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경 작가와 함께하는 문ìžë„ 그리기Ⅱ

문ìžë„ 그리기 ë‘ ë²ˆì§¸ 시간ì—는 백수백복ë„를 그려본다.
글씨와 ë„ìƒì´ 오밀조밀하게 ëª¨ì¸ ì´ ìž‘í’ˆì„ ì›ë³¸ 그대로 그리는 ê²ƒë„ ì¢‹ì§€ë§Œ,
ë˜ ë‹¤ë¥¸ 색ê°ì„ 활용해 밑색ì´ë‚˜ 바림 ìž‘ì—…ì„ ë”하면
한층 현대ì ì´ë©´ì„œë„ í¥ë¯¸ë¡œìš´ ìž‘í’ˆì„ ì™„ì„±í•  수 있다.

정리 문지혜 ê¸°ìž ì‚¬ì§„ ì´ì£¼ìš© 기ìž


초본작업

1
글씨를 따로 그려야 하는 ê³µê°„ì„ ë¹„ì›Œë‘ê³  ë¨¹ì— ëŒ€ìžë¥¼ 섞어 ì´ˆë³¸ì„ ê·¸ë¦°ë‹¤.
ë¨¹ì— ëŒ€ìžë¥¼ ì„žì€ ìƒ‰ì€ ëª¨ë“  색과 잘 어우러진다.


2
밑그림 ìœ„ì— ë°”íƒ•ì§€ë¥¼ 대고 글씨를 그린다.
ì„ ê³¼ ê°™ì€ ê°€ëŠ” ë©´ì ì˜ 색ìƒì€ 실제 ì•ˆë£Œì˜ ìƒ‰ë³´ë‹¤ 어둡게 ë³´ì¼ ìˆ˜
있으므로 ì›ìƒ‰ì„ 그대로 사용하는 ê²ƒì´ ì¢‹ë‹¤.
분채 ì ì£¼ë¡œ ‘ç¦â€™ì„ ë°ê²Œ 표현한다.


3
글ìžë¥¼ 그릴 ë• ì²œì²œížˆ 그리ë„ë¡ í•œë‹¤. ì„ ì„ ì²œì²œížˆ 그릴 경우
빨리 그리는 것보다 ì„ ì˜ êµµê¸°ë¥¼ 조절하거나 ì„ ì„ ì„œë¡œ 연결시키기ì—
수월하기 때문ì´ë‹¤. 입문ìžì˜ 경우 ì†ì´ 떨릴 수 있지만 ìˆ¨ì„ ë‚´ì‰¬ë©´ì„œ
그리면 ì†ë–¨ë¦¼ì´ ëœí•˜ë‹¤. 숨고르기를 하며 천천히 ì„ ì„ ê·¸ë¦°ë‹¤.
ì„ ì„ ê·¸ë¦¬ë‹¤ë³´ë©´ ë¶“ì´ ëˆŒë ¤ ì„ ì´ ë‘꺼워질 수 있으므로 처ìŒì—”
ë¶“ì„ ì§€ê·¸ì‹œ 눌렀다가 ì„ ì„ ê·¸ë¦¬ë©´ì„œ ì‚´ì§ ë“œëŠ” 듯한 ëŠë‚Œìœ¼ë¡œ 그린다.


밑색 칠하기


4
분채 ì£¼ì— í•œêµ­í™” 튜브 대ìžë¥¼ 섞어 ìƒ‰ì˜ ëª…ë„와 채ë„를
조금 낮춘 ë’¤ 글씨 ì•ˆì˜ ë©´ì ì„ 채우듯 칠한다.


5
호분으로 ìƒˆì˜ ë°°, 깃털, í•´íƒœì˜ ë°œ 부분, 수염, 화병 안쪽, ì—°ê½ƒì„ ì¹ í•œë‹¤.


6
í˜¸ë¶„ì— ë¶„ì±„ 황토, 분채 í™©ì„ ì¡°ê¸ˆ ë„£ì€ ìƒ‰ìœ¼ë¡œ 곤충 밑색, ë‹­ì„ ì±„ìƒ‰í•œë‹¤.


7
â‘¥ì— ë¶„ì±„ ë°±ë¡ì„ 조금 ë„£ì€ ìƒ‰ìœ¼ë¡œ 벌 몸통, ë‹­ê³¼ í•´íƒœì˜ ëˆˆ ë¶€ë¶„ì„ ì¹ í•œë‹¤.


8
분채 ì£¼ì— í˜¸ë¶„ì„ ì¡°ê¸ˆ ë„£ì€ ìƒ‰ìœ¼ë¡œ ì±…, 산호, ìž”, 화분 ë°‘ìƒ‰ì„ ì±„ìƒ‰í•˜ê³ 
분채 ì ì£¼ë¡œ 나무열매와 ê½ƒì„ ì—·ê²Œ 칠한다.


9
분채 êµ°ì²­ì— í˜¸ë¶„ì„ ì„žì€ ìƒ‰ìœ¼ë¡œ 푸른색 ê¸°ë¬¼ì˜ ë°‘ìƒ‰ì„ ì¹ í•œë‹¤.
추후 군청색으로 ê°™ì€ ë©´ì  ì „ì²´ë¥¼ 다시 바림하는 ê²½ìš°ë„ ìžˆì§€ë§Œ,
ì´ë ‡ê²Œ ë°‘ìƒ‰ì„ ì¹ í•´ë‘는 ì´ìœ ëŠ” ë°‘ìƒ‰ì„ ì¹ í•˜ì§€ 않고
바로 분채 ê°ìƒ‰ì„ ì¹ í•  경우 ìƒ‰ì´ ë„ˆë¬´ 어둡게 표현ë˜ê¸° 때문ì´ë‹¤.


10
분채 ë°±ë¡ì— 황토를 ì„žì€ ìƒ‰ìœ¼ë¡œ 연잎, 대나무 ë°‘ìƒ‰ì„ ì±„ìƒ‰í•œë‹¤.


2차 바림하기


11
분채 녹청 í˜¹ì€ ë¶„ì±„ ë…¹ì²­ì— ë¨¹ì„ íƒ„ 색으로 ì´íŒŒë¦¬ì˜ ë°˜ ì •ë„를 바림한다.
ê°™ì€ ìƒ‰ìœ¼ë¡œ 꽃받침 가장ìžë¦¬ë‚˜ 꽃받침 ë ë¶€ë¶„ë„ ë°”ë¦¼í•œë‹¤.


12
보통 그릇 전체를 ê°™ì€ ìƒ‰ìœ¼ë¡œ 칠하지만 그릇 몸통ì´ë‚˜ êµ½ 부분ì„
달리하여 ì¹ í•  경우 ê°™ì€ ìƒ‰ìœ¼ë¡œ 바림하ë”ë¼ë„ 색ê°ì— 미묘히 ì°¨ì´ë¥¼ 주어
한층 재밌게 표현할 수 있다.


13
분채 ë…¹ì²­ì— ê°ìƒ‰ì„ ì„žì€ ìƒ‰ìœ¼ë¡œ 연잎 2ì°¨ìƒ‰ì„ ë°”ë¦¼í•œë‹¤.
마르고 나면 ê°™ì€ ìƒ‰ìœ¼ë¡œ 다시 바림한다.


14
분채 ë°±ë¡, 분채 황토, 분채 ë…¹ì²­ì„ ì„žì€ ìƒ‰ìœ¼ë¡œ 대나무를 바림한다.
대나무가 ë™ê·¸ëž—기 ë•Œë¬¸ì— ê°€ìž¥ìžë¦¬ë¥¼ 중심으로 바림한다.
대나무 ì´íŒŒë¦¬ëŠ” ë©´ì ì˜ â…“ì„ ë°”ë¦¼í•œë‹¤.


15
파란색 글ìžì˜ 경우 ë„ìƒ ê°€ìš´ë° ë¶€ë¶„ì„ ì¤‘ì‹¬ìœ¼ë¡œ ì¢Œìš°ëŒ€ì¹­ì´ ë˜ë„ë¡
진하게 바림했다. 양쪽 비슷한 ì§€ì ê¹Œì§€ 분채 ê°ìƒ‰ìœ¼ë¡œ 바림한다.


16
분채 ê°ìƒ‰ì— ì–‘í™ì„ 섞어 만든 색으로 해태 밑받침, 새깃 ë“±ì„ ë°”ë¦¼í•œë‹¤.


2차 바림하기


17
보색으로 항아리무늬를 칠하기 위해서는 튜브물ê°ì´ 아닌, 분채를 ì¨ì•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위치와 ëª¨ì–‘ì„ ë§žì¶˜ ë’¤ 분채 군청으로
여러 번 ì„ ì„ ê·¸ë ¤ 무늬를 선명히 표현한다.


18
호분으로 항아리 ìœ„ì— ê¸€ì”¨ë¥¼ ì¨ë„£ëŠ”ë‹¤. 한 ë²ˆì— ì“°ë ¤ê³  í•  경우
실수할 ìˆ˜ë„ ìžˆìœ¼ë¯€ë¡œ 맨 처ìŒì—” ì–‡ì€ ì„ ìœ¼ë¡œ ê¸€ì”¨ì˜ ëŒ€ëžµì ì¸ 위치나
ìœ¤ê³½ì„ ìž¡ì€ ë’¤ ê·¸ ìœ„ì— ë‹¤ì‹œ 글씨를 ë˜ë°•ë˜ë°• ì¨ë„£ì–´ 완성한다.


19
분채 ë…¹ì²­ì— ë¶„ì±„ ê° í˜¹ì€ êµ°ì²­ì„ ì¡°ê¸ˆ ì„žì€ ìƒ‰ìœ¼ë¡œ 녹색 글씨를 바림한다.
ì›ë³¸ì—는 단색으로 처리ë˜ì—ˆì§€ë§Œ 여기서는 ë„ìƒì„ 다채롭게 표현하고ìž
사선 방향으로 진하기를 달리하여 바림했다. 따로 떨어진 íš ë¶€ë¶„ë„
ìœ—ë¶€ë¶„ì€ ì§„í•˜ê²Œ, 아랫부분으로 ê°ˆìˆ˜ë¡ ì—°í•´ì§€ë„ë¡ ë°”ë¦¼í•œë‹¤.


20
분채 ê°ìƒ‰ì²˜ëŸ¼ 진한 ìƒ‰ì„ ì“¸ 때 ë„ìƒì˜ ë부분부터 바림하다 ë³´ë©´ ìžì¹«
ì™¸ê³½ì´ ë²ˆì§ˆ 수 있으므로 안쪽부터 칠하고 ë„ìƒì˜ 가장ìžë¦¬ë¥¼ ë§žì¶°
마무리를 하는 ê²ƒì´ ì¢‹ë‹¤.


21
분채 í™©ì— í˜¸ë¶„ì„ ë„£ì€ ìƒ‰ìœ¼ë¡œ 무늬를 그린다.


22
처ìŒë¶€í„° í˜¸ë¶„ì„ ë„ˆë¬´ 진하게 ì¹ í•  경우 ë„ìƒ ì•ˆì—서 ê°•ì•½ì„ í‘œí˜„í•˜ê¸°ê°€
어려우므로 í°ìƒ‰ì˜ ë„ìƒì„ ì¹ í•  때는 맨 ì²˜ìŒ í˜¸ë¶„ì— ë¶„ì±„ 황토를 아주
조금 탄 색ìƒìœ¼ë¡œ ë°‘ìƒ‰ì„ ì—°í•˜ê²Œ 칠한다. ë°‘ìƒ‰ì´ ë§ˆë¥´ê³  나면 깃털,
머리, ë°° 있는 ë¶€ë¶„ì€ ì¡°ê¸ˆ ë” ì§„í•œ 호분으로 칠하여 í¬ì¸íŠ¸ë¥¼ 준다.
ê°™ì€ ë°©ë²•ìœ¼ë¡œ ì—°ê½ƒë„ ë°‘ìƒ‰ì€ í˜¸ë¶„ì— ë¶„ì±„ 황토를 ì„žì€ ìƒ‰ìœ¼ë¡œ, 꽃잎
가장ìžë¦¬ ë¶€ë¶„ì€ ë†ë„ê°€ 진한 호분으로 ì‚´ì§ ê·¸ë ¤ ê°•ì•½ì„ í‘œí˜„í•œë‹¤.


23
중먹으로 ë‹­ì˜ ëˆˆì„ ì°ì–´ 표현한다. 밑색 ë•Œë¬¸ì— ë¨¹ìƒ‰ì´ ìž˜ ë³´ì´ì§€
않으므로 먹으로 ë‘ ë²ˆ ì •ë„ ì°ì–´ 눈ë™ìžë¥¼ 표현한다.


24
벌과 ê°™ì€ ê³¤ì¶©ì´ë‚˜ í•™ 등 ìž‘ì€ ë„ìƒì€ 따로 ê°€í•„ìž‘ì—…ì„ í•˜ì§€ 않지만
ì±…ê°€ë„ ë„ìƒê³¼ ê°™ì´ ë©´ì ì´ í¬ê±°ë‚˜ 무늬가 있는 ë„ìƒì€ ê°€í•„ìž‘ì—…ì„ í•˜ì—¬
마무리한다.

정오경 | 작가

2íšŒì˜ ê°œì¸ì „ì„ ê°œìµœí–ˆê³  월간민화 기íšì „ <화조화 today>를
비롯해 ë‹¤ìˆ˜ì˜ ì´ˆëŒ€ì „, ê·¸ë£¹ì „ì— ì°¸ì—¬í–ˆë‹¤.
현재 롯ë°ë°±í™”ì  ë³¸ì , í˜„ëŒ€ë°±í™”ì  ì‹ ì´Œì , 겸재정선미술관ì—서
민화를 ì§€ë„하고 있으며 ë³µëœ ê·¸ë¦¼ 우리민화 연구소를 ìš´ì˜ì¤‘ì´ë‹¤.
ë¬¸ì˜ 010-9766-9749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