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 벗삼아 í’류를 ë§Œë½í•˜ë‹¤ – 산수화 그리기

ìžì—°ì„ 벗삼아 í’류를 ë§Œë½í•˜ë‹¤
산수화 그리기

민화산수화는 ë¬¸ì¸ ì‚¬ëŒ€ë¶€ë“¤ì´ ì‚¼ìƒê³¼ í•™ë¬¸ì„ ë…¼í–ˆë˜ ì£¼í¬ì˜ ì‚¶ì„ ë³¸ë°›ëŠ” 마ìŒìœ¼ë¡œ ìžì—°ì„ 벗삼아 í’류를 ë§Œë½í•˜ë©° ìžìœ ë¡œìš´ 필치로 ê·¸ë ¸ë˜ ê·¸ë¦¼ì´ë‹¤. ë¯¼í™”ì˜ ì–´ëŠ í™”ëª©ë³´ë‹¤ 지역ì , 시대ì , ì‚¬íšŒë¬¸í™”ì  ì¶”ìƒì„±ê³¼ ìƒìƒë ¥ì´ í’부하게 담겨있다. ì‚°ìˆ˜í™”ì˜ íŠ¹ì§•ê³¼ 소재를 살펴보고 다양한 ì±„ìƒ‰ê¸°ë²•ì„ í†µí•´ 그려보ìž.

민화산수화란?

민화산수화는 ë¬¸ì¸ ì‚¬ëŒ€ë¶€ë“¤ì´ ì‚¼ìƒê³¼ í•™ë¬¸ì„ ë…¼í–ˆë˜ ì£¼í¬ì˜ ì‚¶ì„ ë³¸ë°›ëŠ” 마ìŒìœ¼ë¡œ ìžì—°ì„ 벗삼아 í’류를 ë§Œë½í•˜ë©° ìžìœ ë¡œìš´ 필치로 ê·¸ë ¸ë˜ ê·¸ë¦¼ì´ë‹¤. ì‚¬ëŒ€ë¶€ì˜ ì—¬ê°€ë¡œì„œ 수양과 ê°ìƒì„ 위해 그려진 ê²ƒì´ ì¡°ì„  후기가 ë˜ë©´ì„œ ì§‘ì•ˆì„ ìž¥ì‹í•˜ëŠ” ìš©ë„로 ì¼ë°˜í™”ë˜ì—ˆìœ¼ë©°, 회갑연, ê²°í˜¼ì‹ ë“± ìš©ë„ì— ë”°ë¼ ìž¥ì‹ ë¯¼í™” 병í’으로 그려졌다. ë¯¼í™”ì˜ ì–´ëŠ í™”ëª©ë³´ë‹¤ 지역ì , 시대ì , ì‚¬íšŒë¬¸í™”ì  ì¶”ìƒì„±ê³¼ ìƒìƒë ¥ì´ í’부하게 담겨있다. ì´ ê°™ì€ ì‚¬í•­ì€ 18ì„¸ê¸°ë§ ì–‘ë°˜ ì‚¬ëŒ€ë¶€ì˜ í’ì†ì„ 기ë¡í•œ ì‹¤í•™ìž ìœ ë“ê³µì˜ ì±… ê²½ë„잡지나 한양가를 통해 ì§ìž‘í•´ ë³¼ 수 있다. ë¯¼í™”ì‚°ìˆ˜í™”ì˜ ìœ ëž˜ëŠ” 정통회화ì—서 ì°¾ì„ ìˆ˜ 있는ë°, ì •ì„ ì´ ìµœì´ˆë¡œ 중국ì ì¸ 산수화 ì–‘ì‹ì—서 완전히 탈피해 한국 íŠ¹ìœ ì˜ ë…ìžì ì¸ 산수화 ì–‘ì‹ì„ 창안한 ê²ƒì´ ê·¸ 출발ì ì´ë‹¤. 한국ì¸ë“¤ì—게는 천성ì ìœ¼ë¡œ 산수와 ìžì—°ì— 대한 본능ì ì¸ ì‚¬ëž‘ì´ ìžˆê¸°ì—, ìžì—°ì˜ 뜻과 ì‚¬ëž‘ì„ ê·¸ë¦° 산수화는 예로부터 ê¹Šì€ ì‚¬ëž‘ì„ ë°›ì•„ì™”ë‹¤. ì‚°, 호수, 하늘, 나무, 바위, ì§‘, 사람, 달 ë“±ì´ ì£¼ìš” 소재로 그려졌다.

w2

ì‚°ìˆ˜í™”ì˜ ì¢…ë¥˜

팔경ë„
팔경ë„란 íŠ¹ì •ì§€ì—­ì˜ ê²½ê´€ì„ 8~10장으로 ì—®ì€ ë³‘í’ê·¸ë¦¼ì„ ë§í•œë‹¤. ì´ì¸ë¡œì˜ íŒŒí•œì§‘ì— ë”°ë¥´ë©´ ê³ ë ¤ì‹œëŒ€ì— ì„±ë¦½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 고려사ì—는 ì›í’1ë…„(1078) ì†¡ìœ ì— ì˜í•´ 형ì‹ì´ 완성ë˜ì—ˆë‹¤ê³  기ë¡ë˜ì–´ 있다. ëª…ì¡°ë„ ì´ê´‘필로 하여금 소ìƒíŒ”ê²½ë„를 그리게 했다는 기ë¡ë„ 함께 전한다.

금강산ë„
금강산ë„는 ì‹¤ê²½ì„ ë¬˜ì‚¬í•œ 대표ì ì¸ 산수화다. 18ì„¸ê¸°ì— ì‹¤í•™ 사ìƒê³¼ 단호화를 통해 유행한 그림으로 ë™êµ­ì„¸ì‹œê¸°ì—서 ê·¸ 기ë¡ì„ 찾아볼 수 있다. ê¸ˆê°•ì‚°ì€ ê²½ê´€ì´ ë¹¼ì–´ë‚˜ê³  불êµ, ë„êµ, 무ì†ì‹ ì•™ì—서 금산으로 여겨졌다. ê·¸ë ‡ê¸°ì— í•œë¯¼ì¡±ì˜ ì‹ ì•™ì  ìƒì§•ì„ ê°•ì¡°í•œ 조형미술ì´ë¼ê³  ë³¼ 수 있다. 옛날 중국ì¸ë“¤ì´ “한국ì—서 태어나 금강산 êµ¬ê²½ì„ í•œë²ˆ 했으면 ì›ì´ 없겠다â€ê³  했다는 ë§ì´ 전해진다.

í’수ë„(ì‚°ë„)
í’수ë„는 집터나 ë¬ìžë¦¬ë¥¼ í’ìˆ˜í•™ì  ì‚¬ìƒìœ¼ë¡œ ë¶„ì„하고 ìŒì–‘ì˜¤í–‰ì˜ ë…¼ë¦¬ë¥¼ 통해 그림으로 표현한 그림ì´ë‹¤. 산맥과 수맥, 묘, ê±´ë¬¼ì´ ê·¸ë ¤ì ¸ 있으며 주로 목íŒí™”로 제작ë˜ì—ˆë‹¤. 산천과 ì¸ì²´ë¥¼ 삼재ì¼ì¹˜ì‚¬ìƒì„ 통해 풀어냈는ë°, ì‚°, 물, 방위, ì‚¬ëžŒì´ í’ìˆ˜ì§€ë¦¬ì˜ ê°€ìž¥ 중요한 4가지 요소다. ì‚°ì„ ë³´ëŠ” 간룡법(ì‚°ì„ ìš©ìœ¼ë¡œ ë´„), ê°„ë£¡ë²•ì— ë”°ë¼ ìœ„ì¹˜ë¥¼ 정하는 장í’법, 명당 ê°€ìš´ë° ë•…ì˜ ìƒê¸°ì¸ 지기를 잘 ë°›ì•„ë“¤ì¼ ìˆ˜ 있ëŠëƒë¥¼ íŒë‹¨í•˜ëŠ” 정혈법 ë“±ì´ ì ìš©ëœë‹¤.

산수화 그리는법

1. 스케치(ë°ìƒ)
모조지나 í™”ì§€ì— ê·¸ë¦¬ë ¤ê³  하는 산수화를 팔분할법으로 스케치를 하고 출초를 만든 ë‹¤ìŒ ì´ˆ(í™”ë„)를 ë°‘ì— ë†“ê³  한지를 ìœ„ì— ë†“ì€ ë‹¤ìŒ ë¨¹ìœ¼ë¡œ 본 ìž‘ì—…ì„ í•œë‹¤.

2. 집그리기
기와집, ì´ˆê°€ì§‘ì„ ê·¸ë¦´ 때ì—는 중묵으로 ì„ í•„ì„ í•˜ê³  ì¸ë¬¼ê³¼ ì§‘ì˜ êµ¬ì¡°ë¥¼ 파악한 후
운필한다.

3. 나무그리기
소나무는 차륜법ì´ë‚˜ 반차륜법으로 앞 ê·¸ë¦¼ì€ ì§„í•˜ê²Œ 운필하고 ë’·ê·¸ë¦¼ì€ í리게 í•´ 거리를 ë‘ì–´ 운필한다. 먼 ì‚°ì˜ ì†Œë‚˜ë¬´ëŠ” ìž¥Â·ë‹¨Â·ì  ê±°ì¹˜ë²•ìœ¼ë¡œ 그리고, ë­‰ì³ìžˆëŠ” ê±°ì¹˜ë²•ì€ ì˜†ìœ¼ë¡œ ì„ ì„ ê¸‹ë“¯ì´ ìš´í•„í•œë‹¤.(거치법=멀리 있는 소나무를 ì†”ìžŽí˜•íƒœì˜ í¬ê±°ë‚˜ ìž‘ì€ ì ì„ ì°ì–´ 표현한 기법) 버드나무는 고류법(화유ê°ë²•)으로 나무줄기 ëìžë½ì„ 먼저 ì„ ì„ íž˜ì°¨ê²Œ 그린 ë‹¤ìŒ ê³„ì† ì˜†ì— ì‚´ì„ ë¶™ì—¬ í¬ê±°ë‚˜ 작게 ì„ ì„ ìš´í•„í•œë‹¤. 대나무는 중심ë˜ëŠ” ê³³ì„ ì¤‘ë¬µìœ¼ë¡œ ê°œìžì  í˜ë¦¼ì²´ë¡œ 운필하고 주위를 담묵으로 í트러지게 그린다.
오ë™ë‚˜ë¬´ëŠ” ë‹´ë¬µì„ ì¡°ë¬µí•˜ì—¬ 만든 ë’¤ ë†ë¬µì„ ë¶“ì˜ ëì— ë¬»í˜€ ì ‘ì‹œì— ì•½ê°„ 비빈 ë‹¤ìŒ ë¬µë²•ìœ¼ë¡œ 진한 ìª½ì„ ê·¸ë¦¬ê³ , ì ì„ í¬ê²Œ ì°ì–´ 운필한다. ê°œìžì ë‚˜ë¬´ëŠ” 몰골법, 구륵법으로 위나 ê°€ìš´ë° ìª½ì— ì§„í•˜ê²Œ 그리고 ë°‘ì´ë‚˜ 중심 ì£¼ìœ„ì— í리면서 í트러지게 그린다. 호초ì ë‚˜ë¬´ëŠ” 몰골법으로 위나 ê°€ìš´ë° ìª½ì— ì§„í•˜ê²Œ ì ì„ ì°ê³ , ë°‘ì´ë‚˜ 중심 ì£¼ìœ„ì— í리면서 í트러지게 그린다. 꽃나무를 그릴 때ì—는 나무를 ë…¹ê°ë²•으로 운필하고 ê½ƒì€ í˜¸ë¶„ì„ ì§„í•˜ê²Œ í•´ ê½ƒìžŽì„ ë‹¤ì„¯ ê°œ ì ìœ¼ë¡œ 2~3ê°œ ì •ë„ ë­‰ì¹˜ê²Œ 그린다. ê·¸ ë’¤ ìž‘ì€ ê½ƒì„ ì§€ê·¸ìž¬ê·¸ë¡œ ì ì„ ì°ì–´ 완성한다. 수등ì ë‚˜ë¬´ëŠ” 위ì—는 진하게 Mìžì ìœ¼ë¡œ 아래 쪽으로 빠르게 선필하고 아래 ë¶€ë¶„ì€ í리게 í•´ 운필한다. 대혼ì ë‚˜ë¬´ëŠ” ë‹´ë¬µì„ ì¡°ë¬µí•˜ì—¬ 만들어 ë†ë¬µì„ ë¶“ì˜ ëì— ë¬»ížŒ ë‹¤ìŒ ì¸¡í•„ë¡œ 옆으로 ìžì‹ ìžˆê²Œ 운필한다. 오중수법나무를 그릴 때ì—는 ë‚˜ë­‡ìžŽì´ ì—†ê³  밑으로 처진 가지나무를 묵법으로 진하거나 í리게 하여 아래쪽으로 ì„ ì„ ê·¸ì–´ 운필한다. 나뭇가지만 ë¹½ë¹½ì´ ìžˆëŠ” 나무는 나무 줄기 ëì„ ë¨¼ì € 그린 ë’¤ ë…¹ê°ë²•으로 ê³„ì† ê²¹ì¹˜ê²Œ ì‚치면서 운필한다.

4. 바위(ì•”ì„)그리기
근경바위는 중ë†ë¬µìœ¼ë¡œ 진하게 운필하고 ì•”ì„ ë부분과 ë°”ë‹¥ì— í’€ì„ í˜¸ì´ˆì ìœ¼ë¡œ í트러지게 ì ì„ ì°ì–´ 운필한다. 중경바위는 담중묵으로 ì™¸ê³½ì„ ì„ ë¨¼ì € 그리고 골짜기 ë˜ëŠ” ê³³ì„ ì¤€ë²•ìœ¼ë¡œ 그린 ë‹¤ìŒ ë¯¸ì (대비법, 소미법)ì„ ì˜†ìœ¼ë¡œ ê¸‹ë“¯ì´ ìš´í•„í•œë‹¤. ì›ê²½ë°”위는 담묵으로 ì™¸ê³½ì„ ì„ ê·¸ë¦¬ê³  골짜기 ë˜ëŠ” ê³³ì„ ê·¸ë¦° ë‹¤ìŒ ë¯¸ì ì„ 옆으로 ê¸‹ë“¯ì´ ì§„í•˜ê±°ë‚˜ í리게 중첩해 운필한다.

5. ì•„êµí¬ìˆ˜
ì•„êµí¬ìˆ˜ëŠ” 물 2/3, ì•„êµ1/3ì„ ì„žì–´ì„œ 중탕한 후 ì‹í˜€ì„œ 한다.

산수화 채색하기

1. 바위
바위는 ì¤€ë²•ì´ ì—†ëŠ” ê³³ì— ëŒ€ìžìƒ‰(주+먹색)ì„ í리게 하여 채색하고 바림한다. 골짜기는 ê°ìƒ‰ê³¼ ë¨¹ìƒ‰ì„ ì„žì€ ë‹¤ìŒ ë°”ë¦¼í•œë‹¤. ê·¼ê²½ì„ ì§„í•˜ê²Œ 채색하고 중경, ì›ê²½ì„ 단계ì ìœ¼ë¡œ í리게 채색한다. 먼 ì‚°ì€ ê°ìƒ‰ìœ¼ë¡œ 위ì—서 아래로 채색하고 바림한다.

2. 소나무
소나무는 주색과 ë¨¹ìƒ‰ì„ ì„žì–´ 약간 붉게 í•´ 나무 ì–‘ì˜†ì„ ì±„ìƒ‰í•˜ê³  바림한다. 옹ì´ëŠ” ì†ì„ ì „ë¶€ 채색한다. ì†”ìžŽì€ ê°ìƒ‰ê³¼ ë¨¹ìƒ‰ì„ ì„žì–´ 앞나무는 진하게 채색하고 뒷나무는 í리게 í•´ ê°ìƒ‰ìœ¼ë¡œ 채색한다. ê°œìžì ë‚˜ë¬´ì™€ 오ë™ë‚˜ë¬´, 대나무는 위ì—서 아래로, 중심ì—서 주위로 ê°ìƒ‰ìœ¼ë¡œ 채색하고 바림한다.(ê°œìžì ë‚˜ë¬´-대ìžìƒ‰, 오ë™ë‚˜ë¬´-ê°ìƒ‰) 호초ì ë‚˜ë¬´ëŠ” í™©í† ìƒ‰ì„ ë°”íƒ•ì— ì±„ìƒ‰í•˜ê³  중심ë˜ëŠ” ê³³ì„ ê°ìƒ‰ìœ¼ë¡œ 진하게 채색해 주위를 í리게 í•´ 바림한다. 나무는 대ìžìƒ‰(ì–´ë‘ìš´ 것)ì„ ì–‘ì˜†ìœ¼ë¡œ 채색하고 바림한다. 버드나무는 황토색으로 나무를 í¬í•¨í•œ 전체를 채색하고, ê°ìƒ‰ìœ¼ë¡œ 위ì—서 아래로 바림한 ë’¤, 나무는 ì–‘ì˜†ì„ ì±„ìƒ‰í•˜ê³  바림한다.

w4

3. 물
ì•”ì„ ë쪽ì´ë‚˜ 수초ì ì„ í¬í•¨í•´ ê°ìƒ‰ìœ¼ë¡œ í리게 채색하여 바림하고 ë¬¼ê²°ì„ ì„ ê¸‹ëŠ”ë‹¤.

4. 기와집
ì§€ë¶•ì€ ê°ìƒ‰ê³¼ ë¨¹ìƒ‰ì„ ì„žì–´ 위ì—서 아래로 넓게 채색하고 ê³¨ì„ ê°™ì€ ìƒ‰ìœ¼ë¡œ 위ì—서 아래로 길게 바림한다. 기둥과 ê¸°ë¬¼ì€ ì–´ë‘ìš´ 대ìžìƒ‰ìœ¼ë¡œ 채색한다. 난간과 축대는 ë°±ìƒ‰ì„ í리게 채색하고, ì¶•ëŒ€ì˜ ëŒ€ìžìƒ‰ìœ¼ë¡œ ê°ˆë¼ì§„ ê³³ì—서는 ì„ ì„ ê¸‹ëŠ”ë‹¤.

5. 초가집
ì§€ë¶•ì€ í™©í† ìƒ‰ì„ í리게 í•´ 전체를 채색하고, 처마ëì„ ì–´ë‘ìš´ 대ìžìƒ‰ìœ¼ë¡œ í리게 채색한 ë’¤ 바림한다. 기둥, 난간, 축대 ë“±ì€ ê¸°ì™€ì§‘ê³¼ 마찬가지로 채색한다.
*ì‚°ê³¼ ì‚° 사ì´, ì‚°ê³¼ 나무 사ì´ì˜ 중간 ì¤‘ê°„ì— ìš´í•´ë¥¼ ìƒê°í•˜ë©´ì„œ ê°ìƒ‰ìœ¼ë¡œ 채색하고 바림한다.

w3

 

글 박수학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