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믞술 속의 핎와 달

핎와 달은 옛 조상듀에게 맀우 쀑요한 상징윌로 음월였악도 등의 왕싀귞늌부터 불화와 묎화, 사대부의 묘비석 등 닀양한 곳에서 찟아볌 수 있닀. 또한 삌족였나 달토끌 등 닀양한 섀화에서도 쉜게 찟아볌 수 있닀. 전통믞술 속에서 핎와 달읎 얎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륌 삎펎볎고, 읎륌 통핎 우늬 믌족의 생활상곌 철학 등을 알아볎도록 하자. (펞집자 죌)


고대읞듀은 찜천蒌倩에 걞늰 핮, 달, 별을 핚께 음러 삌ꎑ䞉光읎띌 했닀. 귞듀에게 삌ꎑ은 하나의 천첎읎Ʞ 전에 천하가 얎지러욞 때 핚께 빛을 잃고, 군죌가 덕치륌 베풀멎 닀시 섞상을 밝게 핎죌는 영적 졎재였닀. 음월은 또한 ‘밝음’의 상징읎었고, 안 비추는 곳읎 없닀 핎서 ‘펞조遍照’의 상징읎 되었닀. 한펾, 별은 높은 곳에서 읞간의 생사에 ꎀ여하고 화복犍犏곌 교훈을 낎늬는 신첎神體로서 군늌했닀. 읎처럌 천첎륌 읞간 쀑심적윌로 핎석하는 읞묞적 천묞ꎀ은 고분의 음·월상도와 궁궐의 음월였악도, 귞늬고 비석의 화ꎀ석 등 전통믞술 전반에 걞쳐 닀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닀.


1. 귞늌 속의 핎와 달


음·월상읎 귞늌에 처음 나타난 것은 고구렀 고분 벜화에서부터닀. 고구렀읞듀은 핎륌 동쪜에, 달을 서쪜에 배치했는데, 읎는 음양ꎀ의 소산읎닀. 핮는 양, 달은 음의 상징읎고, 동쪜은 시생始生의 방위로서 양, 서쪜은 ê·ž 반대읞 음에 핎당한닀. 읎에 따띌 핎륌 동(좌), 달을 서(우)에 배치한 것읎닀.
음양사상을 Ʞ쎈로 한 음·월 배치첎계는 고렀시대 선사犪垫의 탑비의 음·월상도륌 거쳐 조선시대 왕싀 소용의 음월였악도, 귞늬고 사대부 묘비, 묎속 신앙 대상읞 묎화巫畵, 때로 불화에 읎륎Ʞ까지 닀양한 분알에서 전개되었닀.

음월의 상징적 의믞는 시대와 계잵, 처한 입장곌 상황에 따띌 닀륎닀. 궁궐의 대표적 장식화읞 음월였악도의 핵심 소재읞 음월은 음양 상징읎자 ‘밝음’곌 ‘펞조遍照’의 상징읎닀. 읎것은 지배잵의 유교적 천묞ꎀ에 의한 것윌로, 《맹자》의 <진심상盡心䞊>에 나옚 “음월은 밝음의 덩얎늬띌, 빛을 받아듀음 만한 곳은 반드시 몚두 비춰 쀀닀[日月有明 容光必照焉]”띌고 한 말에서 영향 받은 바 크닀. 조선의 싀학자 성혞 읎익(1681~1763)읎 저술한 《성혞사섀》의 <믞수허선생 신도비명병서〉에도 “천도는 강걎핚읎 특징읎고, 음월은 밝음읎 특징읎닀[倩道尙剛 日月尙明]”띌고 나옚닀. 한펾 유학자에게 음월은 하늘의 두 눈, 슉 아래의 땅을 삎펎 선악을 판닚하여 화륌 죌고 복을 낎늬는 천신의 두 눈읎Ʞ도 했닀.
음·월상은 묎화巫畵에도 등장한닀. 묎교에서의 음·월은 집안의 몚든 사소한 묞제륌 ì°Ÿì•„ 핎결핎 죌는 ꎑ영光抮의 신첎神體닀. 음월의 신격은 추상적읞 것읎얎서 겜배 대상윌로는 현싀성읎 부족하고 몚혞하닀. 귞래서 사람듀은 환상 속에서 볞 음·월신의 몚습을 읞격화, 의읞화하고 귞에게 직접 혞소하는 방법을 택했닀.
음·월상은 불화에도 등장한닀. 김핎 은하사 대웅전의 <아믞타낎영도>(도3)에서 ê·ž 예륌 찟을 수 있는데, 아믞타불을 죌졎윌로 하는 상닚 불화지만 영가닚靈駕壇에 뎉안돌 있닀. 망자륌 극띜 왕생시킀Ʞ 위한 사자의례용死者儀犮甚윌로 제작되었Ʞ 때묞읎닀. 낎용을 삎펎볎멎, 죌졎을 쀑심윌로 좌우에 ꎀ음, 대섞지, 지장, 읞로왕볎삎의 ë„€ 볎삎읎 배치돌 있고 화멎 상닚 좌우에 붉은 핎와 흰 달읎 떠있닀.
읎 음·월상은 묎화의 음월신곌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핎와 달읎닀. 불교의 궁극적 목표는 쀑생듀을 지혜의 섞계로 읞도하는 것읎지만, 쀑생듀읎 항상 고믌하는 생사 묞제륌 뚌저 핎결할 필요가 있닀. 불화에 핎와 달읎 등장한 읎유닀.
회암사 <앜사삌졎도>(도4)에는 쀑생을 몚든 병고와 고통에서 구제핎 쀀닀는 앜사여래와 두 협시볎삎읎 귞렀젞있닀. 각 볎삎의 볎ꎀ寶冠에 음상곌 월상읎 나타나 있는데, 방아 찧는 토끌가 귞렀진 것읎 달, 삌족였가 있는 것읎 핎닀. 따띌서 왌쪜읎 월ꎑ볎삎, 였륞쪜읎 음ꎑ볎삎읎 되는 셈읞데, 원래는 죌졎 왌쪜에 음ꎑ볎삎, 였륞쪜에 월ꎑ볎삎을 배치하는 것읎 원칙읎닀. 읎처럌 두 볎삎의 위치가 바뀐 읎유가 묎엇읞지 지ꞈ윌로서는 알 Ꞟ읎 없닀.

2. 비석의 핎와 달

음·월상은 ê³ ë € 선승의 탑비와 조선 사대부의 묘비에도 나타난닀. 유형은 핎와 달을 비석 전멎에 병렬로 배치한 것, 핎륌 전멎에 달을 후멎에 배치한 것 등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전자의 대표적 유례로 법천사 지ꎑ국사현묘탑비의 음상곌 월상(도5)읎 있닀. 탑비 전멎 비액碑額 윗부분에 산, 나묎, 상욎祥雲, 비천 등곌 핚께 음·월상읎 치밀하고 정섞하게 묘사돌있닀. 핎와 달을 좌·우에 각각 배치하고 ê·ž 안에 삌족였와 토끌륌 새겚 넣은 읎 팚턎은 고구렀 고분의 장송葬送 믞술 전통을 충싀히 계승한 것읎닀.
음·월상은 조선시대 묘비에서도 찟아볌 수 있닀. 죌로 사대부 묘비에서 발견되는데, 대첎적윌로 핎륌 화ꎀ석花冠石 전멎에, 달을 배멎에 배치하는 ‘전음배월前日背月’ 형식을 따랐닀. 대표적 유례 가욎데 하나로 낚양죌 와부읍 소재 박욎(1493~1562) 묘비(도6)가 있닀. 화ꎀ석 전멎에 닀늬가 셋 달늰 까마귀륌 표현한 핎륌, 배멎에 방아 찧는 토끌 몚습읎 닎ꞎ 달을 새게는데, 표현 Ʞ법읎 소박하고 순정적읎얎서 믌화적 느낌읎 강하닀. 읎 밖에 낚양죌시 진걎멎 용정늬에 있는 변안렬(1334~1390) 신도비(도7), 낚양죌시 진걎읍 사능늬에 있는 정믞수(1456∌1512) 묘비(도8), 분당 윚동에 있는 한사개(1453~1521) 묘비, 분당 판교동에 있는 읎곀(1462∌1524) 묘비 등에서도 음상곌 월상을 ì°Ÿì•„ 볌 수 있닀.
음·월상도는 묘비뿐만 아니띌 Ʞ념 비석에도 나타난닀. 순천 벌교에 있는 홍교 부귌에 섞워진 석비는 조선 영조 때 닀늬가 큰묌에 끊겚 쀑수한 낎력을 Ʞ록한 것읞데, ‘닚교비명斷橋碑銘’읎란 Ꞁ씚가 새겚젞 있고(도9) 화ꎀ석 양멎에 음상곌 월상읎 표현돌 있닀. 둘 ë‹€ 원상윌로만 되얎 있얎 얌륞 뎐서는 얎느 것읎 핎읞지 달읞지 구별읎 쉜지 않닀. 귞러나 전양배음前陜背陰의 배치 첎계륌 대입하멎 앞의 것읎 음상, 뒀의 것읎 월상임을 알게 된닀. 또한 동적읞 방사선 빛삎 묎늬와 정적읞 수평선 묎늬도 양의 상징읞 핎와 음의 상징읞 달을 구별하는 귌거가 된닀.
지ꞈ까지 삎펎 볞 바와 같읎 전통 믞술에 나타난 음·월상은 음양 조화와 우죌 욎행의 읎치, 귞늬고 밝음곌 펞조, ꎑ영光抮의 신첎神體로서 졎재한닀. 표현에 있얎서는 삌족였와 토끌, 원형곌 반원형, 혹은 동動곌 정靜의 읎믞지로 상징화한 수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닀.

3. 삌족였, 토끌와 두꺌비

1) 닀늬 셋 달늰 검은 새
음상日象에 나타난 검은 새의 정첎는 묎엇읎고, 닀늬는 왜 셋음까? 읎 의묞에 대한 답읎 여러 고전 속에서 간췚된닀. 《춘추》의 〈원명포〉에 Ʞ록된 “핮 안에 삌족였가 있닀[日䞭有䞉足烏]”와 《녌형論衡》의 〈섀음說日〉 쀑에 “핮 속에 삌족였가 있고, 달 속에는 토끌와 두꺌비가 있닀[日䞭有䞉足烏 月䞭有兔 蟟蜍]”, 《회낚자淮南子》의 “핮 가욎데 쀀였螆烏가 있닀[日䞭有螆烏]” 등읎 귞것읎닀. ‘烏(였)’는 ‘검닀’는 뜻도 있지만 《섀묞핎자》에서 ‘孝鳥也(횚조알)’띌고 했윌므로 까마귀로 뮐도 묎늬가 없닀. 횚조는 까마귀가 얎믞에게 뚹읎륌 묌얎닀 죌얎 볎은한닀는 데서 유래한 읎늄읎닀.
닀음은 태양 ꎀ렚 신화 쀑 《산핎겜》 〈대황동겜〉에 소개된 ‘엎 개 태양[十日]’곌 신수神暹에 ꎀ한 신화 낎용 쀑의 한 대목읎닀. “탕곡에 부상나묎가 있닀. ì—Ž 개의 핎가 목욕하는 곳윌로 흑치국黑霒國 북쪜에 있닀. 묌 가욎데에 컀닀란 나묎가 있는데 아홉 개의 핮는 아래 가지에 있고, 하나의 핮는 윗가지에 있닀[湯谷䞊有扶桑 十日所济 圚黑霒北 有倧朚 九日居 䞋枝 䞀日䞊枝]” 같은 장章에 읎런 낎용도 볎읞닀. “탕곡에 부목扶朚(부상扶桑을 가늬킚닀)읎 있는데, 하나의 핎가 읎륎멎 하나의 핎가 나가는데 몚두 까마귀륌 싣고 있닀[湯谷䞊有扶朚 䞀日方至 䞀日方出 皆茉于烏]”
한펾, 핎와 까마귀에 얜힌 읎알Ʞ가 쀑국 였제五垝 신화 쀑 하나읞 <십음신화十日神話>에도 나였는데, 쀄거늬는 대강 읎러하닀. 천제 제쀀垝俊의 아낎 희화矲和가 ì—Ž 개의 태양을 낳았닀. 동쪜 탕곡읎띌는 곳에서 맀음 아칚 ì—Ž ì•„ë“€(태양) 가욎데 하나륌 뜑아 마찚에 태워 하늘로 올렀 볎냈닀. 순서륌 Ʞ닀늬는 것읎 불만읎었던 아듀듀은 얎느 날 반란을 음윌쌜 한꺌번에 하늘로 치솟아 였륎고 말았닀. 때묞에 천지는 불바닀가 되고 맹수듀은 숲 속에서 뛰쳐나와 사람듀을 핎쳀닀. 백성듀읎 혌란에 빠진 것을 안타깝게 여ꞎ 요堯 임ꞈ읎 천제에게 구원을 청하니 천제가 신궁 예矿륌 불러 태양을 겁죌얎 제자늬로 돌아가게 하도록 명했닀. 귞런데 태양듀읎 자신을 얕볎자 화가 난 예는 아홉 개 태양을 활로 쏎 떚얎뜚렞닀. 화삎을 맞고 땅에 ë–šì–Žì§„ 태양을 볎니 몚두 섞 발 달늰 까마귀였닀는 얘Ʞ닀.
까마귀의 닀늬가 셋읞 읎유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듀읎 있닀. 태양숭배와 새 토템읎 연합한 우죌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읎형구, 《고구렀의 삌족였 신앙에 대하여-고고학적 잡멎에서 볞 조류숭배사상의 Ʞ원 묞제》)띌는 죌장읎 있는가 하멎, 천지읞 삌원䞉元사상의 표상묌(믌겜진, 《한국선도의 ‘삌족였’ 표상에 나타난 조천사상》)읎띌거나, ‘삌신’, 슉 환읞 환웅 닚군을 상징화한 것(신용하, 《고조선묞명권의 삌족였 태양상징곌 조양 원태자袁倪子 벜화묘의 삌족였 태양》)윌로 볎는 학자도 있닀. 읎밖에 태양 흑점섀읎 있는데, 고대읞듀읎 태양 흑점을 볎고 검은 새륌 상상했고, ê·ž 새륌 볎통의 새와 구별킀 위핎 닀늬륌 셋윌로 표현했닀는 것읎닀. 또한 태양의 새는 양의 성질을 가졌윌므로 닀늬륌 완전한 양수읞 3곌 연ꎀ시쌰닀는 죌장도 있닀.
귞런데 여Ʞ서 반드시 삎플고 넘얎가알 할 것읎 읞도신화닀. 읞도신화는 읞도는 묌론 고대 동아시아 정신사에 큰 영향을 끌쳀Ʞ 때묞읎닀. 〈늬귞베닀〉는 고대 읞도의 람띌만교 성전聖兞 가욎데 하나로 신을 찬믞하는 욎묞형식의 찬가 몚음집윌로, 읞도에서 현졎하는 가장 였래된 종교묞헌읎자 읞도 사상의 원천읎닀. 닀음은 〈늬귞베닀〉에 나였는 〈태양신의 찬가〉 쀑 한 대목읎닀.

“비슈누는 제 힘윌로 찬믞하고 묎서욎 짐승 같읎 높은 산에 올띌 마음대로 뛰녌닀. 섞 번의 큰 발걞음 속에 만묌읎 펞안히 뚞묌고 있나니. 소늬 높은 읎 찬가륌 귞곳에 읎륎게 하띌. 저 높은 산에 삎아 활볎하는 비슈누, 귞는 아득한 읎 섞계륌 잡량할 때에 섞 걞음윌로 헀아렞나니 ”(정태혁, 《읞도철학》, p34-35)

만묌읎 비슈누(viṣṇu)의 섞 걞음 큰 발속에 펾히 뚞묞닀거나, 섞 걞음윌로 읎 섞상을 헀아렞닀고 한 것은 음출日出, 충천冲倩, 음몰日沒을 상징하는 것윌로 생각된닀. 삌족였의 3읎띌는 수가 태양의 욎행 속성을 상징하는 것읎 아닌지륌 의심쌀 하는 대목읎닀.
현대읞듀의 입장에서 삌족였는 고대읞 당사자듀끌늬만 아는 앜속 부혞와 같은 것음 수도 있닀. 귞러나 고대읞듀의 정신섞계와 욕망, 우죌ꎀ곌 섞계ꎀ, 귞늬고 귞듀의 신화적 상상력 등을 완벜히 읎핎하고 공유한닀멎 ê·ž 신비한 비밀은 의왞로 쉜게 풀멮 수도 있을 것읎닀.

2) 토끌와 두꺌비
고구렀 벜화 고분의 월상읎나 쀑국 한대挢代 화상석의 월상에 두꺌비 또는 토끌가 나타나 있는 것을 볌 수 있닀. 쀑국에서는 읎 둘읎 핚께 등장하는 겜우가 드묞데 비핎 우늬나띌 겜우에는 평낹 대동 덕화늬 제2혞분의 월상도(도12)에서 볎는 것처럌 토끌와 두꺌비가 핚께 나타나는 사례가 적지 않닀.
토끌가 달의 정령윌로 읞식된 것은 항아분월姮嚥奔月 신화와 ꎀ렚읎 있닀. 읎 신화는 앞서 얞꞉한 <십음신화> 낎용의 음부륌 구성한 것윌로, 쀄거늬륌 요앜핎 볎멎 대강 읎러하닀.
<십음신화>에서 신궁 예矿가 아홉 개 태양을 활로 쏎 떚얎뜚렀 환란을 막았지만 결곌적윌로 천제 제쀀垝俊의 아홉 아듀을 죜읞 셈읎 돌버렞닀. 화가 난 제쀀은 예륌 귞의 아낎 항아와 핚께 읞간섞상윌로 추방했닀. 신선계에서 쫓겚난 예와 항아는 영원히 삎 수 없는 욎명에 빠진 것을 깚닫게 되자 불사앜을 구하러 곀륜산 서왕몚륌 ì°Ÿì•„ê°„ë‹€. 서왕몚가 불사앜을 만듀얎 죌멎서, “Ꞟ음吉日에 부부가 핚께 뚹얎알 횚험읎 있닀”고 했지만 항아는 욕심을 부렀 낹펾 몰래 불사앜을 뚹얎버렞닀. 전거兞據에 따띌서는 불사앜을 뚹은 항아가 몞읎 가벌워지멎서 둥둥 떠올띌 달에 읎륎게 되었닀고도 하고, 양심의 가책을 받아 슀슀로 달로 도망쳀닀고도 한닀.
달에 도착한 후 항아가 얎떻게 되었는지에 대한 낎용도 구구하닀. 《후한서》의 〈천묞〉에는 달의 궁전읞 ꎑ한전에 듀얎가 숚을 때 갑자Ʞ 두꺌비로 변했닀는 얘Ʞ가 있고, 《회낚자》 〈낚명훈〉에는 선녀가 되얎 잘 삎았닀는 얘Ʞ가 있닀. 읎 왞에도 계속 곌부로 지냈닀는 섀화도 있닀. 한펾, 한유의 《몚영전毛穎傳》에 읞용된 신화에서는 쀑산䞭山의 토끌가 신선술을 얻얎 항아와 핚께 두꺌비륌 타고 달로 갔닀고도 한닀. 귞렇닀멎 달에 있닀는 두꺌비는 항아와 토끌의 탈것읎 되는 셈읎닀.
읎런 읎알Ʞ도 있닀. 천년 수행 끝에 신선읎 된 한 쌍의 토끌가 슬하에 ë„€ 딞을 두고 있었는데, 얎느 날 낚펞읎 옥황상제의 쎈청을 받아 천궁에 가게 되었닀. 하늘 낚묞에 당도했을 때 항아가 얎디론가 끌렀가는 몚습을 목격했닀. 혌자 달에 유배된닀는 것을 직감한 토끌는 불쌍한 생각읎 듀얎 ë„€ 딾 쀑 하나륌 딞렀 볎낎는 것읎 좋겠닀고 생각했닀. 딞은 부몚 곁을 떠나Ʞ 싫었윌나 아버지 뜻을 따띌 항아와 핚께 달로 갔닀. 달에 있는 토끌는 항아륌 수행핎서 간 바로 ê·ž 토끌 신선읎띌는 것읎닀. 신화적 사유는 읎처럌 환상적읎고 자유분방하닀.
월쀑토月䞭兎에 ꎀ한 읎알Ʞ는 불교의 석졎 볞생닎本生譚에도 나옚닀. 바띌묞윌로 변신한 제석천읎 뚹을 것을 구하러 숲윌로 낎렀왔닀. 읎때 수달은 묌고Ʞ륌, 원숭읎는 곌음을, 여우는 ê³ êž° 조각을 묌얎닀 대접했닀. 귞런데 토끌는 쀄 것읎 없음을 한탄하닀가 나뭇가지로 불을 지플고 ê·ž 속에 제 몞을 던젞 제석천더러 자신을 뚹윌띌 했닀. 읎에 감동한 제석천은 ê·ž 마음씚륌 만읞읎 잊지 않게 하Ʞ 위핎 달에닀 토끌 몚습을 새게닀는 것읎닀. 사찰 법당 묞짝읎나 승복에 장식된 토끌묞양읎 읎 읎알Ʞ와 ꎀ렚읎 있을 것윌로 볎읞닀.

환상적읞 월궁에 대한 동겜심을 지상에 구현한 것읎 낚원 ꎑ한룚원읎닀. 정묞에 걞읞 ‘청허부淞虛府’ 펞액, 누각 안에 있는 ‘계ꎀ桂觀’, ‘ꎑ한룚廣寒暓’ 현판은 몚두 달곌 ꎀ렚된 낎용듀읎닀. 청허부는 달나띌 궁궐에 속한 ꎀ청을 가늬킀고, 계ꎀ은 달에 있닀는 계수나묎로 지은 도ꎀ道觀읎띌는 뜻읎고, ꎑ한룚는 달 속에 있닀는 궁전-ꎑ한전廣寒殿을 의믞한닀. 읎 몚두가 생활공간을 달곌 같은 선계로 조성하Ʞ 위한 묘책읎닀. 선계 지향 의지는 궁궐 도처에도 숚얎 있닀. 찜덕궁 연겜당 입구 석분의 두꺌비, 겜복궁 아믞산 석분의 두꺌비, 찜덕궁 대조전 후원 굎뚝의 토끌(도14) 등읎 귞것읎닀. 규몚는 작윌나 읎듀 장식묌듀은 한 공간을 선계仙界로 탈바꿈 시킀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닀.
지ꞈ까지 삎펎 볞 여러 부묞의 현싀 상황을 놓고 볌 때 전통 믞술 속의 핎와 달에 대한 읎핎는 우늬 믌족의 생활감정곌 철학곌 욕구, 귞늬고 귞것을 바탕윌로 유지되얎 옚 삶의 방식을 읎핎하는 것곌 같은 의믞와 가치륌 가진닀고 볌 수 있닀.


Ꞁ 허균(한국믌예믞술연구소장)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