, 여기서는 먹으로 ë°”íƒ•ì„ ì¹ í•˜ì—¬
한층 강렬하게 그려보았다. 바탕ì—는 ë¨¹ë§Œì„ ì‚¬ìš©í–ˆë‹¤.
분채 í‘ì„ ì„žìœ¼ë©´ ê²€ì€ìƒ‰ì„ 선명히 표현할 수는 있겠지만
제주문ìžë„ì˜ ìžì—°ìŠ¤ëŸ¬ì›€ì„ ì‚´ë¦¬ê¸° 위해 분채를 섞지 않았다.
바탕과 글씨 ëª¨ë‘ ë‹ë³´ì¼ 수 있ë„ë¡ ë°”íƒ•ê³¼ 글씨 여백 사ì´ë¥¼ 0.3~0.5㎜
ë„운다. ë¨¹ì„ í•œ 번만 칠하면 ì–¼ë£©ì´ ìƒê¸¸ 수 있으므로
ë°”íƒ•ì´ ë§ˆë¥´ê³  나면 ë¨¹ì„ í•œ 번 ë” ì¹ í•œë‹¤. 글ìžì™€ 바탕 ê°„ì˜ ê°„ê²©ì„
ê¹”ë”히 처리할 수 있ë„ë¡ ì²˜ìŒì— 먹으로 ì¹ í•  ë¶€ë¶„ì˜ ì˜ì—­ì„
확실히 표현해야 2ì°¨ ë°”ë¦¼ë„ ìˆ˜ì›”í•˜ê²Œ 진행할 수 있다.


19
ì£¼ìš”ì†Œìž¬ì¸ ë¬¸ìž ë¶€ë¶„ì˜ ê²½ìš° 푸른색, ë¶‰ì€ ìƒ‰ ê³„í†µì˜ ìƒ‰ì´ ë§ˆë¥´ê³  나면
한층 진한 색으로 ê°™ì€ ë©´ì ì„ 바림하여 색ê°ì„ 보다 선명히 표현한다.


20
ê·¸ 외 1단, 3ë‹¨ì— ë¬˜ì‚¬ëœ ë‚˜íŒ”ê½ƒ, 화분, 새 ë“±ì˜ ì†Œìž¬ëŠ”
강조하고 ì‹¶ì€ ë¶€ë¶„ë§Œ 추가로 가필하거나 바림하여 마무리한다.

정오경 | 작가

2íšŒì˜ ê°œì¸ì „ì„ ê°œìµœí–ˆê³  월간민화 기íšì „ <화조화 today>를 비롯해
ë‹¤ìˆ˜ì˜ ì´ˆëŒ€ì „, ê·¸ë£¹ì „ì— ì°¸ì—¬í–ˆë‹¤. 현재 롯ë°ë°±í™”ì  ë³¸ì ,
í˜„ëŒ€ë°±í™”ì  ì‹ ì´Œì , 겸재정선미술관ì—서 민화를 ì§€ë„하고 있으며
ë³µëœ ê·¸ë¦¼ 우리민화 연구소를 ìš´ì˜ì¤‘ì´ë‹¤.
ë¬¸ì˜ 010-9766-9749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