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와 연구ìžê°€ 함께 참여, ë¯¼í™”ì˜ ë°œì „ë°©í–¥ì„ ë…¼í•˜ë‹¤

2014 전국민화 학술대회
2014 전국민화 학술대회 ì´ëª¨ì €ëª¨

â€˜í•œêµ­ë¯¼í™”ì˜ ê³¼ì œì™€ 나아갈 방향’ì´ë¼ëŠ” 주제로 한국민화학회와 한국민화협회가 ê³µë™ì£¼ìµœí•œ 2014 한국민화 학술대회가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ì—서 열렸다. ì´ë²ˆ 학술대회는 ë¯¼í™”ì˜ ë³¸ì§ˆê³¼ ê°œë…ì˜ í™•ìž¥ì„ ê²€í† í•¨ìœ¼ë¡œì¨, 앞으로 민화가 나아가야 í•  발전방향까지 모색한 ìµœì´ˆì˜ ìžë¦¬ì˜€ë‹¤. ê·¸ ëœ¨ê±°ì› ë˜ í˜„ìž¥ì˜ ì—´ê¸°ë¥¼ 전한다.

작가와 연구ìž, 함께 ë‚´ë”›ì€ ì²« 걸ìŒ

그간 â€˜í•™ìˆ ëŒ€íšŒâ€™ë¼ í•˜ë©´ ì´ë¡ ì„ 토대로 한 학술ì ì¸ 성과를 발표하고 ë™ë£Œí•™ìžë“¤ì˜ ì˜ê²¬ì„ 구하는 ìžë¦¬ë¡œ, ì´ë¡ ê°€ì™€ 연구ìžë“¤ê³¼ ê·¸ 주변 ì†Œìˆ˜ë§Œì„ ìœ„í•œ í–‰ì‚¬ì— ê·¸ì³¤ë‹¤. 하지만 íŠ¹ì •ë¶„ì•¼ì— ê´€ë ¨í•œ 연구는 ê·¸ 분야를 업으로 하는 ì´ë“¤ì„ 제하고는 반쪽짜리 ë…¼ì˜ì— 머문다는 한계를 ê°€ì§€ê¸°ë„ í•œë‹¤.
민화계 역시 ì´ì ì— 대한 ìžì•„ì„±ì°°ì˜ ëª©ì†Œë¦¬ê°€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월간 <민화>ì˜ ì°½ê°„ ê¸°ë… íŠ¹ë³„ 좌담회 ‘21세기 한국 ë¯¼í™”í™”ë‹¨ì˜ ì§€í–¥ì ê³¼ 발전방향’처럼, 작가와 연구ìžì˜ 목소리를 ëª¨ë‘ ë“¤ìœ¼ë ¤ëŠ” 시ë„ê°€ 곳곳ì—서 ì´ë£¨ì–´ì§€ëŠ” 것ì´ë‹¤. í•™ìžì™€ ìž‘ê°€ê°„ì˜ ë…¼ì˜ì™€ ì—°ëŒ€ì˜ ìž¥ì´ í•„ìš”í•˜ë‹¤ëŠ” ì£¼ìž¥ì´ ì ì°¨ 늘어난 ë°°ê²½ì—는 ìž‘ê°€ì§‘ë‹¨ì˜ ê´„ëª©í• ë§Œí•œ 성과가 있었다. 민화는 ì¡°ì„  후기 í¬ê²Œ 유행하여 ìˆ˜ë§Žì€ ìž‘í’ˆì´ ê·¸ë ¤ì§„ ì´í›„로, 잠시 ì‚¬ëžŒë“¤ì˜ ê´€ì‹¬ì—서 멀어진 시기가 ìžˆì—ˆë˜ ê²ƒì´ ì‚¬ì‹¤ì´ë‹¤. 다행히 í•™ìžë“¤ì´ ë¯¼í™”ì— ì£¼ëª©í•˜ê¸° ì´ì „부터 ê·¸ ëª…ë§¥ì„ ì´ì–´ 민화를 그려온 ìž‘ê°€ë“¤ì´ ì¡´ìž¬í•œë‹¤. ë”°ë¼ì„œ ì´ë“¤ì„ 떼어놓고 ê·¸ ê°œë…ê³¼ ì´í•´, ë°œì „ë°©í–¥ì„ ë…¼í•˜ê¸° 어렵다. ì´ëŸ¬í•œ 사회ì ì¸ ê³µê°ì„ 바탕으로 한국민화학회(ì´í•˜ 학회)는 한국민화 ìž‘ê°€ë“¤ì˜ ìµœëŒ€ ê²°ì§‘ì²´ì¸ í•œêµ­ë¯¼í™”í˜‘íšŒ(ì´í•˜ 협회)와 ê³µë™ì£¼ìµœí•˜ëŠ” 학술대회를 마련했다. 민화를 ì•„ë¼ê³  사랑하는 협회 소ì†ì˜ ìž‘ê°€ë“¤ì´ ì²­ê°ìœ¼ë¡œ 대거 ì°¸ì„í–ˆì„ ë¿ë§Œ 아니ë¼, 주제발표를 맡는 등 ì ê·¹ì ìœ¼ë¡œ 참여했다. ì´ë°–ì—ë„ ë¯¼í™”ì™€ 관련한 박물관 ê´€ìž¥ë“¤ì´ ì°¸ì—¬í•˜ì—¬ 다양한 ê´€ì ì„ 제시, ë¯¼í™”ì˜ ê°œë…ê³¼ ì™¸ì—°ì„ í­ë„“게 ë…¼ì˜í•˜ëŠ” ìžë¦¬ê°€ ë다.

2014 전국민화 학술대회
2014 전국민화 학술대회
 
200ì—¬ 명 ì°¸ì„, ëœ¨ê±°ì› ë˜ í˜„ìž¥ì˜ ì—´ê¸°

2014 전국민화 학술대회대회는 아침 10시쯤 참가 접수를 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ì „êµ­ ê°ì§€ì—서 ëª¨ì¸ ë¯¼í™”ì¸ì´ 주최 측 추산 200ì—¬ ëª…ì— ë‹¬í–ˆë‹¤. ëŒ€íšŒì— ì°¸ì—¬í•˜ê¸° 위해 ì´ë¥¸ 아침부터 í˜¹ì€ ì „ë‚  미리 ìƒê²½í–ˆë‹¤ê³  답한 ì‚¬ëžŒë“¤ë„ ìƒë‹¹ìˆ˜ë¥¼ ì°¨ì§€í–ˆì„ ì •ë„. 국립중앙박물관 ì†Œê°•ë‹¹ì— ë“¤ì–´ì„  사람들 사ì´ì—” 묘한 기대와 í¥ë¶„ì´ ì—¿ë³´ì˜€ë‹¤.
í•™íšŒì˜ íšŒìž¥ì¸ ì •ë³‘ëª¨ êµìˆ˜ëŠ” ì¸ì‚¬ë§ì„ 통해 “위대한 í™”ê°€ì˜ ê³ì—는 언제나 í‰ë¡ ê°€ê°€ 있었다â€ë©°, ë¯¼í™”ì˜ ë°œì „ì„ ìœ„í•´ 민화연구가와 ë¯¼í™”ìž‘ê°€ì˜ ìœ ê¸°ì ì¸ 관계가 í•„ìš”í•¨ì„ ê°•ì¡°í•¨ê³¼ ë™ì‹œì— ì´ë²ˆ í–‰ì‚¬ì˜ ì˜ì˜ë¥¼ ë°í˜”다. ì €ë…까지 ì´ì–´ì§„ 학술대회는 ëª¨ë‘ 7가지 ì£¼ì œì˜ ë°œí‘œë¡œ 구성ë˜ì—ˆê³ , 사회는 학회 김윤정 학술ì´ì‚¬ì™€ 협회 정하정 수ì„ë¶€íšŒìž¥ì´ ë²ˆê°ˆì•„ 보았다. 한국민화협회 ì‹ ë™ì‹ íšŒìž¥ì´ â€˜ë¯¼í™”ì–‘ì‹ë¡ â€™ìœ¼ë¡œ ê·¸ í¬ë¬¸ì„ 열었고, 협회 ìƒìž„ê³ ë¬¸ì„ ë§¡ê³  있는 금광복 í™”ë°±ì´ â€˜ë¯¼í™”ì˜ ë°œì „ë°©í–¥â€™ì´ë¼ëŠ” 주제로 그간 작업하며 ëŠë¼ê³  ì²´ë“한 ê²ƒì„ ìž‘ê°€ë“¤ì—게 전했다. ë’¤ì´ì–´ 박물관 수 ì´ê²½ìˆ™ ê´€ìž¥ì´ â€˜ë¯¼í™” ì „í†µì„±ì˜ í˜„ìž¬ì  ê°€ì¹˜â€™ë¥¼ 주제로, ì ì‹¬ ì´í›„로는 한남대 ì¡°ì€ì • êµìˆ˜ì˜ ‘한국현대미술ì—서 ë¯¼í™”ì˜ ì´ì½”노그래피’, 강지선 시ê°ë””ìžì´ë„ˆì˜ ‘현대ìƒí™œ 공간ì—ì„œì˜ ë¯¼í™”ì˜ ë””ìžì¸ 활용’ 등 ë¯¼í™”ì˜ ìœ„ì¹˜ì™€ í™œìš©ì— ëŒ€í•œ 발표가 ì´ì–´ì¡Œë‹¤. 여섯 번째 발표는 í™ìµëŒ€ 김미정 박사가 ‘한국 í˜„ëŒ€ë¯¸ìˆ ì˜ â€˜ë¯¼í™”â€™ 차용’ì„, 2013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ë°•ë‚¨í¬ ì „ì‹œê°ë…ì´ â€˜ê¸€ë¡œì»¬ë¦¬ì¦˜ì‹œëŒ€ í•œêµ­ë¯¼í™”ì˜ ì„¸ê³„í™” 전략’ì´ë¼ëŠ” 발표로 ë¯¼í™”ì˜ ë°©í–¥ì„±ì— ëŒ€í•œ ê³ ë¯¼ì´ ë‹´ê¸´ ë‚´ìš©ì„ ì²­ì¤‘ë“¤ì—게 선보였다. 마지막 ì¢…í•©í† ë¡ ì€ ê²½ê¸°ë„박물관 ì´ì›ë³µ ê´€ìž¥ì„ ì¢Œìž¥ìœ¼ë¡œ, 7ëª…ì˜ ë°œí‘œìžì™€ ê°ê° í† ë¡ ì„ ë§¡ì€ ë¯¼í™”ìž‘ê°€ 정현 씨, 협회 정하정 수ì„부회장, 조선민화박물관 오ì„환 관장, 미술í‰ë¡ ê°€ 임창섭 씨, 월간 <민화> 유정서 편집국장, 양주시립 장욱진 미술관 변종필 관장, ë™ì•„ì¼ë³´ ì´ê´‘표 ì •ì±…ì‚¬íšŒë¶€ìž¥ì´ ëª¨ë‘ ì°¸ì—¬í•´ ë‹¨ìƒ ìœ„ë¥¼ ê°€ë“ ì±„ì› ë‹¤.

ë¯¼í™”ì˜ ê°œë…ê³¼ ë²”ì£¼ì— ëŒ€í•œ 고민

2014 전국민화 í•™ìˆ ëŒ€íšŒí–‰ì‚¬ì˜ í”¼ë‚ ë ˆë¥¼ 장ì‹í•œ 종합토론ì—서는 발표ìžë“¤ì˜ 논고를 미리 꼼꼼히 검토한 토론ìžë“¤ì˜ ì§ˆë¬¸ì— ëŒ€í•œ ë‹µì„ ë“£ëŠ” ì‹œê°„ì„ ê°€ì¡Œë‹¤. 토론ìžë“¤ì€ 발표ìžë“¤ì˜ 주장과 ì œì•ˆì„ ë†’ì´ í‰ê°€í•˜ë©´ì„œë„ 날카로운 ì§ˆë¬¸ì„ ìžŠì§€ 않았다. 특히 ê·¸ë™ì•ˆ ë„ëŒì´í‘œì²˜ëŸ¼ ë˜í’€ì´ë˜ì–´ì˜¨ ë¬¸ì œì¸ ë¯¼í™”ì˜ ê°œë…ê³¼ ìš©ì–´ì— ëŒ€í•œ 견해차ì´ê°€ 여실히 드러났다. ì•„ì§ ëª¨ë‘ê°€ ê³µê°í•  ë§Œí¼ ë¯¼í™”ì˜ ê°œë…ê³¼ 범주가 정립ë˜ì§€ ì•Šì•˜ê¸°ì— ë°œí‘œìžì˜ ì˜ë„ê°€ 충분히 전달ë˜ì§€ 않고 í˜¼ì„ ì„ ë¹šëŠ” ê²½ìš°ë„ ìžˆì—ˆë‹¤. 앞으로 ë” ë§Žì€ ì†Œí†µì„ í†µí•´ 차츰 í•©ì˜í•´ë‚˜ê°€ëŠ” ê²ƒì´ ë¯¼í™”ê³„ì˜ ê°€ìž¥ 시급하고 ìµœëŒ€ì˜ ê³¼ì œì¼ ê²ƒì´ë‹¤. ê°ì„으로 마ì´í¬ë¥¼ ëŒë¦¬ìž 한층 ë” ë‹¤ì±„ë¡œìš´ ì˜ê²¬ì´ 들렸다. ê°•ì˜ë¥¼ 경청한 모ë‘ê°€ 발표와 í† ë¡ ì— ì°¸ì—¬í•œ íŒ¨ë„ ëª»ì§€ì•Šê²Œ ì—´ì •ì ìœ¼ë¡œ 솔ì§í•œ 목소리를 ë‚´ë©° ìžì‹ ì˜ ì˜ê²¬ì„ 피력했다. 학술대회ì—서 다루는 ì£¼ì œì˜ í­ì´ 너무 ì¢ë‹¤ëŠ” 것과 ë”ìš± 다양한 민화ì¸ì˜ ìž…ìž¥ì„ ë§ë¼í•´ì•¼ 한다는 ì ë„ 한계로 ì§€ì ë˜ì—ˆë‹¤. 특히 ì´ë²ˆ 학술대회가 ë¯¼í™”ê³„ì˜ í˜„ì‹¤ì ì¸ 문제와 괴리가 있다는 ì§€ì ì´ 나와 앞으로 학회와 협회가 고민해야 í•  ë˜ ë‹¤ë¥¸ 문제를 ì œê¸°í•˜ê¸°ë„ í–ˆë‹¤.
그럼ì—ë„ ë¶ˆêµ¬í•˜ê³  ì´ëŸ°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장으로서 첫 시ë„를 했다는 ì ì„ ê·¸ ìžì²´ë¡œ ë†’ì´ í‰ê°€í•´ì•¼ 한다는 ì˜ê²¬ì´ 지배ì ì´ì—ˆë‹¤. 민화를 활용하고 ì €ë³€ì„ í™•ëŒ€í•˜ê¸° 위한 신선한 시ê°ì´ 제시ë˜ì—ˆë‹¤ëŠ” í‰ë„ 고무ì ì´ë‹¤. 국립중앙박물관ì´ë¼ëŠ” ìƒì§•ì ì¸ 장소ì—서 민화를 ë…¼ì˜í•˜ëŠ” ìžë¦¬ê°€ ë§ˆë ¨ë  ë§Œí¼ ë¯¼í™”ì˜ ìœ„ìƒì´ 높아졌다는 ê¸ì •ì ì¸ ë°˜ì‘ë„ ëˆˆì— ë„었다.
ì²«ìˆ ì— ë°°ë¶€ë¥´ê¸°ë¥¼ ë°”ë¼ëŠ” ê²ƒì€ ì–´ì©Œë©´ ìš•ì‹¬ì— ê°€ê¹Œìš´ ì¼ì´ë‹¤. ì´ì œ 막 걸ìŒë§ˆë¥¼ ë—€ ë§Œí¼ í•™ê³„ì™€ í™”ë‹¨ì´ ì„œë¡œ ì´í•´í•˜ê³  발전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ë„ë¡ ë”ìš± ë§Žì€ ê´€ì‹¬ì´ í•„ìš”í•œ 때ì´ë‹¤.

 

글 : 윤나래 기ìž
사진 : ë°•ì„±ì¼ ê¸°ìž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