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 „í†µë¯¼í™”ì˜ í˜„ëŒ€í™” 모색 – 빛나는 ë¯¼í™”ì˜ ì”¨ì•—ì„ ì›€í‹”ìš°ë ¤ë©´

빠른 ì†ë„로 발전해가는 ì„¸ìƒ ì†ì—서 오랜 ì „í†µì„ ê³„ìŠ¹í•˜ê³  발전시킨다는 ê²ƒì€ ë§¤ìš° 어려운 ì¼ì´ë‹¤. 그럼ì—ë„ ë¬¸í™”, 나아가 민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통문화가 가진 ì •ì‹ ì  í† ëŒ€ ìœ„ì— í˜„ì‹œëŒ€ì˜ ìƒí™œê³¼ ìž‘ê°€ì˜ ì˜í˜¼ê¹Œì§€ë„ ìž‘í’ˆì— ë‹´ì•„ë‚´ì•¼ í•  것ì´ë‹¤. 작가ë¼ë©´ 관습, ê³ ì •ê´€ë…, íŽ¸ê²¬ì— ë§žì„œ ê·¸ ëˆ„êµ¬ë„ ê°€ë³´ì§€ ì•Šì€ ê¸¸ì„ ê°œì²™í•´ 나가보ìž.


민화가 ì¡°ì„ í›„ê¸°ì— ìœ í–‰í–ˆë˜ ê²ƒì€ ë°˜ë³µ, 재ìƒë˜ì–´ 그려진 ì´ìœ ë„ 있겠지만 í’부하고 í­ë„“ì€ ì†Œìž¬ê°€ ë“¤ì–´ê°€ë©´ì„œë„ ìƒí™œê³¼ 밀접한 그림ì´ì—ˆê¸° 때문ì´ë‹¤. 민화 ì†ì—는 하늘, ë•…, ì¸ê°„ì— ëŒ€í•œ ì‚¬ëž‘ì´ ë‹´ê²¨ 있으며 ì‚°ì‹ , 용신, 비, í•´, 나무, ëŒ, 새, 번개, 바람, 사방신, 오방신, ì‹­ì´ì§€ì‹  등 ê´€ë…ì ì¸ ì‹ ì˜ ëª¨ìŠµë„ ë‹´ê²¨ 있다. ê·¸ë¿ ì•„ë‹ˆë¼ ë¯¼í™”ëŠ” 화조, 산수, ë¯¼ì† ë“± 모든 ì¢…ë¥˜ì˜ ì†Œìž¬ë“¤ì„ í–‰ë³µí•˜ê²Œ, ìžì—°ì²˜ëŸ¼ 순박하게 그려내어 현세ì—ì„œì˜ ìˆ˜ë³µå£½ç¦ì„ ì§€ìƒì˜ ì˜í™”로 믿고 살아가는 한국ì¸ì˜ ì¸ìƒê´€ê³¼ ìƒí™œì–‘ì‹ì„ ë°˜ì˜í•˜ì—¬ ì‚¬ëžŒë“¤ì˜ ë§ˆìŒì„ ì´ëŒì–´ì¤€ë‹¤. 출세와 부귀ì˜í™”, 무병장수를 ê¿ˆê¾¸ì—ˆì„ ê·¸ 시대 ì‚¬ëžŒë“¤ì˜ ì—¼ì›ì´ 고스란히 ê·¸ë¦¼ì— í‘œí˜„ë˜ì–´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위로는 ìž„ê¸ˆì˜ ì–´ì¢Œì—서부터 아래로는 ì„œë¯¼ë“¤ì˜ ìƒí™œ ì†ê¹Œì§€ ê¹Šìˆ™ì´ íŒŒê³ ë“¤ì–´ ê·¸ë ¤ì¡Œë˜ ë¯¼í™”ê°€ 오늘날 다시 그려지고 있는 것ì´ë‹¤. ì´ë¯¸ 훨씬 오래전 우리 ì„ ì¡°ë“¤ì— ì˜í•´ì„œ 민화가 대중화ëê³  200ë…„ì´ ì§€ë‚œ 오늘날 다시 우리 민화가 ëŒ€ìœ í–‰ì„ í•˜ê³  있다.
역사란 과거와 í˜„ìž¬ì˜ ëŠìž„없는 대화ë¼ê³  í–ˆë˜ê°€! 역사 ì†ì—는 과거와 현재를 ëŠìž„ì—†ì´ ì´ì–´ì£¼ëŠ” 매개체가 있어야 한다.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주는 ì˜ë§¤ ì—†ì´ ì—­ì‚¬ì™€ ì „í†µì€ ì´ì–´ì§€ì§€ 않는다. ì „í†µíšŒí™”ì¸ ë¯¼í™”ì—서 ê·¸ ì˜ë§¤ì˜ ì—­í• ì„ ì„±ì‹¤ížˆ 수행하기 위해서는 ê·¸ë¦¼ì˜ ì†Œìž¬ ì„ íƒê³¼ 함께 재료와 채색, 그리고 기법까지 고민해야 í•  것ì´ë‹¤. 무작정 옛 ê¸°ë²•ë§Œì„ ê³ ìˆ˜í•œë‹¤ë“ ê°€ 전통재료만 사용한다면 ê³¼ê±°ì— ì•ˆì°©í•˜ì—¬ í˜„ìž¬ì˜ ì‚¶ì„ ì œëŒ€ë¡œ 담아낼 수 ì—†ì„ ê²ƒì´ë‹¤.
‘역사를 ìžŠì€ ë¯¼ì¡±ì—게 미래는 없다’ë¼ëŠ” ë§ì´ 있다. 역사를 바로 알아야 지나간 과거를 ë˜í’€ì´í•˜ì§€ 않으며 ë” ë‚˜ì€ ë¯¸ëž˜ë¥¼ 설계할 수 있기 때문ì´ë‹¤. 과거ì—서 현재로, 현재ì—서 미래로 ì´ì–´ì§€ëŠ” ì—­ì‚¬ì˜ ì—°ì†ì , ì˜ì†ì  ì†ì„±ì€ 시간과 ê³µê°„ì„ í¬í•¨í•œë‹¤. ê·¸ ì†ì—서 ìƒí™œí’ì†ê³¼ 습ì†, 관습, 문화 ë“±ì´ ì–´ìš°ëŸ¬ì ¸ ê·¸ 시대를 대표하는 ì•„ì´ì½˜ì„ ìƒì„±í•˜ì—¬ ì´ëŒì–´ 간다.

ì™¸í˜•ë§Œì´ ì•„ë‹Œ ë³¸ì§ˆì„ ê³ ë¯¼í•´ì•¼

아프리카 파푸아뉴기니ì—는 악어를 숭배하는 ì›ì£¼ë¯¼ì´ 있다. ì´ ì›ì£¼ë¯¼ì—게 악어는 ê³µí¬ì˜ 대ìƒì¸ ë™ì‹œì— ìˆ­ë°°ì˜ ëŒ€ìƒì´ê¸°ë„ 하다. 악어사냥으로 ì¸í•œ 불가피한 ì¸ëª…피해가 있지만 그럼ì—ë„ ë¶ˆêµ¬í•˜ê³  오늘날ì—ë„ ì´ ì „í†µì„ ì§€í‚¤ê³  있다. ì´ë“¤ì€ 악어머리뼈로 ì§‘ì•ˆì„ ìž¥ì‹í•˜ë©° 악어와 ê°™ì€ ìš©ë§¹í•¨ì„ ê°–ê¸°ë¥¼ 기ì›í•œë‹¤. 아시아 ê³ ì›ì§€ëŒ€ì— ì‚´ë˜ ìŠ¤í‚¤íƒ€ì´ ë¯¼ì¡±ì€ ê¸ˆê´€ì— ìˆœë¡ì˜ ë¿”ì„ ì¡°ê°í•˜ì˜€ë‹¤. ëŠìž„ì—†ì´ ìžë¼ë‚˜ëŠ” 순ë¡ì˜ 뿔처럼 ë¯¼ì¡±ì´ ì˜ì›ížˆ 번창하기를 기ì›í•˜ë©° 순ë¡ì˜ 뼈를 신성시한 것ì´ë‹¤. ì´ì²˜ëŸ¼ 사ì˜å¯«æ„란 대ìƒì˜ ì™¸í˜•ë§Œì„ ê·¸ë¦¬ëŠ” ê²ƒì´ ì•„ë‹ˆë¼ ëŒ€ìƒì— 숨겨져 있는 ì •ì‹ ê¹Œì§€ë„ ê·¸ë ¤ë‚´ëŠ” 것ì´ë‹¤. 대ìƒì•ˆì˜ ì •ì‹ ì„¸ê³„ë„ ëª¨ë¥¸ 채 ì™¸í˜•ë§Œì„ ê·¸ë¦°ë‹¤ë©´ ì´ê²ƒì€ í‰ë‚´ 내는 ê²ƒì— ë¶ˆê³¼í•˜ë‹¤. 마치 화물신앙과 ê°™ì€ ê²ƒì´ë‹¤.
2ì°¨ 세계대전 중 미군, ì¼ë³¸êµ°ì´ 군수물ìžë¥¼ 싣고 마í¬ë¡œë„¤ì‹œì•„, 멜ë¼ë„¤ì‹œì•„ì˜ ì„¬ì— ìƒë¥™í•˜ì—¬ 군사기지를 건설하게 ëœë‹¤. ì´ê³³ì€ 수천 ë…„ê°„ ë¬¸ëª…ì´ ë“¤ì–´ê°€ì§€ ì•Šì€ ë‚¨íƒœí‰ì–‘ì— ìœ„ì¹˜í•œ 섬ì´ë‹¤. ì£¼ë‘”êµ°ì€ ì´ê³³ì— 비행장과 ì „ë§ëŒ€ë¥¼ 만든다. ì›ì£¼ë¯¼ë“¤ì´ 가만히 살펴보니 비행기가 ì´Â·ì°©ë¥™í•˜ë©´ì„œ ì´ê³³ì— ì‚¬ëžŒë“¤ì´ ì¶œìž…í•˜ê³  í†µì¡°ë¦¼ê°™ì´ ë¨¹ì„ ê²ƒë„ ë‚˜ì˜¬ ë¿ ì•„ë‹ˆë¼ ë°”ë‹¤ì—는 커다란 ë°°ê°€ 와서 ì§‘(ì „ë§ëŒ€)ì„ ì§“ê³ ëŠ” 안경(ë§ì›ê²½)ì„ ì“°ê³  깃발로 수신호를 ë³´ë‚´ë©´ 거대한 새(비행기)ê°€ ë‚ ê³  내려앉는 게 아닌가! ì „ìŸì´ ë나고 ì£¼ë‘”êµ°ë“¤ì´ ë³¸êµ­ìœ¼ë¡œ ëŒì•„ê°€ìž ë” ì´ìƒ 혜íƒì„ 누릴 수 없게 ëœ ì›ì£¼ë¯¼ì€ ì£¼ë‘”êµ°ì´ í•˜ë˜ ê²ƒì²˜ëŸ¼ 활주로를 만들고 항구를 만들어 항공기 유ë„신호를 보내거나 등대ì—서 ë¶ˆë¹›ì„ ì˜ì•„ ë³´ë‚´ë©° 기ì›í•˜ê¸° 시작하였다. 언젠가는 커다란 새(비행기)ê°€ 와서 ë¨¹ì„ ê²ƒì„ ì¤„ 것ì´ë¼ê³  믿으며…. 외지ì¸ë“¤ì´ 들고 온 ë¬¼ê±´ì€ ì´ë“¤ì—게 í’ìš” ê·¸ ìžì²´ì˜€ë˜ 것ì´ë‹¤. ì´ë ‡ê²Œ ìƒê²¨ë‚œ ê²ƒì´ ë°”ë¡œ 화물신앙ì´ë‹¤. ì´ì²˜ëŸ¼ ë³¸ì§ˆì„ ëª¨ë¥´ë©´ 아무리 문제를 빨리 í’€ì–´ë„ ë‚˜ë¬´ë¹„í–‰ê¸°ë¥¼ 만들어 ë‚ ì§€ 못하는 것과 같고 í—ˆê³µì— ëŒ€ê³  ê³µí—ˆí•¨ì— ì§€ë‚˜ì§€ 않는 수신호를 보내는 것과 같다.
파푸아뉴기니 ì›ì£¼ë¯¼ì˜ 악어숭배, 스키타ì´ì˜ ìˆœë¡ ìˆ­ë°°ì‚¬ìƒì´ 외형ì ì¸ ê²ƒë¿ ì•„ë‹ˆë¼ ë‚´ë©´ì ì¸ ì •ì‹ ê¹Œì§€ë„ ê·¸ë ¤ë‚´ì•¼ 한다지만 ì´ëŸ° ì „í†µì  ê°€ì¹˜ê´€ì´ ì‹œëŒ€ì™€ ê°€ì¹˜ê´€ì˜ ë³€í™”ì— ë”°ë¼ ê·¸ 사회나 집단ì—서 추구하는 ìµœê³ ì˜ ì„ ì€ ë°”ë€ë‹¤ëŠ” 것ì´ë‹¤.

그림 ì†ì— ì •ì‹ ì˜ ê¸°ê°œì™€ ì˜í˜¼ì„

한 ì‚¬ëžŒì´ ëŒ€ì¤‘ì„ ì´ëŒë˜ 시대는 가고 현대는 ëŒ€ì¤‘ì´ ëŒ€ì¤‘ì„ í•œ 시대로 ì´ëŒì–´ê°€ëŠ” 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세계 어디서나 사물 ì¸í„°ë„·ìœ¼ë¡œ ì¸ê³µì§€ëŠ¥ 시대를 ê°€ì†í™”시키고 있으며 4ì°¨ ì‚°ì—…í˜ëª…으로 사회 ì „ë°˜ì— íŒŒê¸‰ë  ì—„ì²­ë‚œ 변화는 가늠하기조차 빠른 ì†ë„로 다가오고 있다. 역사 ì†ì—서 ì „í†µì´ ë¨¸ë¬´ë¥´ëŠ” ì‹œê°„ì´ ì ì  빠르게 지나가 언젠가는 ì „í†µì´ ë§ˆì¹˜ 유행처럼 ìž ê¹ ì™”ë‹¤ê°€ ì´ë‚´ 사ë¼ì§ˆ ì§€ë„ ëª¨ë¥¸ë‹¤. ì „í†µì„ ê³„ìŠ¹, 발전시키는 ê²ƒì´ ë¬´ì˜ë¯¸í•´ì§ˆ ì •ë„로 ì „í†µì„ ì§€í‚¬ ì‹œê°„ì¡°ì°¨ë„ ì—†ì„ì§€ 모른다. 초고ì†, ê´‘ì†ì˜ ê°œë…ì€ ì¸í„°ë„· 세ìƒì—서만 존재하는 ê²ƒì´ ì•„ë‹ˆë‹¤.
급격히 변화하는 세ìƒì—서 ì „í†µì„ ê³„ìŠ¹í•˜ê³  발전시킨다는 ê²ƒì€ ë§¤ìš° 어려운 ì¼ì´ë‹¤. 역사와 민ì†, í’ì†ì— ì¡´ìž¬í–ˆë˜ ë¯¼í™”ê°€ 전통 ì†ì—서 발현ë˜ì–´ í˜„ì‹œëŒ€ì˜ ìƒí™œìƒê³¼ ì •ì‹ ê¹Œì§€ë„ ë‹´ì•„ë‚´ë ¤ë©´ ìš°ë¦¬ì˜ ë§ˆìŒ ì† ë³„ì€ ì € í•˜ëŠ˜ì˜ ë³„ë³´ë‹¤ ë” ë§Žì•„ì•¼ í•  것ì´ë‹¤. ëŠìž„ì—†ì´ ì§ˆë¬¸í•˜ê³  한계를 넘어서야 ìžì‹ ì˜ 존재를 확장시켜 나갈 수 있기 때문ì´ë‹¤. 그리고 지금 올바르게 제대로 가고 있는지 ë‚´ê°€ 가는 ê¸¸ì„ ë…수리눈으로 매섭게 ì³ë‹¤ë³´ë¼. ìžê¸° ìžì‹ ì„ 가까운 ê³³ì—서 보는 ê²ƒì€ ê°ê´€ì„±ì„ 잃는 위험한 ì¼ì´ê¸°ì— 멀리 ë†’ì€ ê³³ì—서 지켜ë´ì•¼ í•  것ì´ë‹¤. í˜„ì‹¤ì— ì—†ëŠ” ì •ì‹ ì˜ ì„¸ê³„, 신화와 꿈ì„, 그리고 기개와 ì˜í˜¼ì„ 그림 ì†ì— 담아내야 í•  것ì´ë‹¤. 습관, 관습, ê³ ì •ê´€ë…ì—서 벗어나 íŽ¸ê²¬ì— ë§žì„œì„œ ëˆ„êµ¬ë„ ê°€ì§€ ì•Šì€ ê¸¸ì„ ê°€ë³´ìž.

새로운 ë„ì „ì„ ë©ˆì¶”ì§€ ë§ì•„야

얼마 ì „ 유명 드ë¼ë§ˆ 작가가 ì¸í„°ë·°í•œ ë‚´ìš©ì„ ì½ì€ ì ì´ 있다. ì°½ìž‘ì˜ ê³ í†µì„ ì´ê²¨ë‚´ëŠ” 특별한 ë°©ë²•ì— ëŒ€í•´ 알려달ë¼ëŠ” ì§ˆë¬¸ì— ê·¸ëŠ” 주저 ì—†ì´ â€˜ì£„ì±…ê°â€™ì´ë¼ê³  답했다. 죄책ê°ì´ì•¼ë§ë¡œ ì°½ìž‘ì˜ ì›ë™ë ¥ì´ë¼ëŠ” 것ì´ë‹¤. 드ë¼ë§ˆ 작가나 ê·¸ë¦¼ì„ ê·¸ë¦¬ëŠ” 화가나 새로운 ê²ƒì— ëŒ€í•œ ë없는 íƒêµ¬ì‹¬ê³¼ 집요한 ë„ì „ì˜ì‹ì´ë¼ëŠ” ê³ í†µì´ ìžˆì–´ì•¼ë§Œ ì¢‹ì€ ìž‘í’ˆì„ ë§Œë“¤ì–´ 낼 수 있다는 ë§ì¼ 것ì´ë‹¤. ì „í†µì— ëŒ€í•œ ì§€ì‹ê³¼ 관습, ê·œì¹™ê³¼ì˜ ì¡°í™”ê°€ 마치 ì°½ìž‘ì˜ ìˆœìˆ˜í•¨ê³¼ 거리ê°ì„ 갖게 í•  ê±°ë¼ê³  ì°©ê°í•˜ëŠ” ì‚¬ëžŒë“¤ì´ ê°„í˜¹ 있다. 전통ì´ëž€ 예로부터 전해지는 ì›ì¹™ ì†ì— 시대마다 만들어진 규칙ì´ë‹¤. 안타ê¹ê²Œë„ ê·œì¹™ì„ ë°°ìš°ê¸°ë„ ì „ì— ê·¸ê²ƒì„ ê¹¨ëŠ” ë° ê¸‰ê¸‰í•´ 하는 ì‚¬ëžŒë“¤ì„ ë³¼ 수 있다. ê·œì¹™ì„ ê¹¨ëŠ” 행위 ìžì²´ë§Œì„ 위한 ì˜ˆìˆ ì€ ì „í†µë„ í˜„ëŒ€ ë¯¼í™”ë„ ì•„ë‹ˆê¸° 때문ì´ë‹¤. 그저 불ìŒí•œ ë¯¸ìˆ™í•¨ì˜ ìƒì§•ì¼ ë¿ì´ë‹¤.
요즘 현대 민화를 그리는 작가들 ì¤‘ì— ë¯¼í™”ì  ì†Œìž¬ì™€ 기능성만 ê°•ì¡°ë˜ëŠ” ê²ƒì„ ë³¼ 수 ìžˆëŠ”ë° íšŒí™”ëŠ” 시ê°ì ì¸ 예술로서 조형성 즉 ì˜ˆìˆ ì„±ì´ ìžˆì–´ì•¼ 한다. 현대ì ìœ¼ë¡œ í‘œí˜„ëœ ë¯¼í™”ë¼ë©´ ë”ìš± 그러하다. 문화는 형ìƒì„ 지니거나 바람처럼 머물러 ìžˆì§€ë„ ì•Šìœ¼ë‚˜ ëŠë‚„ 수 있고 보여줄 수 있고 ì´ì–´ê°ˆ ìˆ˜ë„ í™•ì¸ì‹œì¼œì¤„ ìˆ˜ë„ ìžˆë‹¤.

ë” ê±´ê°•í•œ ì „í†µì„ ë§Œë“¤ê¸° 위해

‘비바람ì—ë„ êº¾ì´ì§€ 않고 눈보ë¼ì—ë„ ê³ ê°œ 숙ì´ì§€ 않는 빛나는 씨앗 한 톨 ì–´ë‘ìš´ ë•…ì†ì—서 움텄다가 ì¤„ê¸°ì— ìžŽë¬´ì„±í•´ì§€ëŠ” ê³„ì ˆì´ ì˜¤ë©´ ê¸°ë‹¤ë¦¬ë˜ ê½ƒ 한 ì†¡ì´ í”¼ì–´ ë‚  í…ë°â€¦â€™ ë¼ëŠ” 윤고방 시ì¸ì˜ 시처럼 문화는 우리 정체성 ì†ê¹Šì´ 살아서 ê½ƒì´ ë˜ì–´ ì´ì–´ì§€ê³  발전시켜 ìš°ë¦¬ì˜ ì‚¶ ì†ì—서 한 줄기 힘으로 서 있어야 한다. 민화 역시 그래야만 하고 ë˜ ê·¸ë ‡ê²Œ 해야 í•  ì˜ë¬´ê°€ í˜„ì‹œëŒ€ì˜ ë¯¼í™”ê°€ë“¤ì—게 있어야 한다. ë” ë‚˜ì•„ê°€ 우리 ë¯¼í™”ìž‘ê°€ë“¤ì€ ì „í†µ 민화를 재현, ì „ìŠ¹í•˜ëŠ”ë° ê·¸ì¹˜ì§€ 않고 ì˜¤ëŠ˜ë‚ ì˜ ì‹œëŒ€ê°€ ë°˜ì˜ëœ 민화를 통해 ìƒì²˜ë¥¼ 치유함과 아울러 ë”ìš± ë” ê±´ê°•í•œ ì „í†µì„ ë§Œë“œëŠ” ë°©ë²•ë¡ ì„ ëª¨ìƒ‰í•˜ì—¬ì•¼ í•  것ì´ë‹¤.


글 금광복 (민화작가, (사)한국민화협회 고문)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