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 ê´€ìž¥ì˜ í•œêµ­ë¬¸ì–‘ì‚¬ ⑤ ìš°ë¦¬ë‚˜ë¼ ì˜› 산경문
– 산수가 í’ˆì€ ìœ í† í”¼ì•„

산수화山水畵는 ì‚°ê³¼ ê°• 등 ìžì—° ê²½ê´€ì„ ì†Œìž¬ë¡œ 그린 ë™ì–‘회화 4대 화문畵門 중 하나로서
산경화山景畵ë¼ê³ ë„ 하며 ì¸ê°„ì˜ ìžì—°ê´€ê³¼ ë†ê²½ì„ 중심으로 ìƒí™œì„ ì˜ìœ„해온 ì‚¶ì˜ ëª¨ìŠµì„ ë°˜ì˜í•œë‹¤.
산수화는 ì‚°ì•…å±±å²³ì„ ì„ ì¸ä»™äººê³¼ 진수çç¸ê°€ 사는 ì˜ì  세계로 보았ë˜
ì„ ì¡°ë“¤ì˜ ì‹ ì„ ì‚¬ìƒê³¼ë„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글 ìž„ì˜ì£¼ (한-명품미술관 관장)


고대 í† ê¸°ì— ìƒˆê²¨ì§„ ì‚°ê²½ë¬¸ì€ ë‹¹ì‹œ ì‚¬ëžŒë“¤ì´ ì‚°ì•…ì— ëŒ€í•´ ì§€ë…”ë˜ ì‹ ì•™ê³¼ ìˆ­ê²½ì‹¬ì„ ë“œëŸ¬ë‚¸ë‹¤. ì‚°ì•…ì€ ë‹¨ìˆœížˆ í’ê²½ì´ ì•„ë‹ˆë¼ ìš°ì£¼ì˜ ì²œì§€ ì‚¬ë°©ì„ ì§„ìœ„éŽ­æ…°í•˜ëŠ” 신성한 ë™ë¬¼ë“¤ê³¼ ì„ ì¸ì˜ 세계를 ì˜ë¯¸í•œë‹¤, 우리나ë¼ì—서 산수화가 발전하기 시작한 ê²ƒì€ ë„“ì€ ì˜ë¯¸ì—서 ì‚¼êµ­ì‹œëŒ€ë¶€í„°ë¼ í•  수 있다. 삼국시대ì—ì„œë„ 4, 5세기경 고구려 고분벽화ì—서 ì‚°ì•…ì´ë‚˜ ìˆ˜ëª©ì„ í‘œí˜„í•œ ê·¸ë¦¼ì€ ìˆ˜ë µ 활ë™ì„ 배경으로 그렸다. 중국 ëˆí™©æ•¦ç…Œ 벽화 초기작ì—서는 간다ë¼(Gandhara) ë§ê¸°ì˜ ì–‘ì‹ì„ 나타내는 산수ë„를 ë³¼ 수 있다(ë„1).

ì¤‘êµ­ì˜ ë¶„ë¬˜ ì–‘ì‹ì— ì˜í–¥ 받았으나 ë…ì°½ì  ì¡°í˜•ì„¸ê³„ ì´ë£¬ 고구려 산수화

4세기 중엽 ì´í›„ ë™êµ´ì‚¬ì›ì— ì¡°ì„±ëœ ì‚°ìˆ˜í™”ëŠ” 중국 ìœ¡ì¡°ì‹œëŒ€å…­æœæ™‚代 ë¯¸ìˆ ì— ì˜í–¥ì„ 주었고(ë„2), 고구려 ê³ ë¶„ 벽화ì—ì„œë„ ê·¸ ì–‘ì‹ì´ 나타난다. 고구려 고분벽화가 그려진 시기는 고구려가 êµ­ê°€ì  ì²´ì œë¥¼ ê±°ì˜ ì™„ë¹„í•˜ê³ , ì´ë¥¸ë°” ì „ì„±ê¸°ì— í•´ë‹¹í•˜ëŠ” 4세기부터 7세기 ì¤‘ì—½ì— ì´ë¥´ëŠ” 시기였다. 당시 ì¤‘êµ­ì˜ ì •ì„¸ê°€ 육조 시대ì—서 수隋, 당å”ì— ì´ë¥´ëŠ” 혼란기였기 ë•Œë¬¸ì— ê³ êµ¬ë ¤ëŠ” 비êµì  대등한 위치ì—서 êµë¥˜í•  수 있었으므로 정치, 종êµ, 문화 등 ê° ë¶„ì•¼ì—서 비등한 ì„±ê²©ì„ ì§€ë…”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ë˜ ìœ å„’Â·ë¶ˆä½› 2대 종가宗家가 ê°™ì´ ìˆ˜ìš©ë˜ì–´ ê·¸ 시대 제반 미술과 ê°™ì´ ê³ ë¶„ 벽화ì—ì„œë„ ë„êµ, 불êµ, 유êµì ì¸ 요소가 혼용ë˜ì–´ 있는 ê²ƒì„ ë³¼ 수 있다.
고구려 ê³ ë¶„ë²½í™”ì˜ ë¬¸ì–‘ì€ ëŒ€ê°œ 천정ì´ë‚˜ 천정 ë°›ì¹¨ì— ì˜ìž¥ëœ 장ì‹ì ì¸ 문양과 현실玄室 벽면 ë“±ì— ê·¸ë ¤ì§„ ë‹¹ì‹œì˜ ìƒí™œ ê´‘ê²½, 수렵 ê´‘ê²½, 무용 ê´‘ê²½, 연회 ê´‘ê²½ 등 회화ì ì¸ 그림까지 ë‘ ìœ í˜•ìœ¼ë¡œ 구분할 수 있다. ì´ ê·¸ë¦¼ë“¤ì€ ì‹œëŒ€ì— ë”°ë¥¸ 분묘 êµ¬ì¡°ì˜ ë³€ì²œì— ë”°ë¼ì„œ 문양ì´ë‚˜ ê·¸ë¦¼ì˜ ì†Œìž¬ê°€ 달ë¼ì§€ê³  ì–‘ì‹ì„ 달리 한다. ì´ëŸ¬í•œ ë¬¸ì–‘ë“¤ì€ ëŒ€ë¶€ë¶„ 중국 분묘 ì–‘ì‹ì˜ ì˜í–¥ì„ ë°›ì€ ê²ƒì´ì§€ë§Œ, ëª¨ë°©ì— ê·¸ì¹˜ì§€ 않고 민족 ì „í†µì˜ í† ì°©ë¬¸í™”ì™€ ìœµí™”í•¨ìœ¼ë¡œì¨ ë‚˜ë¦„ëŒ€ë¡œì˜ ì¡°í˜•ì  ì„¸ê³„ë¥¼ ì´ë£¨ê³ ìží–ˆë˜ ì˜ì§€ë¥¼ ì—¿ë³¼ 수 있다.
가령, 무용ì´èˆžè¸Šå¡š 전실 ë™ë²½ì— 그려진 수렵ë„ç‹©çµåœ–(ë„3)는 한대 í™”ìƒë¬¸ì „畵åƒç´‹å¡¼(ë„4) 낙랑樂浪 유ì ì—서 ë°œê²¬ëœ í•œëŒ€æ¼¢ä»£ì˜ ë™ì œê¸ˆìƒê°í†µéŠ…è£½é‡‘è±¡åµŒç­’ 등ì—서 유사한 í‘œí˜„ì„ ë°œê²¬í•  수 있다. ì´ëŸ¬í•œ íŠ¹ì„±ì€ ê³ êµ¬ë ¤ë²½í™” ê³ ë¶„ë¿ë§Œ ì•„ë‹ˆë¼ ì‚¼êµ­ì‹œëŒ€ 조형 미술ì—ì„œë„ ë°œê²¬í•  수 있다. ë²½í™”ì˜ ê·¸ë¦¼ì€ ì„벽면石å£é¢ì— 회ç°ë¥¼ 바르고 íšŒì¹ ì´ ì±„ 마르기 ì „ì— í‘, 황토, 녹청, ì ìƒ‰, ìžìƒ‰ ë“±ì˜ ë¬¼ê°ìœ¼ë¡œ ê·¸ë¦¼ì„ ê·¸ë¦¬ëŠ”, ì´ë¥¸ë°” 후레스코(fresco)ë²•ì´ ì“°ì—¬ì§€ê³  ë˜í•œ ìœ¤ê³½ì„ ë¬µì„ ìœ¼ë¡œ 그리고 난 ë‹¤ìŒ ì±„ìƒ‰í•œ ê¸°ë²•ì„ ë³¼ 수 있다. 녹청, êµ°ì²­, ìží† , 호분, 황토 등 다채로운 색채로 그려진 ì´ ë¬¸ì–‘ë“¤ì€ ëª©íƒ„ 등으로 스케치를 한 ë‹¤ìŒ ì±„ìƒ‰í•œ 구륵법鉤勒法과 í•„íšìœ¼ë¡œ 표현한 백묘白æë°©ì‹ìœ¼ë¡œë„ 그려졌다. ì´ë ‡ë“¯ ë¬˜ì‹¤ì˜ ë‚´ë¶€ì— ë‹¤ì±„ë¡œìš´ 벽화를 그리게 ëœ ê²ƒ ì´ìœ ëŠ” ë‹¹ì‹œì˜ ì˜í˜¼ 불멸 사ìƒì—서 기ì¸í•œ 것으로 ë³´ì¸ë‹¤. ì¸ê°„ì˜ ìœ¡ì‹ ì˜ ì£½ì–´ë„ ì˜í˜¼ì€ ì˜ì›ížˆ 남아서 존재한다고 ë¯¿ì—ˆë˜ ê²ƒì´ë‹¤. ê·¸ë¦¼ì˜ ë‚´ìš©ìœ¼ë¡œëŠ” ì‚°ì•…ê³¼ 천신, 지신, 천ìƒê³„ì˜ ê°ì¢… 서조, 서수 등과 ë™, 서, 남, ë¶ì— 해와 ë‹¬ì´ ë‚˜íƒ€ë‚œ 천ìƒë„天上圖 ë“±ì´ ìžˆì–´ ìž‘í’ˆì„ í†µí•´ ë‹¹ì‹œì˜ ìš°ì£¼ê´€ì„ ì—¿ë³¼ 수 있다.
고구려 벽화고분 ê°•ì„œëŒ€ë¬˜ì— ë³´ì´ëŠ” ì‚¼ì‚°í˜•ä¸‰å±±å½¢ì˜ ì‚°ì•… 형태(ë„5)와 강서중묘 현실 í˜„ë¬´ë„ ë°°ê²½ì— ê·¸ë ¤ì§„ ì‚°ê³¼ ì‚° 사ì´ì˜ 공간(ë„6), 신비스러운 ê½ƒêµ¬ë¦„ì´ íŽ¼ì¹˜ëŠ” ì‹ ë¹„ê²½ç¥žç§˜å¢ƒì€ ê³ êµ¬ë ¤ì¸ë“¤ì˜ ì‚°ìˆ˜ê´€å±±æ°´è§€ì„ ìž˜ ë°˜ì˜í•œë‹¤.

ì–‘ì‹ì ì¸ ì¸¡ë©´ì€ ë¬¼ë¡  조형성ì—서 ë…ìžì  ë¯¸ê° ì„ ë³´ì´ëŠ” 백제 산경문

ë°±ì œì˜ ì‚°ê²½ë¬¸ì€ ê³ êµ¬ë ¤ 고분벽화와 표현 방법 등ì—서차ì´ê°€ 난다. ë°±ì œì˜ ê¸ˆê³µ 유물 중 용기류는 그다지 ë§Žì´ ë‚¨ì•„ 있지 않으나, 무령왕릉 출토품 중ì—는 매우 우수한 ê±¸ìž‘ë“¤ì´ ìžˆë‹¤. ì™•ë¹„ì˜ ë¨¸ë¦¬ 쪽 목침 가까ì´ì—서 발견ë˜ì—ˆë‹¤ëŠ” ì€íƒ ë™ìž”(ë„7-1, ë„7-2)ì€ ì™¸í˜•ì˜ ì•„ë¦„ë‹¤ì›€ì´ë‚˜ í‘œë©´ì— ì„¸ê°ç´°åˆ»ëœ ìŒê° 문양 등ì—서 백제ì¸ì˜ ì¡°í˜•ì  ìž¬ì§ˆê³¼ 안목, 그리고 백제 ë¬¸í™”ì˜ ì„±ê²©ì„ ìž˜ ë°˜ì˜í•˜ê³  있는 작품ì´ë‹¤. 뚜껑ì—는 ì£¼ì—°ì— 2ì¡°ì˜ ì„ ì„ ë‘르고, ê·¸ ì•ˆì— ê³ ì‚¬ë¦¬ ëª¨ì–‘ì˜ ê½ƒìˆ ì´ í‘œí˜„ë다. ìƒí˜¸ ëŒ€ì¹­ì„ ì´ë£¨ëŠ” 네 ê³³ì—는 위로 ì†Ÿì€ ì‚°í˜•å±±å½¢ì„ ìƒˆê²¼ìœ¼ë©°, ì‚° 위ì—는 초화 ë“±ì„ í‘œí˜„í–ˆë‹¤. 산골짜기 사ì´ì—는 새가 공중으로 날아오르는 ëª¨ìŠµì„ ë¬˜ì‚¬í–ˆëŠ”ë°, ìƒˆì˜ í˜•ìƒì€ 무령왕릉 왕비 ë‘ì¹¨ì— ê·¸ë ¤ì§„ ì„œì¡°ì˜ ëª¨ìŠµì„ ì—°ìƒì‹œí‚¨ë‹¤.

부여 규암면 ì™¸ë¦¬ì˜ í사지ì—서 ë°œê²¬ëœ ì¼ë ¨ì˜ ë¬¸ì–‘ì „ç´‹æ¨£å¡¼ì€ ì„¸ê³„ì ìœ¼ë¡œ ë„리 알려졌다. (ë„8-1, ë„8-2) ë°±ì œì‹œëŒ€ì˜ ë²½ëŒì¸ ì´ ë¬¸ì–‘ì „ì€ ì •ë°©í˜•ì— ê°€ê¹Œìš°ë©° ì¼ë³€ä¸€é‚Šì´ 29㎠내외, ë‘께가 4ãŽì´ë‹¤. 표면ì—는 산경문 등 8ì¢…ì˜ ë¬´ëŠ¬ê°€ 부조ë˜ì—ˆëŠ”ë° ì‚°ê²½ë¬¸ì „ì€ ë¬¸ì–‘ 요소나 기법 ë“±ì´ ì¤‘êµ­ ë‚¨ì¡°å—æœì˜ ì˜í–¥ì„ 받았으면서ë„, 세 ë‚˜ë¼ ê°€ìš´ë° ë‘ ë‚˜ë¼ë¥¼ 훨씬 앞지를 ì •ë„로 ë°œì „ëœ ë¬¸í™”ì  ìˆ˜ì¤€ì„ ë³´ì—¬ 준다. 8ì¢…ì˜ ë¬¸ì–‘ì „ 중ì—서 가장 우수한 작품ì´ë¼ í•  수 있는 ì´ ì‚°ê²½ë¬¸ì „ì€ ë°±ì œ ê³ ì§€æ•…åœ°ì˜ ì‚°ì„¸ë¥¼ 매우 부드럽고 유연하게 잘 표현했다고 ìƒê°í•œë‹¤. 앞ì—는 ê°•ì¸ì§€ 바다ì¸ì§€ 모를 ë¬¼ì´ ì¡°ìš©ížˆ í르고 뾰족뾰족한 바위가 높고 낮게 솟아 있으며, ê·¸ 뒤로는 ì‚¼ì‚°í˜•ä¸‰å±±å½¢ì˜ í¬ê³  ìž‘ì€ ì—°ë´‰è“®å³¯ì´ ê²¹ê²¹ì´ ì „ê°œë˜ì–´ ìž¥ê´€ì„ ì´ë£¬ë‹¤. 둥그런 산정山頂ì—는 ì†¡ë¦¼æ¾æž—ì´ ë¬´ì„±í•´ ì ˆê²½ì„ ì´ë£¬ë‹¤. ì‚° 아래 ì¤‘í„±ì— ê¸°ì™€ì§‘ 한 채가 있고 ê·¸ ë°‘ì˜ ì˜¤ë¥¸ìª½ì—는 ì§‘ì„ í–¥í•´ ì‚°ê¸¸ì„ ê±°ìŠ¬ëŸ¬ 올ë¼ê°€ëŠ” 한 ëª…ì´ ë³´ì¸ë‹¤. ì§‘ì€ ì ˆ, ê·¸ ê³³ì„ í–¥í•´ ì‚°ì„ ì˜¤ë¥´ëŠ” ì‚¬ëžŒì€ ì ˆì˜ ìŠ¹ë ¤ìž„ì´ ë¶„ëª…í•˜ë‹¤. ì‚° ìœ„ì˜ ì¢Œìš°ì—는 ë­‰ê²Œêµ¬ë¦„ì´ ì¡°ìš©ížˆ í르는ë°, ê·¸ ì •ê²½ì´ ë§ˆì¹˜ 심심深深한 산천 ì† ì ë§‰í•œ ê³¨ì§œê¸°ì˜ ëª¨ìŠµì¸ ë“¯í•˜ë‹¤. 다른 ì–´ëŠ ë¯¼ì¡±ë„, ë”ìš±ì´ í˜„ëŒ€ì¸ì˜ 안목으로는 ë„저히 따를 수 없는 백제ì¸ì˜ ìŠ¬ê¸°ë¡œì›€ì„ ì—¿ë³¼ 수 있다. 구름무늬ë¼ë“ ê°€ ì‚°ì•… 형ì‹ë„ 중국 한 대(B.C.2∼A.D.2세기)ì— ë‚˜íƒ€ë‚˜ê³  있고, 고구려 ê³ ë¶„ 벽화 중 ê°ì‹ ì´(5∼6세기초), 무용ì´(5∼6세기초), ìŒì˜ì´(5∼6세기초), 강서대묘(6세기ë§âˆ¼7세기 ì „ë°˜) 등과 특히 내리 1호분(6세기ë§âˆ¼7세기 ì „ë°˜)ì˜ í˜„ì‹¤ 천정 벽화ì—ì„œë„ ë‚˜íƒ€ë‚˜ê³  있지만, ì–‘ì‹ì ì¸ ë©´ì—서나 조형성으로 보아서 전혀 ë³„ê°œì˜ ìž‘ì˜ä½œæ„를 ëŠë‚„ 수 있다. 여기ì—ì„œì˜ ì´ë¯¸ 한국ì ì¸ ë¯¸í•™ì´ ì´ë£¨ì–´ì§€ê¸° 시작했다고 ë³¼ 수 있다.

ì´ ë¬¸ì–‘ì „ì—ì„œì˜ ì‚°í˜•å±±å½¢ê³¼ ìž¬ë£Œì— ë”°ë¥¸ ê¸°ë²•ìƒ ë‹¤ì†Œ 다르게 나타나고 있지만, 충남 공주군 송산리 백제 무령왕릉 출토 ë™íƒì€ìž”éŠ…æ‰˜éŠ€ç›žì— ìƒˆê²¨ì§„ ì‚°ì•… 그림(6세기 ì´ˆ)ì—ì„œë„ ì´ëŸ¬í•œ ì‚°í˜•ì´ ëšœë ·ì´ ë‚˜ì˜¤ê³  있어서 백제ì¸ì˜ 삼산사ìƒä¸‰å±±æ€æƒ³, ë˜ëŠ” 삼신사ìƒä¸‰ç¥žæ€æƒ³ê³¼ë„ 관련ë˜ì§€ 않았ì„까 추정ëœë‹¤. 봉황산경문전鳳凰山景紋塼 역시 ì‚°ê²½ë¬¸ì˜ ì¼ì¢…ì´ë‚˜ ì•žì„œì˜ ê²ƒê³¼ëŠ” 다소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ì—서 약 Â½ì˜ í•˜ë‹¨ì— ì‚°ìˆ˜í’ê²½ì„ ë¶€ì¡°í•˜ê³ , ìƒë‹¨ì—는 ì¤‘ì•™ì˜ ì‚°ë´‰å±±å³¯ì— ìš°ëš ì„œìžˆëŠ” 신조神鳥와 ê·¸ 주위ì—는 멀리 ë³´ì´ëŠ” ì‚°ê³¼ 구름, 그리고 ë³´ìš´ë¬¸å¯¶é›²ç´‹ì´ êµ¬ì„±ë˜ì—ˆë‹¤. ê·¼ê²½ì˜ ì‚° 앞ì—는 ì•ˆê°œêµ¬ë¦„ì´ ê²¹ê²¹ì´ í르고 ì‚° 중턱ì—는 ì‚°ê³¼ ì‚° 사ì´ë¡œ ì§‘ì´ ë‘ì–´ 채 ë³´ì´ëŠ”ë° ì´ ì—­ì‹œ ì ˆì´ ë¶„ëª…í•˜ê³ , ì§‘ 앞ì—는 당간 지주幢竿支柱가 기단基壇 ìœ„ì— ìš°ëš ì„œìžˆë‹¤. ì•žì‚°ì˜ ë’¤íŽ¸ 송림 ì†ì— 약간 가려진 ì§‘ì€ ëˆ„ê°ìœ¼ë¡œ ë³´ì´ëŠ”ë°, ì´ëŠ” 백제 ê±´ì¶•ì„ ì—°êµ¬í•˜ëŠ” í° ìžë£Œê°€ ë  ê²ƒì´ë‹¤. ì‚°ì˜ ì •ìƒì—는 ë´‰í™©ì´ ì–‘ 날개를 벌려 í•˜ëŠ˜ì„ í–¥í•˜ê³  ì •ë©´ì„ í–¥í•´ ìš°ëš ì„œ 있다. 중요하게 ëŠê»´ì§€ëŠ” ê²ƒì€ ê·¸ ë°°ê²½ì— ê¹”ë¦° ì‚°ì•”å±±å²©ì˜ í˜•ì‹ì¸ë°, ì´ ë˜í•œ ì „í•œå‰æ¼¢ 시대 ì˜ì§€ë¬¸éˆèŠç´‹ì˜ 금수(錦繡, 2세기∼ B.C.ë¶ëª½ê³  출토)와 í•œëŒ€ì˜ ë‚™ëž‘ 고분출토 금수 ì‚°ì•…ë„〔金銀人絲銅管 부분, 1∼2세기, í‰ì–‘ 출토〕, í‰ì–‘ 낙랑고분 출토 금수산악ë„ì˜ ì‚°ê²½ 문양(ë„9)ê³¼ 화제畵題나 ì „ê°œ 형ì‹ì´ 유사하지만, ë„ì‹ì ì¸ 표현ì´ë¼ë“ ê°€ ë†’ì€ ì™„ì„±ë„, 완만한 ì„ ê³¼ 사실ì ì¸ 묘사 등ì—서 한국ì ì¸ íŠ¹ì„±ì„ ë³´ì´ê³  있다. ë˜í•œ 한대 ì¸ë¬¼í™”ìƒê²½äººç‰©ç•µåƒé¡(ë„10)ì—서 ì´ëŸ¬í•œ 고대 산경문 형ì‹ì„ 찾아볼 수 있다. ì‹ ë¼ì‹œëŒ€ 산수 ì‚°ê²½ë¬¸ì€ 1985ë…„ì— ë°œê²¬ëœ ê¸°ë¯¸ë…„ 명 ìˆœí¥ ì내리 고분벽화ì—서 살펴볼 수 있다. 통ì¼ì‹ ë¼ì‹œëŒ€ ë¬¸ì–‘ì „ì— ë‚˜íƒ€ë‚œ 누ê°ì‚°ìˆ˜ë¬¸æ¨“é–£å±±æ°´ç´‹ì€ ë§¤ìš° 신비롭고 ê²½ì´ë¡­ë‹¤.(ë„11)

í˜¼ëž€ìŠ¤ëŸ¬ì› ë˜ ë¬´ì‹  ì •ê¶Œ 시대, ì€ì¼ì‚¬ìƒê³¼ 뛰어난 회화성 담아낸 고려시대 산수화

고려시대ì—는 삼국시대나 통ì¼ì‹ ë¼ì‹œëŒ€ì™€ëŠ” ë˜ ë‹¤ë¥´ê²Œ 진정한 ì˜ë¯¸ì—서 산수화가 유행했다. ì´ ì‹œëŒ€ì˜ ì‚°ìˆ˜í™”ëŠ” 중국 ë¶ì†¡åŒ—宋 · 남송å—宋 · 금金 · ì›å…ƒ · 명明 등 중국 ì—­ëŒ€ì¡°ì™€ì˜ ë¬¸í™” ìœ í†µì„ í†µí•´ íšŒí™”ì— ë§Žì€ ì˜í–¥ì„ 받고 ìˆ˜ìš©ëœ ê²ƒìœ¼ë¡œ ë³´ì´ì§€ë§Œ 남아있는 ê²ƒì´ ê±°ì˜ ì—†ë‹¤. 다만 성암고서박물관誠è´å¤æ›¸åšç‰©é¤¨ê³¼ ì¼ë³¸ 남선사å—ç¦ªå¯ºì— ì†Œìž¥ë˜ì–´ 있는 《어제비장전御製秘è—è©®ã€‹ì˜ ëª©íŒí™”(ë„12)ë“¤ì´ ê³ ë ¤ ì „ê¸°ì˜ ì‚°ìˆ˜í™”ë¥¼ ì´í•´í•˜ëŠ”ë° ë„ì›€ì„ ì¤€ë‹¤. 여기ì—는 ê³ ì›é«˜é  · í‰ì›å¹³é  · ì‹¬ì›æ·±é ì´ 고루 표현ë˜ì—ˆê³  여러 가지 ëª¨ì–‘ì˜ ì‚°ì•…ê³¼ ë‚˜ë¬´ë“¤ì˜ ëª¨ìŠµì´ ë‚˜íƒ€ë‚˜ ê³ ë„로 ë°œë‹¬ëœ ì‚°ìˆ˜í™”ì˜ ì¼ë©´ì„ 보여준다.
고려시대 ì‚°ìˆ˜ë„ ë¬¸ì–‘ì€ ë¶ˆêµê³µì˜ˆí’ˆì„ 통해 ì´í•´í•  수 있다. 정병淨ç”ì€ ìˆ˜ë³‘æ°´ç”ì˜ ìš©ë„ì— ë”°ë¥¸ 별칭ì´ë©° 범어로 세장경細長頸 즉, 가늘고 긴 ëª©ì„ ê°€ì§„ ë¬¼ê·¸ë¦‡ì„ ì˜ë¯¸í•œë‹¤. ì´ ë°–ì— ê²½ì „ì—서는 천수관ìŒì‚¬ì‹­ìˆ˜åƒæ‰‹è§€éŸ³å››å手 중 지물æŒç‰©ì˜ í•˜ë‚˜ë¼ í•˜ì˜€ìœ¼ë©°, ≪다ë¼ë‹ˆì§‘경陀羅尼集經≫ì—는 â€˜ì¢Œìƒ ìœ„ì— ëŒ€ë²”ì²œå¤§æ¢µå¤©ì„ ì•ˆì¹˜í•˜ì—¬ ì¢Œìˆ˜å·¦æ‰‹ì— êµ°ì§€å›æŒë¥¼ 들게 한다’고 했다. ì´ëŸ¬í•œ ì •ë³‘ì€ ë¶ˆìƒì´ë‚˜ ë¶ˆí™”ì˜ ë³´ì‚´ìƒè©è–©åƒì˜ 지물로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정병, 수병, ê°ë¡œë³‘, 보병 ë“±ì˜ ê¸°ë¬¼ì„ ì†Œì§€í•œ 불ìƒì€ 미륵보살과 ê´€ìŒë³´ì‚´ 등 ê·¸ 대개가 ë³´ì‚´ìƒìœ¼ë¡œì„œ, ê·¸ë“¤ì˜ ë²•ë ¥æ³•åŠ›ì˜ ì‹œí˜„ç¤ºç¾ì´ë¼ 했다.

êµ­ë¦½ì¤‘ì•™ë°•ë¬¼ê´€ì— ì†Œìž¥ë˜ì–´ìžˆëŠ” ì²­ë™ì€ìž…사í¬ë¥˜ìˆ˜ê¸ˆë¬¸ì •병é‘銅銀入絲蒲柳水禽紋淨ç”(ë„13)ì€ ì•„ë¦„ë‹µê³  고요한 고려시대 ì‚°ìˆ˜ì˜ ê²½ì§€ë¥¼ 잘 보여주고 있다. 갈대가 ìš°ê±°ì§„ ê°•ë³€ì˜ ì–¸ë•ì— í° ë²„ë“œë‚˜ë¬´ê°€ 서 있고, 잔잔한 물결 위ì—는 ìž‘ì€ ì¡°ê°ë°°ë¥¼ 탄 ì¸ë¬¼ì´ 유유히 헤험치는 ì˜¤ë¦¬ë“¤ì„ ë°”ë¼ë³´ë©° ì‚¬ìƒ‰ì— ìž ê²¨ 있다. 갈대숲과 멀리 ë³´ì´ëŠ” ì‚° 위로 ì² ìƒˆë“¤ì´ ì¤„ì§€ì–´ ë‚ ê³ , 버드나무 주위ì—ë„ í¼ë“œë“ 날아오르는 ë¬¼ìƒˆë“¤ì´ ë³´ì¸ë‹¤. 정병 ë™ì²´ì˜ ë¬¸ì–‘ì€ ì´ë¥¸ë°” í¬ë¥˜ë…¸ì•ˆë¬¸è’²æŸ³è˜†é›ç´‹ì´ ìƒê°ë˜ì—ˆëŠ”ë°, í‘œí˜„ì´ ë§¤ìš° 사실ì ì´ë©° 회화ì ì´ë‹¤. 물 ê°€ìš´ë° ìž‘ì€ ì–¸ë•위로 ì„ì•”çŸ³å²©ì´ ìžˆê³ , 초화가 우거졌다. 갈대와 연꽃 ë“±ì´ í”¼ì—ˆìœ¼ë©°, ì–¸ë• ìœ„ì™€ 물 ìœ„ì— ë…¸ë‹ˆëŠ” 물새 한 ìŒì´ 있다. ì´ëŸ¬í•œ 그림 소재를 ê±´ì¶•, ë¶„ë¬˜ì˜ ìž¥ì‹ ë¬¸ì–‘ìœ¼ë¡œ 사용한 예는 중국 한漢 ì‹œëŒ€ì˜ í™”ìƒì„畵åƒçŸ³ì´ë‚˜ 수렵문전狩çµç´‹å¡¼ 등ì—서 찾아볼 수 있긴 하지만, 순수한 공예 ì˜ìž¥ìœ¼ë¡œ 나타나는 ê²ƒì€ ê³ ë ¤ ë¬¸í™”ì˜ íŠ¹ìƒ‰ì´ ì•„ë‹ ìˆ˜ 없다. ì´ëŠ” 문양ì´ê¸° ì´ì „ì— ì¼ì¢…ì˜ í’ê²½ë„é¢¨æ™¯åœ–ì˜ ì„±ê²©ì´ ì§™ìœ¼ë©°, ê³ ë ¤ì˜ ë…ìžì ì¸ ë°œìƒì´ë¼ í•  수 있다.
ê°•ê°€ì— ë²„ë“œë‚˜ë¬´ ë“±ì„ ë°°ê²½ìœ¼ë¡œ ë¬¼ìƒˆë“¤ì´ í—¤ì—„ì¹˜ê±°ë‚˜ 나는 ëª¨ìŠµì„ ë¬˜ì‚¬í•œ í¬ë¥˜ìˆ˜ê¸ˆë¬¸è’²æŸ³æ°´ç¦½æ–‡ì´ë‚˜ 위로수금문葦蘆水禽文 ë“±ì´ ì´ë ‡ê²Œ ë„ìžê¸°ë¥¼ 비롯하여 나전칠기, 금ë™ê¸°ë¬¼ì—까지 ì„±í–‰í–ˆë˜ ì´ìœ ëŠ” 당시 무신정권 아래 혼란스러운 ì‹œëŒ€ì  ë°°ê²½ ì†ì—서 ë¬¸ì‹ ë“¤ì´ ê·€í–¥í•´ ì€ì¼í•œ ì‚¶ì„ ì‚´ê³ ìž í–ˆë˜ ë¶„ìœ„ê¸°ì—서 비롯ë˜ì—ˆìŒì„ 알 수 있다.
ì´ëŸ¬í•œ 문양 소재를 ì¼ì»¬ì–´ 수향문水鄕紋ì´ë¼ 하지만 ê°•ë³€ì˜ ë†ì´Œê³¼ ì´Œë½ì˜ í’ê²½, 실존 ë™ì‹ë¬¼ì„ 주제로 한 소재는 문양ì´ë¼ê¸°ë³´ë‹¤ëŠ” ì´ìƒì ìœ¼ë¡œ 사실화한 ì ê²½ì é»žæ™¯çš„ì¸ ìš”ì†Œê°€ ë” ì§™ì—ˆë‹¤.
ì¡°ì„  í›„ê¸°ì— ìœ í–‰í–ˆë˜ ì „í˜•ì ì¸ 산수화í’ì˜ ë¬¸ì–‘ìœ¼ë¡œ ì²­í™”ë°±ìž í•­ì•„ë¦¬ì— ê·¸ë ¤ì§„ 산경그림 중 대표ì ì¸ ê²ƒì´ ì†ŒìƒíŒ”경瀟湘八景 그림ì´ë‹¤. ì´ ê·¸ë¦¼ì€ ì¤‘êµ­ 호남성 ë™ì •í˜¸æ´žåº­æ¹–ì˜ ë‚¨ìª½ 소ìƒç€Ÿæ¹˜ ì§€ë°©ì— ìžˆëŠ” ì—¬ëŸ ê°€ì§€ 아름다운 ìŠ¹ê²½å‹æ™¯ì„ 그린 그림으로 ì´ë•Œì—는 사능형四è±å½¢ì´ë‚˜ ì›ê³½åœ“廓 ì•ˆì— ì‚°ê²½ê·¸ë¦¼ì„ ê·¸ë ¤ 넣어 공예미ì ì¸ ì·¨í–¥ì„ ê³ë“¤ì´ëŠ” ê²ƒì´ ìœ í–‰í–ˆë‹¤. (ë„14~17)


ìž„ì˜ì£¼ | 한-명품미술관장

í™ìµëŒ€í•™êµì—서 목칠학과를 전공하고 ë™êµ­ëŒ€í•™êµëŒ€í•™ì›ì—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전문위ì›, í™ìµëŒ€í•™êµ 미술대학 겸임êµìˆ˜ ë“±ì„ ì—­ìž„í–ˆìœ¼ë©°
현재 (사)한국무형문화예술êµë¥˜í˜‘회 회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