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 ê´€ìž¥ì˜ í•œêµ­ë¬¸ì–‘ì‚¬ â‘¢ìƒìƒìƒæƒ³åƒä¸Šì˜ 서수 · 신수그림

ì›ì‹œë¯¸ìˆ ì—서 등장하는 ìƒìƒì˜ ë™ë¬¼ ë¬¸ì–‘ì€ ìƒí™œê³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야수野ç¸ë‚˜ ê°€ì¶•ì„ ì£¼ìš” 소재로 삼았으며
ì´ëŸ¬í•œ ê·¸ë¦¼ì€ ì˜ìˆ˜éˆç¸, ê´´ìˆ˜æ€ªç¸ ë“±ìœ¼ë¡œ 불리며 종êµì , 토ì†ì ì¸ ìƒì§•ê³¼ ê²°í•©í•´ ê°ì§€ì— ì „íŒŒë¼ ë°œì „í•´ì™”ë‹¤.
ì´ë²ˆ 시간ì—는 고대미술ì—서부터 조선시대 ìž‘í’ˆì— ì´ë¥´ê¸°ê¹Œì§€ 시대별 ê·¸ë¦¼ì— ë“±ìž¥í•˜ëŠ” ìƒìƒì˜ ë™ë¬¼ë“¤ì„ 만나본다.

글 ìž„ì˜ì£¼ (한-명품미술관 관장)


ë„깨비와 ì—°ê´€ëœ ë„ì²  형ìƒ

고대 유ë¼ì‹œì•„ ê¸°ë§ˆë¯¼ì¡±ì˜ ë™ë¬¼ ê·¸ë¦¼ì€ ë¯¸ìˆ ì  ê°€ì¹˜ê°€ 높다. ê¸°ë§ˆë¯¼ì¡±ì˜ ë™ë¬¼ì˜ìž¥ì€ ë™ìœ ëŸ½, ë¶ìœ ëŸ½, ì´ëž€, 중국, ë™ë¶ì•„시아ì—ë„ ì „íŒŒë˜ì–´ ê° ì§€ì—­ì˜ ë¯¸ìˆ ì— í° ì˜í–¥ì„ 미쳤다.
ê·¸ 대표ì ì¸ 예로 중국 ê³ ëŒ€ì— ê¸°ì›í•˜ëŠ” ë„철饕餮ì´ëž€ 괴수는 ë‘ ë§ˆë¦¬ì˜ ë™ë¬¼ì„ 좌우 대칭으로 배치한 문양으로 í° ëˆˆê³¼ 눈ì¹, ë¿”, 어금니, 턱, 다리, ë“±ì´ ê°•ì¡°ë˜ê³  몸통 ë¶€ë¶„ì„ ì–‘ìª½ìœ¼ë¡œ 전개하고 있다. ì†¡ë‚˜ë¼ ë•Œ ã€Šì—¬ì”¨ì¶˜ì¶”å‘‚æ°æ˜¥ç§‹ã€‹ì—, â€œì£¼å‘¨ì˜ ì •(鼎, 다리가 ì…‹ 달린 솥)ì— ë„ì² ì„ ë¶™ì˜€ëŠ”ë° ë¨¸ë¦¬ëŠ” 있지만 몸체가 없다. ì‚¬ëžŒì„ ì‚¼ì¼œ 마시기 ì „ì— í•´ê°€ ì œ ëª¸ì— ë¯¸ì¹œë‹¤â€ë¼ 한 ë°ì—서 붙여진 ì´ë¦„ì´ë¼ê³  한다. 춘추전국시대 ì´í›„ì— í¬ìˆ˜Â·ìˆ˜í™˜(鋪首·ç¸é¶, ë™ë¬¼ ì–¼êµ´ì„ ìƒˆê¸´ 문고리)ë“±ì˜ ì˜ìž¥ì—서 ë„ì²  형ìƒì„ ì—¿ë³¼ 수 있다.

í”히 ê·€ë©´é¬¼é¢ ë˜ëŠ” ë„ê¹¨ë¹„ë¼ ë¶€ë¥´ëŠ” ë™ë¬¼í˜•ìƒì€ 대개 그러한 ë„ì²  형ìƒê³¼ ì—°ê´€ë˜ì—ˆìœ¼ë¦¬ë¼ ë³´ë©° ê³ ì¡°ì„  때 임금 중 í•˜ë‚˜ì¸ ì¹˜ìš°èš©å°¤ì²œí™©ê³¼ë„ ê²°ë¶€ì‹œí‚¨ ì´ì•¼ê¸°ê°€ ì „í•´ 내려온다. 주요 유물로 고구려 고분벽화 안악3호분, 천왕지신ì´, 팔청리 벽화고분 등ì—서 기둥그림[ì£¼í˜•ë„æŸ±å½¢åœ–]ì— ê·¸ë ¤ì§„ 괴수 형ìƒì„ ë³¼ 수 있다. 백제시대 귀면문전鬼形紋塼 역시 ë¹¼ë†“ì„ ìˆ˜ 없다. 연화대蓮花臺 ìœ„ì— ì •ë©´ìœ¼ë¡œ ì§ë¦½í•˜ê³  있는 ë„깨비 형ìƒìœ¼ë¡œ ì „ì‹ ì˜ í¬ê¸°ì— 비하여 머리 ë¶€ë¶„ì´ í¬ê²Œ 묘사ë˜ì—ˆëŠ”ë°, ëˆˆì€ í¬ê²Œ 부릅떠 치켜 올ë¼ê°”으며 í¬ê²Œ 벌린 ìž…ì˜ ì•„ëž˜ 위ì—는 송곳니가 날카롭게 뻗어있고, 얼굴 ì–‘ë©´ì—는 ë”부룩한 수염ì´, 양어깨ì—ë„ ê°ˆê¸°ì™€ í„¸ì´ ë»—ì³ìžˆë‹¤. 가슴ì—는 í° ìœ ë°©ä¹³æˆ¿ì— ì –ê¼­ì§€ê°€ 표현ë˜ì—ˆê³ , 허리ì—는 고리장ì‹ì´ 매달린 허리ë ê°€ 둘러졌는ë°, 가운ë°ì—는 ìš”íŒ¨è…°ä½©ì˜ ê¸´ 수ì‹åž‚é£¾ì´ ë‚´ë ¤ì™”ë‹¤. 앞발ì—는 ê·¼ìœ¡ì´ ìš¸í‰ë¶ˆí‰í•˜ê²Œ ë„드ë¼ì§€ê³ , 날카로운 ë°œí†±ì´ ë‹¬ë ¸ë‹¤. ë’·ë‹¤ë¦¬ë„ ìš¸í‰ë¶ˆí‰í•œ 근육과 ê³¨ê²©ì´ ë‚˜íƒ€ë‚˜ë©°, 날카로운 발톱으로 버티고 서 있는 형ìƒì€ 마치 천지를 제압하려는 모습ì´ë‹¤.
ì´ì™€ 유사한 ë„깨비 형ìƒì€ ì‹ ë¼ì‹œëŒ€ ê³ ë¶„ì¸ ê²½ì£¼ ì‹ë¦¬ì´é£¾å±¥å¡šì—서 ì¶œí† ëœ ê¸ˆë™ì‹ ë°œ[금ë™ì‹ë¦¬é‡‘銅飾履]ì˜ ìž¥ì‹ë¬¸ì–‘ì—ì„œë„ ë“±ìž¥í•œë‹¤.

ì‹ ì•™ì  ë°°ê²½ì„ í† ëŒ€ë¡œ 탄ìƒí•œ ë™ë¬¼ 문양

고대 ë™ë¬¼ 그림ì´ë‚˜ ë¬¸ì–‘ì€ ëŒ€ê°œ ì›ì‹œ 종êµì˜ ì‹ ì•™ì  ë°°ê²½ì—서 ë°œìƒí•œ 것ì´ë©°, ì´ëŸ¬í•œ ë™ë¬¼ 형ìƒì€ ì›ì‹œì‚¬íšŒë¥¼ ì§€ë°°í•˜ë˜ ì—¬ëŸ¬ í˜•íƒœì˜ ê¸ˆê¸°(ç¦å¿Œ, taboo)ì—서 기ì¸í•˜ê³  있다. ì´ëŸ¬í•œ ê·¸ë¦¼ì€ ì›ì‹œìˆ˜ë µ ìƒí™œê³¼ ë†ê²½ ìƒí™œì—서 ë¹„ë¡¯ëœ ê²ƒìœ¼ë¡œ, 특히 신화나 ì„¤í™”ì— ë“±ìž¥í•˜ëŠ” 바람신[風神], 구름신[雲神], 비신[雨神] 등 천ìƒê³„ì˜ ì—¬ëŸ¬ 신紳과 ê°€íƒì‹ å®¶å®…神, 산신山神, 지신地神, 수목신樹木神 등과 ì¼ì¹˜í•˜ëŠ” ì ì´ ë§Žì€ ê²ƒì€ ëª¨ë‘ ê·¸ëŸ¬í•œ ì‹ ì•™ì—서 ë°œìƒí•œ 것으로 ë³´ì¸ë‹¤. 단군신화檀å›ç¥žè©±ë¥¼ 비롯하여 ê°ì¢… 설화나 전설 ë“±ì˜ ë‚´ìš©ì„ ì‚´íŽ´ë³´ë©´, ë¶ë°© ë¬¸í™”ì˜ ì˜í–¥ì„ 다분히 ë‚´í¬í•˜ê³  있는ë°, ê°ì¢… ë™ë¬¼ì„ 토템으로 한 ì›ì´ˆì˜ 제정 사회를 ë°˜ì˜í•˜ê³  있다. ì›ì‹œ 사회ì—서는 ì´ˆìžì—°ì ì¸ ì˜ì  íž˜ì„ ë¯¿ëŠ” 마나ì´ì¦˜(manaism)ì´ ìžˆì—ˆìœ¼ë‹ˆ, ê³§ 정령精éˆì´ 가지고 있는 ì£¼ë ¥å‘ªåŠ›ì„ ì¸ì •한 것ì´ë‹¤. 즉, ë°”ëžŒì˜ íž˜ì´ë‚˜ íƒœì–‘ì˜ íž˜, ë™ë¬¼ì˜ 힘, ë†ìž‘ë¬¼ì˜ í’ìš” ë“±ì„ ì´ëŸ¬í•œ 주력으로서 제압할 수 있다고 ë¯¿ì—ˆë˜ ê²ƒì´ë‹¤.
ë˜í•œ ì´ëŸ¬í•œ 믿ìŒì—서 신성한 것과 부정한 ê²ƒì„ ê°€ëŠ í•˜ëŠ” 금기ç¦å¿Œ ì‹ ì•™ì´ ìžˆì—ˆë˜ ê²ƒ 같다. 우리나ë¼ì—ì„œë„ ê³ ëŒ€ ì‹ í™”, 설화, í˜¹ì€ ì¡°í˜• ë¯¸ìˆ ì— ë‚˜íƒ€ë‚˜ëŠ” ë¬¸ì–‘ì„ í†µí•´ ì´ëŸ¬í•œ ë™ë¬¼ ì‹ ì•™ì„ ì ì§€ 않게 찾아볼 수 있다. ìš©, ë´‰í™©ì— ì„œìš´ç‘žé›²ì´ ê¹ƒë“  ëª¨ì–‘ì€ ìžì—°ì˜ 힘과 ë¬´ìš©ì„ ìƒì§•했고, ëŒ€ë‚˜ë¬´ì— í˜¸ëž‘ì´, ëª¨ëž€ê½ƒì— ì‚¬ìžëŠ” ë¬´ìš©ì„ ìƒì§•한다고 믿었다.
ê³ ë¶„ ë²½í™”ì— ë‚˜íƒ€ë‚˜ëŠ” ë™ë¬¼ ë¬¸ì–‘ì€ ì‚¬ì‹ ë„를 비롯하여 귀면鬼é¢, 괴수怪ç¸, 괴조怪鳥, 그리고 ì¸ë‘人頭 사신문蛇身紋 ë“±ì„ ë³¼ 수 있고, ì´ ë°–ì— íŠ¹ì´í•œ 형ìƒì˜ 서ìƒë™ë¬¼ç‘žç›¸å‹•物 형ìƒì´ 있다. ì´ëŸ¬í•œ 형ìƒë“¤ì€ 대개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ì´í›„ ìŒì–‘ 사ìƒì´ë¼ë“ ê°€ ë„선사ìƒé“ç·šæ€æƒ³ì—서 기ì¸í•œ 것ì´ë©° 한 위 육조 ì‹œëŒ€ì˜ ë¯¸ìˆ  ì–‘ì‹ì—서 ë§Žì€ ì˜í–¥ì„ ë°›ì•˜ë˜ ê²ƒìœ¼ë¡œ, 대부분 ì „ì„¤ì„ ê·¸ë ¤ë‚¸ 것ì¸ë° ìžì—° 숭배ë¼ëŠ” 종êµì  성격과 지방ì¸åœ°æ–¹äººì„ êµí™”하고ìží•˜ëŠ” 목ì ì„ 지녔다.

ë™ì„œë‚¨ë¶ì„ 수호하는 사신ë„

ì‚¬ìˆ˜å››ç¸ ê·¸ë¦¼ì€ ì¼ë°˜ì ìœ¼ë¡œ 사신ë„四神圖ë¼ê³  부른다. 여기서 사수란 청룡é‘é¾, 백호白虎, 주작朱雀, 현무玄武를 ë§í•˜ëŠ”ë° ê·¸ ìƒê¹€ìƒˆëŠ” ê°ê¸° ìš©, 호랑ì´, 봉황, ê±°ë¶ê³¼ ë±€ì˜ í˜•ìƒìœ¼ë¡œ ê°ê° ë™ì„œë‚¨ë¶ì˜ 방위를 수호한다고 믿어 왔다. 사신ë„ê°€ 그려진 고구려 ê³ ë¶„ 벽화는 우현리 중묘, 우현리 대묘, 통구 사신ì´, ìŒì˜ì´, 무용ì´, 삼실ì´, 약수리 ê³ ë¶„, 태안리 1호분, 성ì´, 호남리 사신ì´, 통구 ì œ 17호분 ë“±ì´ ìžˆë‹¤.
ì²­ë£¡ì€ ë™ìª½ ê¸°ìš´ì„ ë§¡ì€ íƒœì–‘ì‹ ì„ ìƒì§•한 ìƒìƒì˜ ì§ìŠ¹ìœ¼ë¡œ, 예부터 무ë¤ì´ë‚˜ ê´€æ£ºì˜ ì¢Œì¸¡ì— ê·¸ë ¤ì¡Œë‹¤. ìŒê°é›™è§’ê³¼ 긴 혀를 내민 ëª¨ìŠµì— ëª¸ì—는 ë¹„ëŠ˜ì´ ìžˆìœ¼ë©° 구름과 ì¸ë™ 연화문양 사ì´ë¥¼ 비ìƒí•˜ëŠ” 형ìƒì¸ë°, 다리ì—는 우모羽毛를 휘날리고 있다. ë¬´ìš©ì´ ì•ˆë°©ì˜ ì²­ë£¡ë„는 ‘S’ìží˜• ë¿”ì´ ìžˆê³ , 등줄기와 ë‹¤ë¦¬ì— ìš°ëª¨ê°€ 날리고 있는 매우 고졸한 솜씨를 ë³´ì—¬ 주고 있다.
ì´ì— 비하여 통구 사신ì´ê³¼ 통구 17호분, 그리고 우현리 ëŒ€ë¬˜ì˜ ê²ƒì€ ëª¸ì²´ì˜ í™œë‹¬í•œ 곡선ì´ë¼ë“ ê°€ 네 ë‹¤ë¦¬ì˜ ì•½ë™í•˜ëŠ” 모습, ìƒì§•ì ì¸ ë¨¸ë¦¬ì˜ í‘œí˜„ 등ì—서 매우 능숙한 솜씨를 ë³´ì—¬ 주고 있다.
백호는 서쪽 ë°©ìœ„ì˜ â€˜ê¸ˆâ€™ ê¸°ìš´ì„ ë§¡ì€ íƒœë°±ì‹ å¤ªç™½ç¥žì„ ìƒì§•한 ì§ìŠ¹ìœ¼ë¡œ 무ë¤ê³¼ ê´€æ£ºì˜ ìš°ì¸¡ì— ê·¸ë ¤ì¡Œë‹¤. ë²”ì˜ í˜•ìƒì„ 했으며, Sìží˜•으로 구부러진 목 ì¤„ê¸°ì— ìš°ëª¨ë¥¼ 날리며 í¬íš¨í•˜ëŠ” 모습ì´ë‹¤. 백호ì—는 ë¿”ì´ ì—†ê³ , 몸ì—는 비늘 대신 ë°˜ë¬¸æ–‘æ–‡ì´ í‘œí˜„ë˜ì–´ 있어 명확하게 구분하여 ë³¼ 수 있다. ê·¸ 대표ì ì¸ ê²ƒì€ í†µêµ¬ 17호분, 통구 사신ì´, 우현리 대묘 등ì—서 활달하고 ìƒë™ê° 넘치는 ë°±í˜¸ê·¸ë¦¼ì„ ë³¼ 수 있다.
ì£¼ìž‘æœ±é›€ì€ ë‚¨ë°©ì„ ìˆ˜í˜¸í•˜ëŠ” 신으로 ë‚¨ë°©ì„±ìˆ˜å—æ–¹æ˜Ÿå®¿ì˜ ì´ë¦„ì´ë©° 정井, 귀鬼, 유柳, 성星, 장張, ìµç¿¼, ì§„è»«ì˜ ì¼ê³±ë³„ì„ ë§í•˜ëŠ” 것ì´ë‹¤. ë¶‰ì€ ë´‰í™©ì˜ í˜•ìƒì„ 하고 역시 무ë¤ì´ë‚˜ ê´€ì˜ ì•žìª½ì¸ ë‚¨ìª½ì— ê·¸ë ¤ì ¸, 현무와 마주 ë³´ë„ë¡ ê·¸ë ¤ì¡Œë‹¤. ì´ í˜•ìƒì€ ë´‰í™©ì˜ ëª¨ìŠµê³¼ 비슷하지만, ê·¼ë³¸ì€ ì„œë¡œ 다르다. 고구려 ê³ ë¶„ 벽화ì—서는 ì‚¼ì‹¤ì´ ì œ2실 ë™ìª½ 천정 받침과 성ì´, ìŒì˜ì´, 우현리 ì¤‘ë¬˜ì˜ í˜„ì‹¤ ë‚¨ë²½ì—°ë„ ìž…êµ¬ì˜ ì¢Œìš°ì—는 ì£¼ìž‘ì´ ì„¬ì„¸í•˜ê³  ìƒë™ê° 있게 그려졌다. ë‘ ë‚ ê°œëŠ” í° ì›ì„ 그리고 있으며, 긴 ê¼¬ë¦¬ë„ ë§¤ìš° 유려한 ê³¡ì„ ì„ ì´ë¤„ 아름다운 ìžíƒœë¥¼ 보여주고 있다.
진파리 1í˜¸ë¶„ì˜ ì£¼ìž‘ë„는 당시 고구려 íšŒí™”ì˜ ì„±ìˆ™í•œ 경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ê³ ë¶„ ë²½í™”ì˜ ì‚¬ì‹ ë„ ì¤‘ì—서 가장 우수한 솜씨를 ì„ ë³´ì¸ë‹¤. ê³ ë¶„ 벽화 ì´ì™¸ì— 금공 미술품, ê´€ì‹, 와당, 전塼 등ì—ì„œë„ ì‚¬ì‹ ë„를 찾아볼 수 있고, 백제 무령왕릉ì—서 ì¶œí† ëœ ì™•ë¹„ì˜ ë‘침, 금ë™ì‹ë¦¬ì˜ 부분문양, 부여 규암면 외리ì—서 ì¶œí† ëœ ë¬¸ì–‘ì „ 중 용문전é¾ç´‹å¡¼, 봉황문전鳳凰紋塼, 산경문전山景紋塼 등ì—ì„œë„ ì£¼ìž‘ì„ ì°¾ì•„ë³¼ 수 있다.
현무玄武는 ë¶ë°©åŒ—æ–¹ì„ ìˆ˜í˜¸í•˜ëŠ” 방위신으로, ê±°ë¶ì˜ ëª¸ì— ë±€ì´ íœ˜ê°ê²¨ 마주 ë³´ê³  있는 형ìƒì´ ì¼ë°˜ì ì´ë‹¤. ì´ê²ƒì€ 태ìŒì‹ å¤ªé™°ç¥žì„ ìƒì§•하는 지신地神, ìˆ˜ì‹ æ°´ç¥žì„ ëœ»í•˜ëŠ”ë°, 무ë¤ê³¼ ê´€ì˜ ë¶ìª½ì— 그려졌다. ì´ í˜•ìƒì€ ì¼ì°ì´ 육조 ì‹œëŒ€ì˜ ë°˜ìš©èŸ é¾ê³¼ ì—°ê´€ 지어 ë³¼ 수 있으나, ê·¸ ì´ì „ì— í•œëŒ€æ¼¢ä»£ë¶€í„° ì „í•´ì ¸ 내려오는 ë³µí¬ ì—¬ì™€ 사ìƒì—서 기ì¸ëœ 것으로 ìƒê°ëœë‹¤.

고구려 ê³ ë¶„ 벽화 ì´ì „ì˜ í˜•íƒœëŠ” ë¶ìœ„ ì‹œëŒ€ì˜ ë¬˜ì§€å¢“èªŒ ìž¥ì‹ ê·¸ë¦¼ì—서 찾아볼 수 있다. 통구 ì‚¬ì‹ ì´ ë¶ë²½ì˜ 현무ë„는 ê±°ë¶ì„ 휘ê°ì€ ë±€ì˜ ë¨¸ë¦¬ì™€ 꼬리가 복잡하게 서로 얽혀진 형ìƒì´ë©°, ì„ê´€çŸ³æ£ºì˜ ì‚¬ì‹ ë„와 ê°™ì€ êµ¬ì„± 형ì‹ì„ ë³´ì—¬ 주고 있다. ì´ë°–ì— í˜¸ë‚¨ë¦¬ 사신ì´, 삼실ì´, 진파리 1호분, ìŒì˜ì´ 등ì—서 현무ë„를 ë³¼ 수 있다. ì´ ì¤‘ 삼실ì´ê³¼ ìŒì˜ì´ì˜ 현무ì—서는 뱀과 얽힌 ê±°ë¶ì˜ 형ìƒì´ ìŒì„ ì´ë£¨ì–´ 서로 마주 대ì‘하고 있는 ëª¨ìŠµì´ ìžˆëŠ”ë°, ì´ëŠ” 후기 ë²½í™”ì— ë‚˜íƒ€ë‚˜ëŠ” 현무ë„ì˜ íŠ¹ìƒ‰ì„ ë³´ì—¬ 주는 것ì´ë¼ 하겠다. 가장 대표ì ì¸ 것ì´ë¼ í•  수 있는 ê²ƒì€ ìš°í˜„ë¦¬ 태묘ì—서 나타난 것으로 완숙한 필치와 구성, 부분ì ì¸ 묘사가 매우 ìž˜ëœ ê·¸ë¦¼ì´ë‹¤.

중국 ê³ ëŒ€ì˜ ìŒì–‘오행 사ìƒê³¼ ì—°ê´€ëœ ì‚¬ë ¹

고구려 ê³ ë¶„ ë²½í™”ì— ê·¸ë ¤ì§„ 길ìƒå‰ç¥¥ ë™ë¬¼ê³¼ 진금류ç禽類는 ë„êµì ì¸ 것과 불êµì ì¸ 것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주로 ìŒì–‘오행 사ìƒê³¼ ê´€ë ¨ëœ ì¤‘êµ­ ê³ ëŒ€ì˜ ì „í†µì—서 ì˜í–¥ì„ ë°›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여기ì—는 기린, 봉황, ìš©, 사ìž, 사슴, 천마天馬, êµì‚¬äº¤è›‡, êµë£¡äº¤é¾ 등과 기타 괴수怪ç¸, 괴조怪鳥, ì¼ê°ìˆ˜ä¸€è§’ç¸ ë“± 약 10ì—¬ì¢…ì´ ìžˆê³ , ì´ëŸ¬í•œ 문양소재는 대개 중국 한 육조 ì „êµ­ ì‹œëŒ€ì˜ ì™€ì „ç“¦å¡¼ê³¼ í™”ìƒì„ 등ì—서 ë„ìž…ë˜ê±°ë‚˜ ë°œì „ëœ ê²ƒì´ë‹¤.
사령四éˆì´ëž€ ìš©, 봉황, 기린, ê±°ë¶ì„ ì¼ì»«ëŠ”ë‹¤. ì´ëŸ¬í•œ ìƒìƒì˜ ë™ë¬¼ë“¤ì€ ì´ ì„¸ìƒì— 성ì¸è–äººì´ ë‚˜íƒ€ë‚˜ê±°ë‚˜ 어떠한 길조가 ìžˆì„ ë•Œ 나타난다는 ì˜ìˆ˜éˆç¸ë¡œ 불êµì—서는 사천왕四天王 중 하나로 신귀神龜와 함께 사령ì´ë¼ 불리는 ìƒìƒì˜ ë™ë¬¼ì´ë‹¤.

ê¸°ë¦°ì€ ë³¸ëž˜ 살아있는 í’€ì„ ë°Ÿì§€ 않고 ìƒë¬¼ì„ 먹지 않는 ì–´ì§„ ì§ìŠ¹ìœ¼ë¡œ, ê·¸ 형ìƒì€ ì‚¬ìŠ´ì˜ ëª¸, ì†Œì˜ ê¼¬ë¦¬, ì´ë¦¬ì˜ ì´ë§ˆ, ë§êµ½ ë“±ì„ ê°€ì§€ê³  있으며 머리ì—는 ë…¹ê°é¹¿è§’ê³¼ ê°™ì€ ì‚´ë¡œ ëœ í•œ ê°œì˜ ë¿”ì´ ë‚œë‹¤ê³  한다.
ìš©ì€ ë±€ê³¼ ê°™ì´ ë¹„ëŠ˜ì´ ì˜¨ëª¸ì— ë‹ê³ , ì‚¬ìŠ´ì˜ ë¿”ì´ ë¨¸ë¦¬ì— ë‹ì•˜ìœ¼ë©°, ê·€ì‹ ì˜ ëˆˆê³¼ ì†Œì˜ ê·€ë¥¼ 닮았다고 í•˜ëŠ”ë° ê¹Šì€ ëª»ì´ë‚˜ ë°”ë‹¤ì— ìž ìž¬í•˜ê³ , 때로는 ìžìœ ë¡œì´ ê³µì¤‘ì„ ë‚ ì•„ 구름과 비를 몰아 í’운風雲 조화를 부린다고 전한다.
봉황 ë˜í•œ ë‹­ì˜ ë¨¸ë¦¬, ë±€ì˜ ëª©, ì œë¹„ì˜ í„±, ê±°ë¶ì˜ 등, ë¬¼ê³ ê¸°ì˜ ê¼¬ë¦¬ ëª¨ì–‘ì„ í•˜ê³ , 몸과 날개가 ì˜¤ìƒ‰ì„ ë ì–´ 찬란한 ë¹›ì„ ë‚´ê³ , 오ìŒäº”éŸ³ì˜ ì†Œë¦¬ë¥¼ 낸다고 하며, 대개 암수가 함께 그려졌으며, ìˆ˜ì»·ì€ â€˜ë´‰â€™, ì•”ì»·ì€ â€˜í™©â€™ì´ë¼ 한다. ì´ëŸ¬í•œ ì‚¬ë ¹ì˜ í˜•ìƒì€ 고구려 ê³ ë¶„ ë²½í™”ì— ê·¸ë ¤ì§„ 문양ì—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개 ì²œì •ë¶€å¤©äº•éƒ¨ì— ê·¸ë ¤ì§„ 서수 ì„œì¡°ë¬¸ì€ ê°€ê³µì ì¸ ë™ë¬¼ê³¼ 천ì¸, 그리고 ì¼ì›”성수와 ê°™ì´ ë‚˜íƒ€ë‚˜ê³  있는ë°, 안악 1호분 천정 ê·¸ë¦¼ì— ê·¸ë ¤ì§„ ê²ƒì„ ë¹„ë¡¯í•˜ì—¬ 삼실ì´, 무용ì´, 강서 중묘, 강서 대묘 등ì—서 찾아볼 수 있다.
신귀는 ê±°ë¶ì„ 신령한 ë™ë¬¼ë¡œì„œ 부르는 ì´ë¦„ì´ë‹¤. ì˜ê·€éˆé¾œë¼ê³ ë„ 부른다. 머리는 ìš©ì˜ ëª¨ìŠµì„ í•˜ê³  ë“±ì€ ë‘¥ê·¼ ê»ì§ˆë¡œ ì´ë£¨ì–´ì ¸ 있으며, 배는 편í‰í•˜ê³  ìž…ì—서는 ìƒì„œë¡œìš´ ê¸°ìš´ì¸ ì„œê¸°ç‘žæ°£ê°€ 뿜어져 나오는 ëª¨ìŠµì„ í•˜ê³  있다. 신귀는 ìˆ˜ì‹ æ°´ç¥žì˜ ì •ë ¹, 즉 ìˆ˜ì‹ ì˜ ì‹¬ë¶€ë¦„ê¾¼ìœ¼ë¡œ 전해져오며, 능히 길í‰ì„ íŒë³„í•  수 있어서 ì£¼ìˆ ì  ëŒ€ìƒìœ¼ë¡œ 여겨져 왔다. ë˜í•œ 신성사ìƒì— ê²°ë¶€ë˜ì–´ ë§Œë…„ì„ ì‚¬ëŠ” ê³ ë ¹ ë™ë¬¼ë¡œ ì²œë…„ì„ ì‚¬ëŠ” 선학仙鶴과 함께 ìŒì„ ì´ë£¨ì–´ 오래 사는 ê²ƒì„ ìƒì§•했다. ê±°ë¶ì˜ 둥근 ë“±ì€ í•˜ëŠ˜ì„ ìƒì§•하여, 고대ì—는 ê¶ê¶ê³¼ 무ë¤ì˜ ì²œìž¥ì„ í”히 귀갑문양으로 í‘œí˜„í•˜ê¸°ë„ í–ˆë‹¤. 조선시대 민화民畵 문ìžë„ ê°€ìš´ë° â€˜ì˜ˆç¦®â€™ìžì—는 ì´ ì‹ ê·€ê°€ 그려졌는ë°, ì´ëŠ” ì ì„ 치는 과정ì—서 예ì˜ì˜ ê·¼ë³¸ì´ ë˜ëŠ” ì±…ì¸ ã€Ší•˜ë„낙서河圖洛書》가 신령스런 ê±°ë¶ì˜ ë“±ì— í˜•ìƒí™”ë˜ì–´ 나타났다는 ì„¤í™”ì˜ ë‚´ìš©ì„ í‘œí˜„í•œ 것ì´ë‹¤.

고대 ë¯¸ìˆ ì— ë“±ìž¥í•˜ëŠ” 다양한 ì§ìй 형ìƒ

그밖ì—ë„ ê³ ëŒ€ ë¯¸ìˆ ì— ë‚˜íƒ€ë‚˜ëŠ” ìƒì„œë¡œìš´ ì§ìŠ¹ê³¼ 새 형ìƒì„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다. 안악 1í˜¸ë¶„ì˜ ì²œì •ë„ì—서는 서금, 서수 ë“±ì´ í™”ë ¤í•˜ê²Œ 펼ì³ì§„ 구름문양, 연꽃문양, ì¸ë™ë‹¹ì´ˆë¬¸ì–‘, 화염문양 등과 함께 그려졌고, 천정 받침ëŒì—ë„ ì´ì™€ ê°™ì€ ìƒˆ ì§ìŠ¹ê³¼ ì´í˜•ç•°å½¢ ë™ë¬¼ì´ 있다. ì œ 1단 천정 받침ì„ì˜ ë¶ë©´ì—는 화염 무늬를 중심으로 ì¢Œìš°ì— 1ìŒì˜ ë´‰í™©ì— ê·¸ë ¤ì ¸ 있고, 서면西é¢ì—는 날개가 달린 ì¸ë¡ë¬¸(麟鹿紋, 사슴 형ìƒì„ 한 기린)ì´ ìžˆë‹¤. ë™ìª½ ë©´ì—는 화염문ç«ç„°ç´‹ì„ 중심으로 ì™¼ìª½ì— ê³µìž‘å­”é›€ì„, 오른쪽ì—는 사람 ë¨¸ë¦¬ì— ì§ìŠ¹ì˜ ëª¸ì§‘ì„ í•œ ì¸ë‘ ìˆ˜ì‹ ì˜ í˜•ìƒì„ ë³¼ 수 있는ë°, ê·¸ ëª¸ì€ ì–‘ç¾Šê³¼ 같고, 사실ì ì¸ ì¸ë©´äººé¢ì˜ 형ìƒì€ 중국 고대 ì‹ í™”ì— ë“±ìž¥í•˜ëŠ” 괴수 형ìƒê³¼ 유사하게 표현ë˜ê³  있다. 남면ì—ì„œë„ í™”ì—¼ 무늬를 중심으로 오른쪽ì—는 ë™ë©´ì—서와 ê°™ì€ ì¸ë¡ë¬¸ì´ 그려졌고, 왼쪽ì—는 날개와 ë°œì´ ë‹¬ë¦° ë¬¼ê³ ê¸°ì˜ í˜•ìƒ[유ìµìœ ì¡±ì–´æœ‰ç¿¼æœ‰è¶³é­š]ê°€ 그려져 있ìŒì„ 주목하게 ëœë‹¤.
ì´ëŸ¬í•œ 괴물 형ìƒì˜ ê·¸ë¦¼ì€ ë•í¥ë¦¬ ê³ ë¶„ì—ì„œë„ ì°¾ì•„ë³¼ 수 ìžˆëŠ”ë° ë‹¤ë¥¸ 벽화ì—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수한 í˜•íƒœì˜ ë¬¸ì–‘ì´ë‹¤. ì œ3단 천정 받침ëŒì˜ 서ë¶ìª½ 모서리ì—ì„œë„ ì§ìŠ¹ì˜ ë¨¸ë¦¬ì™€ ë´‰í™©ì˜ ëª¸ì§‘ì„ í•œ 수ë‘봉신ç¸é ­é³³èº«, 즉 머리는 ì§ìй 형ìƒì„ 하고 몸체는 ë´‰í™©ì˜ í˜•ìƒì„ 한 특ì´í•œ ë™ë¬¼ì´ 나타나고 있다. ì´ ë²½í™”ì— ë‚˜íƒ€ë‚˜ëŠ” 여러 ì´í˜• ë™ë¬¼ì´ 과연 ë¬´ì—‡ì„ ëœ»í•˜ëŠ” 것ì¸ì§€ 분명히 ë§í•  수 없지만, 대개 중국 고대 ì„¤í™”ì˜ ë‚´ìš©ê³¼ 같다. ì‚¼ì‹¤ì´ ì²œì • 받침ëŒì—ë„ ìŒë´‰é›™é³³ê³¼ ê¸°ë¦°ì„ ë¹„ë¡¯í•˜ì—¬ 기ì´í•œ 형ìƒì˜ ì§ìŠ¹ë“¤ì˜ ë‚˜íƒ€ë‚˜ê³  있고 ë¬´ìš©ì´ ì²œì •ì—ë„ ê°ì¢…ì˜ ê¸°ì´í•œ ì§ìй ëª¨ì–‘ì´ ë‚˜íƒ€ë‚˜ê³  있다.

ì‹œëŒ€ì  ìƒí™©ê³¼ ì—¼ì› ì†ì—서 탄ìƒí•œ ìƒìƒì˜ ë™ë¬¼

ì´ëŸ¬í•œ ìƒìƒì˜ ë™ë¬¼ì€ 고려시대를 ê±°ì³ ì¡°ì„ ì‹œëŒ€ì— ì´ë¥´ê¸°ê¹Œì§€ ê° ì‹œëŒ€ë¥¼ ë°˜ì˜í•˜ëŠ” 새로운 ë™ë¬¼ë“¤ì´ 등장하여 í¥ë¯¸ë¡­ë‹¤. ì‚¬ëžŒì˜ ë§ì„ 하며 유ë•한 ìž„ê¸ˆì˜ ì¹˜ì„¸ì— ë‚˜íƒ€ë‚˜ëŠ”ë° ë§Œë¬¼ì˜ ëª¨ë“  ëœ»ì„ ì•Œì•„ë‚¸ë‹¤ê³  하여 ë†’ì€ ê´€ë¦¬ì˜ ë³µìž¥ì— ë°±íƒë³´ç™½æ¾¤è£œë¥¼ 부착했다는 ë°±íƒç™½æ¾¤ì´ëž€ ë™ë¬¼ì´ 있고, 옳고 그름과 ì„ ì•…ì„ ê°€ë¦´ 줄 안다고 하여 ì˜ˆì „ì— ë²•ê´€æ³•å®˜ì˜ ê´€ì„ ë§Œë“¤ì—ˆë˜ í•´íƒœ(해치ç¬è±¸ë¼ê³ ë„ 한다), ìš©ë§¹ì˜ ìƒì§•ì¸ ì›…ë¹„ç†Šç¾†, 천ìƒì„¸ê³„를 지키는 천구天狗는, 사ìžì˜ 별칭ì´ë¼ëŠ” 산예狻猊, 고대 ì˜ìž¥ê¸°ì— 나타나는 ë™ë¬¼ 중 한 가지로 ì¸ì˜ˆä»ç¦®ë¥¼ ìƒì§•하며 ì–´ì§„ ìž„ê¸ˆì´ ë‚˜íƒ€ë‚˜ë©´ 등장한다고 여겨지는 천ë¡å¤©é¹¿ ë“±ì´ ìžˆë‹¤.
ë˜í•œ ì˜ìž¥ê¸°ì— 천마기가 있다. 천마天馬는 경주 천마ì´ì—서 ì¶œí† ëœ ìž¥ë‹ˆì²œë§ˆë„障泥天馬圖가 유명한ë°, ì´ ìœ ë¬¼ì—서는 새하얀 천마 한마리가 우모를 휘날리며 하늘로 비ìƒí•˜ëŠ” ê·¸ë¦¼ì´ ê·¸ë ¤ì¡Œë‹¤. 천마는 옥황ìƒì œê°€ 하늘ì—서 타고 달린다는 백마ì´ë‹¤.
한편, 조선시대 민화와 í™”ê°ê³µì˜ˆí’ˆ ë“±ì— ë“±ìž¥í•˜ëŠ” 불가살ì´ä¸å¯æ®ºä¼Šë¼ 하는 ìƒìƒì ì¸ ë™ë¬¼ì€ 고려시대 ë§ê¸°ì— 불êµì˜ 퇴í로 ë§ë¯¸ì•”ì•„ 극히 í˜¼ëž€ìŠ¤ëŸ¬ì› ë˜ ì‹œëŒ€ë¥¼ ë°˜ì˜í•˜ëŠ” 것으로 ì¡°ì„ ì— ìž‘ìž ë¯¸ìƒì˜ 《불가살ì´ì „ä¸å¯æ®ºä¼Šå‚³ã€‹ì´ë¼ëŠ” í•œê¸€ì†Œì„¤ì— ì „í•´ì§€ëŠ” ê°€ìƒì˜ ë™ë¬¼ì´ë‹¤. ì´ ì§ìŠ¹ì€ ì‡ ë¥¼ 먹고 악몽과 간사한 ê¸°ìš´ì„ ì«“ëŠ”ë‹¤ê³  하였다. 옛 ê¶ê¶ê±´ì¶•ì˜ ê¸°ì™€ë§ˆë£¨ì— ìž¥ì‹ë˜ëŠ” ë™ë¬¼ 형ìƒìœ¼ë¡œ 치문鴟å», í안狴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í˜„ìž¬ê¹Œì§€ë„ í•œêµ­ì¸ì˜ ìƒí™œ ì†ì—서 숨 쉬고 있는 ìƒìƒì˜ ë™ë¬¼ë“¤ì€ 현세ì—ì„œì˜ í–‰ë³µí•œ ì‚¶ê³¼ ì£½ì€ ë’¤ì— ì˜í˜¼ì´ 환ìƒí•˜ì—¬ 누릴 미래 세ìƒì— 대한 ì—¼ì›ì„ ë‹´ê³  있다.


ìž„ì˜ì£¼ | 한-명품미술관 관장

í™ìµëŒ€í•™êµì—서 목칠학과를 전공하고 ë™êµ­ëŒ€í•™êµëŒ€í•™ì›ì—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전문위ì›, í™ìµëŒ€í•™êµ 미술대학 겸임êµìˆ˜ ë“±ì„ ì—­ìž„í–ˆìœ¼ë©°
현재 (사)한국무형문화예술êµë¥˜í˜‘회 회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