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옥 작가와 함께하는 민화 책거리 그리기

정성옥 ìž‘ê°€ì˜ ì‹¤ê¸°êµì‹¤ 마지막 시간, ì´ë²ˆí˜¸ì—서는 ìžìœ ë¡œìš´ í•„ì¹˜ì˜ ë¯¼í™” 책거리를 그려보ë„ë¡ í•œë‹¤.
ì±…ê°‘ 문양 노하우는 물론 채색 ì „ íŒê¹Œì§€ 꼼꼼히 살펴보ìž. (편집ìžì£¼)


왕실과 ê·€ì¡±ì´ í–¥ìœ í•œ ê·¸ë¦¼ì´ ê¶ì¤‘ 책거리였다면 ì¼ë°˜ 사대부와 ì„œë¯¼ë“¤ì€ ë¯¼í™” 책거리를 ì¦ê²¼ë‹¤. 민화 책거리는 ê¶ì¤‘회화보다 ê·¸ë¦¼ì˜ í¬ê¸°ê°€ 작아진 형태ì´ë©°, 여러 ê¸°ë¬¼ë“¤ì„ ì œí•œëœ ê³µê°„ì— ë‹´ì•„ë‚´ê³ ìž ì‘ì§‘ë ¥ 있게 구성ë다. ë˜í•œ 서민 í™”ê°€ì˜ ìžìœ ë¡œìš´ ìƒìƒë ¥ê³¼ 길ìƒì ì¸ ìƒì§•물과 ë”불어 행복, 장수, 출세, ë‹¤ë‚¨ìž ë“±ì„ ì—¼ì›í•˜ëŠ” 세ì†ì ì¸ ìš•ë§ì´ 깃들어있다. <ê¶ì¤‘ 책거리와 민화 ì±…ê±°ë¦¬ì˜ ë¹„êµ>(정병모 ê²½ì£¼ëŒ€í•™êµ êµìˆ˜, ê³„ëª…ëŒ€í•™êµ í•œêµ­ë¯¼í™”ì—°êµ¬ì†Œ 2014)ì— ë”°ë¥´ë©´ 민화 책거리가 ê¶ì¤‘ ì±…ê±°ë¦¬ì— ë¹„í•´ 전통ì ì´ê³  한국ì ì¸ ì´ìœ ëŠ” ê·¸ í™”í’ì„ ì² ì €ížˆ ì „í†µì— ê¸°ë°˜ì„ ë‘ê³  변용시켰으며 책거리 ì†ì˜ ê¸°ë¬¼ë“¤ë„ ì¤‘êµ­ì ì¸ 것ì—서 ì ì°¨ 한국ì ì¸ 것으로 바뀌었기 때문ì´ë¼ê³  한다.
ë˜í•œ ê¶ì¤‘ 책거리가 실제 색채를 재현하는 사실주ì˜ì  경향ì´ë¼ë©´ 민화 책거리는 다채로운 ì±„ìƒ‰ì„ ì¶”êµ¬í•˜ëŠ” 표현주ì˜ì  ì„±í–¥ì´ ì§™ë‹¤. ì´ëŸ¬í•œ íŠ¹ì§•ì„ í†µí•´ 민화가 색채를 통해 장ì‹ì„±ì„ 추구하는 채색화란 ì‚¬ì‹¤ì„ í™•ì¸í•  수 있다. 민화 ì±…ê±°ë¦¬ì˜ ì¶œë°œì€ ë™ì¼í•œ 본 그림ì´ì—ˆì§€ë§Œ 때론 구매ìžì˜ ìš”êµ¬ì— ë”°ë¼ì„œ, ë˜ëŠ” 민화 ìž‘ê°€ì˜ ìš•ë§ì— ë”°ë¼ì„œ 조금씩 수정, 재구성ë˜ë©´ì„œ 아래 그림 â‘ , â‘¡, ③과 ê°™ì´ ìƒˆë¡­ê²Œ 재ìƒì‚°ë˜ê¸°ë„ 했다.

민화 책거리 표현 방법

â‘  민화 책거리는 ì‚¬ë¬¼ê°„ì˜ ìƒí˜¸ 비례가 무시ë˜ë©°, 그림 ë‚´ìš©ì„ ì¤‘ì‹œí•˜ëŠ” ê°•ì¡°ì ì— ë”°ë¼ ì‚¬ë¬¼ì˜ í¬ê¸°ë¥¼ 달리 표현한다.
â‘¡ ì±…ì´ë‚˜ 가구를 그릴 때 ì•žì´ ì¢ê³  뒤가 넓어지는 ‘역ì›ê·¼ë²•â€™ì„ ì“°ê¸°ë„ í•˜ê³ , 시ì ì´ 한 ê³³ì— ë¨¸ë¬¼ì§€ 않고 여러 ë°©í–¥ì—서 ë°”ë¼ë³´ëŠ” *ë™ì•„ì‹œì•„ì  ë°©ì‹ì— ë”°ë¼ ìžìœ ë¡­ê²Œ 대ìƒì„ 그린다.
â‘¢ ë¯¼í™”í’ ì±…ê±°ë¦¬ë¥¼ 채색할 때는 전통회화와 달리 ì˜¤ë°©ìƒ‰ì„ ì¤‘ì‹¬ìœ¼ë¡œ ê°ê°ì ì¸ ì›ìƒ‰ì„ ê±°ë¦¬ë‚Œì—†ì´ ì‚¬ìš©í•˜ê¸°ë„ í•˜ê³  í™”ë©´ì— ë“±ìž¥í•˜ëŠ” ì‚¬ë¬¼ì˜ ì„±ê²©ì— ë”°ë¼ ë‹¤ì–‘í•˜ê³  ìžìœ ë¡­ê²Œ 표현하였다.

* ë™ì•„ì‹œì•„ì  ë°©ì‹ì´ëž€?
민화ì—서는 시ì ì´ 한 ê³³ì— ê³ ì •ë˜ì–´ 있지 않고 좌우ìƒí•˜ë¡œ ìžìœ ë¡­ê²Œ 움ì§ì¸ë‹¤. ì´ëŸ¬í•œ 현ìƒì€ ë™ì–‘ì¸ë“¤ì˜ 관물태ë„와 ê´€ë ¨ì´ ìžˆë‹¤. ì„œì–‘ì˜ ê·¸ë¦¼ì—서는 ëˆˆê³¼ì˜ ê±°ë¦¬ ë° ê·¸ë ¤ì§ˆ 대ìƒì˜ ëˆˆë†’ì´ ë“± 모든 사물 ê°„ì˜ ìƒí˜¸ê´€ê³„ê°€ í™”ë©´ì— íˆ¬ì˜ë˜ì–´ 있는 반면(íˆ¬ì‹œë²•ì— ì˜í•œ 시ì ì€ í•­ìƒ ëŒ€ìƒì˜ 한 ì ì— ì •í•´ì ¸ 있다) ë™ì–‘화는 대ìƒì´ ì´ë™í•˜ê±°ë‚˜ í˜¹ì€ ë³´ëŠ” ì´ì˜ 위치가 변화한다. 즉, ì„œì–‘ì˜ ê´€ë¬¼íƒœë„ê°€ ‘보고있다’ë¼ë©´ ë™ì•„ì‹œì•„ì  ê´€ë¬¼ 태ë„는 â€˜ë³´ì•„ê°„ë‹¤â€™ì¸ ê²ƒì´ë‹¤.

ì´ ê·¸ë¦¼ì˜ ì¤‘ì‹¬ì€ ì±…ì´ì§€ë§Œ, ì±…ì€ ë’·ì „ì´ê³  화면 ì¤‘ì‹¬ë¶€ì— ìˆ˜ë°•(다남)ì´ í° ë¹„ì¤‘ì„ ì°¨ì§€í•˜ê³  ê·¸ 위ì—는 ì—°ë°¥ì„ ìª¼ëŠ” 새(í•©ê²©ì„ ìƒì§•)ê°€ ëˆˆì— ëˆë‹¤. 복숭아(장수)를 ë‹´ì€ ì ‘ì‹œë‚˜ ì±…ì„ ë°›ì¹¨ëŒ€ë¡œ 사용하는 모습 ë“±ì„ ë³´ë©´ ì±…ê³¼ 함께 세ì†ì ì¸ 소ë§ê³¼ ì—¼ì›ì´ ê°€ë“ ë‹´ê²¨ì ¸ 있ìŒì„ 알 수 있다. ì ìƒ‰, 연노랑, 녹색, 남색 ë“±ì˜ ìƒ‰ê°ì´ ë°ê³  화사하며 안정ì ìœ¼ë¡œ 채색ë으며, ê° ì‚¬ë¬¼ë“¤ì´ ì„¬ì„¸ížˆ 표현ë다.


책갑 문양 그리기

ì´ ì±…ê±°ë¦¬ ì±…ê°‘ì€ ì£¼ë¡œ ê½ƒë¬¸ì–‘ì´ ê·¸ë ¤ì§„ ê²ƒì´ íŠ¹ì§•ì´ë‹¤. ë¬¸ì–‘ì˜ ë³¸ì„ ë¯¸ë¦¬
그리지 않고 붓으로 ê½ƒë¬¸ì–‘ì„ ë°”ë¡œ 그리면 ë”ìš± ìžì—°ìŠ¤ëŸ½ê²Œ 그릴 수 있다.

문양 A


â‘  분채 주í™, ì–‘í™ì„ 섞어 ë°‘ìƒ‰ì„ ì¹ í•œ 후, ì–‘í™ì— ë¨¹ì„ ì•½ê°„ 섞어 바림
한다.

â‘¡ 호분으로 타ì›í˜• ëª¨ì–‘ì„ ë°©ì‚¬ì„  모양으로 그린 후, ì™¸ê³½ì— ê½ƒìžŽ 모양ì„
그린다. 분채 ì–‘í™ì— ë¨¹ì„ ì•½ê°„ 섞어 í° ì„  위로 ì´ì¤‘ì„ ì„ ê·¸ë ¤ì¤€ë‹¤.

â‘¢ 분채 ì´ˆë¡ìœ¼ë¡œ 꽃과 꽃 사ì´ì— 잎사귀 ëª¨ì–‘ì„ ìžìœ ë¡­ê²Œ 그려준다.

문양 B


â‘  분채 ì´ˆë¡, ë†ì•½ì—½ì„ 섞어 ë°‘ìƒ‰ì„ ì¹ í•œ ë’¤ ì´ˆë¡ì— ë¨¹ì„ ì•½ê°„ 섞어 바림
한다.

â‘¡ 분채 주í™, ì–‘í™ì„ 섞어 êµ­í™” ëª¨ì–‘ì„ ê·¸ë¦°ë‹¤.

â‘¢ 꽃 ëª¨ì–‘ì„ ê·¸ë ¸ë‹¤ë©´ 꽃 ì£¼ìœ„ì— ë…¸ëž€ ìžŽì„ ìžì—°ìŠ¤ëŸ½ê²Œ 그려준다.

문양 C


â‘  남색 ì±…ê°‘ì€ ë¶„ì±„ êµ°ì²­, 미남, ì•½ê°„ì˜ í˜¸ë¶„ì„ ì„žì–´ ë°‘ìƒ‰ì„ ì¹ í•œ ë’¤ 미남
ì— ë¨¹ì„ ì„žì–´ 바림한다.

â‘¡ 분채 주í™, ì–‘í™ì„ 섞어 ë‹¬íŒ½ì´ ëª¨ì–‘ì„ ê·¸ë¦° 후 ì™¸ê³½ì— ì ì„ ì°ì–´ì¤€ë‹¤.

â‘¢ ì  ì™¸ê³½ì— ë¬¸ì–‘ Bì˜ â‘¢ê³¼ ê°™ì´ ë…¸ëž‘ìƒ‰ ìžŽì„ ìžì—°ìŠ¤ëŸ½ê²Œ 그려준다.


나무 ì£¼ì „ìž ê·¸ë¦¬ê¸°

나무 소재로 만든 주전ìžë¡œ ì£¼ì „ìž ëª¸í†µì— ëŒ€ë‚˜ë¬´ì™€ 매화가 ì¡°ê°ëœ 모습과
ì£¼ì „ìž ì†ìž¡ì´ì˜ 나무줄기를 ì‚¬ì‹¤ê° ìžˆê²Œ 묘사한다.


â‘  나무와 ì¡°ê°ëœ 매화 질ê°ì„ 먹으로 표현한다.

â‘¡ í°ìƒ‰, 황토, ì•½ê°„ì˜ ê¸ˆë‹¤ë¥¼ 조색해 밑채색 바림 후 연먹으로 1ì°¨ 바림
한다.

â‘¢ 매화 ì¡°ê°ì˜ 질ê°ì€ ë¶“ì„ ëˆ•í˜€ì„œ ìŒì˜ì„ 한 번 ë” ì¤€ë‹¤. 중먹으로 매화
나 ë‚˜ë¬´ì¤„ê¸°ì˜ ëŠë‚Œì„ ì‚´ë ¤ 마무리한다.


귀갑문 ë„ìžê¸° 그리기

귀갑문ì´ëž€ ê±°ë¶ë“± ê»ì§ˆ 모양처럼 ìœ¡ê° ë¬´ëŠ¬ë¥¼ ì´ë£¬ 문양ì´ë‹¤. 귀갑문ì´
그려진 ë„ìžê¸°ëŠ” 매화 주전ìžì˜ ê·¸ë¦¼ìž í‘œí˜„ì„ ê°•í•˜ê²Œ ë°”ë¦¼í•¨ìœ¼ë¡œì¨ ì›ê·¼ê°ì˜
깊ì´ë¥¼ ë”한다.


â‘  ìš°ì„  ë„ìžê¸° ëŠë‚Œìœ¼ë¡œ 외곽선과 기본 ë¬¸ì–‘ì˜ ì„ ì„ ê·¸ë¦°ë‹¤.

â‘¡ 분채 황토, ì´ˆë¡, 대저를 섞어 ë°‘ìƒ‰ì„ ì¹ í•œ 후, ì´ˆë¡ê³¼ ë¨¹ì„ ì„žì–´ 그림ìžë¥¼
진하게 바림한다.

â‘¢ 분채 ì´ˆë¡ê³¼ ë¨¹ì„ ì„žì–´ ê·€ê°‘ë¬¸ì„ ê·¸ë¦° 후 문양 ì•ˆì— ê½ƒë¬¸ì–‘ì„ ê·¸ë¦°ë‹¤.
ê·¸ë¦¼ìž ì•ˆì— ìžˆëŠ” ë¬¸ì–‘ì€ ë”ìš± ì§™ì€ ìƒ‰ìœ¼ë¡œ 표현해 그림ìžì™€ 함께 문양ì˜
깊ì´ë¥¼ ë”한다.


글·그림 정성옥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