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 ê´€ìž¥ì˜ í•œêµ­ë¬¸ì–‘ì‚¬ â‘© 고구려 고분벽화

ë³µì‹ì€ ê° ê°œì¸ì˜ 개성과 í’ˆê²©ì„ ë‚˜íƒ€ë‚´ë©° 사회집단 ë‚´ 소ì†ê°ì„ 드러내는 ì—­í• ì„ í•˜ê¸°ë„ í•œë‹¤. 고분벽화를 비롯한 고대 í’ì† ê·¸ë¦¼ê³¼ ê·¸ ì¸ë¬¼ìƒì˜ ë³µì‹ì€ 우리 ë¯¼ì¡±ì˜ ì–¼ì´ ë‹´ê²¨ 있어서 ë¯¼ì¡±ì˜ ì—°ëŒ€ê°ê³¼ ê¸ì§€ë¥¼ ì¼ê¹¨ìš°ëŠ” 귀중한 ì—­í• ì„ í•œë‹¤.
– 글 ìž„ì˜ì£¼ (한-명품미술관 관장) 사진 ë™ë¶ì•„역사재단


ê³ êµ¬ë ¤ì˜ ë²½í™” ê³ ë¶„ì€ ì´ˆê¸°ì˜ ìˆ˜ë„ì˜€ë˜ í†µêµ¬(通æº, 현재 중국 길림성 집안현) ì§€ë°©ì„ ì¤‘ì‹¬ìœ¼ë¡œ 한 ì••ë¡ê°• 유역과 5세기초경 옮긴 수ë„ì¸ í‰ì–‘ì„ ì¤‘ì‹¬ìœ¼ë¡œ 대ë™ê°• ìœ ì—­ì— ë¶„í¬ë˜ì–´ 있는ë°, 지금까지 약 50ì—¬ 기基가 ë°í˜€ì§„ ë°” 있다. ì´ ë²½í™” ê³ ë¶„ì„ í†µí•´ ë‹¹ì‹œì˜ ë¬´ë¤ ì¶•ì¡° ì–‘ì‹ì€ 물론ì´ë ¤ë‹ˆì™€ 우리나ë¼ì˜ ë¯¸ìˆ ì´ ì™¸êµ­ê³¼ì˜ ë¬¸í™” êµë¥˜ë¥¼ 통하여 어떠한 ë°œì „ì„ ê°€ì ¸ì™”ê³ , ë‹¹ì‹œì˜ ë¬¸ë¬¼ì œë„와 규모는 어떠하였으며 정치, 경제, 종êµ, 문화와 ì‚¬íšŒì  ì„±ê²©ì€ ë¬´ì—‡ì´ì—ˆëŠ”ì§€ë¥¼ 미루어 ì§ìž‘í•  수 있다. ë‹¹ì‹œì˜ ë³µìž¡í•œ 사회ì , ë¬¸í™”ì  êµ¬ì¡°ì— ìžˆì–´ì„œ 주제와 ì–‘ì‹ì€ 외부ì ì¸ ìš”ì†Œë“¤ì— ì˜í•´ì„œ 서로 ê²°í•©ëœë‹¤. 주제와 ì–‘ì‹ì€ 종êµì  사ìƒì— ì˜ì¡´í•˜ê³  있는 ê³ ì •ëœ ìƒì§•ê³¼ ê²°ì†ë˜ì–´ 있다. 고구려 ê³ ë¶„ 벽화는 한국 고대 회화가 어떠한 ì™¸ë¶€ì˜ ì˜í–¥ 아래서 ì™¸ì  ì˜ˆìˆ  형ì‹ì„ 어떻게 성공ì ìœ¼ë¡œ í¡ìˆ˜í•˜ì˜€ê³ , 완성하게 ë˜ì—ˆëŠ”ê°€ë¥¼ 보여주며 당시 ê³ êµ¬ë ¤ì˜ ê²©ì¡° 있는 문화와 ì˜ˆìˆ ì„ ë³´ì—¬ì£¼ëŠ” 유ì¼í•œ 유산으로서 가치가 í¬ë‹¤ 하겠다. ê³ ë¶„ 벽화가 그려진 시기는 고구려가 êµ­ê°€ì  ì²´ì œë¥¼ ê±°ì˜ ì™„ë¹„í•˜ë©´ì„œ ê·¸ ì„¸ë ¥ì´ ë¶ìª½ìœ¼ë¡œëŠ” ì†¡í™”ê°•ì— ì´ë¥´ê³ , 서쪽으로는 ìš”í•˜é¼æ²³ë¥¼ 넘었으며 남으로는 아산牙山과 ì‚¼ì²™ä¸‰é™Ÿì„ ì—°ê²°í•˜ëŠ” 지역까지 진출하였ë˜, ì´ë¥¸ë°” ì „ì„±ê¸°ì— í•´ë‹¹í•˜ëŠ” 4세기부터 7세기 ì¤‘ì—½ì— ì´ë¥´ëŠ” 시기였다.

ë„1 ë•í¥ë¦¬ê³ ë¶„ 단면



ë„2 ê°•ì„œëŒ€ë¬˜ì— ê·¸ë ¤ì§„ 백호ë„



당시 ì¤‘êµ­ì˜ ì •ì„¸ê°€ 육조 ì‹œëŒ€ì— ìˆ˜éš‹, 당å”ì— ì´ë¥´ëŠ” 혼란기였기 ë•Œë¬¸ì— ê³ êµ¬ë ¤ëŠ” 비êµì  대등한 위치ì—서 êµë¥˜í•˜ëŠ” 입장ì´ì—ˆìœ¼ë¯€ë¡œ 정치, 종êµ, 문화 등 ê° ë¶„ì•¼ì—서 비등한 ì„±ê²©ì„ ì§€ë‹ˆê³  있었다. ë˜ ìœ êµ, 불êµì˜ 2대 종가宗家가 ê°™ì´ ìˆ˜ìš©ë˜ì–´ 있어서 ê·¸ 시대 제반 미술ì—서 나타나고 있는 것과 ê°™ì´ ê³ ë¶„ 벽화ì—ì„œë„ ë„êµì ì¸ 요소와 불êµì ì¸ 요소, 그리고 유êµì ì¸ 요소가 혼용ë˜ì–´ìžˆëŠ” ê²ƒì„ ë³¼ 수 있다. 우리나ë¼ì˜ 무ë¤ì— 그려진 벽화는 중국 후한後漢, 위é­, 진晋 ì‹œëŒ€ì˜ ë²½í™” ê³ ë¶„ì˜ ì¡°í˜• ì–‘ì‹ì„ 받아들ì´ê¸´ 했지만 ê·¸ë¦¼ì˜ ë‚´ìš©ìœ¼ë¡œ ë³´ì•„ ìš°ë¦¬ë‚˜ë¼ ê³ ëŒ€ì˜ ì‹œì¡°ì‹ í™”å§‹ç¥–ç¥žè©±ë‚˜ ì„±í™”èªªè©±ì™€ë„ ë§Žì´ ì—°ê´€ë˜ì–´ 있ìŒì„ 알 수 있다.
ì—¬ê¸°ì— ê·¸ë ¤ì§„ ìž¥ì‹ ë¬¸ì–‘ì˜ ë‚´ìš©ì€ ë‹¹ì‹œì˜ ìƒí™œ ì‹ ì•™ì˜ ë°°ê²½ì„ ê°•í•˜ê²Œ 묘사하고 있다. 예컨대 ì˜ìˆ˜éˆç¸, ì˜ì¡°éˆé³¥, 사신四神 ë“±ì„ ë¹„ë¡¯í•˜ì—¬ 해와 달, 성신星辰, 천신天神, 지신地神, êµì‚¬ë¬¸äº¤è›‡ç´‹, 기린문麒麟紋, ì¸ë™ë‹¹ì´ˆë¬¸å¿å†¬å”è‰ç´‹ ë“±ì€ ë„êµì ì¸ ë°°ê²½ 아래서 ì´ë£¨ì–´ì¡Œë‹¤. ì´ëŸ¬í•œ ë²½í™”ì˜ ê·¸ë¦¼ì€ ëŒ€ê°œ 천정ì´ë‚˜ 천정 ë°›ì¹¨ì— ì˜ìž¥ëœ 장ì‹ì ì¸ 문양과 현실玄室 벽면 ë“±ì— ê·¸ë ¤ì§„ ë‹¹ì‹œì˜ ìƒí™œì‚¬, 수렵, 무용, 연회 장면 ë“±ì„ ê·¸ë¦° 회화ì ì¸ 그림 ë‘ ìœ í˜•ìœ¼ë¡œ 구분할 수 있다. ì´ ê·¸ë¦¼ë“¤ì€ ì‹œëŒ€ì— ë”°ë¥¸ 분묘 êµ¬ì¡°ì˜ ë³€ì²œì— ë”°ë¼ì„œ 문양ì´ë‚˜ ê·¸ë¦¼ì˜ ì†Œìž¬ê°€ 달ë¼ì§€ê³  ì–‘ì‹ì„ 달리한다. ì´ëŸ¬í•œ ê°ì¢… 그림ì—서는 앞서 ë§í•œ 바와 ê°™ì´ ì¤‘êµ­ 분묘 ì–‘ì‹ì˜ ì˜í–¥ì„ ë°›ì€ ê²ƒì´ ëŒ€ë¶€ë¶„ì´ì§€ë§Œ, 다만 ëª¨ë°©ì— ê·¸ì¹˜ì§€ 않고 민족 ì „í†µì˜ í† ì°© 문화와 ìœµí™”í•¨ìœ¼ë¡œì¨ ë‚˜ë¦„ëŒ€ë¡œì˜ ì¡°í˜•ì  ì„¸ê³„ë¥¼ ì´ë£¨ê³ ìž í–ˆë˜ ì˜ì§€ë¥¼ ì—¿ë³¼ 수 있다. 가령, ë¬´ìš©ì´ ì „ì‹¤ ë™ë²½ì— 그려진 수렵ë„는 낙랑樂浪 유ì ì—서 ë°œê²¬ëœ í•œë‚˜ë¼ ë•Œì˜ ë™ì œê¸ˆìƒê°í†µéŠ…è£½é‡‘è±¡åµŒç­’ì˜ ë¬¸ì–‘ê³¼ 그림 소재나 ì „ê°œ 형ì‹ì´ 유사하지만, í‘œí˜„ì— ìžˆì–´ì„œëŠ” ë„ì‹ì ì´ê³  ì™„ë²½ì„±ì„ ë ê³  있어 ì¤‘êµ­ì  ê°œë…ì—서 벗어나 완만한 ì„ ê³¼ 사실ì ì¸ 묘사 등 한국ì ì¸ íŠ¹ì„±ì„ ë³´ì´ê³  있다. ì´ëŸ¬í•œ íŠ¹ì„±ì€ ê³ êµ¬ë ¤ 벽화 ê³ ë¶„ì—서 ë¿ë§Œ ì•„ë‹ˆë¼ ì‚¼êµ­ì‹œëŒ€ì˜ ì¡°í˜• 미술 ì „ë°˜ì—ì„œë„ ë‹¤ë¶„ížˆ 나타나고 있다.

(위) ë„3 ê°•ì„œëŒ€ë¬˜ì— ê·¸ë ¤ì§„ ì²­ë£¡ë„ / (아래) ë„4 안악3í˜¸ë¶„ì— ê·¸ë ¤ì§„ ë¬˜ì£¼ì˜ ì´ˆìƒ

고구려 ê³ ë¶„ ë²½í™”ì˜ ë‚´ìš©

ë²½í™”ì˜ ë‚´ìš©ì€ í¬ê²Œ ì¸ë¬¼í’ì†í™”, 사신ë„, ìž¥ì‹ ë¬¸ì–‘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ë³¼ 수 있다. 첫째, ì¸ë¬¼í’ì†í™”는 묘주가 ìƒì „ì— ìƒí™œí•˜ë˜ í™˜ê²½ì„ ìž¬í˜„í•˜ê³ ìž í•œ 것으로 내실 ê´‘ê²½, 주ì¸ê³µ ë‚´ì™¸ì˜ ì¢Œìƒ, ì˜ìž¥ëŒ€ì˜ 행렬, 무용과 ì£¼ì•…ì˜ ì—°íšŒ 장면, 사냥 장면, 전투 장면, ì†ë‹˜ 접견하는 모습, 성곽城郭, ëˆ„ê°æ¨“é–£, ê±´ë¬¼ë„ ë“±ì˜ ê·¸ë¦¼ì´ë‹¤.
둘째, 사신ë„는 청룡, 백호, 현무, ì£¼ìž‘ì˜ 4ë°©ìœ„ì‹ ì„ ê·¸ë¦° 것으로 ë°©ìœ„ì‹ ì€ ê°ê° ë™, 서, 남, ë¶ì— ë°°ì¹˜ë¼ ìš°ì£¼ë¥¼ 진무하고 보호하는 ìƒìƒì  ë™ë¬¼í˜•ìƒì´ë‹¤. ì´ ì‚¬ì‹ ë„는 ê²°êµ­ 주ì¸ê³µì˜ 특정한 ê³µê°„ì„ ìˆ˜í˜¸í•˜ê¸° 위한 ì‹ ì´ë‹¤. 대개 후기 ê³ ë¶„ì—서 유행한 그림ì´ë‹¤.
셋째, 무ë¤ì˜ 벽면ì´ë‚˜ 천정, 그리고 ê°ì¢… êµ¬ì¡°ë¬¼ì— ê·¸ë ¤ì§„ ìž¥ì‹ ë¬¸ì–‘ì€ ì²œì •ë¶€ì— ê·¸ë ¤ì§„ 28ê°œì˜ ì„±ì¢Œæ˜Ÿåº§, ì¼ì›”ìƒæ—¥æœˆåƒ, 천정받침ì„ì— ê·¸ë ¤ì§„ ì¼ì›”, 성신, 신수神樹, 산악山岳, ì—°í™”, 구름, 봉황, 기린, 서조, 서수, 천신, 비천 등과 ê·¸ ë°–ì˜ ê³µê°„ì— ê·¸ë ¤ì§„ ê°ì¢… 당초문, 화염문, 빗격ìžë¬¸, ë™ì‹¬ì›ë¬¸ 등 다양하며 다채로운 ìž¥ì‹ ë¬¸ì–‘ì„ ë³¼ 수 있다. ì´ë ‡ê²Œ 다양한 ê·¸ë¦¼ì€ ë‹¤ì‹œ ë‘ ê°€ì§€ 요소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ë„êµì ì¸ 것ì´ìš”, ë˜ í•˜ë‚˜ëŠ” 불êµì ì¸ 요소다. 즉, 사신ë„를 비롯하여 ì¼ì›”성신ë„, ì‹ ì„  êµì‚¬ë„, 봉황, 기린, 귀면鬼é¢, ê´´ìˆ˜æ€ªç¸ ë“±ì€ í•œ 시대와 육조 ì‹œëŒ€ì˜ ë„êµì‚¬ìƒì—서 ë¹„ë¡¯ëœ ë¬¸ì–‘ì´ê³  연화문, 화염문, 비천문, ì¸ë™ë‹¹ì´ˆë¬¸, ë™ì‹¬ì›ë¬¸, 귀갑문 ë“±ì€ ì£¼ì¸ê³µì´ 불êµì‹ ì•™ì— ê·€ì˜í–ˆìŒì„ ë³´ì—¬ 주는 문양ì´ë‹¤.

ë„6 안악3í˜¸ë¶„ì— ê·¸ë ¤ì§„ í˜¸ìœ„ë¬´ì‚¬ë“¤ì˜ ëª¨ìŠµ

고구려 ê³ ë¶„ ë²½í™”ì— ì“°ì¸ ê¸°ë²•ê³¼ 연대 분류

ë²½í™”ì˜ ê·¸ë¦¼ì€ ì„ë²½ë©´ì— íšŒç°ë¥¼ 바르고, íšŒì¹ ì´ ì±„ 마르기 ì „ì— í‘, 황토, 녹청, ì ìƒ‰, ìžìƒ‰ ë“±ì˜ ë¬¼ê°ìœ¼ë¡œ ê·¸ë¦¼ì„ ê·¸ë¦¬ëŠ”, ì´ë¥¸ë°” 후레스코(fresco)ê¸°ë²•ì´ ì ìš©ë˜ê³ , ìœ¤ê³½ì„ ë¨¹ì„ ìœ¼ë¡œ 그린 ë’¤ 채색한 ê¸°ë²•ë„ ë³¼ 수 있다. 녹청綠é‘, 군청群é‘, ìží† ç´«åœŸ, 호분胡粉, 황토黃土 등 ì„채石彩로 그려진 ì´ ê·¸ë¦¼ë“¤ì€ ìš°ì„  목탄 등으로 스케치를 한 다ìŒì— 채색하는 êµ¬ë¥µë²•é‰¤å‹’æ³•ì´ ì‚¬ìš©ëœ ë§¤ìš° ë°œì „ëœ í˜•ì‹ë„ ë³´ì´ê³ , ì§ì ‘ ì±„ìƒ‰ì„ ì¨ì„œ 그린 백묘白æ ê¸°ë²•ë„ ë‚˜íƒ€ë‚œë‹¤. ì´ë ‡ë“¯ ë¬˜ì‹¤ì˜ ë‚´ë¶€ì— ë‹¤ì±„ë¡œìš´ 벽화를 그리게 ëœ ê²ƒì€ ì•„ë§ˆë„ ë‹¹ì‹œ ì‚¬ëžŒë“¤ì˜ ì˜í˜¼ 불멸사ìƒì—서 기ì¸í•œ 것으로 ë³´ì´ëŠ”ë°, 당시 ì‚¬ëžŒë“¤ì€ ìœ¡ì‹ ì€ ì£½ì–´ë„ ì˜í˜¼ì€ ì˜ì›ížˆ 남아서 존재한다고 믿었기 때문ì´ë‹¤. ì—¬ê¸°ì— ë‚˜íƒ€ë‚˜ëŠ” ê·¸ë¦¼ì˜ ë‚´ìš©ì„ ì‚´íŽ´ë³´ë©´ ì‚°ì•…ê³¼ 천신, 지신, 그리고 ê°ì¢… 천ìƒê³„ì˜ ì„œì¡°, 서수 ë“±ì´ ê·¸ë ¤ì§€ê³  ë™, 서, 남, ë¶ì— 해와 달과 나타낸 천ìƒë„天上圖 등으로 ë‹¹ì‹œì˜ ìš°ì£¼ê´€ì„ ì—¿ë³¼ 수 있다.
고구려 벽화 ê³ ë¶„ì€ ëŒ€ê°œ ì „, 중, 후 3기로 분류ëœë‹¤. 전기는 4∼5세기 초로 추정ë˜ëŠ” ê³ ë¶„ì´ë©°,(ë„1) 주로 ì¸ë¬¼ í’ì†ë„ê°€ 그려졌는ë°, 여기ì—서는 중국계 í™”ê³µë“¤ì´ ê·€í™”í•˜ì—¬ ê·¸ë ¸ì„ ê²ƒì´ë¼ ìƒê°ë˜ëŠ” ê·¸ë¦¼ì„ ìƒë‹¹ìˆ˜ 찾아볼 수 있다. 5∼6세기 ì´ˆì˜ ë²½í™”ê³ ë¶„ì—서는 ì¸ë¬¼ í’ì†ë„ì™¸ì— ì‚¬ì‹ ë„ê°€ 절충 형ì‹ìœ¼ë¡œ 나타나고 있으며, í›„ê¸°ì— ì†í•˜ëŠ” 6세기 후반부터 7ì„¸ê¸°ì´ˆì— ì´ë¥´ëŠ” ê³ ë¶„ì—서는 사신ë„ê°€ 주를 ì´ë£¬ë‹¤. (ë„2, ë„3)
ì´ëŸ¬í•œ 그림과 ë¬¸ì–‘ì€ 4세기∼6세기까지는 ë„êµì ì¸ 요소보다 불êµì ì¸ 요소가 ë” ì§™ê³ , 다시 6세기부터는 불êµì ì¸ 요소와 ë„êµì ì¸ 요소가 ê±°ì˜ ê°™ì´ ë‚˜íƒ€ë‚œë‹¤. 다시 ë§í•´ì„œ, 전기 ë²½í™”ì˜ ì¸ë¬¼ 행렬, 수렵 장면, 차마車馬를 비롯한 í’ì† ê·¸ë¦¼ê³¼ ê°ì¢… ë„êµì ì¸ 요소는 í•œë‚˜ë¼ ë•Œì˜ ë²½í™” ê³ ë¶„ì˜ ì „í†µì´ë©°, 연화를 비롯한 불êµì ì¸ 문양 요소는 육조 시대를 통한 서역ì ì¸ ìž¥ì‹ ë¬¸ì–‘ ìš”ì†Œë¼ í•  것ì´ë‹¤. 여기ì—ì„œì˜ ìž¥ì‹ ë¬¸ì–‘ 요소는 ì£¼ì œê·¸ë¦¼ì— ëŒ€í•œ 부수ì ì¸ ì–‘ì‹ìœ¼ë¡œ ì‹ë¬¼ë¬¸, ë™ë¬¼ë¬¸, ìƒì„œë¡œì›€ì„ 나타내는 ê°ì¢… 문양, 수목문, 산악문 등ì´ë‹¤.

ë„7 안악3í˜¸ë¶„ì— ê·¸ë ¤ì§„ ì–´ì°¨ê³ ì˜ ëª¨ìŠµ

ìƒì „ì˜ ì˜í™”로운 ì‚¶ì„ ìž¬í˜„í•˜ë‹¤

고구려 4∼5세기 ì´ˆì— ë‚˜íƒ€ë‚˜ëŠ” ì¸ë¬¼í’ì†í™” ê³ ë¶„ ì† ê·¸ë¦¼ì€ ë¬˜ì£¼ê°€ ìƒì „ì— ìƒí™œí•˜ë˜ í™˜ê²½ì„ ìž¬í˜„í•œ 것으로, ì£½ì€ ìžì˜ ì‚¶ 중 기ë…í•  만한 ì¼ê³¼ í’ìš”ë¡œì›€ì„ ë¬´ë¤ ì•ˆì— ê·¸ë ¤ì„œ ê·¸ë“¤ì˜ ê³µì åŠŸç¸¾ ìƒí™œì„ 기ë…하고 ë˜í•œ 내세ì—ë„ ì´ì™€ ê°™ì€ ì˜í™”로운 ì‚¶ì„ ëˆ„ë¦¬ê¸°ë¥¼ 기ì›í•˜ëŠ” ë§ˆìŒ ë•Œë¬¸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그림ì—서는 ë¬´ë¤ ì£¼ì¸ê³µì´ë‚˜ ê·¸ì˜ ë¶€ì¸, 그리고 후ê¶ë“¤ê³¼ ë‚¨ë…€ì‹œì¢…ë“¤ì˜ ì‹œì¤‘ë“œëŠ” 모습과 춤과 노래, 놀ì´ë¥¼ ì¦ê¸°ë©° 연회를 베푸는 장면, 대규모 í–‰ì°¨ìž¥ë©´ì´ íŽ¼ì³ì§„다.
â‘  안악3호분 고구려 4세기 중엽(357ë…„)ì— ì¡°ì„±ëœ í™©í•´ë„ ì•ˆì•…ì˜ ì¸ë¬¼í’ì†ë„ 벽화고분 안악 3호분ì—서는 주ì¸ê³µ ë¶€ë¶€ì˜ ì´ˆìƒì´ 그려졌는ë°, ìž¥ë§‰ì„ ë‘른 í‰ìƒ ìœ„ì— ì•‰ì•„ì„œ ë§Žì€ ì‹œì¢…ë“¤ë¡œë¶€í„° 정사를 보고받는 ëª¨ìŠµì´ ê·¸ë ¤ì¡Œë‹¤. 주ì¸ê³µì€ í¬ê²Œ 그리고 ì‹œì¢…ë“¤ì€ ìž‘ê²Œ 표현하여 ì‹ ë¶„ì˜ ì°¨ì´ë¥¼ 분명하게 보여주는 고대 ë™ì–‘ íšŒí™”ì˜ ì›ê·¼ë²•ì´ ë“œëŸ¬ë‚œë‹¤. 주ì¸ê³µì€ ë¨¸ë¦¬ì— ê²€ì€ìƒ‰ 내관內冠과 ì™¸ê´€å¤–å† ì¸ ë°±ë¼ê´€ç™½ç¾…å† ì„ ì“°ê³  있으며 오른ì†ì—는 ì£¼ë¯¸ì„ éºˆå°¾æ‰‡ì„ ë“¤ê³  있다. (ë„4) 주ì¸ê³µ ë¶€ì¸ì˜ ì´ˆìƒì€ í’만하고 후ë•한 모습ì¸ë°, 화려한 무늬가 베풀어진 장막 ì†ì—서 주ì¸ì„ 향해 반측면으로 앉아있다. 아름다운 화문단으로 ìˆ˜ë†“ì€ ì˜ìƒê³¼ 머리장ì‹ì´ ë‹ë³´ì¸ë‹¤. (ë„5) ê·¸ ì•žì— ì‹œì¤‘ë“¤ê³  있는 세 ì‹œì¢…ì˜ ëª¨ìŠµì€ ì—­ì‹œ ë¶€ì¸ë³´ë‹¤ 작게 묘사ë˜ì—ˆë‹¤. 전실 남벽ì—는 í˜¸ìœ„ë¬´ì‚¬ë“¤ì˜ ëª¨ìŠµì´ ê·¸ë ¤ì¡ŒëŠ”ë° ê¸´ ë„í¬ì— 바지를 ìž…ê³  ì†ì—는 ë¬´ê¸°ì¸ ë„ë¼ë¥¼ 들고 나열해 있다.(ë„6)
어차고御車庫ì—는 화려하게 장ì‹ëœ ì–´ì°¨ ë‘ ëŒ€ê°€ ë³´ì¸ë‹¤.(ë„7) 부엌ì—는 세 ëª…ì˜ ì£¼ë°© ê¶ë…€ê°€ ìŒì‹ì„ 장만하고 한편ì—서는 ìŒì‹ì„ 나르는 분주한 ëª¨ìŠµì´ ë³´ì¸ë‹¤. ì™¼ìª½ì— êµ´ëšì´ í‘œí˜„ëœ ì•„ê¶ì´ì—는 시루가 얹혀졌다. ìš©ë‘ë ˆ ìš°ë¬¼ì— ìš©ë‘ë ˆ ë‘레박으로 ë¬¼ì„ ê¸·ëŠ” ê¶ë…€ë“¤ì´ 그려졌으며, 우물 위ì—는 ‘정井’ìžê°€ ì“°ì—¬ 있고 ê¶ë…€ 위ì—는 ê´€ì§ëª…ì¸ â€˜ì•„ê´‘é˜¿å…‰â€™ì´ ì“°ì—¬ì¡Œë‹¤.(ë„8) ë™ìª½ 측실 ë™íޏ 벽면ì—는 ë¶€ì—Œì˜ ëª¨ìŠµì´ ë³´ì´ê³ , ë¬´ì—‡ë³´ë‹¤ë„ ì „ì‹¤ ë™ìª½ ê³ ë¶ë²½ì— 그려진 푸ì¤ê°„ì—는 ê°“ 사냥해서 잡아온 노루와 ë¼ì§€ ë“±ì˜ ê³ ê¸°ê°€ ì‡ ê°ˆê³ ë¦¬ì— ê±¸ë ¤ìžˆë‹¤. 고구려 ê¶ì‹¤ì˜ ìƒí™œìƒì„ ì—¿ë³¼ 수 있는 귀중한 ìžë£Œë¼ 하겠다.
â‘¡ ë•í¥ë¦¬ ê³ ë¶„ ë•í¥ë¦¬ê³ ë¶„(408ë…„)ì€ í‰ì•ˆë‚¨ë„ 남í¬ì‹œ ê°•ì„œêµ¬ì— ìžˆëŠ” 무ë¤ìœ¼ë¡œ 408ë…„ì— ì¡°ì„±ëœ ê²ƒì´ë‹¤. ì´ ë²½í™”ê³ ë¶„ì€ ê¶ë¥­ì‹ç©¹çª¿å¼(doume) 천정으로 ë¬µì„œëª…ë¬¸å¢¨æ›¸åæ–‡ì„ 통해 ì˜ë½æ°¸æ¨‚ 18ë…„ì— ì‚¬ë§í•œ 유주ìžì‚¬å¹½å·žåˆºä½¿ ì§„éŽ­ì˜ ë¬˜ìž„ì´ ë°í˜€ì ¸ 매우 주목ëœë‹¤.(ë„9) ìŒì˜ì´(5세기 후반) 전실과 í˜„ì‹¤ì˜ ì²œì •ì€ ì´ë¥¸ë°” ‘ê¶ë¥­í‰í–‰ì‚¼ê°ç©¹çª¿å¹³è¡Œä¸‰è§’ê³ ìž„ì‹â€™ì´ë¼ 불리어지는 것으로 ê·¸ ì–‘ì‹ì€ ì¼ì°ì´ 그리스 ì‹ ì „ê±´ì¶•ì—서 유래ë다.(ë„10)
특히 ì´ ë¬´ë¤ì— 쓰여진 600ì—¬ìžì˜ 묵서명ì—는 ê´€ì§ëª…ì„ ë¹„ë¡¯í•˜ì—¬ ê° ìž¥ë©´ì— ëŒ€í•œ ì„¤ëª…ì„ ì¨ë†“ì•„ ê³ êµ¬ë ¤ì˜ ì‚¬íšŒìƒì„ 알려준다. ë²½í™”ì˜ ë‚´ìš©ë„ ë¬˜ì‹¤ì— ê·¸ë ¤ì§„ ê°ì¢… ë¬¸ì–‘ì„ ë¹„ë¡¯í•˜ì—¬ 주ì¸ê³µì˜ ìƒí™œìƒ, ì‹ ì•™ìƒí™œ, ì¸ë¬¼ìƒ, 행렬ë„, 천ìƒì„¸ê³„ 등 다양하게 표현ë˜ì–´ 고구려ì¸ì˜ 문화와 í’습 ë° ì‚¬ìƒì„ ì´í•´í•  수 있다.
â‘¢ 수산리고분 í‰ì•ˆë‚¨ë„ 남í¬ì‹œ ê°•ì„œì— ìžˆëŠ” ìˆ˜ì‚°ë¦¬ê³ ë¶„ì€ 5ì„¸ê¸°ê²½ì— ì¡°ì„±ëœ ë²½í™”ê³ ë¶„ìœ¼ë¡œ 1971ë…„ì— ë°œêµ´ë˜ì—ˆë‹¤. ìˆ˜ì‚°ë¦¬ê³ ë¶„ì€ íž˜ì´ ìžˆê³  ê°„ê²°í•˜ë©´ì„œë„ ê³ êµ¬ë ¤ í™”í’ì´ ìƒìƒížˆ 표현ë˜ì—ˆì„ ë¿ë§Œ ì•„ë‹ˆë¼ ì„¬ì„¸í•˜ê³  우아하게 í‘œí˜„ëœ ì¸ë¬¼ìƒë“¤ì´ 매우 í¥ë¯¸ë¡­ë‹¤.(ë„11) ìƒ‰ë™ ì£¼ë¦„ì¹˜ë§ˆë¥¼ ìž…ì€ ìš°ì•„í•œ ë³µìž¥ì˜ ì—¬ì„±ìƒì€ ì¼ë³¸ 다카마스고분[高æ¾å¡š]ì˜ ì—¬ì¸ë„ì—ì„œë„ ë³¼ 수 있어서 당시 ì¼ë³¸ê³¼ ì •ì¹˜ì  ë¬¸í™”ì  ê´€ê³„ë¥¼ ì§ìž‘ì¼€ 한다. 고구려 고분벽화ì—는 아름다운 ì—¬ì¸ìƒì„ ë§Žì´ ì°¾ì•„ë³¼ 수 있지만 ìˆ˜ì‚°ë¦¬ê³ ë¶„ì— ê·¸ë ¤ì§„ ì—¬ì¸ìƒë“¤ì´ì•¼ë§ë¡œ 가장 아름답다고 ë³¼ 수 있다.
(ë„12) 화장한 얼굴과 아름답게 꾸민 머리, 긴 ì €ê³ ë¦¬ì— ì£¼ë¦„ì¹˜ë§ˆë¥¼ ìž…ì€ ìš°ì•„í•œ ìžíƒœëŠ” ì¸ë¬¼í™” í‘œí˜„ì˜ ì›ìˆ™í•œ 경지를 보여준다. 특히 ë’¤ì—서 ì¼ì‚°æ—¥å‚˜ì„ ë°›ì³ ë“  시녀 앞ì—서 훨씬 í¬ê²Œ í‘œí˜„ëœ ë¬˜ì£¼ ë¶€ì¸ìƒì€ í™ìƒ‰ ë‹¨ì„ ëŒ„ ì €ê³ ë¦¬ì— ìƒ‰ë™ì£¼ë¦„치마를 ìž…ê³  있는 고귀한 ìžíƒœë¥¼ 유ê°ì—†ì´ 보여주는ë°, ë¶‰ì€ ì—°ì§€ë¥¼ ì–¼êµ´ì— ì°ì€ 아름다운 ëª¨ìŠµì€ ê³ êµ¬ë ¤ ì—¬ì¸ì„ ìƒìƒí•˜ê¸°ì— ì†ìƒ‰ì´ ì—†ì„ ê²ƒì´ë‹¤.
â‘£ ìŒì˜ì´ 기ì›ì „ 고대 그리스 ì‹ ì „ì˜ ê±´ì¶• ì–‘ì‹ì´ 우리나ë¼ê¹Œì§€ 전해온 ê²ƒì€ ë§¤ìš° í¥ë¯¸ë¡œìš´ ì¼ì´ë‹¤. 특히 í‰ì•ˆë‚¨ë„ 남í¬ì‹œ 용강군 5ì„¸ê¸°ê²½ì— ì¡°ì„±ëœ ìŒì˜ì´ì€ 전실과 현실 사ì´ì— ë…특하게 ì´ì§‘íŠ¸ì‹ íŒ”ê°ì˜ ìŒê¸°ë‘¥ì´ 세워져서 ìŒì˜ì´é›™æ¥¹å¡šì´ë¼ ì´ë¦„ 붙여졌다. ê·¸ 팔ê°ê¸°ë‘¥ì€ ì£¼ì´ˆæŸ±ç¤Žì— ë³µë ¨ä¼è“®, ì£¼ë‘æŸ±é ­ì—는 앙련仰蓮으로 꾸며졌으며 기둥 몸체ì—는 ìŒìš©é›™é¾ì´ 트림하며 하늘로 오르고 있는 ìž¥ë©´ì´ ê·¸ë ¤ì¡Œë‹¤. ë²½í™”ì˜ ì¤‘ì‹¬ 주제는 ìƒí™œ í’ì†ê³¼ 사신四神ì´ë‹¤. ì—°ë„ ë™ì„œë²½ì—는 ë§Žì€ ì¸ë¬¼ì´ 그려져서 ë‹¹ì‹œì˜ í’ì†ê³¼ ë³µì‹æœé£¾ì„ ì—°êµ¬í•˜ëŠ”ë° í° ë„ì›€ì„ ì¤€ë‹¤. 묘실 서쪽 ë²½ì—는 행렬ë„ê°€ ê·¸ë ¤ì¡ŒëŠ”ë° ì£¼ì¸ê³µ 부부가 여러 ì‹œì¢…ì„ ê±°ëŠë¦¬ê³  가는 행렬ì´ë‹¤. 나들ì´ë¥¼ 나선 ì´ í–‰ë ¬ì€ ê·¸ 정황으로 ìƒê°í•´ ë³¼ 때 ì•„ë§ˆë„ ì£¼ì¸ê³µ 부부가 법당法堂으로 불공 드리러 가는 모습으로 ìƒê°ëœë‹¤. ê·¸ ì´ìœ ëŠ” 현실 ë™ìª½ë²½ì— 그려진 행렬 그림 때문ì´ë‹¤. 앞쪽 맨 ì•žì— í–¥ì´‰ì„ ë¨¸ë¦¬ìœ„ì— ë°›ì³ ë“  시녀ä¾å¥³ê°€ 앞장서고 뒤로는 ë¶‰ì€ ê°€ì‚¬è¢ˆè£Ÿë¥¼ ë‘르고 ì„장錫æ–ì„ ë“  승려, 한 ëª…ì˜ ì‹œë…€ê°€ ê·€ë¶€ì¸ ì•žì—서 ê¸¸ì„ ì¸ë„하고 있다. 주ì¸ê³µ 귀부ì¸ì€ ê²€ì€ ì›ƒì˜·ì— ì£¼ë¦„ì§„ 치마를 ìž…ì€ ë§¤ìš° 고귀한 ìžíƒœë¡œ 묘사ë다. 여기ì—ì„œë„ ìŠ¹ë ¤ë¥¼ 조금 í¬ê²Œ 나타내고 귀부ì¸ì€ ë” í¬ê²Œ ê·¸ë ¸ëŠ”ë° ì‹œë…€ë“¤ì€ ì•„ì£¼ 작게 표현한 ê²ƒì´ íŠ¹ì§•ì´ë‹¤.

(위) ë„8 안악3í˜¸ë¶„ì— ê·¸ë ¤ì§„ ìš©ë‘ë ˆ 우물 / (아래) ë„9 ë•í¥ë¦¬ê³ ë¶„ 앞칸 ë¶ë²½ì— 그려진 ë¬˜ì£¼ì˜ ì´ˆìƒí™”



ë„10 그리스 ì¹´ì•„ëž„ë¼(Karalar) 1세기 중반 무ë¤ì˜ 귀접ì´ì²œìž¥ì—



(위) ë„11 수산리고분 ì„œë²½ì— ê·¸ë ¤ì§„ 벽화 ì „ì²´ 모습 / (아래) ë„12 ìˆ˜ì‚°ë¦¬ê³ ë¶„ë²½í™”ì— ê·¸ë ¤ì§„ ì—¬ì¸ë“¤ì˜ 행렬

중국 기ë¡ê³¼ 고분벽화로 살펴본 ë‹¹ëŒ€ì˜ ë³µì‹

중국 기ë¡ì„ 통해 고구려 ë³µì‹ì„ 살펴보면 초기ì—는 수繡와 금錦으로 장ì‹í•˜ê³  대가주부大加主簿는 뒤가 없는 ì±…å¹˜ì„ ì“°ê³  소가å°åŠ ëŠ” ì ˆí’변折風å¼ì„ ì¼ë‹¤ê³  한다. ê·€ì¸ì˜ ê´€ì€ ê³¨ì†Œë‹¤éª¨è˜‡å¤šë¼ í•˜ì—¬ ìžë¼ç´«ç¾…로 만들고 금ì€ìœ¼ë¡œ 장ì‹í•˜ì˜€ìœ¼ë©° ì˜ë³µìœ¼ë¡œëŠ” í° ì†Œë§¤ì˜ ì‚¼è¡«ì— ëŒ€êµ¬ê³ å¤§å£è¢´ë¥¼ ìž…ê³  피대皮帶를 ë ê³  황í˜ë¦¬é»ƒé©å±¥ë¥¼ 신었다고 한다. ì´ëŸ¬í•œ 기ë¡ê³¼ 고분벽화로 당시 ì˜ë³µì„ ìƒê³ í•´ ë³¼ 때 다ìŒê³¼ 같다.

ë„13 고구려 ê³ ë¶„ë²½í™”ì— ë³´ì´ëŠ” 여러 모양ì˜
새 깃털 모양 관모

ê´€å† ì€ ê´€ì¸ì€ ì ˆí’æŠ˜é¢¨ì´ ëŒ€í‘œì ì¸ 관모ì´ê³  ê·€ì¸ì€ ì—¬ê¸°ì— ë‹¤ì‹œ ë³´ê´€å¯¶å† ì„ ì¼ë‹¤. 고구려ì¸ì˜ 관모ì—서 특별한 íŠ¹ì§•ì€ ì ˆí’ì— ìƒˆê¹ƒé³¥ç¾½ì„ ê½‚ì€ ê²ƒì´ë‹¤. (ë„13)
고대 시베리아ì¸ë“¤ 사ì´ì—는 수목樹木, 초화è‰èб, ë™ë¬¼í˜•, ë…¹ê°é¹¿è§’, 조우鳥羽 등 ‘샤먼ì â€™ ì˜ì˜ë¥¼ 가진 ë‘ê´€é ­å† ì´ ì‚¬ìš©ë˜ê³  있었으며 서기 7세기경까지 중앙아시아 ë° í™”ë¶è¯åŒ—, 한반ë„ì— ìœ í–‰ë˜ì—ˆìŒì„ 알 수 있다.
ì ˆí’ì€ ìœ„ë¡œ 솟아있고 밑으로 넓게 í¼ì§„ ê³ ê¹” í˜•íƒœì˜ ê´€ëª¨ì¸ë° ì ˆí’건折風巾 · 소골蘇骨ì´ë¼ 했고 《남제서å—齊書》ì—는 ê·€ì¸ê³¼ 대관ì¸å¤§å®˜äºº · ê´€ì¸ë“¤ì´ ì¼ë‹¤ê³  기ë¡ë다. 《삼국지三國志》위지, 《후한서後漢書》, 《양서 æ¢æ›¸ã€‹, 《통전 通典》등ì—는 고구려 ê´€ì¸ì´ ì ˆí’ì„ ì¼ë‹¤ê³  나와있다. 《ë¶ì‚¬åŒ—å²ã€‹ì—는 고구려ì¸ë“¤ì€ ëª¨ë‘ ë¨¸ë¦¬ì— ê³ ê¹”[å¼]ê³¼ ê°™ì€ í˜•íƒœì˜ ì ˆí’ì„ ì¼ëŠ”ë°, 사ì¸å£«äººë“¤ì´ 쓰는 ê²ƒì€ ìƒˆê¹ƒ 2개를 꽂고, ê·€ì¸ì´ 쓰는 ê²ƒì€ ë¶‰ì€ ë¹„ë‹¨ç´«ç¾…ìœ¼ë¡œ 만들어 ê¸ˆì€ ìž¥ì‹ì„ 하여 소골ì´ë¼ 했다는 기ë¡ì´ 있다.
고구려 벽화고분 ê°ì‹ ì´, 개마ì´, 무용ì´, ìŒì˜ì´ ë“±ì— ë³´ì´ëŠ” ì ˆí’ì„ í˜•íƒœì ìœ¼ë¡œ 구별해보면 다양한 íŠ¹ì§•ì´ ë‚˜íƒ€ë‚œë‹¤. ë¶€ì¸ì€ 소박한 차림으로 ê±´ê´µå·¾å¹—ì„ í•œ ê²ƒì´ íŠ¹ì§•ì´ë‹¤. ì˜ë³µì€ 남녀 다 ê°™ì´ ê¸¸ê²Œ ì—‰ë©ì´ê¹Œì§€ 내려온 저고리를 걸치고 ê·¸ ì•„ëž˜ì— ë°”ì§€ë¥¼ 입었다. 바지는 ê·€ì¸ì¼ìˆ˜ë¡ 아랫부리가 ë„“ì€ ëŒ€êµ¬ê³ å¤§å£è¢´ë¥¼ 입었다. ê·¸ ìœ„ì— í¬ë¥¼ ê²¹ì³ ìž…ì—ˆëŠ”ë° ì´ëŸ¬í•œ ì˜ë³µì˜ ì„¶, 단, 소맷부리ì—는 ì„ ì´ë¼ê³  하는 유색 ì²œì„ ë‹¬ì•˜ë‹¤. ì˜ë³µ 중ì—는 í•©ìž„í¬åˆè¢µè¢ì˜ ì œë„ê°€ ìžˆëŠ”ë° ì´ê²ƒì€ ì¤‘ì•™ì•„ì‹œì•„ì˜ íŠœë‹‰(tunic)ì˜ ì˜í–¥ ê°™ê¸°ë„ í•˜ë‹¤. ë ëŠ” ê´€ì¸ì´ë‚˜ ê·€ì¸ì€ ì€ëŒ€éЀ叶 ë˜ëŠ” 금구í˜ëŒ€é‡‘釦é©å¸¶, 백위대白韋帶, 백피소대白皮å°å¸¶, 소피대素皮帶, ìžë¼ëŒ€ç´«ç¾…帶 등 다양하다. ì‹ ì€ í™”é´, ì´å±¥ ë“±ì´ ìžˆëŠ”ë° ê¸°ë¡ì—는 황í˜ë¦¬é»ƒé©å±¥, ì í”¼ë¦¬èµ¤çš®å±¥, 오피리çƒçš®å±¥ ë“±ì´ ë³´ì¸ë‹¤. 여복女æœì€ 남ìžì™€ ê°™ì´ ë°”ì§€, 저고리, í¬ê°€ 기본ì´ê³  색ë™ì¹˜ë§ˆì™€ 잔주름치마 등 ì¹˜ë§ˆè£³ë„ ë§Žì´ ìž…ì—ˆë˜ ê²ƒìœ¼ë¡œ ë³´ì¸ë‹¤.
ì´ëŸ¬í•œ 고구려 ì¸ë¬¼í’ì†ë„ë“¤ì€ ì¤‘êµ­ 회화사ì—서 빠질 수 없는 주요 ìœ ë¬¼ì¸ ë™ì§„ì‹œëŒ€æ±æ™‰æ™‚代 고개지(顧愷之, 344-406)ê°€ 그린 것으로 알려진 대ì˜ë°•물관 소장 《여사잠ë„女å²ç®´åœ–》와 ë¶ê²½ ê³ ê¶ë°•ë¬¼ê´€ì˜ ã€Šì—´ë…€ì¸ì§€ë„åˆ—å¥³ä»æ™ºåœ–》와 비견ë˜ëŠ” 중요한 유물ì´ë‹¤.


ìž„ì˜ì£¼ | 한-명품미술관장

í™ìµëŒ€í•™êµì—서 목칠학과를 전공하고 ë™êµ­ëŒ€í•™êµëŒ€í•™ì›ì—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전문위ì›, í™ìµëŒ€í•™êµ 미술대학 겸임êµìˆ˜ ë“±ì„ ì—­ìž„í–ˆìœ¼ë©°
현재 (사)한국무형문화예술êµë¥˜í˜‘회 회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