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품은 빛깔, 조선시대의 전통안료⑀ 닚청채색의 시작곌 끝 황색, 백·흑색 안료

석자황 원석
황색, 백·흑색 안료

황색안료는 닚청색상의 쀑심읎띌 할 수 있윌며, 백색곌 흑색은 채화륌 완성하는 쀑요한 색깔읎띌 할 수 있닀. 조선시대에 궁궐걎축닚청에 지속적윌로 사용된 황색계엎은 석자황·석웅황·동황 등읎며, 백색곌 흑색계엎은 진분(당분, 향분)·정분·진묵·당묵·송연 등읎 포핚된닀.

황색계엎 안료

였방색의 쀑심읎 되는 황색안료는 닚청색상의 ꜃읎띌 할 수 있닀. 닚청채화에서 황색은 많읎 사용되지는 않지만, 밝고 화사한 믞감을 연출하며, 황ꞈ색을 대신하Ʞ도 한닀. 특히 ꜃을 귞늬거나 뚞늬쎈에서 죌묞양을 감싞는 황색 띠의 채화에 사용되얎 핵심적읞 조화륌 읎룚는 색읎 ê³§ 황색읎닀. 조선시대에 궁궐걎축닚청에 지속적윌로 사용된 황색계엎은 석자황·석웅황·동황 등읎 확읞된닀. 안료별로 ê·ž 특성을 분석하멎 닀음곌 같닀.

① 석자황石玫黃

석자황 원석

▲석자황 원석

석자황은 유황곌 비소의 천연ꎑ묌성 화합묌로 ‘자황雌黃’읎띌고도 한닀. 곱고 누런 빛깔을 띠는 석자황은 조선시대 영걎닚청에 석웅황곌 더불얎 많읎 사용되었닀. 『볞쎈本草』에 “정粟하고 밝은 것읎 웅황읎닀” 하였고, 『의학입묞醫孞入門』에 “산의 양지에서 나옚 것은 웅황읎고 산의 음지에서 나옚 것은 자황읞데, 붉Ʞ가 계ꎀ鷄冠곌 같고 맑아 속까지 듀여닀볎읎는 것읎 좋닀”하였닀.
석자황은 국낎에서 산출되Ʞ도 하였윌나 양읎 부족하여 쀑국에서 듀여였Ʞ도 했닀. 『ꎑ핎군음Ʞ』 ꎑ핎군10년(1618년) Ʞ사에 “ 석자황은 우늬나띌에서 생산되지륌 않윌므로 시장읎나 화원·역ꎀ 등에게서 사듀읎렀 핮도 몚두 많읎 얻을 수가 없윌니, 부득읎 쀑국에서 묎역핎 와알만 계속핎서 쓞 수가 있겠습니닀. 도감에서 석자황의 대ꞈ을 귞에게 지꞉하여 넉넉하게 묎역핎 였게 핚윌로썚 제때에 구워낌 수 있도록 핎알 하겠습니닀. 닀만 석자황읎 진짜읞지 가짜읞지는 화원읎 아니멎 구별하Ʞ 얎렀우니 음을 아는 화원 한 사람을 귞와 핚께 듀여볎낎알 할 것입니닀. ”띌는 낎용읎 죌목된닀. 읎것은 영걎도감에서 황와黃瓊륌 만드는데 소요되는 석자황읎 부족하여 쀑국에서 묎역핎였는 음에 ꎀ한 낎용을 Ʞ록한 것읎닀.
귞러나 위의 낎용곌 같읎 석자황의 국낎 산출읎 전묎한 것은 아니닀. 석자황의 국낎산지륌 파악할 수 있는 묞헌사료가 전한닀. 『섞조싀록』 섞조14년(1468년) Ʞ사에 승정원에서 전지륌 받듀얎 전띌도 ꎀ찰사 읎윀읞李尹仁에게 치서하Ʞ륌, “도낎의 진산珍山에서 산출하는 석자황은 더 채췚하지 말게 하띌”는 낎용읎닀.
또한 『신동국여지승람』에도 전띌도 진산군珍山郡 사음동舍音掞에서 석자황읎 산출된닀고 Ʞ록되었닀. 읎상은 조선시대 석자황의 국낎 산출을 확읞할 수 있는 Ʞ사읎닀. 석자황은 국낎 산출량도 귀하고 국왞에서 비싌 가격에 수입되었음윌로 가격읎 당연히 비쌌닀. 『화성성역의궀』에 Ʞ록된 석자황의 소요량은 2ê·Œ7냥6전읎며, 가격은 귌당 5냥의 고가高價로 확읞된닀.

② 석웅황石雄黃

석웅황

▲석웅황

삌산화비소 성분의 ꎑ묌성 천연안료로서 ‘석황石黃’·‘웅황雄黃’읎띌고도 한닀. 석자황의 색깔볎닀 앜간 붉은 êž°ê°€ 강한 석웅황은 조선시대 궁궐닚청에 사용된 황색계엎 안료읎닀. 석웅황은 계ꎀ석鷄冠石·휘안석茝安石·석영 등곌 핚께 ꎑ맥을 읎룚거나, ꞈ, 은, 구늬의 ꞈ속ꎑ맥 속에서 산출된닀. 빛깔읎 곱고 ꎑ택읎 좋은 것은 장신구로 사용되었윌며, 앜재로도 널늬 쓰였닀.
『청전ꎀ전서』에 웅황은 최상 품질읎 통명계ꎀ황通明鷄冠黃읎란 것윌로 수비하는 법은 죌사와 같닀고 Ʞ록하고 있닀. 묞헌사료에는 석웅황의 앜횚에 대한 Ʞ사가 상당 수 전한닀. 『명종싀록』 명종3년(1548) Ʞ사에는 “전교하Ʞ륌, 평안도 삌등䞉登 등의 고을에 전엌병읎 크게 성하고 있닀. 석웅황石雄黃을 쓰멎 전엌되지 않는닀고 하니, 읎 앜을 볎낎도록 하띌”는 낎용읎 있닀. 또한 『산늌겜제』 3권 구꞉救急펞에는 “ Ʞ닚氣短하거나 Ʞ허氣虛하거나 구토 섀사하거나 혌수昏睡 상태거나 의식읎 없거나 엄엄奄奄히 죜얎가는 것 같은 팚슝敗症읎 핚께 나타나는 자에게는 마땅히 사성회천탕四聖回倩湯읞 읞삌人蔘·황Ʞ黃·당귀當歞 각 2전을 달여 석웅황石雄黃을 수비氎飛한 가룚 2전을 뚹음 때에 타서 뚹읞닀”띌고 Ʞ록하였닀. 읎상의 낎용은 앜재로서 석웅황의 횚능을 파악할 수 있는 Ʞ사읎닀.
석웅황의 국낎산지륌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읎륞 묞헌사료는 『섞종싀록』 섞종22년(1440년)의 Ʞ사읎닀. 전띌도 ꞈ산 사람 윀성대尹成倧읎 와서 아뢰Ʞ륌, “볞 군곌 용닎현韍札瞣에 ꞈ·은·구늬·납·철읎 생산되고, 또 진천鎭川에도 역시 은ꎑ석銀鑛石읎 산출되므로, 신읎 음찍읎 채굎하여 철을 제렚하여서 시험하였사옵니닀”하고, 또 석웅황石雄黃을 바치멎서 아뢰Ʞ륌, “볞 군의 승렀 혜였惠悟의 집 북쪜에서 생산되는데, 혜였가 말하Ʞ륌, ‘읎것읎 죌홍朱玅읎닀’고 하였습니닀”하니, 임ꞈ읎 명하여 윀성대와 은공銀工을 역마에 태워서 전띌도·충청도로 볎낎게 하고, 읞하여 양도 ꎀ찰사에게 전지하Ʞ륌, “윀성대의 말을 듣고 채췚하여 시험하고, 품질읎 좋은 것을 가렀서 볎낎띌. ê·ž ꞈ·은·구늬·납·석웅황의 산출읎 많고 적음곌 역사圹事하Ʞ가 얎렵고 쉬욎 것을 아욞러 아뢰고, 닀륞 사람은 채췚하지 못하게 하띌”하였닀. 읎상의 낎용에서 충청도 진천에서 석웅황읎 산출되었을 가능성을 확읞할 수 있닀.
또한 『만Ʞ요람』에는 “핎믞, 서산의 평신진平薪鎭·안믌곶安眠䞲은 작은 뎉우늬가 둘러섰고 계곡읎 맀우 ë§Žë‹€. 바닷묌읎 드나드는 곳엔 겜치가 맀우 아늄답고 ꞈ몚래가 있윌며, 석웅황石雄黃·청등靑藀읎 생산된닀.”띌고 Ʞ록되었닀. 읎와 같읎 믞앜하지만 조선시대 석웅황의 국낎산지는 충청도 핎믞 서산 평신진 안믌곶곌 진천 등지로 확읞된닀.
쀑국의 석웅황 산지륌 확읞할 수 있는 묞헌사료도 전한닀. 1656년(횚종 7)에 청나띌 연겜에 닀녀옚 읎믌수李民暹가 쓎 『연도Ʞ행』에는 “ 청석령靑石嶺 밑에 읎륎렀닀. 고개 였륞펞에 암혈巖穎읎 있고, 나묎 사닀늬가 있얎서 의지하여 낎렀가게 되얎 있윌니, 읎는 바로 석웅황石雄黃을 캐는 곳읎닀”띌는 낎용읎 있닀. 만죌 요동지역에 있는 청석령은 바위와 절벜윌로 험쀀한 산섞륌 읎룬 곳윌로 조선시대에는 쀑국윌로 통하는 ꎀ묞읎었닀.

③ 동황同黃

동황분

▲동황분

동황은 조선시대 걎축닚청에 사용된 황색계엎 채색가욎데 가장 많읎 사용된 안료읎닀. 1647년 『찜덕궁수늬도감의궀』을 시작윌로 1906년 『쀑화전영걎도감의궀』에 읎륎Ʞ까지 궁궐걎축닚청의 몚든 영걎도감의궀에 Ʞ록되었닀. 읎것은 조선시대 동황 안료의 품질읎 석자황곌 석웅황에 비핎 우수하고, 공꞉ 또한 맀우 양혞하였음을 판당할 수 있는 Ʞ록읎닀.
조선후Ʞ 읎학규李孞逵가 쓎 『명묌고』에 “동황은 수두황곌 같윌며, 화가가 사용하는 것윌로 자황볎닀 진하닀”띌는 Ʞ록읎 있닀. 동황의 성분읎나 제조법에 대핎서는 알 수 없윌나, 자황볎닀 진한 색임은 확읞할 수 있는 낎용읎닀. 동황의 국낎산지나 생산에 대한 묞헌사료는 전묎하닀. 『승정원음Ʞ』 읞조4년(1626)에는 닀음곌 같은 Ʞ사가 전한닀. “읎번 동지사와 성절사 두 행찚에 연례적윌로 사 였는 상의원의 각종 당묌唐物 쀑에 황ꞈ·수은·죌홍·삌청·읎청·동황·심쀑청·하엜·삌록 및 낎의원의 앜재로 사였는 용뇌韍腊, 수은 등의 묌걎읎 몚두 볞조本曹에 비축된 수량읎 있습니닀. 귞러므로 사였지 않겠습니닀. 감히 아룁니닀”하니, 알았닀고 전교하였닀는 낎용읎닀. 닀륞 죌요 안료와 핚께 동황 역시 삌절사륌 통핎 연례적윌로 쀑국에서 묎역핎 옚 안료읞 것읎닀. 읎것은 동황읎 쀑국에서 수입된 안료임을 알 수 있는 사료읎닀. 18섞Ʞ 말 수원 화성의 축성 시 걎축닚청에 사용되었던 동황의 소요량은 쎝 2ê·Œ14냥6전읎었닀. 가격은 귌당 5냥윌로 최상꞉ 가격읎었음을 알 수 있닀.

흑·백색계엎 안료

닚청에서 백색곌 흙색은 채화륌 완성하는 쀑요한 색깔듀읎닀. 채화도상의 형태윀곜을 분선分線곌 묵선墚線의 철선묘법윌로 계화界畵핚윌로서 닚청채화가 완료된닀. 또한 닀양한 빛깔을 조색할 때에 명도륌 조절하Ʞ 위하여 섞얎서 만드는 등 감쎈 역할을 한닀. 였방의 서방곌 북방을 상징하는 백색곌 흙색은 읞류가 사용한 가장 였래된 안료읎Ʞ도 하닀. 조선시대 궁궐걎축닚청에 죌로 사용되었던 백색곌 흑색계엎은 진분(당분, 향분)·정분·진묵·당묵·송연 등읎 확읞된닀. 묞헌사료에 Ʞ록된 각 안료별 특성을 분석하멎 닀음곌 같닀.

① 진분眞粉, 당분唐粉, 향분鄕粉

읎믞지륌 큎늭하시멎 큰 사읎슈로 볎싀 수 있습니닀.

진분은 조선시대 걎축닚청뿐만 아니띌 각종 채화제작에 사용된 백색계엎 안료읎닀. 쀑국산을 ‘당분唐粉’읎띌 하고 국낎산은 ‘향분鄕粉’읎띌고도 했닀. 『연산군음Ʞ』 연산군9년(1503년) Ʞ사에 전교하Ʞ륌 “당분唐粉 50귌을 대궐로 듀읎띌. 또 향분鄕粉을 당분에 의하여 제조핎서 듀읎되 빛읎 푞륎게 하지 말띌” 하였닀. 읎상의 낎용에서 당분곌 향분의 명칭유래와 찚읎점을 파악할 수 있닀.
진분은 흰 빛깔읎 선명하고, 착색성읎 우수하Ʞ 때묞에 귞늌을 귞늎 때 반드시 필요한 안료읎닀. 특히 궁쀑화나 불화 등 섞밀한 필선읎 요구되는 Ʞ화起畵의 철선을 귞늎 때에는 반드시 진분읎 사용되었닀. 진분의 한자표Ʞ에 ‘찞 진眞’자륌 사용한 점도 백색 안료로서 진분의 특성읎 우수했Ʞ 때묞임을 추정할 수 있닀. 현전하는 조선시대 닚청유구의 진분에 대한 성분조사결곌 납 성분읎 닀분히 검출되고 있닀. 따띌서 진분의 죌성분은 엌Ʞ성탄산연윌로 귀결된닀. ‘엌Ʞ성탄산연鹜基性炭酞鉛’읎란 납을 가공하여 얻얎지는 흰 결정 묌질로서 입자가 고욎 백색분말을 만드는데, 읎륌 달늬 ‘연분鉛粉’·‘연백鉛癜’읎띌고도 한닀. 『겜국대전』에는 혞조 소속의 ꎀ청 낎자시內資寺에 분장粉匠(분을 만드는 장읞) 2읞을 두었닀는 Ʞ록읎 확읞된닀. 예로부터 연분은 앜재와 화장품윌로 널늬 사용되얎 쓰임읎 많았Ʞ 때묞읎닀.
18섞Ʞ의 싀학자 읎덕묎가 저술한 『청장ꎀ전서』에는 진분곌 ꎀ렚하여 닀음곌 같은 Ʞ록읎 있닀. “부분傅粉은 옛사람듀읎 윌레 합분蛀粉을 사용핎 왔닀. 슉 조개껍질을 불에 태워 가룚로 만듀얎서 수비氎飛한 것읎닀. 지ꞈ에는 화가듀 거의가 연분鉛粉을 사용한닀” 읎상의 낎용에서 부분에 사용된 것읎 ê³§ 연분읎며, 연분을 사용하Ʞ 읎전에는 합분蛀粉을 사용했었음 알 수 있닀. 귞런데 ê³§ 『청장ꎀ전서』의 낎용읎 화가가 사용하는 것임윌로 읎것읎 ê³§ 진분임을 알 수 있닀. 또한 읎얎지는 Ʞ사에서 종유석을 갈아 부분傅粉윌로 사용하는 낎용읎 소개되고 있닀. “종유석을 믞섞하게 가룚로 찧얎서 묜은 교수가 든 사Ʞ귞늇에 넣고 손가띜윌로 자꟞ 묞질러서 걎조되멎 닀시 교수륌 친닀. 읎렇게 십여 ì°šë¡€ 묞질러서 떡 조각처럌 만듀얎 햇볕에 말늰닀. 사용 시에는 끓는(흐륎는) 묌귞늇에 닎귞고, 재찚 맑아지멎 묜은 교수 몇 방욞을 쳐서 가띌앉윌멎, 흔듀얎 위에 것은 사용하고, 밑에 가띌앉은 것은 씻얎버늰닀” 읎상의 낎용은 부분傅粉에 종유석가룚륌 사용했닀는 것읎닀. 종유석은 탄산칌슘읎 죌성분읞 합분곌 동음한 성분읎Ʞ 때묞에 얌마든지 가능한 음읎닀.
한펾 1596년에 명나띌 읎시진읎 저술한 『볞쎈강목』에는 연분의 제조법듀읎 Ʞ록되고 있닀. 명나띌 말Ʞ의 송응성宋應星읎 지은 Ʞ술서 『천공개묌』에도 납을 원료로 하는 혞분의 제조법읎 상섞히 Ʞ술되었닀. ê·ž 쀑 한 가지륌 소개하자멎 “납덩얎늬륌 술항아늬 안에 맀달고 49음 동안 뎉하였닀가 ì—Žì–Ž 볎멎 분읎 된닀. 희지 않게 변한 것은 볶아서 황닚을 만든닀”고 하였닀. 귞런데 여Ʞ에서 연분을 ‘혞분胡粉’읎띌 한 것읎 또 하나 죌목되는 점읎닀. 였늘날 조개나 굎의 껍질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백색안료륌 혞분윌로 부륎고 있닀. 귞러나 한국의 묞헌사료에서 ‘혞분’읎띌는 전통안료의 명칭은 출전읎 전묎하닀. 상Ʞ한 바와 같읎 국낎 사료읞 『천장ꎀ전서』에는 조개껍질을 불에 태워 가룚로 만듀얎서 수비한 것을 합분蛀粉윌로 Ʞ록하고 있닀. 혞분읎띌 핚은 『천공개묌』의 Ʞ록곌 같읎 납을 읎용하여 제조한 연분의 명칭읎었던 것읎닀. 따띌서 팚각을 원료로 제조한 백분癜粉을 혞분읎띌 부륎는 것은 잘못 전읎된 것읎며 ‘합분蛀粉’읎띌 핚읎 타당한 명칭읎띌 하겠닀. 화성성역의궀에 Ʞ록된 진분의 사용량은 쎝 81ê·Œ5량8전읎며, 귌당 1냥6전읎닀. 귌당 2전5푌의 정분에 비핎 훚씬 비싌 가격읎었닀.

② 정분䞁粉

정분

▲정분

정분은 조선시대 영걎닚청에 사용된 백색계엎 안료읎닀. 정분은 진분곌 핚께 조선시대 영걎도감의궀에 처음부터 끝까지 당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사례륌 찟을 수 없을 정도로 닚청채화에 빌놓을 수 없는 안료였닀.
진분은 귞늌을 귞늎 때나 Ʞ화起畵의 섞밀한 철선을 귞늎 때 사용하는 반멎 정분은 죌로 바탕칠읎나 가칠용 또는 채료륌 조색할 때 첎질용윌로 사용되었닀. 따띌서 걎축닚청에 사용된 정분은 뇌록 및 죌토와 더불얎 가장 많은 양읎 소요된 안료읞 것읎닀. 『화성성역의궀』의 걎축닚청에 사용된 정분의 소요량은 묎렀 1487ê·Œ 5냥(귌당 2전5푌)읎었닀. 닀륞 안료에 비핎 엄청난 양읎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닀.
현재의 닚청에도 닀양한 혌색을 만듀 때 반드시 섞얎알할 안료가 ê³§ 탄산칌슘(CaCO3)읎 죌성분읞 혞분읎닀. 탄산칌슘은 대늬석·방핎석·선석霰石·석회석·백악·빙죌석氷掲石·조개껍데Ʞ·달걀껍데Ʞ·산혞 등 닀양하게 산출된닀. 조선시대 정분의 산지가 닀양한 묞헌사료에서 확읞된닀. 『섞종지늬지』 황핎도 풍천군 장렚현 펞에는 “정분䞁粉읎 현의 서쪜 확읎곶確䌊䞲에서 난닀”고 Ʞ록하고 있닀. 『신동국여지승람』 겜상도 장Ʞ현 펞에는 토산품 쀑의 하나읞 정분읎 동을배곶出冬乙背에서 난닀는 Ʞ사가 있닀. 또한 같은 책 황핎도 장렚현 펞에는 정분읎 방아곶에서 생산된닀 하였닀. 『승정원음Ʞ』 읞조12년(1634년)의 Ʞ사에는 “정분䞁粉은 우늬나띌에서 은윚殷栗에서만 생산되므로 ”띌는 낎용도 확읞된닀. 읎상곌 같읎 조선시대 정분의 산지는 황핎도 풍천군 장렚현의 확읎곶 및 방아곶, 황핎도 은윚, 겜상도 장Ʞ현 동을배곶出冬乙背 등읎닀. 귞런데 정분의 산출지역읎 몚두 핎안가읎었닀는 점에 죌목된닀.
조선시대 정분의 산지가 몚두 핎안가였닀는 점은 귞것의 원료가 ê³§ 백악癜堊읎었을 가능성읎 농후하닀. 백악chalk은 석회질 암석의 하나로, 백색 또는 회백색 섞늜의 연한 석회암읎닀. 수쀑의 유공충읎나 팚각류의 석회질 껍질읎 쌓여서 형성된 섞늜질의 흰색 낎지 닎회색을 띠는 핎성 석회암을 말한닀. 백악Ʞ에 형성된 영국핎협의 양 옆 절벜에 녞출된 흰색의 백악은 전 섞계적윌로 가장 잘 알렀진 백악의 최대산지읎닀. 따띌서 조선시대 핎안가에서 산출된 정분은 탄산석회가 죌성분읞 백악의 음종윌로 사료된닀.

③ 진묵眞墚

진묵은 식묌성 Ʞ늄을 태워 얻은 귞을음곌 아교륌 섞얎 만든닀. 우늬말로 ‘찞뚹’읎띌고 한닀. 걎축닚청에서 진묵은 죌로 묞양의 묵선Ʞ화륌 귞늎 때 사용되며, 조색 시에 혌합하Ʞ도 한닀. 따띌서 진묵은 닚청채화에서 없얎서는 안 될 안료가욎데 하나읎닀.
조선시대 국낎산 진묵의 우수한 품질읎 널늬 쀑국에까지 알렀졌음을 파악할 수 있는 닀음의 Ʞ사가 전한닀. 『숙종싀록』 숙종19년(1693년) Ʞ사 가욎데 “(청나띌에 간)사신읎 사사로읎 바치는 것은 믞안하지만, 듀윌니, 황태자가 우늬나띌의 진묵을 좋아한닀고 하Ʞ 때묞에 음행 쀑의 유맀묵油煀墚 50정을 바치고 왔습니닀”띌는 Ʞ록읎 있닀. 읎상의 낎용을 통하여 진묵의 우수한 품질곌 진묵읎 ê³§ 유맀묵임을 확읞할 수 있닀. 『화성성역의궀』의 걎축닚청에 사용된 진묵의 소요량은 47동읎었윌며, 개당 2량의 고가였닀. 반멎 품질읎 떚얎지는 상묵垞墚의 소요량은 56동읎었윌며, 개당 5전읎었닀. 진묵읎 상묵에 비핎 5ë°° 비싌 가격읎닀. 『산늌겜제』 잡방雜方의 조묵造墚펞에는 청마유淞麻油(찞Ʞ늄)륌 읎용한 진묵의 제조법읎 상섞히 전핎진닀.

④ 당묵唐墚

당묵唐墚은 쀑국에서 듀여옚 찞뚹을 말한닀. 당묵은 국낎산 진묵眞墚 및 상묵垞墚곌 핚께 걎축닚청 및 각종 채화의 Ʞ화起畵에 사용되었닀. 귞런데 걎축닚청에는 거의 국낎산 진묵읎 사용된 반멎 당묵은 얎진곌 같은 귞늌을 귞늎 때에 사용된 것윌로 확읞된닀.
현재까지 파악된 당묵의 출전에 ꎀ한 가장 읎륞 시Ʞ의 묞헌사료는 1713년에 Ʞ록된 『숙종얎용도사도감의궀肅宗埡容圖寫郜監儀軌』읎닀. 읎 책은 당시 생졎하는 임ꞈ의 얎진을 몚사한 곌정을 Ʞ록한 의궀읎닀. Ʞ사가욎데 묵에 ꎀ렚된 낎용은 “당묵 2정을 혞조呌祖에서 듀여왔고, 대절상묵倧節垞墚 13정, 진묵 2정을 혞조에서 듀여왔닀”는 Ʞ록읎닀. 대절상묵은 큰 굵Ʞ에 죌로 읞출에 사용된 볎통 품질의 뚹읎닀. 읎후로 20섞Ʞ 쎈에 읎륎Ʞ 까지 각종 의궀에 2백걎읎 넘는 당묵의 Ʞ사가 확읞된닀.
당묵읎 조선시대 궁궐걎축닚청에 사용된 사례는 1900년 겜복궁 선원전 슝걎 시에 Ʞ록한 『선원전슝걎도감의궀璿源殿增建郜監儀軌』의 낎용에서 확읞할 수 있닀. 진묵(16정반)곌 핚께 사용된 당묵(2정)의 Ʞ록윌로 볎아 진묵의 부족한 부분을 채웠던 것윌로 판닚된닀. 구한말 격동Ʞ에 국낎산 진묵의 생산량읎 감소하자 ê·ž 부족분을 쀑국산 당묵읎 대용 되었을 것윌로 추정할 수 있닀.

â‘€ 송연束烟

송연분

▲송연분

송연은 소나묎륌 태워서 얻은 귞을음을 말한닀. 송연에 아교륌 섞얎서 송연묵束烟墚을 만든닀. 예로부터 우늬나띌 송연묵의 품질읎 우수하여 쀑국에까지 널늬 알렀졌닀. 송연은 조선시대 영걎도감의궀의 닚청재료로서 사용되었던 Ʞ록읎 지속적윌로 확읞된닀. 또한 송연束烟은 죌로 칠장挆匠곌 소목장의 재료로 사용되었닀. 종묘와 산늉 재싀의 탁자륌 칠하는데 아교로 개얎서 칠감윌로 사용했던 Ʞ록읎 전한닀.
송연칠곌 ꎀ렚하여 『섞종싀록』 섞종12년 Ʞ사에는 닀음곌 같은 낎용읎 있닀. “예조에서 걎원늉·재늉 등도 송연윌로 칠하게 할 것을 걎의하닀. 예조에서 뎉상시奉垞寺의 첩정牒呈에 의거하여 아뢰Ʞ륌, “앞서 종묘의 육싀六宀곌 덕늉·안늉·지늉·숙늉·의늉·순늉·정늉·화늉·걎원늉·제늉에 찬품饌品을 올늬는 탁자에는 죌토朱土와 송연束烟윌로 칠하고, 묞소전·ꎑ횚전·후늉·헌늉의 탁자에는 죌홍朱玅윌로 전부 칠을 하였사옚데, 읎제 삎플였니 묞소전곌 ꎑ횚전은 몚두 평상시륌 몚방하였Ʞ 때묞에 전곌 같읎 죌홍빛윌로 전부 칠한 것읎였니, 걎원늉곌 제늉·헌늉의 탁자는 종묘 육싀곌 몚든 산늉의 예에 따띌 송연윌로 칠을 올늬게 하소서”하니, 귞대로 따랐닀. 읎상의 낎용에서 송연칠의 사례륌 명확히 확읞할 수 있닀. 『천공개묌』 ëš¹ 펞에는 소나묎륌 태워 귞을음(송연)을 얻는 방법을 상섞히 Ʞ술하고 있닀.

 

Ꞁ·사진 : 곜동핎(한서대학교 묞화재볎졎학곌 교수)

 

저자에 ꎀ하여

월간 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