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 „í†µì´ ì´ì–´ì§€ëŠ” 과정 – ì‚°ì‹ ë„ ì´ˆë³¸

ë„1 ì‚°ì‹ ë„ ì´ˆë³¸, 지본수묵, 120.6×77.2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ì´ˆë³¸ì€ ì‚°ì‹ ë„ ì´ˆë³¸ìœ¼ë¡œ,
새로운 초본과 ê³¼ê±°ì— ì†Œê°œí–ˆë˜ ì´ˆë³¸ì„ ë¹„êµí•´ 보는 ì‹œê°„ì„ ë§ˆë ¨í–ˆë‹¤.
ì „í†µì´ ì´ì–´ì ¸ 내려오는 ê¸¸ì„ í™•ì¸í•  수 있는 ì‹œê°„ì´ ë  ê²ƒì´ë‹¤.

글 ì´ë‹¤ì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국립중앙박물관 ì‚°ì‹ ë„ ì´ˆë³¸

ì´ë²ˆ ì‹œê°„ì— ì†Œê°œí•  ì´ˆë³¸ì€ êµ­ë¦½ì¤‘ì•™ë°•ë¬¼ê´€ 소장 ì‚°ì‹ ë„ ì´ˆë³¸(ì´í•˜ 중박 소장 초본)ì´ë‹¤(ë„1). ì´ ìœ ë¬¼ì€ 2013ë…„ ë™ì•„ëŒ€í•™êµ ì„당박물관 특별전 <佛畫è‰: 밑그림 ì´ì•¼ê¸°>ì— ì „ì‹œëœ ì ì´ 있는 작품ì´ë‹¤. ì´ˆë³¸ì€ ì„¬ì„¸í•œ 필치로 그려져 ìžˆëŠ”ë° í™”ë©´ì„ ìžì„¸ížˆ 살펴보면 목탄 ìžêµ­ ìœ„ì— ë¨¹ì„ ì´ ê·¸ë ¤ì ¸ 있어 ì™„ì„±ëœ ì´ˆë³¸ì¸ ê²ƒìœ¼ë¡œ ë³´ì¸ë‹¤. 화면ì—는 붉ì€ìƒ‰ ì–¼ë£©ì´ ì—¬ëŸ¬ ê°œ 남아있는ë°, ì´ ì–¼ë£©ì€ ì ‘ížŒ ìžêµ­ì„ ë”°ë¼ ì°í˜€ 있어 ë³´ê´€ 과정ì—서 ìƒê¸´ 것으로 ë³´ì¸ë‹¤.
중박 소장 초본 ì† ë„ìƒì„ 살펴보면 ì‚°ì‹ ê³¼ 호랑ì´, 소나무, ë™ìžê°€ 그려져 있는 ê²ƒì„ ë³¼ 수 있는ë°, ë¶ˆêµ ê³„í†µì˜ ì‚°ì‹ ë„ë¼ê¸°ë³´ë‹¤ëŠ” 다른 ê³„í†µì˜ ì‚°ì‹ ë„처럼 ë³´ì¸ë‹¤. 그러나 ì´ ì‚°ì‹ ë„ ì´ˆë³¸ì€ 19~20세기 서울·경기 ì§€ì—­ì˜ ì‚¬ì°°ì—서 유행한 ì‚°ì‹ ë„ì˜ í˜•ì‹ìœ¼ë¡œ í™”ê³„ì‚¬ë³¸è¯æºªå¯ºæœ¬(19세기), 삼성암본三è–庵本(19세기), ì§ì§€ì‚¬ë³¸ç›´æ—¨å¯ºæœ¬(19~20세기), ì—밀레미술관본(19~20세기), 병진 소장 ì‚°ì‹ ë„ ì´ˆë³¸(20세기), 월정사본月精寺本(1894ë…„),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1900ë…„), ì›í†µì•”본圓通庵本(1907ë…„), ë´‰ì€ì‚¬ë³¸å¥‰æ©å¯ºæœ¬(1942ë…„) 등과 ê°™ì€ í˜•íƒœì´ë‹¤(ë„2), (ë„3).
ê·¸ 중 ì›í†µì•” ì‚°ì‹ ë„ ì¡°ì„±ì— ì°¸ì—¬í•œ í™”ì‚¬ì¸ ë‘í æ–—æ¬½ì€ 1897년경부터 20세기 초까지 ê²½ê¸°ë„ ì§€ì—­ì—서 활ë™í•œ 화사로 ì§ì§€ì‚¬ ì‚°ì‹ ë„ ì¡°ì„±ì—ë„ ì°¸ì—¬í•œ ë°” 있어 ì´ëŸ¬í•œ 형ì‹ì€ ë‘í ê³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ëœë‹¤ëŠ” 연구가 있다. ë˜í•œ ì›”ì •ì‚¬ë³¸ì˜ í™”ê¸°ì— ì˜í•˜ë©´ 보암普庵 ê¸ë²•肯法과 ê³ ì‚° ì¶•ì—°ì´ ì°¸ì—¬í–ˆë‹¤ëŠ” 기ë¡ì´ 있어 ì´ëŸ¬í•œ 형ì‹ì´ ì´ë“¤ê³¼ë„ ì—°ê´€ì´ ìžˆìŒì„ 알 수 있다.

(왼쪽) ë„2 ì‚°ì‹ ë„, 광무 4ë…„, 1900ë…„, 견본채색, 99.0×72.0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오른쪽) ë„3 월정사 ì‚°ì‹ ë„, 견본채색

먼저 그려진 초본

과거 ì´ ì§€ë©´ì„ ë¹Œì–´ ì†Œê°œí–ˆë˜ ê°€íšŒë¯¼í™”ë°•ë¬¼ê´€ 소장 ì‚°ì‹ ë„ ì´ˆë³¸(ì´í•˜ 가회박 소장 초본) 중 중박 소장 초본과 ê°™ì€ í˜•ì‹ì˜ ì´ˆë³¸ì´ ìžˆì—ˆë‹¤(ë„4). ë‘ ì´ˆë³¸ì„ ë¹„êµí•´ ë³´ë©´, ë‘ ì´ˆë³¸ì˜ êµ¬ë„는 ë™ì¼í•˜ì§€ë§Œ 중박 소장 ì´ˆë³¸ì— ë¹„í•´ 가회박 소장 ì´ˆë³¸ì´ ì¢€ ë” ì„¸ë¶€ë¬˜ì‚¬ê°€ ë§Žì´ ì´ë¤„ì§„ ê²ƒì„ í™•ì¸í•  수 있다. ë˜í•œ 재질ì—ì„œë„ ì°¨ì´ê°€ 있는ë°, 중박 소장 ì´ˆë³¸ì€ í•œì§€ì— ê·¸ë ¤ì§„ 반면 가회박 소장 ì´ˆë³¸ì€ ìœ ì‚°ì§€ì— ê·¸ë ¤ì ¸ 있다.
과거 ì´ ì§€ë©´ì—서 ì„¤ëª…í–ˆë˜ ê²ƒì²˜ëŸ¼ ìœ ì‚°ì§€ì— ê·¸ë ¤ì§„ ì´ˆë³¸ì€ ê´‘ë³µ ì´í›„ì— ê·¸ë ¤ì§„ 초본ì´ê¸° ë•Œë¬¸ì— ì¤‘ë°• 소장 ì´ˆë³¸ì´ ê°€íšŒë°• 소장 초본보다 훨씬 먼저 그려졌ìŒì„ 쉽게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위ì—서 언급한 ì‚°ì‹ ë„ê°€ 먼저 그려졌는지 중박 소장 ì´ˆë³¸ì´ ë¨¼ì € 그려졌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ì„까? ë‹¤ìŒ ì‹œê°„ì—는 ì´ ë¬¸ì œì— ëŒ€í•´ ìƒê°í•´ë³´ê³ ìž 한다.

ë„4 ì‚°ì‹ ë„ ì´ˆë³¸, 지본수묵,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ì´ë‹¤ì • |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

ë°±ì„ëŒ€í•™êµ ê¸°ë…êµë°•물관 학예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성백제박물관 학예연구ì›, 가회민화박물관 ê°ì›ì—°êµ¬ì›ì´ë‹¤.
월간민화 창간호부터 민화 ì´ˆë³¸ì— ëŒ€í•œ ì¹¼ëŸ¼ì„ ê¸°ê³ í•´ì˜¤ê³  있다.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