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 ê´€ìž¥ì˜ í•œêµ­ë¬¸ì–‘ì‚¬ â‘§ ë³´ìƒí™”문

ìƒìƒì˜ ê½ƒì¸ ë³´ìƒí™”ì˜ â€˜ë³´å¯¶â€™ëŠ” ì§„ê·€í•¨ì„ ëœ»í•œë‹¤.
천ìƒê³„를 ìƒì§•하는 ë³´ìƒí™”ë¬¸ì€ ì´ìƒí™”ë˜ê³  예술ì ìœ¼ë¡œ 가공ë¼
보는 ì´ë¡œ 하여금 부유하고 화려한 ê°ì •ì„ ëŠë¼ê²Œ 한다.
고구려벽화ì—서부터 ì¡°ì„ ì˜ ë‹¨ì²­ì— ì´ë¥´ê¸°ê¹Œì§€
다양한 모습으로 피어난 ë³´ìƒí™”ë¬¸ì— ëŒ€í•´ 살펴보ìž.

글 ìž„ì˜ì£¼ (한-명품미술관 관장)


고대 그리스 미술과 ì—°ê´€ëœ ë³´í™”ë¬¸

우리는 í”히 존귀한 ê½ƒì„ ì´ë¥´ëŸ¬ 보화寶è¯ë¼ 한다. 보화는 ìƒìƒì˜ 꽃ì´ë‹¤. ë³´ìƒí™”문寶相è¯ç´‹ì€ ì´ìƒí™”ë˜ê³  예술ì ìœ¼ë¡œ ê°€ê³µëœ ê½ƒë¬´ëŠ¬ë¡œ 보는 ì´ë¡œ 하여금 í’만하고 부유하고 화려한 ê°ì •ì„ ëŠë¼ê²Œ 하는, 현실주ì˜ì™€ 낭만주ì˜ê°€ í˜¼í•©ëœ ë¬¸ì–‘ì´ë¼ í•  수 있다. ë³´ìƒí™”ë¬¸ì˜ ê¸°ì›ì€ 고대 그리스 미술과 ì—°ê´€ëœë‹¤. 그리스 ë¯¸ìˆ ì€ ë„“ì€ ì˜ë¯¸ë¡œ í•´ì„하면 선사시대 기ì›ì „ 2,000ë…„ê¸°ì˜ í¬ë ˆíƒ€ì™€ ë¯¸ì¼€ë„¤ì˜ ë¯¸ìˆ ì„ ê°€ë¦¬í‚¤ë©° ì¼ë°˜ì ìœ¼ë¡œëŠ” 아르카ì´í¬ê¸° ì´í›„ 헬레니스티í¬ê¸° ë§ê¸°ê¹Œì§€ì˜ ë¯¸ìˆ ì„ ë§í•œë‹¤. 그리스 ì½”ë¦°íŠ¸ì‹ ì›í˜•주ë‘åœ“å½¢æŸ±é ­ì˜ ë©êµ´ìž¥ì‹ìœ¼ë¡œ 아칸서스(acanthus) 무늬, í”히 연꽃ì´ë¼ 부르는 로터스(lotus) ì–‘ì‹ê³¼ ì¸ë™ë©êµ´ì´ë¼ 하는 허니서í´(honeysuckle)무늬가 ìžˆëŠ”ë° ì´ ë¬¸ì–‘ë“¤ì€ ë³´ìƒë‹¹ì´ˆë¬¸ì˜ 구성 요소ì´ë‹¤. (ë„1, ë„2)

(왼쪽) ë„1 그리스 ì½”ë¦°íŠ¸ì‹ ê±´ì¶•ì˜ ì•„ì¹¸ì„œìŠ¤ë‹¹ì´ˆì™€ 화문으로 ì´ë£¨ì–´ì§„ ë³´ìƒë‹¹ì´ˆë¬¸ì˜ ì›ë¦¬, 5세기 중반, 마ë¼ìž 사ì›
(오른쪽) ë„2 그리스 아테네신전 Propylaca문 장ì‹ë¬´ëЬ, 기ì›ì „ 12세기경



ë©êµ´ë¬´ëŠ¬ì¸ ë‹¹ì´ˆë¬¸ì€ ê³ ëŒ€ ì´ì§‘트ì—서 ë°œìƒí•˜ì—¬ 그리스ì—서 완성ë으며 ë¶ì•„프리카, 시리아, 메소í¬íƒ€ë¯¸ì•„, 소아시아, 페르시아 등 로마어를 사용하는 여러 나ë¼ì™€ ì¸ë„, 중국, 한국, ì¼ë³¸ 등 광범위한 지역ì—서 ë‹¹ì´ˆë¬¸ì„ ë‹¤ì–‘í•˜ê²Œ 사용했다. ë‹¹ì´ˆë¬¸ì€ ë°œìƒì§€ì—­ì— ë”°ë¼ì„œ ê·¸ë¦¬ìŠ¤ì˜ ì•ˆí…Œë¯¸ì˜¨(Anthemion)계와 ì•„ë¼ë¹„ì•„ì˜ ì•„ë¼ë² ìФí¬(Arabesque)계로 구분할 수 있다. ì•ˆí…Œë¯¸ì˜¨ê³„ì˜ ë‹¹ì´ˆë¬¸ì€ ë²½í™”ë¡œí„°ìŠ¤ 당초, 팔메트 당초, 아칸서스가 있으며 ë‹¤ê°™ì´ ê³ ëŒ€ 그리스 ì‹ë¬¼ ë¬¸ì–‘ì— ê¸°ì›í•œë‹¤. ì´ì¤‘ 팔메트 당초문 ê³„í†µì€ ìš°ë¦¬ë‚˜ë¼ì—서는 고구려 ê³ ë¶„ ë²½í™”ì˜ ìž¥ì‹ ë¬´ëŠ¬ë¡œì„œ 나타나는 당초문ì¸ë°, ì¸ë™ ë‹¹ì´ˆë¬¸ì˜ ëª¨ì²´ë¼ í•  수 있다. ì´ ë¬¸ì–‘ì€ BC 4ì„¸ê¸°ì— ì•Œë ‰ì‚°ë” ëŒ€ì™•ì˜ ë™ì •æ±å¾ê³¼ ë”불어 ë™ë°©ì— 전래ë˜ì–´ íŽ˜ë¥´ì‹œì•„ì˜ ì‚¬ì‚°(Sassan) ì™•ì¡°ì— ì™€ì„œ ë³´ìƒ ë‹¹ì´ˆë¬¸ìœ¼ë¡œ 발전했다. ì´í›„ ì¤‘êµ­ì— ì „ëž˜ë˜ì–´ 불êµë¬¸í™”ì˜ ìœµì„±ê³¼ ë”불어 ë”ìš± 새로운 ìž¥ì‹ ë¬¸ì–‘ìœ¼ë¡œ 발전하게 ë˜ì—ˆìœ¼ë©°, 한국ì—ì„œë„ ê³ ëŒ€ 불êµë¯¸ìˆ  ì–‘ì‹ì˜ 하나로 다채로운 ì–‘ìƒì„ ë ê²Œ ë˜ì—ˆë‹¤. ì•„ë¼ë² ìŠ¤í¬ ë‹¹ì´ˆë¬¸ì€ í†µì¼ ì‹ ë¼ë¥¼ 전후하여 사ë¼ì„¼ê³¼ ë¹„ìž”í‹´ì‹ ë‹¹ì´ˆ 형ì‹ì´ 전래ë¨ìœ¼ë¡œì¨ 와전류瓦塼類를 비롯한 건축물과 ê¸ˆì† ê³µì˜ˆì—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ê¸ˆì† ê³µì˜ˆë¡œëŠ” 불구佛具, 불기佛器 ë“±ì— ë§Žì´ ë‚˜íƒ€ë‚˜ë©°, ë³´ìƒí™”로 발전하게 ëœë‹¤.

(왼쪽) ë„3 ëˆí™© 103êµ´ 천정벽화 / (오른쪽) ë„4 ëˆí™© 159êµ´ 벽화로터스



ë„5 강서 ìš°í˜„ë¦¬ì¤‘ë¬˜ì— ê·¸ë ¤ì§„ 고구려 고분벽화, 6세기미술


고구려벽화ì—ë„ ë“±ìž¥í•œ ë³´ìƒí™”문

ëˆí™©æ•¦ç…Œì€ ì¤‘êµ­ì˜ ë¶ˆêµ ë¬¸í˜¸é–€æˆ¶ë¡œ ì„œì—­ê³¼ì˜ êµí†µ 요지ì´ë‹¤. ì„굴사石窟寺 불êµìœ ì ì€ 벽화와 소ìƒ(å¡‘åƒ, 정제한 ì í† ë¡œ 만든 형ìƒ)ì´ ìœ ëª…í•œë°, 여기ì—는 ê°„ë‹¤ë¼ ë§ê¸°ì˜ ì–‘ì‹ê³¼ 함께 그리스건축 ë¯¸ìˆ ì˜ ì˜í–¥ì´ ì—­ì—­í•¨ì„ ë³¼ 수 있다. ì´ ë¬¸í™”ëŠ” 중국 당나ë¼ì™€ì˜ êµë¥˜ë¥¼ 통해 우리나ë¼ì—까지 ì˜í–¥ì„ 미쳤다. (ë„3, ë„4)
êµ­ë‚´ì—서 ë³´ìƒí™”ë¬¸ì€ ì´ë¥¸ë°” ë‹¹ë‚˜ë¼ í’ì´ë¼ëŠ” ì˜ë¯¸ì¸ 당화å”花ë¼ëŠ” ì´ë¦„으로 유행했는ë°, 8세기 중엽 통ì¼ì‹ ë¼ê¸°ì— 와서 우리나ë¼ë§Œì˜ ë…ì°½ì  ì–‘ì‹ì„ 드러내기 시작한다. 그러나 고구려 고분벽화 중 우현리중묘, 대묘 ë“±ì˜ í˜„ì‹¤ ì²œì •ë°›ì¹¨ì„ ë²½í™”, í™˜ë¬¸ì´ í˜„ì‹¤ ì£¼í˜•ë„æŸ±å½¢åœ–ì—서 ì´ë¯¸ ëˆí™© ë§¥ì ì‚° ì„굴사ì›ì—ì„œì˜ ë³´ìƒí™”ë¬¸ì´ ê·¸ë ¤ì§„ ê²ƒì„ ë³´ì•„ 훨씬 오래전부터 êµ­ë‚´ì— ë³´ìƒí™”ë¬¸ì´ ì „íŒŒëìŒì„ 알 수 있다.(ë„5) 고려시대 12세기 중엽ì—는 ë¶ˆêµ ë¯¸ìˆ  ì „ë°˜ì€ ë¬¼ë¡  나전 칠기와 ìƒê° ì²­ìž ë“±ì—ì„œë„ ë³´í™”ë¬¸ì„ ë§Žì´ ë°œê²¬í•  수 있다. ë„ìžê¸°ëŠ” 송ìžå®‹ç£, ì›ìžå…ƒç£ì—서 ì˜í–¥ì„ ë°›ì€ ê²ƒìœ¼ë¡œ ë³´ì¸ë‹¤.
가야 지방ì—서 출토ë˜ì—ˆë‹¤ê³  전하는 ë‹¤ìˆ˜ì˜ ê¸ˆì œ 장ì‹í’ˆì€ ì‹ ë¼ì‹œëŒ€ì˜ 금공 ë¯¸ìˆ ì˜ ë©´ëª¨ë¥¼ ë³´ì—¬ 주는 귀중한 ìžë£Œì´ë‹¤. ì´ ê¸ˆê³µí’ˆë“¤ì€ ì–´ë–¤ ìž¥ì‹ êµ¬ì˜ í…Œë‘ë¦¬ì— ë¶™ì˜€ë˜ ê²ƒìœ¼ë¡œ ë³´ì´ëŠ” 금제테와, 금사로 만든 ì‚° 모양, 능화형è±èб形, 방형方形, 사íŒí™”四瓣花 ë“±ì˜ ì†Œí˜• 장ì‹í’ˆê³¼ 수엽형樹葉形, 새날개형, 국화형, ë³´ìƒí™”형 ë“±ì— ëŒ€ëª¨çŽ³ç‘를 ê°ìž¥í•˜ê±°ë‚˜ ì¹ æ¼†ì„ ê°ìž…嵌入한 ê°ì¢… 세공 장ì‹í’ˆì´ë‹¤.
ë™ì›æ±åž£ ì´í™ê·¼æŽæ´ªæ ¹ì˜ 수집품 중 í•˜ë‚˜ì¸ ë™ì œ ê±°ìš¸ì€ ë°°ë©´ ë‚´êµ¬ì— í‘ì¹ ì„ ë‘ê»ê²Œ 입힌 ë‹¤ìŒ í‘œë©´ì— ê¸ˆì€íŒì„ 오려 무늬를 ë¶™ì´ê³  í‘œë©´ì„ ê³ ë¥´ê²Œ 마연한 í‰íƒˆ 기법으로 ì œìž‘ëœ ê²ƒìœ¼ë¡œ ì—¬ê¸°ì— ë³´ìƒí™”문, 서화문, 봉황문, 서금문 ë“±ì˜ ë¬´ëŠ¬ë¥¼ ë³¼ 수 있다. ì´ ë‚˜ì „ ê±°ìš¸ì˜ ë¬´ëŠ¬ì™€ ê¸°ë²•ì´ ì¤‘êµ­ 당경å”é¡ì´ ì¼ë³¸ ì •ì°½ì›æ­£å€‰é™¢ì— 소장ë˜ì–´ 있는 나전경과 ë™ì¼í•˜ë‹¤. ì´ëŸ¬í•œ 나전 ìž¥ì‹ ê¸°ë²•ì€ 8∼9세기를 즈ìŒí•˜ì—¬ 중국, 한국, ì¼ë³¸ 등ì—서 ìœ í–‰í–ˆë˜ ê²ƒìœ¼ë¡œ ì§ìž‘ëœë‹¤. (ë„6, ë„7, ë„8)

(왼쪽) ë„6 <ë³´ìƒí™”문8능화경>, ì¼ë³¸ ì •ì°½ì› ì†Œìž¥
(오른쪽) ë„7 <í‰íƒˆë‚˜ì „복채보ìƒí™”문8능경>, 8세기경, ì¼ë³¸ ì •ì°½ì›ë³´ê³  소장, ì´í™ê·¼ 수집품 ê°€ìš´ë° ë™ì œê±°ìš¸ê³¼ í¡ì‚¬í•œ 유물ì´ë‹¤



(왼쪽) ë„8 털로 ì§  양탄ìžì¸ 화전花氈, 당대å”代 7세기, ì¼ë³¸ ì •ì°½ì› ì†Œìž¥
(오른쪽) ë„9 선림ì›ì¢…ì˜ ë³´ìƒí™”문 당좌, 통ì¼ì‹ ë¼


통ì¼ì‹ ë¼ê¸°ì— ë…ì°½ì ì¸ ì–‘ì‹ìœ¼ë¡œ 발전

ë„10 《대방광불화엄경》 í‘œì§€ì˜ ë³´ìƒë‹¹ì´ˆë¬¸
754-755ë…„ìž‘

ë³´ìƒí™”문 형ì‹ì˜ ì—°í™”ë¬¸ì€ í†µì¼ì‹ ë¼ê¸°ì˜ 모든 미술ì—서 ë³´ì´ëŠ” ì—°í™” ì–‘ì‹ìœ¼ë¡œ ë²”ì¢…ì˜ ë‹¹ì¢Œ(ì¢…ì„ ì¹  ë•Œì— ë§ì¹˜ê°€ 늘 닿는 ìžë¦¬)를 비롯하여 금고金鼓 ë“±ì˜ ê¸ˆê³µí’ˆ, 와당(ê¸°ì™€ì˜ ë§ˆêµ¬ë¦¬. 막새나 ë‚´ë¦¼ìƒˆì˜ ëì— ë‘¥ê¸€ê²Œ ëª¨ì–‘ì„ ë‚¸ 부분) 등ì—서 찾아볼 수 있다. ë³´ìƒí™”문 형ì‹ì—서는 4ì—½ í™”ë¬¸ë„ ë‚˜íƒ€ë‚˜ëŠ”ë°, ì´ëŠ” 고구려 ì™€ë‹¹ì˜ 4엽문과 유사하여 ê·¸ 형ì‹ì—서 ë³´ìƒí™”문으로 ë³€í™”ëœ ê²ƒìž„ì„ ì•Œ 수 있다. ì‹ ë¼ ì™€ë‹¹ì˜ ë˜ í•œ 가지 íŠ¹ì§•ì€ ì™€ë‹¹ ì£¼ì—°ì— ì¢ì€ 연주문대가 대부분 ëŒë ¤ì¡Œë‹¤ëŠ” 것으로 간혹 ì£¼ì—°ì— ì´ˆí™” 무늬를 장ì‹í•˜ì—¬ 좀 ë” í™”ë ¤í•œ ì–‘ìƒì„ ë¤ ê²ƒë„ ìžˆë‹¤. (ë„9)
통ì¼ì‹ ë¼ê¸° ë§ê¸°ì—는 좀 ë” ë„ì‹í™”ë˜ëŠ” ê²½í–¥ì´ ë³´ì´ì§€ë§Œ í™”íŒì„ 묶어주는 꽃받침(단청 용어로는 묶ìŒì´ë¼ 함)ì´ ë‹¨ìˆœí•œ 소용ëŒì´ 모양으로 ì „ê°œë˜ê³ , ë©êµ´ ì¤„ê¸°ë„ ì†Œìš©ëŒì´(단청용어로는 곱팽ì´ë¼ 함) 모양으로 ë„안화ë˜ê³  있다. 통ì¼ì‹ ë¼ì‹œëŒ€ ë³´ìƒí™”ë¬¸ì€ ê½ƒìžŽì— ì˜í•˜ì—¬ 단엽형ì‹ê³¼ 복엽형ì‹ìœ¼ë¡œ 분류ë˜ë©°, ê³ ì‹ ë¼ ë§‰ìƒˆê¸°ì™€ 연화문와당 문양형ì‹ì— íŒ”ë©”íŠ¸ì—½ì„ ê°€ë¯¸í•œ í•˜íŠ¸ëª¨ì–‘ì˜ 8ì—½ 꽃무늬 형ì‹ì„ 발견할 수 있다. ì´ëŸ¬í•œ 꽃무늬는 경주 í¥ë¥œì‚¬ 집터와 임해전터 등ì—서 ë°œêµ´ëœ ë§‰ìƒˆê¸°ì™€ì—서 ë³¼ 수 있다.
754-755ë…„ê²½ ì œìž‘ëœ ì‹ ë¼ ê²½ì „ìœ¼ë¡œ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è¯åš´ç¶“》 í‘œì§€ì— ê¸ˆë‹ˆé‡‘å°¼ë¡œ 그려진 ë³´ìƒë‹¹ì´ˆë¬¸ì€ ìš°ë¦¬ë‚˜ë¼ ìžë£Œë¡œì„œëŠ” 가장 ì˜¤ëž˜ëœ ê·¸ë¦¼ì¼ ê²ƒì´ë‹¤. (ë„10)
ì„±ë• ëŒ€ì™• ì‹ ì¢…ì˜ ë‹¹ì¢Œæ’žåº§ëŠ” 능화형è±èŠ±å½¢ì˜ ìžë°©ì„ 중심으로 ê½ƒìˆ ì´ ë‘˜ë ¤ì§„ ë³µíŒì¤‘엽複瓣é‡è‘‰ì˜ 8ì—½ 연화가 형성ë˜ì—ˆë‹¤. í™”íŒ ì•ˆì—는 화문 장ì‹ì´ 화려하게 구성ë˜ì–´ í†µì¼ ì‹ ë¼ê¸°ì˜ 전형ì ì¸ ë³´ìƒí™”ë¬¸ì„ ì´ë£¨ë©°, ì´ëŸ¬í•œ ë¬¸ì–‘ì€ ê°™ì€ ì‹œê¸°ì˜ ì‹ ë¼ ì™€ë‹¹ê³¼ 전塼ì—서 주로 나타나는 형ìƒì´ë‹¤.
ì™€ë‹¹ì€ í†µì¼ì‹ ë¼ê¸°ë¶€í„°ëŠ” 전혀 색다른 ë…ìžì ì¸ ì–‘ì‹ì„ ë³´ì´ê³  있다. 단엽 팔메트(åŠíŒ”메트)를 좌우 ìƒì¹­ç›¸ç¨±ì‹œì¼œì„œ í™”íŒì„ ì´ë£¨ëŠ”ë°, ì´ë•ŒëŠ” 대개 8ì—½ 형ì‹ì´ 주류를 ì´ë£¬ë‹¤. ê·¸ ë‚´ì—½ì€ íŒì—½ì´ ìŒì„ ì´ë£¬ í™œíŒ ì—°í™”ë¡œì„œ 중방부中房部 주위를 ë‘르고 있다. (ë„11)
ì‹ ë¼ì˜ ë¬¸ì–‘ì „ì€ ì£¼ë¡œ ë³´ìƒí™”문ì´ë‚˜ ì—°í™”ë¬¸ì´ ë‚˜íƒ€ë‚˜ëŠ”ë°, í†µì¼ ì‹ ë¼ì˜ 화려한 불êµë¬¸í™”를 ë°˜ì˜í•˜ë“¯ ë¬¸ì–‘ì´ ì¡°ê°í’ˆì²˜ëŸ¼ 매우 섬세하고 아름답다. ì¼ë¡€ë¡œ 경주 안압지é›é´¨æ± ì—서 ë°œê²¬ëœ ì „ì„ ë“¤ 수 있다. 방형, 장방형, 삼ê°í˜• ë“±ì˜ ì—¬ëŸ¬ 종류로 ê·¸ ë¬¸ì–‘ì€ ì—°í™”ë¬¸ì„ ë¹„ë¡¯í•˜ì—¬ ë³´ìƒí™”문, ìŒë¡ë¬¸, ë³´ìƒë‹¹ì´ˆë¬¸ 등으로 화려하다. 네 모í‰ì´ì— ë³´ìƒ ë‹¹ì´ˆë¬¸ì„ ìž¥ì‹í•˜ì—¬ ì´ ì „ì„ ì¢Œìš°ìƒí•˜ì— ì—°ì†ì‹œí‚¤ë©´ 화려한 사방 ì—°ì†ë¬´ëŠ¬ê°€ ì´ë£¨ì–´ì§€ë„ë¡ êµ¬ìƒí–ˆë‹¤. (ë„12, ë„13)
조선시대 청화백ìžë¡œì„œ 명대明代 ì´ˆê¸°ì˜ ê²½ë•ì§„ìš”ì—서 ì˜í–¥ì„ ë°›ì€ ë°±ìžì²­í™”ë³´ìƒë‹¹ì´ˆë¬¸ë°˜ (조선시대 15세기. ì¼ë³¸ Ataka콜렉션)ê³¼ ë°±ìžì²­í™”ë³´ìƒë‹¹ì´ˆë¬¸í•­ì•„리(조선시대 15세기. ì¼ë³¸ ê°œì¸ì†Œìž¥)는 ë³´ìƒí™”ë¬¸ì´ ì§€ë‹Œ 종êµì  ì„±ê²©ì„ ìž˜ 보여주고 있다. (ë„14, ë„15)

ë„11 ë³´ìƒí™”문 ì „ëŒ, 통ì¼ì‹ ë¼ì‹œëŒ€



(왼쪽) ë„12 ë³´ìƒí™”문 ì „ëŒ, 통ì¼ì‹ ë¼ì‹œëŒ€
(오른쪽) ë„13 ë³´ìƒí™”문 ì „ëŒì„ ì—°ì†ì‹œì¼œ ë†“ì€ ë¬¸ì–‘



(왼쪽) ë„14 <ë°±ìžì²­í™”ë³´ìƒë‹¹ì´ˆë¬¸ë°˜>, 조선시대 15세기, ì¼ë³¸ Ataka 콜렉션
(오른쪽) ë„15 <ë°±ìžì²­í™”ë³´ìƒë‹¹ì´ˆë¬¸í•­ì•„리>, 조선시대 15세기, ì¼ë³¸ ê°œì¸ì†Œìž¥

단청 ì† ë‹¤ì–‘í•œ ë³´ìƒí™”문

단청ì—서는 ê°ì¢… 머리초 ì–‘ì‹ì—서 ë³´ìƒí™”ë¬¸ì˜ ì–‘ì‹ì´ ë„ìž…ëœë‹¤. (ë„16, ë„17, ë„18) 연화머리초는 연꽃과 ì„류石榴· 녹화綠花(당초)ë“±ì´ ë³µí•©ì ìœ¼ë¡œ ì¡°í•©ëœ ë¬¸ì–‘ì´ë‹¤. 연화머리초는 ì†ë…¹í™”를 꽃받침으로 하여 만개한 부채꼴 연꽃 ìœ„ì— ì„류와 항아리ë¼ëŠ” ì›í˜• 무늬를 ê²°í•©ëœ ì„류ë™ì´ë¼ëŠ” ê²ƒì„ ë°°ì¹˜í–ˆë‹¤. 좌우 둘레ì—는 주화朱花를 절충하고 ê·¸ ë‘˜ë ˆì— ê³±íŒ½ì´(소용ëŒì´ 무늬, ë©êµ´ì˜ 변형)를 ë‘ ê²¹ìœ¼ë¡œ 장ì‹í–ˆë‹¤.
주화머리초ë¼ëŠ” ê²ƒì€ ë¨¸ë¦¬ì´ˆ 온 ë°”íƒ•ì— 4ì—½ì˜ ê½ƒë¬´ëŠ¬(4íŒí™”)를 주문양으로 그린 ê²ƒì„ ë§í•˜ëŠ”ë°, 주로 조선시대 ê¶ê¶ì˜ 침전寢殿, í–¥êµ ê±´ì¶• ë“±ì— ì‹œë¬¸ëœë‹¤.
녹화머리초는 소용ëŒì´ ëª¨ì–‘ì˜ ë‹¹ì´ˆ, 즉 곱팽ì´ë¥¼ 좌우 대칭으로 배치 구성한 것ì´ë‹¤. 여기ì—서 ê³±íŒ½ì´ ìœ„ì— ê½ƒìžŽì´ ë°˜ì „ë˜ì–´ ë®ì¸ 형ìƒì„ 번엽ì´ë¼ 한다. ì´ê²ƒì€ 그리스 건축장ì‹ì˜ ì½”ë¦°íŠ¸ì‹ ì´íŒŒë¦¬ ëì´ ëŒëŒ ë§ë ¤ë“¤ì–´ê°„ 모양ì—서 ë³€ì²œëœ ê²ƒì´ë‹¤.
파련화波蓮花는 코린트 ì–‘ì‹ì˜ 팔메트엽으로 êµ¬ì„±ëœ í˜•ì‹ìœ¼ë¡œ ì´ ë¬´ëŠ¬ 역시 고대 그리스 장ì‹ë²•ì—서 ë¹„ë¡¯ëœ ê½ƒë¬´ëŠ¬ë¼ í•  수 있다. (ë„19, ë„20)
ë˜í•œ ì—¬ì˜ë‘문如æ„é ­ç´‹ì´ë¼ëŠ” ê½ƒë¬´ëŠ¬ë„ íŒ”ë©”íŠ¸ ì–‘ì‹ì˜ 변형으로 ë™ì–‘ ê³ ëž˜ì˜ ë¬¸ì–‘ì—서는 구름모양雲形ì—서 ë¹„ë¡¯ëœ ë¬¸ì–‘ì´ë‹¤. (ë„21)
ë˜ í•œêµ­ ê³ ê±´ì¶•ì˜ ë¶€ìž¬, 부연, 서까래, ë³´, ë„리, í‰ë°©, 창방, 사래, 추녀, 첨차 ë“±ì˜ ë 마구리 뺄목문양ì—는 천하태í‰ì„ 기ì›í•˜ëŠ” 태í‰í™” ë„ì•ˆì´ ë“¤ì–´ê°„ë‹¤. (ë„22, ë„23, ë„24) ì´ ë§ˆêµ¬ë¦¬ì— ë“¤ì–´ê°€ëŠ” ë³´ìƒí™”ë¬¸ì€ ê·¸ë¦¬ìŠ¤ ê±´ì¶•ì—서 ì „í•´ì§„ 성화è–畵 ì–‘ì‹ì˜ 하나로 ì „í•´ì ¸ 오는 매우 귀한 문양ì´ë¼ëŠ” ì ì—서 특히 주목ëœë‹¤.


(왼쪽) ë„17 조선시대 ê¶ê¶ë‹¨ì²­ì˜ 국화반ìžì´ˆ
(오른쪽) ë„18 조선시대단청. ê²½ë³µê¶ ëŒ€ëŸ‰ì´ˆ ìž¥êµ¬ë¨¸ë¦¬ì´ˆì˜ ì›…í™”



(왼쪽) ë„19 조선시대 ê¶ê¶ë‹¨ì²­ì˜ 파련화 ë°˜ìžì´ˆ / (오른쪽) ë„20 단청 파련화 í˜•ì‹ ë³´ìƒí™”문



ë„21 단청 ì—¬ì˜ë‘문 í˜•ì‹ ë³´ìƒí™”문



ë„22, ë„23, ë„24 태í‰í™”



ìž„ì˜ì£¼ | 한-명품미술관장

í™ìµëŒ€í•™êµì—서 목칠학과를 전공하고 ë™êµ­ëŒ€í•™êµëŒ€í•™ì›ì—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전문위ì›, í™ìµëŒ€í•™êµ 미술대학 겸임êµìˆ˜ ë“±ì„ ì—­ìž„í–ˆìœ¼ë©°
현재 (사)한국무형문화예술êµë¥˜í˜‘회 회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