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 ê´€ìž¥ì˜ í•œêµ­ë¬¸ì–‘ì‚¬ ⑬ í™”ê°ê³µì˜ˆ

삼국시대 ì´ëž˜ë¡œ 꾸준히 발전해 온 ìš°ë¦¬ë‚˜ë¼ ì¹ í™”ê³µì˜ˆ(漆畵工è—, 옻칠그림 공예), ê·¸ 가운ë°ì„œë„ í™”ê° ì˜ìž¥ê¸°ë²•ì—서는 조선시대 í›„ê¸°ì˜ í’토성, ë¯¼ì¡±ì  ê¸°ì§ˆ ë“±ì„ ì—¿ë³¼ 수 있다. í™”ê°ê³µì˜ˆí’ˆì€ 주로 여성용 소품 가구류가 주류를 ì´ë£¨ê³  있어서 나전칠기와는 ë˜ ë‹¤ë¥¸ ì˜ìž¥ì  ì•„ë¦„ë‹¤ì›€ì„ ë³´ì—¬ì£¼ê³  있으나, ìž¥ì‹ ë¬´ëŠ¬ì˜ ì•ˆë°°ì™€ êµ¬ì„±ì  íš¨ê³¼ëŠ” 나전칠기와 비슷한 ì–‘ìƒì„ ë ê³  있다.
글 ìž„ì˜ì£¼ (한-명품미술관 관장)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ì†ë°•물관


ë„2 ë³µì±„ê¸°ë²•ì´ ì‚¬ìš©ëœ ì´ì§‘트 미ì´ë¼ 목관 부분, 기ì›ì „ 3000천년 ê²½



고려시대 나전칠기 ìƒìžì— 부분ì ìœ¼ë¡œ ì“°ì¸ ë³µì±„ä¼å½© ê¸°ë²•ì€ ìžê°œë‚˜ ê±°ë¶ë“±ê°‘龜甲 ë“±ì„ ê±°ì˜ íˆ¬ëª…í•˜ê³  얇게 만든 ê²ƒì— ì±„ìƒ‰ì´ë‚˜ 먹선 등으로 ê·¸ë¦¼ì„ ê·¸ë¦¬ê³  ê·¸ë¦¼ì´ ê·¸ë ¤ì§„ ë©´ì„ ë°‘ìœ¼ë¡œ 하고 ë³´ì„ ë”°ìœ„ ë“±ì„ ê¸°ë¬¼ì— ë¶™ì—¬ 장ì‹í•˜ëŠ” ê¸°ë²•ì„ ì¼ì»«ëŠ”ë‹¤. 세필로 그려낸 다양한 ì„ ê³¼ ì´ë©´ë‹¨í•„채법(è£é¢å–®ç­†å½©æ³•, ë’·ë©´ì— ê·¸ë¦¬ëŠ” 기법)ì´ë¼ëŠ” ë…특한 ì±„ìƒ‰ë²•ì´ íŠ¹ì§•ì´ë‹¤.
ì´ì™€ 마찬가지로 í™”ê°ê³µì˜ˆëŠ” ìš°ë¦¬ë‚˜ë¼ ì „í†µ ê°ì§ˆê³µì˜ˆè§’è³ªå·¥è— ì¤‘ 하나로 쇠뿔과 뼈를 가공하여 가구 ë“±ì˜ í‘œë©´ì— ë¶™ì—¬ 꾸민 것ì´ë‹¤. 요즘 시ê°ìœ¼ë¡œ ë³´ìžë©´ íí’ˆì„ í™œìš©í•˜ê³ ìž í•˜ëŠ” 지혜가 ì—¿ë³´ì¸ë‹¤. í™”ê°ì˜ í•œìž í‘œê¸°ëŠ” ‘畫角’, ‘è¯è§’’, ‘ç«è§’’, ‘花角’등 다양하다. 그리고 그러한 기법ì´ë‚˜ ê¸°ë¬¼ì„ ê°€ë¦¬ì¼œ í™”ê°ìž¥ç•«è§’ç²§ì´ë¼ ì§€ì¹­í•˜ê¸°ë„ í–ˆë‹¤.
ì´ë¥¸ë°” 복채색화법 í˜¹ì€ ì´ë©´í™”ë²•ì˜ ì‹œì›ì€ 고대 ì´ì§‘트로 본다. ë¯¸ë¼ ëª©ê´€æœ¨æ£ºì˜ í‘œë©´ìž¥ì‹ì´ë‚˜ 가면ì—는 대모玳ç‘, 호박ç¥ç€, 수정水晶 등 투명 ë˜ëŠ” 반투명 물체를 첨부하여 ê·¸ ë’·ë©´ì— ê´‘ë¬¼ì„± 안료로 ê·¸ë¦¼ì„ ê·¸ë ¤ì„œ ì•žë©´ì— ê·¸ë¦¼ì´ ë‚˜íƒ€ë‚˜ê²Œ 하는 장ì‹ê¸°ë²•ì´ ì“°ì˜€ë‹¤. 중국 ë‹¹ë‚˜ë¼ ë•Œ 실í¬ë¡œë“œë¥¼ 통해 서방 유럽문화가 들어오면서 ì´ëŸ¬í•œ 장ì‹ê¸°ë²•ì´ ì „í•´ì§„ 것으로 ë³´ì´ëŠ”ë°, 우리나ë¼ì—서는 통ì¼ì‹ ë¼ì‹œëŒ€ì¸ 8ì„¸ê¸°ê²½ì˜ ìœ ë¬¼ì—서 í™”ê°ìž¥ê¸°ë²•ì„ ì—¿ë³¼ 수 있다. ì‹ ë¼ì‹œëŒ€ì— ì¼ë³¸ìœ¼ë¡œ ì „í•´ì§„ 것으로 ì§ìž‘ë˜ëŠ” 작품 ì¤‘ì— ë°”ëŠì§ˆìž[é‡å°º]를 비롯하여 ì¼ë³¸ 고대 ì™•ì‹¤ë³´ê³ çŽ‹å®¤å¯¶åº«ì¸ ì‡¼ì†Œì›[正倉院]ì— ì „í•´ 내려오는 비파çµç¶ 등ì—서 그러한 ì˜ìž¥ê¸°ë²•ì„ ë³¼ 수 있다.
í‘œë©´ì— ì¹ ì„ í•˜ì§€ ì•Šì€ ìƒíƒœì˜ 목가구를 ‘백골白骨’ì´ë¼ 하고, 단청하지 ì•Šì€ ìƒíƒœì˜ ì§‘ì„ â€˜ë°±ê³¨ì§‘â€™ì´ë¼ 한다. 마찬가지로 ëª©ê°€êµ¬ì— ì¹ ì„ í•˜ì§€ ì•Šì€ ë°±ê³¨ ìƒíƒœì— í™”ê°ì„ 장ì‹í•˜ì—¬ 꾸민 ê²ƒì´ í™”ê°ê³µì˜ˆì´ë‹¤. í™”ê°ê³µì˜ˆì—서는 나ì´ê°€ 세 ì‚´ ì •ë„ ëœ ì–´ë¦° ì†Œì˜ ë¿”ì„ ì£¼ìž¬ë£Œë¡œ 하고 ê·¸ë°–ì— ì‡ ë¼ˆ í˜¹ì€ ì§ìŠ¹ì˜ ë¼ˆë‚˜ ìƒì•„象牙, 대모, 나무, ìžê°œ, 금ì†ë°•金屬箔 ë“±ì„ ì‚¬ìš©í•˜ê¸°ë„ í•˜ë©° 단청채색, 옻칠 기법 ë“±ë„ ì ìš©í•œë‹¤. ê±°ë¶ ë“±ê°‘ìœ¼ë¡œ ëœ ëŒ€ëª¨ 등 í¬ê·€í•œ 재료는 당시 중국으로부터 들여오는 ìˆ˜ìž…í’ˆì´ ë¶„ëª…í•˜ë©°, 새로운 재료를 찾고, ê·¸ ì´ìš© 범위를 확대하여 ë‚˜ì „ì¹ ê¸°ì˜ ì˜ì—­ê¹Œì§€ 확장하려 í–ˆë˜ ì ì—서 한국ì¸ë§Œì˜ 고유 ì–‘ì‹ì„ 지닌 ë…ì°½ì  ê³µì˜ˆë¼ í•  수 있다.

(위) ë„3 <í™”ê° ë²„ì„ ì½”ë¹¼ê¸°>, 조선시대, 국립민ì†ë°•물관 소장
(아래) ë„4 <í™”ê° ì‹¤íŒ¨>, 조선시대, 국립민ì†ë°•물관 소장

ìƒë¥˜ì¸µì—서만 사용할 수 ìžˆì—ˆë˜ í™”ê°ê³µì˜ˆí’ˆ

ì¡°ì„ ì‹œëŒ€ì˜ ë¬¸í—Œ 중 ì„œìœ êµ¬å¾æœ‰æ¦˜ì˜ 《임ì›ê²½ì œì§€æž—園經濟誌》 <í•´ìƒìš°ê°ë²•解生牛角法>ì— ì˜í•˜ë©´ â€˜ì‡ ë¿”ì„ ì¢…ì´ì†¡íŒ ê°™ì´ ì–‡ê²Œ 만든다’는 기ë¡ì„ ë³¼ 수 있다. ë˜í•œ <염골ê°ë²•染骨角法>ì— ë”°ë¥´ë©´ ì˜¤ìƒ‰ì˜ ì—¼ë£Œë¡œ 골ê°ì— 염색하는 장ì‹ê¸°ë²•ì´ ì „í•´ì˜¤ê³  있어서 í™”ê°ê¸°ë²•ì˜ ì‹œì›ê³¼ ì—­ì‚¬ì  ë°°ê²½ì„ ì—¿ë³¼ 수 있다. 대모 장ì‹ì„ 사용하였다는 문헌 사료로는 《삼국사기三國å²è¨˜ã€‹ ê¶Œ33 ì œ2 <ìƒ‰ë³µì¡°è‰²æœæ¢>, <ì°¨ê¸°ê¸°ìš©ì‹¤ì‚¬ì¡°è»Šé¨Žå™¨ç”¨å®¤èˆæ¢>ì—서 ê°ê° ì°¾ì„ ìˆ˜ 있다. 당시 ì™•ì¡±ì¸ ì„±ê³¨ê³„ê¸‰è–骨階級 ì´ì™¸ì—는 대모 ë“±ì„ ì‚¬ìš©í•˜ì§€ 못하게 í•˜ì˜€ë˜ ì‚¬ì‹¤ë¡œ 보아서 아무나 사용할 수 ì—†ì—ˆë˜ ë§¤ìš° í¬ê·€í•œ ê¸°ë¬¼ìž„ì„ ì§ìž‘í•  수 있다.
우리 민ì†ì— 화려한 ì±„ìƒ‰ì„ ì¨ì„œ 장ì‹í•˜ëŠ” 공예품으로는 ê¶ì¤‘ ì˜ë¡€ì™€ 사찰 ì˜ë¡€ì— 사용ë˜ëŠ” 기물, 그리고 주로 ê¶ì¤‘ì´ë‚˜ 사대부가ì—서만 ì‚¬ìš©ë  ìˆ˜ ìžˆì—ˆë˜ ìžìˆ˜í’ˆê³¼ 매듭, 나전칠기, 혼례나 ìž¥ë¡€ì— ì‚¬ìš©ë˜ëŠ” ì˜ê¸°å„€å™¨ë¡œ ì¼ë°˜ì ì¸ 민ì†ê³µì˜ˆí’ˆê³¼ëŠ” 다르다. í™”ê°ê³µì˜ˆí’ˆ 역시 민간ì—서 사용ë˜ê¸°ë³´ë‹¤ëŠ” ìƒë¥˜ì‚¬íšŒì—서나 사용할 수 ìžˆì—ˆë˜ í¬ê·€ 공예품ì´ì—ˆë‹¤. ê°“ëˆ ìž¥ì‹, 안경집 등 남성용 ê³µì˜ˆí’ˆë„ ìžˆê¸´ 하지만 대체로 ì—¬ì„±ìš©í’ˆì´ ë§Žë‹¤. ë³´ì„í•¨ì„ ë¹„ë¡¯í•˜ì—¬ 경대, 반짇고리, 실패, ë°”ëŠì§ˆ ìž[å°º], 참빗, 장ë„, 혼수함, 필통, 지통, 필봉筆鋒, 선초扇貂 등 소품과 장롱, 사방íƒìž, 머릿장, 버선장 등 비êµì  í° ê¸°ë¬¼ì—ì„œë„ ì“°ì˜€ë‹¤.

ë„5 í™”ê°ì— ì“°ì´ëŠ” 재료(소뿔 ë° ì†Œë¼ˆì˜ ê°€ê³µ)

화려한 색ìƒìœ¼ë¡œ ìƒí™œì— 활력 불어넣어

ì„ ì¨ì„œ 매우 화사하고 ì˜ë¡±í•˜ë‹¤. ê·¸ ì˜ìž¥ì€ ìƒí™œ 기물ì—서 ìˆœìƒ‰ç´”è‰²ì„ ì£¼ë¡œ ì‚¬ìš©í•˜ë˜ ê²ƒê³¼ 비êµí•˜ë©´ 드문 예다. 한 외국ì¸ì€ ì´ì— 대하여 ‘한국 ë¯¼ì¡±ì€ ë‹´ì†Œí•œ 중간색中間色ì´ë‚˜ ë°±ìƒ‰ì— ëŒ€í•œ ì§‘ë…ì´ ê°•í•˜ë©´ì„œë„ í™”ê°ìž¥è¯è§’åŒ ì˜ ìˆœì •ì ç´”æƒ…çš„ì¸ ê³ ìš´ 색채로 대담하게 ê·¸ ê· í˜•ì„ ê¹¨ëœ¨ë ¸ìŒì„ 보여준다. ì´ë“¤ì˜ ìƒí™œì„ ë³´ë©´ 실내ì—서 ì˜ë³µì— ì´ë¥´ê¸°ê¹Œì§€ ë°±ìƒ‰ì´ ì£¼ì¡°ä¸»èª¿ë¥¼ ì´ë£¨ê³  있다. ê·¸ ì¤‘ì— ìž‘ì€ ê¸°ë¬¼ì´ê¸´ 하지만 í™”ê°ìž¥ì˜ 채색과 ìžìˆ˜ì˜ ì±„ìƒ‰ì´ ë°°í•©ë˜ì—ˆì„ 때 ìƒê¸°ê°€ ëŒê²Œ ë˜ì—ˆì„ 것ì´ë‹¤â€™ë¼ê³  ë§í•˜ê¸°ë„ 했다. í™”ê°ì˜ 주제 무늬는 ì¸ìŠµì  ì£¼ì œê°€ 반복ì ìœ¼ë¡œ 사용ë˜ì—ˆëŠ”ë°, 종êµì™€ ë³µí•©ì  ë¯¼ê°„ ì‹ ì•™ì˜ ì¡°í˜•í™”, ë¯¼ì† ì„¤í™”èªªè©± 등ì´ë‹¤. í™”ê°ì˜ ì˜ìž¥ë¬´ëŠ¬ëŠ” ì´ëŸ¬í•œ 주제와 ê¸°ë²•ì˜ íŠ¹ì„±ì— ê±¸ë§žì€ ì†Œìž¬ë¡œ 한국ì ì¸ í‘œí˜„ì´ ë‹ë³´ì¸ë‹¤. ì´ ë¬´ëŠ¬ê°€ 당시 ë„ìžê¸°, ëª©ì¹ æœ¨æ¼†ì„ ë¹„ë¡¯í•˜ì—¬ ê°ì¢… 민ì†ê³µì˜ˆì˜ ì˜ìž¥ 문양 요소와 ì¼ì¹˜í•˜ëŠ” ê²ƒì€ ìš°ì—°í•œ ì¼ì´ 아니다.
í™”ê°ê³µì˜ˆë¥¼ 전문으로 하는 장ì¸ì„ ‘화ê°ìž¥è¯è§’匠’ì´ë¼ 한다. ì¡°ì„ ì‹œëŒ€ì˜ í™”ê°ê³µì˜ˆí’ˆì€ 주로 목공품으로 ë§Œë“¤ì–´ì§€ëŠ”ë° ë°±ê³¨ì—는 주로 í™ì†¡ç´…æ¾, ì ì†¡èµ¤æ¾ì´ ë§Žì´ ì“°ì˜€ìœ¼ë©° ê·¸ë°–ì— ìž£ë‚˜ë¬´, 오ë™ë‚˜ë¬´, ì€í–‰ë‚˜ë¬´, 호ë‘나무, ìžìž‘나무, 피나무, ìžìž‘나무 ë“±ì´ ì“°ì˜€ë‹¤. í™”ê°ì˜ 주 ìž¬ë£Œì¸ ìˆ˜ì†Œì˜ ë¿”ë¡œëŠ” 약 3ë…„ìƒì´ ë˜ëŠ” 쇠뿔ì´ë‚˜ 중ê°ì„ 주로 ì¼ë‹¤. í”히 고추뿔ì´ë¼ 불리는, 곧게 ë»—ê³  í†µì´ êµµì€ ê²ƒì„ ì‚¬ìš©í–ˆë‹¤. 어린 쇠뿔 즉, ì• ê°ã€”å…’è§’ã€•ì€ í° ë°˜ì ì´ 있고 ëŠ™ì€ ì‡ ë¿”ì¸ ë…¸ê°è€è§’ì€ êµµì€ ì‹¬ëŒ€ê°€ 있어서 사용ë˜ì§€ 못한다. í™”ê°ê³µì˜ˆí’ˆì„ 제작하는 방법과 순서를 살펴보면 다ìŒê³¼ 같다.

(위) ë„6 ì‡ ë¿”ì„ ì–‡ê³  투명하게 만든 ê°ì§€íŒ(왼쪽), 채화 ê·¸ë¦¼ì´ ê·¸ë ¤ì§„ ê°ì§€íŒ(오른쪽)
(아래) ë„7 í™”ê°ê³µì˜ˆì— 사용ë˜ëŠ” ê°ì¢… ë„구들

ê°ì§€íŒè§’ç´™æ¿ ë§Œë“¤ê¸°

â‘  ì‡ ë¿”ì˜ ëì„ í‰í†±ìœ¼ë¡œ ìžë¥¸ë‹¤.
â‘¡ 배를 탄 ë¿”ì˜ ì†ì„ 뽑아낸다. ì†ì„ 뽑아내기 위해 ì£¼ìœ„ì— 3-4ê°œì˜ ì기를 박아서 ì†ì„ 뽑아낸다.
â‘¢ ì†ì´ 빈 쇠뿔 ì†ì—다 ìˆ¯ë¶ˆì„ ë„£ì€ ì›ë¿” ëª¨ì–‘ì˜ ìš©ê¸°ë¥¼ 넣고 가늘게 만든 철로 만든 대롱,
    즉 불대를 대고 입으로 ë°”ëžŒì„ ë¶ˆì–´ 넣어 ë¶ˆì„ í”¼ìš°ë©´ì„œ ë¿” ì†ì— 남아있는 ì§€ë°©ì§ˆì„ ì œê±°í•œë‹¤.
â‘£ í‰í†±ìœ¼ë¡œ ë¿” ë부분과 뿌리 ë¶€ë¶„ì„ ìž˜ë¼ë‚´ í†µí˜•ì„ ë§Œë“  ë‹¤ìŒ ê·¸ê²ƒì„ ë°°ë¥¼ ê°ˆë¼ë‚¸ë‹¤.
    ì´ ìž‘ì—…ì„ â€˜ë°° 탄다’고 한다.
⑤ ë¿” ì†ì„ ìµížŒ ë’¤ì— ì† ë„리칼로 ë¿” ì†ì„ ë‘루 깎아낸다.
â‘¥ 과귀로 ë¿” 안 ê±°ì£½ì— ë¶™ì–´ìžˆëŠ” ë”깨를 깎아낸다.
⑦ 깎아낸 ë¿”ì„ ëƒ‰ìˆ˜ ì†ì— 넣어 3-4시간 불린 다ìŒ, ì´ë¥¼ 숯불로 삶는다.
â‘§ ì‚¶ì€ ë¿”ì„ í™©ìƒˆì§‘ê²Œë¡œ ì§‘ì–´ ìˆ¯ë¶ˆì— êµ¬ì›Œ 부드럽게 만든다.
⑨ ë¿” ì†ì— 박달나무로 만든 ëª©ì²™æœ¨å°ºì„ ë„£ê³  움ì§ì´ì§€ 않게 ëª©ì²™ì„ ì˜¤ë¥¸ë°œë¡œ 밟는다.
â‘© ë°° 탄 ë¶€ë¶„ì„ ìœ„ë¡œ 올ë¼ì˜¤ê²Œ 한 ë‹¤ìŒ ë¿” 좌우를 황새집게로 잡고 ë¿”ì„ íŽ¸ë‹¤.
⑪ 넓게 편 ë¿”íŒì„ 소요ë˜ëŠ” 규격으로 마름질한다.
â‘« 마름질한 ë¿”íŒì„ 다시 과귀로 고루 깎아낸다.
⑬ ë¿”íŒì„ 좀 ë” ê³ ë¥´ê²Œ 만들기 위해서 검환(검환ì´ëž€ 강철로 만든 ì¤„ì˜ ì¼ì¢…)으로 바로잡는다.
â‘­ ë°”ë¡œìž¡ì€ ë¿”íŒì„ 곱창톱으로 ì“°ê³ ìž í•˜ëŠ” í¬ê¸°, 즉 약 10~18cm í¬ê¸°, ë‘께 약 0.6mm로 잘ë¼ë‚¸ë‹¤.
â‘® 잘ë¼ë‚¸ ë¿”íŒì„ 다시 검환으로 ì•ˆíŒŽì„ ê¹Žì•„ë‚¸ë‹¤.
⑯ 약 0.6mmì˜ ë¿”íŒì„ 갈기질 하여 다시 약 0.4mm ë¿”íŒìœ¼ë¡œ 깎아 ê°ì§€íŒè§’ç´™æ¿ì„ 만든다.

í™”ê°íŒì— 문양 그리기

í™”ê°ê³µì˜ˆì— 사용하는 물ê°ì€ 광물성 안료顔料로 당채å”彩, 진채眞彩, 화채畵彩, 암채岩彩, ì„채石彩 ë“±ì´ ìžˆìœ¼ë©°, 접착제로는 ì•„êµé˜¿è† , ì–´êµé­šè† ë¥¼ ë°°í•©í•´ 그린다. 그리는 순서는 다ìŒê³¼ 같다.
â‘  ê°ì§€íŒì— ë°‘ê·¸ë¦¼ì„ ê·¸ë¦°ë‹¤. ë°‘ê·¸ë¦¼ì€ ë¬µì„ å¢¨ç·šìœ¼ë¡œ 가늘게 그린다.
â‘¡ 묵선 ìœ„ì— ë¶„ì„ ç²‰ç·šê³¼ í°ìƒ‰ ë¶€ë¶„ì„ ì±„ìƒ‰í•œë‹¤.
â‘¢ ë°ì€ 색 부분부터 차례로 채색해 넣는다.
â‘£ 설채設彩(색 메우기)ê°€ ë난 후 ì±„ìƒ‰ì´ ë°•ë½ë˜ëŠ” ê²ƒì„ ë§‰ê¸° 위해 í‘œë©´ì— ì•„êµë‚˜ 부레풀로 í’€ì¹ ì„ í•œë‹¤.

ë„8 <í™”ê°ë¹—>, 조선시대, 국립민ì†ë°•물관 소장

ëª©ê¸°ì— í™”ê°íŒ ë¶™ì´ê¸°

â‘  ê·¸ë¦¼ì„ ë¶™ì¼ ë¶€ë¶„ì— ë¬¸ì–‘ì´ ê·¸ë ¤ì§„ í™”ê°íŒì„ 순서대로 배열하여 ë¶™ì´ëŠ”ë°,
    ì•„êµ ë˜ëŠ” 부레풀칠한 í™”ê°íŒì„ ë°±ê³¨ìœ„ì— ì¸ë‘질하여 ë¶™ì¸ë‹¤. í™”ê°íŒê³¼ í™”ê°íŒ 사ì´ì‚¬ì´
    계선界線ì—는 붕어톱으로 í™ˆì„ íŒ í›„ 쇠골(牛骨, 쇠뼈)ì„ ê¹Žì•„ ê°ìž¥åµŒè£í•˜ì—¬ í‹ˆì„ ë©”ì›Œì„œ
    í™”ê°íŒì´ ë°•ë½í•˜ì§€ 않ë„ë¡ ë³´ê°•í•˜ëŠ”ë° ì´ëŠ” í™”ê° ë¬¸ì–‘ì„ í° ì„ ìœ¼ë¡œ ë‹ë³´ì´ê²Œ 하는 ì—­í• ë„ í•œë‹¤.
â‘¡ í™”ê°íŒì„ 다 ë¶™ì¸ ë‹¤ìŒì—는 ì „ì²´ì ìœ¼ë¡œ 물수건ì´ë‚˜ ì¸ë‘질하여 í‘œë©´ì˜ ì•„êµí’€ì„ 닦아낸다.
â‘¢ í™”ê°íŒ ê°ì§ˆ í‘œë©´ì„ ê²€í™˜ìœ¼ë¡œ 갈기질하여 ë” ê³ ë¥´ê²Œ 다듬고 다시 사í¬ì§ˆí•˜ì—¬ 매ëˆí•˜ê²Œ 다듬는다.
    예전ì—는 ìƒì–´í”¼ë¡œ 사í¬ì§ˆí•˜ì—¬ 곱게 갈아냈다.
â‘£ í‘œë©´ì„ ì—°ë§ˆí•˜ì—¬ ê´‘íƒì„ 낸다.
    연마ë„구로는 ìƒì–´í”¼ ì™¸ì— ìˆ¯ëŒê³¼ 갈기숯, ì†ìƒˆ, 토분土粉, ë…¹ê°ë¶„鹿角粉, 진간장 ë“±ì„ ì‚¬ìš©í•œë‹¤.
⑤ ìœ¤ì„ ë” ë‚´ê¸° 위해서 ë…¹ê°ë¶„ì„ ë…¹í”¼é¹¿çš®ë‚˜ ë©´í¬ç¶¿å¸ƒì— ì°ì–´ê°€ë©´ì„œ 곱게 문지른다.

ë„9 <í™”ê°í•¨>, 조선시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í™”ê°ìž¥ì— 그려진 민화ë„ìƒ

í™”ê°ê³µì˜ˆí’ˆì— 그려진 ê·¸ë¦¼ì˜ ì†Œìž¬ë¥¼ 살펴보면 ë¯¼í™”ì™€ë„ ìƒí†µí•˜ëŠ” ë„ìƒì´ ìžì£¼ 등장한다. 주로 ì‹­ìž¥ìƒ ë„ì•ˆì„ ë¹„ë¡¯í•˜ì—¬ ê·¸ 부분ì ì¸ ì†Œìž¬ì¸ ìŒë¡ë¬¸(한 ìŒì˜ 사슴그림), ìŒí•™ë¬¸(한 ìŒì˜ í•™ 그림), ìŒë´‰ë¬¸(한 ìŒì˜ 봉황 그림)ì„ ë¹„ë¡¯í•´ ì‹ ì„ ë„, 무ì†ë„, 까치와 호랑ì´, 기구ë™ìžë„(騎龜童å­åœ–, ê±°ë¶ì„ 탄 ë™ìž 그림) ë“±ì„ ë³¼ 수 있다. ê·¸ ì™¸ì— ê³ ëŒ€ ì‹ ì•™ì  ìš”ì†Œë¡œì„œ ì¼ì›”ìƒæ—¥æœˆè±¡ì„ í‘œí˜„í•˜ê¸°ë„ í–ˆë‹¤. ì¼ì›”ìƒ ê·¸ë¦¼ì€ ê³„ìˆ˜ë‚˜ë¬´ 아래ì—서 약방아를 ì°§ê³  있는 토ë¼ì™€ ë‘êº¼ë¹„ì˜ ì´ì•¼ê¸°ë¥¼ 그린 ì›”ê¶ê·¸ë¦¼[月宮圖]으로 ì¼ì°ì´ 고구려 ê³ ë¶„ ë²½í™”ì— ë“±ìž¥í•œ 예가 있어 ì´ ê°™ì€ ì „í†µë„ìƒì´ ë¯¼ì† ì‹ ì•™ì„ í†µí•´ 오랫ë™ì•ˆ 전해져왔ìŒì„ 알 수 있다.



ìž„ì˜ì£¼ | 한-명품미술관장

í™ìµëŒ€í•™êµì—서 목칠학과를 전공하고 ë™êµ­ëŒ€í•™êµëŒ€í•™ì›ì—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전문위ì›, í™ìµëŒ€í•™êµ 미술대학 겸임êµìˆ˜ ë“±ì„ ì—­ìž„í–ˆìœ¼ë©°
현재 (사)한국무형문화예술êµë¥˜í˜‘회 회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