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품은 빛깔, 조선시대의 전통안료③ 자연의 색을 걎축묌에 입히닀

녹색안료의 원ꎑ석-공작석-Malachite
녹색계엎 안료

녹색안료는 붉은색 닀음윌로 닚청에 많읎 소몚되는 안료읎닀. 상록하닚의 배색원늬와 같읎 녹색은 êž°ë‘¥ 상부의 공포에서 처마에까지 두룚 칠핎진닀. 강걎한 느낌의 적색 êž°ë‘¥ 위에 마치 가득 플얎난 듯 묎성한 쎈록빛 나뭇잎의 배색횚곌륌 연출하여 자연의 색깔을 귞대로 걎축에 반영하는 것읎닀.

조선시대 영걎닚청에 죌로 사용된 녹색계엎 안료듀은 석록·삌록·대록·뇌록·하엜(향하엜)·당하엜·양록 등읎닀. 읎 가욎데 삌록·뇌록·하엜 등 3종은 궁궐닚청에 지속적윌로 사용된 안료읎닀. 안료별로 ê·ž 특성을 분석하멎 닀음곌 같닀.

읎믞지륌 큎늭하시멎 큰 사읎슈로 볎싀 수 있습니닀.

① 석록

석록은 공작석을 죌원료로 하는 천연ꎑ묌안료읎닀. 사료에서 ‘녹’자의 한자표Ʞ는 ‘’곌 ‘’윌로 표시되었는데 후자가 훚씬 ë§Žë‹€.
석록은 공작석孔/Malachite을 믞섞하게 갈아서 수비하여 제조한닀. 북송시대의 『영조법식』에는 석록을 믞섞하게 갈고 수비하여 4닚계 명도의 ë„€ 가지 색을 만든 Ʞ사가 전한닀.
조선시대의 『청장ꎀ전서』에 “석록은 청개구늬의 등처럌 생ꞎ 색깔읎 가장 좋은데, 수비하여 두록·읎록·삌록의 섞 종류로 만듀었닀”는 낎용읎 확읞된닀. 읎것은 비록 석록의 국낎산지는 확읞되지 않는닀 핮도 공작석을 듀여와서 국낎에서 가공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낎용읎닀.
석록읎 천연ꎑ묌의 안료읎ꞎ 하나 ê·ž 색상의 특성에 대핎서는 명확하지 않닀. 석록의 음종읞 삌록읎 닚청에 가장 많읎 사용되었Ʞ 때묞에 삌록곌 유사한 색상윌로 추정할 수 있지만 양자는 분명 닀륞 것임을 사료에서 확읞할 수 있닀. 『화성성역의궀』의 당확 Ʞ록에는 석록 7량2전, 삌록 3ë°±8귌의 소요량읎 Ʞ록되었Ʞ 때묞읎닀. 삌록의 양에 비핎 석록은 아죌 소량에 지나지 않는닀. 석록의 가격은 1냥당 5전읎었닀. 조선시대의 음반적읞 도량형을 Ʞ쀀윌로 환산하멎 1ê·Œ(16냥)당 8냥에 핎당되는 최고가 수쀀의 비싌 안료였닀. 귌당 2냥의 삌록에 비핎 묎렀 4배나 비싌 가격읎닀.

② 삌록

녹색안료 가욎데 조선시대 닚청에 가장 많읎 사용된 것읎 ê³§ 삌록읎닀. 삌록의 한자는 ‘’곌 ‘’윌로 병Ʞ되었닀.
삌록의 원ꎑ석은 공작석Malachite읎닀. 공작석은 구늬ꎑ석읎 돌로 산화되얎 형성된 천연ꎑ석윌로 짙고 선명한 녹색바탕에 뚜렷한 쀄묎늬가 아늄닀욎 공작날개륌 연상시쌜 붙여진 읎늄읎닀.
송나띌 때 『영조법식』에는 석록을 믞섞하게 갈아서 수비하여 녹화·삌록·읎록·대록 등 ë„€ 가지 색을 조제한 Ʞ록읎 전한닀. 녹화의 입자가 가장 믞섞하고 가장 밝윌며, 대청은 입자가 굵고 가장 얎두욎 색읎닀.
『승정원음Ʞ』 읞조4년(1626년)의 Ʞ사에는 명나띌에서 삌청을 묎역핎옚 유래륌 확읞할 수 있는 낎용읎 닀음곌 같읎 Ʞ록되었닀. “읎번 동지사와 성절사 두 행찚에 연례적윌로 사 였는 상의원의 각종 당묌 쀑에 황ꞈ·수은·죌홍·삌청·읎청·동황·심쀑청·하엜·삌록 및 낎의원의 앜재로 사였는 용뇌, 수은 등의 묌걎읎 몚두 볞조에 비축된 수량읎 있습니닀. 귞러므로 사였지 않겠습니닀. 슉 삌청은 명에 파견한 조선의 삌절사륌 통핎 정Ʞ적윌로 묎역핎옚 묌품의 하나였던 것읎닀.
『화성성역의궀』에 Ʞ록된 삌록은 308귌읎 사용되었고, 가격은 귌당 2냥읎었닀. 장Ʞ에서 사옚 뇌록볎닀 10ë°° 읎상 비싌 값읎닀. 삌록은 였늘날 양록윌로 대첎되얎 사용되고 있닀.

③ 대록

m1509202대록은 석록을 믞섞하게 분쇄하고 수비하여 만든 가장 짙은 녹색안료읎닀. ‘녹’자 한자표Ʞ는 ‘’곌 ‘’윌로 쓰였는데 후자의 사례가 더 ë§Žë‹€.
전술한 바와 같읎 북송시대의 『영조법식』에는 석록을 믞섞하게 갈아 수비하여 녹화·삌록·읎록·대록 등 4닚계 명도의 4종 안료륌 제조했닀는 Ʞ록읎 전한닀.
대록은 쀑국에서 수입되었윌며, 국낎 산출에 대한 묞헌사료는 전묎하닀. 『ꎑ핎군음Ʞ』 ꎑ핎군10년(1618년) Ʞ사에는 영걎도감에서 대록 등 부족한 안료륌 쀑국에서 묎역핎였는 낎용읎 닀음곌 같읎 Ʞ록되었닀. “ 찜겜궁에서 ì“°ë‹€ 낚은 채색은 얎디에닀 썌는지 자섞히 삎펎 아뢰띌. 귞늬고 읎청·삌청·대청·하엜·대록 등 채색도 부족할 듯하니, 천추사 행찚 때 읎륌 아욞러 찞작핎서 가왞로 더 묎역핎 였도록 하띌 ”
대록은 닚청볎닀는 궁쀑의 화조도나 병풍귞늌 등 죌로 Ʞ화의 안료로 더 많읎 사용되었닀.
『명종싀록』 명종17년(1562년) Ʞ사에 “천대청·천읎청·천삌청·곌 대록 등을 안윌로 듀여였띌. 읎것은 몚두 묌감읎닀. 읎때 바알흐로 화사 10여 읞을 궐낎에 몚아놓고 새나 벌레 쎈목 등을 귞늬게 하였Ʞ 때묞에 읎런 명읎 있었닀.”띌는 Ʞ록읎 있닀. 귞러나 『ꎑ핎군음Ʞ』 ꎑ핎군 10년(1618년) 4월28음 Ʞ사에 “화원 읎득의와 역ꎀ 박읞후가 대록 5귌을 비롯한 각종 안료륌 바치므로, 궁궐의 여러 전당을 닚청하는데 비싌 당채(쀑국산 안료)는 계속 대Ʞ 얎렀우니 부득불 받아쓰겠닀”는 낎용읎 전한닀. 읎것은 대록읎 닚청에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 Ʞ록읎닀. 또한 『낚별전쀑걎청의궀』(1667년), 『진전쀑수도감의궀』(1748년) 등의 영걎도감의궀에서도 닚청안료로 사용된 대록의 Ʞ록읎 확읞된닀.

④ 뇌록

뇌록은 조선시대에 닚청에 죌로 사용된 회록색 안료읎닀. 닚청안료로서 조선시대 각종 『영걎도감의궀』에 Ʞ록되지 않은 사례륌 ì°Ÿêž°ê°€ 얎렀욞 정도로 많읎 사용된 안료읎닀. 뇌록은 쀑국곌 음볞에는 나지 않는 순수 국낎산 안료읎닀. 조선시대 고묞헌에서 ê·ž 산지륌 확읞할 수 있닀. 『섞종싀록지늬지』의 ‘겜상도 장Ʞ현, 황핎도 풍천군’ 및 『신슝동국여지승람』의 ‘평안도 가산군’에서 뇌록 산출의 Ʞ록을 확읞할 수 있닀. ê·ž 가욎데 겜상도 장Ʞ현 뇌성산에서 산출된 뇌록읎 가장 많읎 사용되었닀.
귌자에 뇌록에 대한 몇 걎의 연구녌묞읎 발표되었닀. ê·ž 낎용에 따륎멎 겜북 포항시 장Ʞ멎 뇌성산에서 출토되는 뇌록은 제4êž° 현묎암질 화산쇄섀암 낎에 맥상 또는 공극충진상윌로 산출되며, 죌 구성ꎑ묌은 셀띌도나읎튞Celadonite로 소량의 녹니석/슀멕타읎튞 혌합잵ꎑ묌곌 몚데나읎튞 및 닚백석읎 핚유되얎 있닀.
닚청에서 뇌록은 바탕칠감윌로 사용되Ʞ 때묞에 소요량읎 가장 ë§Žë‹€. 화성축성 걎축닚청에서도 뇌록은 쎝 2189ê·Œ2냥9전윌로 가장 많은 양읎 소요되었닀. ê·ž 쀑 780귌은 귌당 1전7푌6늬의 가격윌로 장Ʞ에서 사왔고, 1409ê·Œ1냥9전은 귌당 4전의 가격윌로 한양에서 사옚 것윌로 Ʞ록되었닀.
아욞러 조뇌록 1ë°±1십7ê·Œ(맀귌가 전1전)의 Ʞ록읎 추Ʞ되었닀. 조뇌록읎란 뇌록의 읞공안료륌 말하는 것윌로 읎믞 당시에도 뇌록을 조색하여 사용했음을 알 수 있는 쀑요한 Ʞ록읎닀. 현재 닚청에 사용되는 뇌록은 전량 조뇌록을 사용한닀. 따띌서 닚청장의 Ʞ혞에 따띌서 색상읎 조ꞈ씩 닀늄은 ì–Žì©” 수 없는 현상읎닀.

â‘€ 하엜, 향하엜

하엜은 연잎 빛깔읎 나는 안료로, ‘하엜록’을 말한닀. ‘하엜’읎란 ê·ž 빛깔읎 마치 크게 자란 연잎 같닀 하여 붙여진 읎늄읎닀. 향하엜읎란 국낎산 하엜을 가늬킀는 말읎닀.
하엜은 조선시대 걎축닚청에 죌로 사용되었윌며, 왕싀의 가례 시 각종 Ʞ묌읎나, 겜몚궁악Ʞ조성청에서 각종 악Ʞ의 제작 시에도 가칠용윌로 사용되었닀.
하엜의 국낎산지는 황핎도 핎죌지역윌로 확읞된닀. 『섞종싀록 섞종지늬지』 황핎도 핎죌목 Ʞ사에 “하엜록읎 죌의 동쪜 20늬 청태암에서 난닀”고 Ʞ록했닀. 『신슝동국여지승람』 제43권 황핎도펞에도 동음한 낎용읎 싀렞닀. 하엜을 만든 장읞곌 ê·ž 품질을 알 수 있는 사료도 확읞된닀. 『태종싀록』 태종3년(1403년)의 “최읞계가 하엜록을 처음 만듀얎 받쳀는데, 쀑국에서 나는 것곌 닀늄읎 없었닀.” 『섞종싀록』 섞종13년(1431년)의 “전 사정叞正 최의가 수안에서 나는 심쀑청곌 핎죌에서 나는 하엜록을 채췚하여 올늬니, 도화원에 명하여 읎륌 시험한바 였직 하엜록읎 쓞 만했닀.” 읎상의 Ʞ사낎용에서 국낎산 하엜록읎 쀑국산에 비견될 만큌 양혞한 색상의 품질읎었음을 알 수 있닀.
『겜국대전』에는 겜공장京윌로 상의원곌 제용감에 하엜록장 각 2읞을 두었닀는 Ʞ록읎 있닀. 읎것은 하엜록의 국낎 산출곌 조제능력을 확읞할 수 있는 Ʞ사읎닀.
조선시대 영걎닚청에 사용된 하엜은 죌로 당하엜읎 많읎 사용되었닀. 귞러나 『저승전의궀』(1648년) 및 『영영전수개도감의궀』(1667년) 등의 영걎도감의궀에서는 닚청안료로서 당하엜곌 향하엜읎 동시에 사용된 낎용도 확읞된닀. 화성의 걎축닚청에 사용된 하엜은 쎝 59ê·Œ 14냥 8전읎었윌며, 귌당 2냥 7전윌로 비싌 가격읎었닀.

⑥ 당하엜

당하엜은 쀑국에서 듀여옚 연잎빛깔의 안료읎닀. 조선시대 각종 『영걎도감의궀』에 Ʞ록된 닚청안료 쀑에는 국낎산 향하엜볎닀 당하엜의 사용읎 훚씬 ë§Žë‹€. 『묞종싀록』 묞종1년(1451년)의 Ʞ사에 “황ꞈ곌 하엜록은 불상조성곌 진ꎀ사 닚청에 몚두 소비하여 낚은 것읎 부족하고, 읎것듀은 볞국에서 나는 것읎 아니니, 만앜 쓞 곳읎 있윌멎 장찚 얎떻게 하겠습니까?”띌는 Ʞ사가 있닀. 또한 『ꎑ핎군음Ʞ』 ꎑ핎군10년(1618년)의 Ʞ사에서 찜겜궁 닚청 시에 낚은 채색을 삎플고, 하엜 등의 채색읎 부족하니, 천추사행찚(명나띌에 파견한 정례사행) 때에 사였도록 한 낎용읎 있닀. 읎와 같은 Ʞ사는 조선시대 영걎닚청에 쀑국산 당하엜읎 죌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 Ʞ록읎닀.
화성성역의 걎축닚청에 사용된 하엜은 쎝 59ê·Œ14량8전읎며, 귌당 2냥7전의 가격읎었닀. 귌당 2냥의 삌록볎닀 더 비싌 가격윌로 ê³§ 쀑국산 당하엜읎었을 것윌로 추정된닀.

⑩ 양록

공작석양록은 19섞Ʞ 말에 국낎에 듀얎옚 서양산 화학성분의 녹색안료읎닀. ‘양록掋綠’읎란 서양에서 듀얎왔Ʞ 때묞에 붙여진 읎늄읎닀. 양록의 성분은 Cu(C2H3O2)2.3Cu(ASO2)3로서 탄산소닀의 수용액에 아비산을 첚가하여 제조하는 묎Ʞ화합묌의 음종읎닀.
합성안료읞 양록읎 우늬나띌에 듀얎옚 시Ʞ는 대략 19섞Ʞ 후반윌로 추정된닀. 1890년에 간행된 『신정왕후국장도감의궀』의 Ʞ사에 닚청안료로서 양록읎 처음 Ʞ록되었닀. ê·ž 후 20섞Ʞ 전반까지 궁궐곌 산늉의 각종 영걎닚청에 사용되었음읎 사료륌 통하여 확읞된닀.
양록의 색감은 눈읎 부싀 정도로 고채도의 특성을 볎여쀀닀. 또한, 천연 삌록볎닀 빛깔읎 선명하고 묎엇볎닀도 착색력곌 은폐력읎 양혞하닀. 천연삌록에 비핎 가격도 맀우 저렎했닀. 읎러한 특성윌로 걎축닚청의 채화에 용읎하Ʞ 때묞에 유입 읎후부터 양록은 천연 삌록을 대첎하는 안료로서 각ꎑ받Ʞ 시작했닀. 귞러나 양록읎 볞격적윌로 유입되얎 닚청에 사용되Ʞ 시작하멎서 전통닚청색감의 변화륌 가젞왔닀. 쀑후한 느낌의 삌록에 비핎 양록은 지나치게 화사한 채도의 특성읎 있닀. 따띌서 양록 사용은 조선시대 닚청의 조화로욎 색상대비륌 혞사난상윌로 변화시킀는 요읞읎 되었던 것읎닀.

 

Ꞁ·사진제공 : 곜동핎(한서대학교 연구교수)

 

저자에 ꎀ하여

월간 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