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 „í†µë¯¸ìˆ ì˜ ê²‰ê³¼ ì†â‘¨ë²½ì‚¬è¾Ÿé‚ªì™€ 주술呪術

예로부터 우리 ì¡°ìƒì€ ì ˆì¼(節日), 방위 등 시간과 ê³µê°„ì  ì¡°ê±´ì— ìœ ì˜í•˜ë©´ì„œ 다양한 방법으로 경복(æ…¶ç¦)ê³¼ 길리(å‰åˆ©)를 추구했다. 길ìƒì˜ 함ì˜ê°€ 충만한 ê·¸ë¦¼ì„ ìƒí™œ ì†ì— 향유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벽사화를 매개로 í‰ì•ˆê³¼ í–‰ë³µì„ í•´ì¹˜ê±°ë‚˜ 방해하는 ìš”ì†Œë“¤ì„ ë¬¼ë¦¬ì¹˜ë ¤ 했다. 길ìƒí™”ì´ë“  벽사화ì´ë“  ì‚¶ì˜ í–‰ë³µê³¼ í‰ì•ˆì„ 확보 유지하는 ì¼ì— 관여하는 그림ì´ë¼ëŠ” ì ì—서는 서로 다르지 않다. ì¼ë°˜ 길ìƒí™”ê°€ 미화 장ì‹ì— 보다 í° ëª©ì ì„ ë‘ê³  있는 ê²ƒì— ë°˜í•´ 벽사화는 주술(呪術)ì˜ íž˜ìœ¼ë¡œ 사귀와 ìž¬ì•¡ì„ ë¬¼ë¦¬ì¹˜ëŠ” ë° ì´ˆì ì´ 맞추어져 있다는 ì ì— ì°¨ì´ê°€ 있다. 역사시대 ì´ì „ì—는 미술과 ì£¼ìˆ ì´ ë™ì¼ ì„ ìƒì— 있었다. ì´ëŸ° ê´€ì ì—서 ë³¼ 때 벽사 목ì ì˜ 민화는 ì›ì‹œ ì¸ë¥˜ ë¯¸ìˆ ì˜ ë§¥ì„ ìž‡ëŠ” 그림ì´ë¼ í•´ë„ ì¢‹ë‹¤

– 글 허균(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


길ìƒ, 그리고 벽사

‘화(ç¦)를 부른다’는 ë§ì´ 있다. ì´ ë§ì€ 화를 ìž…ì—ˆì„ ë•Œ ê·¸ ì›ì¸ì´ 다른 ë° ìžˆëŠ” ê²ƒì´ ì•„ë‹ˆë¼ ë‚˜ì—게 있다는 ì¸ì‹ì„ 드러낸다. ë³µ(ç¦)ì˜ ê²½ìš°ì—ë„ ë§ˆì°¬ê°€ì§€ë‹¤. 스스로 ë³µë°›ì„ ë§Œí•œ ì¼ì„ í–ˆì„ ë•Œ 주어지는 ê²ƒì´ ë³µì´ë¼ê³  옛 ì‚¬ëžŒë“¤ì€ ë¯¿ì—ˆë‹¤. 고대ì¸ë“¤ì—게 화와 ë³µ, 길ìƒê³¼ 불ìƒ(ä¸ç¥¥)ì€ ê²°êµ­ ì‚¬ëžŒì˜ ì„ ì•…ì— í˜¸ì‘하는 ê²ƒì¸ ì…ˆì´ë‹¤. â€œì„ í–‰ì„ ìŒ“ì€ ì§‘ì•ˆì—는 반드시 경사가 있고, ì•…í–‰ì„ ìŒ“ì€ ì§‘ì•ˆì—는 반드시 ìž¬ì•™ì´ ë”°ë¥¸ë‹¤.â€(《주역》 〈문언〉) â€œí•˜ëŠ˜ì˜ ë„는 선한 ìžì—게 ë³µì„ ì£¼ê³ , ìŒëž€í•œ ìžì—게 화를 내린다.â€(《서경》 〈탕고〉)는 ë§ë„ í™”ë³µì— ëŒ€í•œ ë™ì–‘ì  ì¸ì‹ì„ 잘 보여준다.
ê·¸ëŸ°ë° ë²½ì‚¬ì— ê´€í•œ 시ê°ì€ ì´ì™€ëŠ” 조금 다르다. 벽사 행위는 ì¸ê°„ì˜ ì‚¶ì„ ê´´ë¡­ê²Œ 하는 역병과 재액 ë“±ì˜ ì›ì¸ì´ 사기(邪氣)나 사귀ì—게 있다는 ë°ì—서 출발한다. ê·¸ëŸ°ë° ë”°ì§€ê³  ë³´ë©´ 사기(邪氣)나 ê·€ì‹ ì€ ì›ëž˜ë¶€í„° 존재하고 ìžˆì—ˆë˜ ê²ƒì´ ì•„ë‹ˆë¼ ì‚¬ëžŒì´ ë§Œë“¤ì–´ 낸 것ì´ë‹¤. ì‚¬ëžŒì´ ìŠ¤ìŠ¤ë¡œ 만들어 놓고 ê·¸ê²ƒì„ ë˜ ì«“ìœ¼ë ¤ 한다는 ê²ƒì€ í•©ë¦¬ì„±ì„ ì¶”êµ¬í•˜ëŠ” 현대ì¸ì˜ ê´€ì ì—서 ë³´ë©´ ì•„ì´ëŸ¬ë‹ˆê°€ ì•„ë‹ ìˆ˜ 없다. 그러나 고대ì¸ì—게는 그런 사고와 í–‰ë™ì´ ì‚¶ì˜ í–‰ë³µê³¼ í‰ì•ˆì„ 유지하는 절실한 ë°©ë„ì˜ í•˜ë‚˜ì˜€ë‹¤ëŠ” ì‚¬ì‹¤ì„ ìš°ë¦¬ëŠ” ì´í•´í•˜ì§€ 않으면 안 ëœë‹¤. 사기나 사귀를 물리치는 방법ì—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컨대 과거 ê¶ì¤‘ì—서 나례(儺禮)와 ê°™ì€ ì˜ì‹ì´ë‚˜ 처용무 ê°™ì€ ê°€ë©´ ì—°í¬ë¥¼ 통해 벽사를 꾀한 ì¼ì´ë‚˜, 민간ì—서 ë™ì§“ë‚ ì˜ íŒ¥ì£½, 황토, 금줄, 가시 ë§Žì€ ì—„ë‚˜ë¬´ 등 다양한 ìž¥ì¹˜ë¡œì¨ ì‚¬ê·€ì™€ ìž¬ì•¡ì„ ë¬¼ë¦¬ì¹˜ë ¤ 하는 것 ë“±ì´ ëŒ€í‘œì  ì‚¬ë¡€ì´ë‹¤. 벽사용 민화 역시 ê°™ì€ ëª©ì ì—서 나온 것으로, ë²½ì‚¬ì§„ê²½ì— ëŒ€í•œ ìš•ë§ê³¼ ì£¼ìˆ ì  ì‚¬ê³ ê°€ ë°°í›„ì— ê¹”ë ¤ 있다.

ë²½ì‚¬ì˜ íž˜, 주술

주술(呪術)ì€ ì¸ê°„ ì˜ì§€ë¡œì¨ 어떻게 í•  수 없는 ì‚¶ì˜ ì–´ë ¤ìš´ 문제를 ì´ˆì›”ì  íž˜ìœ¼ë¡œ 해결하려는 술책ì´ë‹¤. 무ì†ì—서 ì´ê²ƒì€ 기ë„, 주문 등 ì˜ì‹(å„€å¼) 형태로 나타나지만 미술ì—서는 시ê°ì ì¸ 방법으로 표출ëœë‹¤. 예컨대 민화ì—서 호랑ì´, 매를 주ì¸ê³µìœ¼ë¡œ 한 ê·¸ë¦¼ì€ ëŒ€ê°œ ë²½ì‚¬ì— ì´ˆì ì„ 맞추고 있다. ì´ëŸ° ê·¸ë¦¼ì€ ìš©ë§¹í•¨ê³¼ 예리한 ì‹œë ¥ì„ ê°€ì§„ 호랑ì´ì™€ 매로 하여금 사귀와 ìž¬ì•¡ì„ ì°¾ì•„ 물리치게 하려는 목ì ìœ¼ë¡œ 그려졌다는 ì ì—서 주술 ë„êµ¬ë¡œì„œì˜ ì„±ê²©ì„ ê°€ì§„ë‹¤. ë˜í•œ 옛 기ë¡ì— 나타나 있는 것처럼 입춘 ì‹œì ˆì— ê³„Â·ê²¬Â·ì‚¬Â·í˜¸ ê·¸ë¦¼ì„ ëŒ€ë¬¸ì´ë‚˜ ë²½ì— ë¶™ì´ê±°ë‚˜ ëª¸ì— ì§€ë‹ˆê³  다니는 ê²ƒì€ ì£¼ìˆ  í–‰ìœ„ì— í•´ë‹¹í•œë‹¤ê³  ë³¼ 수 있다. 주술 ë„구와 행위 ë’¤ì—는 공히 ê·¸ê²ƒì´ ê°€ì§„ 신령한 íž˜ì´ ì¸ê°„ì´ ë°”ë¼ëŠ” 바를 ì´ë£¨ì–´ 줄 것ì´ë¼ëŠ” 믿ìŒê³¼ 신뢰가 깔려 있다. 옛 ì‚¬ëžŒë“¤ì´ ë²½ì‚¬í™”ë¥¼ ì£¼ë³€ì— ë‘ê³  ê·¸ê²ƒì´ ë‚´ ê°€ê¹Œì´ ìžˆë‹¤ëŠ” 사실만 ê°€ì§€ê³ ë„ ìœ„ì•ˆì„ ì–»ì„ ìˆ˜ ìžˆì—ˆë˜ ê²ƒì€ ê·¸ì— ëŒ€í•œ ì ˆëŒ€ì  ë¯¿ìŒì´ 있었기 때문ì´ë‹¤. 벽사화ì—서 중요한 ê²ƒì€ íš¨í—˜ 유무가 ê·¸ê²ƒì„ ë°”ë¼ë³´ëŠ” ì‚¬ëžŒì˜ ë§ˆìŒì— 달려 있다는 ì ì´ë‹¤. í˜„ëŒ€ì— ì™€ì„œ 벽사화가 ì‹ ì´í•œ íž˜ì„ ìƒì‹¤í•œ ê²ƒì€ ì‚¬ëžŒë“¤ì´ ê·¸ íž˜ì„ ë¯¿ì§€ 않기 때문ì´ë‹¤.

벽사용 민화

ì¸ê°„ 능력 ë°–ì— ìžˆëŠ” ì‚¶ì˜ ë¬¸ì œë¥¼ ì´ˆì›”ì  íž˜ì„ ë¹Œë ¤ 해결하려는 ìˆ ì±…ì´ ì£¼ìˆ ìž„ì„ ì•žì„œ ë§í–ˆë‹¤. 술책 ê°€ìš´ë° ë¯¼ê°„ì—서 ë„리 ì´ìš©ëœ ê²ƒì´ ë¶€ì (符ç±)ì´ë‹¤. ë¶€ì ì˜ ‘부(符)’는 기호를, ‘ì (ç±)â€™ì€ ë¬¸ì„œë‚˜ ì„œì  ë“±ì„ ê°€ë¦¬í‚¨ë‹¤. 대개 부호나 글씨를 위주로 하면서 문서 형태를 갖추고 있기 ë•Œë¬¸ì— ê·¸ë ‡ê²Œ 불리게 ëœ ê²ƒì´ë‹¤. ë¶€ì  ì¤‘ì—는 íšŒí™”ì  ì„±ê²©ì´ ê°•í•œ ê²ƒë“¤ì´ ìžˆëŠ”ë°, ì´ë“¤ì„ ë³´í†µì˜ ë¶€ì ê³¼ 구별하여 부작화(符作畵)ë¼ ë¶€ë¥´ê¸°ë„ í•œë‹¤. 현재 남아있는 ê°™ì€ ìš©ë„ì˜ ê·¸ë¦¼ì„ ë³´ë©´ ë‹­, ê°œ, 호랑ì´, 매가 주ì¸ê³µì¸ 경우가 많다. “정초 민가ì—서 ë²½ì— ë‹­Â·ê°œÂ·ì‚¬ìžÂ·í˜¸ëž‘ì´ ê·¸ë¦¼ì„ ë¶™ì—¬ 재앙과 ì—­ë³‘ì„ ë¬¼ë¦¬ì¹˜ë ¤ 했다.â€ëŠ” 《ë™êµ­ì„¸ì‹œê¸°ã€‹ì˜ 기ë¡ì´ ì´ ê·¸ë¦¼ë“¤ì˜ ìš©ë„를 설명해 준다.
호랑ì´ê°€ 주ì¸ê³µì¸ 벽사화ì—는 <그림 2>ì—서 보는 것처럼 호랑ì´ë¥¼ 단ë…으로 그린 것, 까치호랑ì´ê·¸ë¦¼ 형ì‹ì„ 갖춘 것 등 ë‘ ê°€ì§€ ìœ í˜•ì´ ìžˆë‹¤. ì´ë“¤ ê·¸ë¦¼ì— ê°ê° ①‘眼å‰é‚ªé¬¼é½’消滅(안전사귀치소멸)’, ‘出林猛虎é€ä¸‰ç½(출림맹호축삼재)’, ②’é¾è¼ªäº”ç¦(용륜오복) 虎é€ä¸‰ç½(호축삼재)’ â‘¢â€˜æ¾æœ‰å‡Œéœœç¯€(송유능ìƒì ˆ) 虎將é€é‚ªæ»…(?))(호장축사멸(?))’ì´ë¼ëŠ” 문구가 ì“°ì—¬ 있는ë°, í’€ì´í•˜ë©´ â‘ ëˆˆì•žì˜ ì‚¬ì•…í•œ ê·€ì‹ ì„ ì´ë¹¨ë¡œ 씹어 없앤다. 숲ì—서 나온 맹호가 삼재(화재·수재·í’재)를 몰아낸다. â‘¡ìš©ì€ ì˜¤ë³µì„ í†µí•© 관장하고 용맹한 호랑ì´ëŠ” 삼재가 몰아낸다. ③소나무는 ì„œë¦¿ë°œì„ ëŠ¥ê°€í•˜ëŠ” 절개를 가지고 있고, í˜¸ëž‘ì´ ìž¥ìˆ˜ëŠ” 사악한 ê²ƒì„ ëª°ì•„ë‚´ì–´ 소멸시킨다. 하는 뜻ì´ë‹¤.
여기서 ì§šê³  넘어가야 í•  ê²ƒì€ ì¼ë¶€ 민화 연구ìžê°€ ì£¼ìž¥í•˜ë“¯ì´ ê¹Œì¹˜í˜¸ëž‘ì´ ê·¸ë¦¼ì€ ìš°ë‘”í•œ ì§€ë°°ì¸µì„ ë†€ë¦¬ëŠ” ë‚´ìš©ì˜ í’ìží™”ê°€ ì•„ë‹ˆë¼ ì‚¶ì˜ ì›ì²œì  문제와 ì§ê²°ëœ 길ìƒÂ·ë²½ì‚¬í™”ë¼ëŠ” ì ì´ë‹¤. 혹ìžëŠ” í”¼ì§€ë°°ì¸µì¸ ì„œë¯¼ì„ ìƒì§•하는 까치가 사대부 등 ì§€ë°°ê³„ì¸µì„ ìƒì§•하는 호랑ì´ë¥¼ 조롱하는 장면ì´ë¼ëŠ” êµ¬ì²´ì  ì„¤ëª…ê¹Œì§€ 내놓고 있다. ì´ê²ƒì€ ì´ ê·¸ë¦¼ì„ ê³„ê¸‰íˆ¬ìŸì˜ ê´€ì ì—서 본 것으로, 과거 민화 í–¥ìœ ì¸µì˜ ì •ì‹ ì„¸ê³„ë‚˜ ì„¸ê³„ê´€ì´ ì•„ë‹Œ ìžê¸°ì¤‘ì‹¬ì  ê´€ì ì—서 가치·호랑ì´ë¥¼ 본 ìž˜ëª»ëœ ê²°ê³¼ë‹¤.

매를 주ì¸ê³µìœ¼ë¡œ 한 그림 역시 í˜¸ëž‘ì´ ê·¸ë¦¼ê³¼ ê°™ì´ ë²½ì‚¬ë¥¼ 목ì ìœ¼ë¡œ 한다. 거친 발톱과 예리한 눈매로 ê³³ê³³ì— ìˆ¨ì€ ì‚¬ê·€ë¥¼ 찾아내 날카로운 부리로 쪼아[å•„] 퇴치할 것ì´ë¼ëŠ” 믿ìŒì´ ì´ ê·¸ë¦¼ ë°°í›„ì— ìˆ¨ì–´ 있다. ë²½ì‚¬í™”ì˜ ë§¹ìˆ˜Â·ë§¹ê¸ˆì€ ê·¸ë“¤ì˜ í¬ì•…성, ìš©ë§¹ì„±ì„ í˜„ì‹¤ ì´ë¯¸ì§€ë¡œ 바꿔주는 매개 ìž¥ì¹˜ë¡œì„œì˜ ì„±ê²©ì„ ê°€ì§„ë‹¤. ë™ì‹œì— ê·¸ê²ƒì€ í˜¸ëž‘ì´ì™€ ë§¤ì˜ ìƒ(åƒ)ì´ë©´ì„œ 용맹성과 예리함 ê·¸ ìžì²´ì´ê¸°ë„ 하다. 옛 ì‚¬ëžŒë“¤ì€ ì´ ì¶”ìƒì  íž˜ì„ ë¹Œë ¤ 벽사진경 추구와 함께 ì‹¬ë¦¬ì  ìœ„ì•ˆì„ ì–»ì€ ê²ƒì´ë‹¤.
ê·¸ëŸ°ë° ìš©ë§¹ìŠ¤ëŸ½ê±°ë‚˜ 위협ì ì¸ 존재가 아닌 ë‹­ì´ë‚˜ 개가 ë²½ì‚¬ì˜ ì£¼ì²´ê°€ ëœ ì´ìœ ëŠ” 무엇ì¼ê¹Œ? 고대ì¸ë“¤ì€ ìˆ˜íƒ‰ì´ ìš°ëŠ” 것과 í•´ 뜨는 현ìƒì„ ë™ì‹œì— 경험하게 ë˜ë©´ ì´ ë‘ ì‚¬ê±´ì´ ì„œë¡œ ì—°ê²°ë¼ ìžˆëŠ” 것으로 ìƒê°í–ˆë‹¤. ì£¼ìˆ ì€ ì´ì²˜ëŸ¼ 대ìƒê°„ì˜ ê´€ë…ì ì¸ ì—°ê²° 관계를 실제ì ì¸ ì—°ê²° 관계로 오ì¸(誤èª)하는 ë°ì„œ 출발한다. ë‹­ì˜ ìš¸ë©´ í•´ê°€ 뜨고, í•´ê°€ 뜨면 ì–´ë‘ ì´ ë¬¼ëŸ¬ê°€ê³ , 세ìƒì´ ë°ì•„지면 ìŒìŠµí•œ ì‚¬ê·€ë“¤ì´ ë¬¼ëŸ¬ë‚œë‹¤ê³  믿는 것ì´ë‹¤. ë²½ì‚¬ì˜ ì£¼ìˆ ë ¥ì€ ë‹­ 울ìŒì†Œë¦¬ë¡œë¶€í„° 나오지만 ê·¸ë¦¼ì„ ê°€ì§€ê³ ëŠ” ê·¸ 소리를 표현할 ê¸¸ì´ ì—†ë‹¤. 그렇지만 옛 ì‚¬ëžŒë“¤ì€ ë‹­ ê·¸ë¦¼ì„ ë³´ë©´ì„œ ìƒìƒ ì†ì—서 ë‹­ì˜ ìš¸ìŒì†Œë¦¬ë¥¼ 듣고, ê·¸ê²ƒì´ ê°€ì§„ ì£¼ìˆ ì˜ íž˜ì„ ë¯¿ì–´ ì˜ì‹¬ì¹˜ ì•Šì•˜ë˜ ê²ƒì´ë‹¤.
개는 어떠한가? 민화 ë²½ì‚¬í™”ì— ë“±ìž¥í•˜ëŠ” ê°œ ì¤‘ì— ì„¸ ê°œì˜ ëˆˆì„ ê°€ì§„ ê²ƒì„ ë³¼ 수 있는ë°, ì´ë¦„ì´ â€˜ë‹¹ì‚¼ëª©êµ¬(å”三目狗)’ì´ë‹¤. ê°œì˜ ëˆˆì„ ì„¸ 개로 표현한 ê²ƒì€ ë²½ì‚¬ì˜ ì˜ë ¥(éˆåŠ›)ì„ ë†’ì´ë ¤ëŠ” ì˜ë„ì—서 나온 것으로, 장례 때 귀신 쫓는 ë°©ìƒì”¨ 가면ì—ì„œë„ ê°™ì€ ëª¨ìŠµì„ ë³¼ 수 있다. 삼목구 ì´ë¯¸ì§€ ìžì²´ë¡œë„ ì£¼ìˆ ê³¼ì˜ ê´€ë ¨ì„±ì„ ì¶©ë¶„ížˆ ëŠë¼ê²Œ í•´ 주지만 개가 ë²½ì‚¬ì˜ ì£¼ì²´ê°€ ëœ ì§„ì§œ ì´ìœ ëŠ” í‰ì†Œì— ë³´ì§€ ëª»í•˜ë˜ ê²ƒì´ ë‚˜íƒ€ë‚˜ë©´ 경계하며 짖는 ê°œì˜ ì†ì„±ê³¼ ê´€ë ¨ì´ ìžˆë‹¤. 사귀는 í‰ì†Œì— ë³´ì§€ 못한 ê´´ì´í•œ 것ì´ë¯€ë¡œ ê·¸ê²ƒì´ ë‚˜íƒ€ë‚˜ë©´ ì²˜ìŒ ë³¸ 개가 짖기 시작하고, ê·¸ 소리를 ë“¤ì€ ìˆ˜ë§Žì€ ê°œê°€ ë”°ë¼ ì§–ìœ¼ë©´ 사귀가 무서워 달아날 것ì´ë¼ê³  옛 ì‚¬ëžŒë“¤ì€ ë¯¿ì—ˆë˜ ê²ƒì´ë‹¤. ì´ê²ƒì€ ìƒìƒì— ì˜í•œ ì—°ê´€ì„ í˜„ì‹¤ì ì¸ 연관으로, 주관ì ì¸ ì—°ê´€ì„ ê°ê´€ì ì¸ ì—°ê´€ 관계로 ì¸ì‹í•˜ëŠ” 전형ì ì¸ ì£¼ìˆ ì  ì‚¬ê³ ë°©ì‹ì´ë‹¤.

마치면서

아무리 극진한 필치로 잘 그린 그림ì´ë¼ í•´ë„ ê·¸ê²ƒì´ ì‹¤ì œë¼ëŠ” 환ìƒì„ 불러ì¼ìœ¼í‚¤ëŠ” ë²•ì€ ì—†ë‹¤. 마찬가지로 벽사용 ê·¸ë¦¼ì˜ í‹€ ì†ì˜ 모든 ê²ƒì€ í˜„ì‹¤ê³¼ 다른 전혀 ë³„ê°œì˜ ê²ƒì´ë‹¤. 엄밀히 ë§í•´ ê·¸ í‹€ ì†ì—는 예컨대 계·견·사·호가 있는 ê²ƒì´ ì•„ë‹ˆë¼ ê³„Â·ê²¬Â·ì‚¬Â·í˜¸ì˜ â€˜ê·¸ë¦¼â€™ì´ ì¡´ìž¬í•˜ëŠ” 것ì´ë‹¤. 주술 ë„구ì´ìž í–‰ìœ„ì¸ ë²½ì‚¬í™”ì˜ ì§„ë©´ëª©ì€ ì™¸í˜•ì„ ì§€ë‚˜ì¹˜ê²Œ ì˜ì‹í•˜ì§€ 않는 ë°ì„œ 찾아진다. 그러므로 벽사화를 ë‘ê³  ‘아름답다’거나 ‘아름답지 않다’거나 다투는 ê²ƒì€ ì•„ë¬´ 쓸 ë° ì—†ëŠ” ì§“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