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 ê´€ìž¥ì˜ í•œêµ­ë¬¸ì–‘ì‚¬ â‘¡ ë¶ë°© ê¸°ë§ˆë¯¼ì¡±ì˜ ê¸°ìƒì„ ë‹´ì€ ìˆ˜ë µë„

ì¸ë¥˜ 고대 회화나 ì¡°ê°ì˜ 주요 소재는 사냥으로 사냥ê°, 사냥방법 ë“±ì´ ê·¸ë ¤ì¡Œë‹¤. ì´ëŠ” 국내외 광범위한 ì§€ì—­ì— ê±¸ì³ ë°œê²¬í•  수 있는 그림으로, êµ­ê²½ì„ ë¶ˆë¬¸í•˜ê³  ìƒí™œ ë¬¸í™”ì  ê³µí†µì„±ì„ ì—¿ë³¼ 수 있다. ìš°ë¦¬ë‚˜ë¼ ì—­ì‹œ 예외가 ì•„ë‹Œë° ì²­ë™ê¸° 시대 탄ìƒí•œ 수렵ë„는 ì¡°ì„  시대로 넘어오며 ì¸ê¸° 화목 중 í•˜ë‚˜ì¸ í˜¸ë µë„로 ìžë¦¬ 잡게 ëœë‹¤.


지난 호ì—서 살펴본 바와 ê°™ì´ ì¸ë¥˜ê°€ 남긴 가장 ì˜¤ëž˜ëœ ë¯¸ìˆ ìž‘í’ˆì€ ì‚¬ëƒ¥ê·¸ë¦¼ì—서 시작ëœë‹¤. 현존하는 사냥그림 ê°€ìš´ë° ê°€ìž¥ ì˜¤ëž˜ëœ ê²ƒìœ¼ë¡œ 알려진 ê²ƒì€ ì§€ê¸ˆìœ¼ë¡œë¶€í„° 수 ë§Œ ë…„ ì „, 구ì„기시대 í›„ê¸°ì¸ ì˜¤ë¦¬ëƒí¬ ê¸°æœŸì˜ ê²ƒì´ë‹¤. ë°”ì´ì¹¼ 호반湖畔ì—서 ì„œìª½ì— ë¶ìŠ¤íŽ˜ì¸ì˜ 칸타브리아 지방과 ë¶ìª½ 시칠리아섬까지 ë„리 ë¶„í¬ë˜ì–´ 있는 ì„ ê°ç·šåˆ» 바위그림과 채색그림, 그리고 부조浮彫와 ì¡°ê°ë“¤ì€ 대개 ì´ ì‹œê¸°ì— ë§Œë“¤ì–´ì¡Œë‹¤. ì´ê²ƒì„ 제작한 ì‚¬ëžŒë“¤ì€ ìˆ˜ë µì±„ì§‘ë¯¼ì´ë‹¤. ë”°ë¼ì„œ ê·¸ë“¤ì˜ íšŒí™”ë‚˜ ì¡°ê°ì€ 본질ì ìœ¼ë¡œ 사냥그림ì´ë‹¤. 여기ì—는 ìžì—°í˜„ìƒì´ë‚˜ 산수 ì´ˆëª©ì„ í‘œí˜„í•˜ë ¤ëŠ” 시ë„를 전혀 ë³¼ 수 없다. 소재는 ì˜¤ì§ ìˆ˜ë µ 활ë™ì—ë§Œ 집중ë으며, 그림 ì† ê´€ì‹¬ê³¼ 주제는 ê·¸ë“¤ì´ í¬íší•˜ê³ ìž í–ˆë˜ ë™ë¬¼ê³¼ 사냥 ë°©ì‹ì— êµ­í•œë¼ ìžˆë‹¤.

ì²­ë™ê¸°ì‹œëŒ€ 그림으로 살펴보는 수렵 문화

수렵 ê·¸ë¦¼ì€ ì›ì‹œì‹œëŒ€ 수렵경제 ìƒí™œì„ ë°˜ì˜í•˜ëŠ”ë°, 우리나ë¼ì˜ 경우ì—는 ì²­ë™ê¸°ì‹œëŒ€ì˜ ë™ë¬¼ë¬´ëЬ ì²­ë™ê²¬ê°‘動物紋é‘éŠ…è‚©ç”²ì— ìƒˆê²¨ì§„ 화살 ë§žì€ ì‚¬ìŠ´ 문양(ë„1)ê³¼ 울주 ë°˜êµ¬ëŒ€ç›¤é¾œè‡ºì˜ ë°”ìœ„ìƒˆê¹€ ê·¸ë¦¼ì´ ê°€ìž¥ 오래ë다. ì²­ë™ê¸°ì‹œëŒ€ 바위새김그림ì—서 나타나는 ë™ë¬¼, ì¸ë¬¼ ë“±ì˜ í‘œí˜„ 요소는 ì²­ë™ê¸°ì‹œëŒ€ì˜ ê°ì¢… ì˜ê¸°å„€å™¨ì—ë„ ë‚˜íƒ€ë‚˜ë©° ê·¸ ë§¥ë½ì€ ê³ ì‹ ë¼ì‹œëŒ€å¤æ–°ç¾…時代 토기로부터 ì´ì–´ì ¸ 내려온다. í¥ë¯¸ë¡­ê²Œë„ ì„ ê°ë¬´ëŠ¬ê°€ 새겨진 토기ì—서 ì´ ê°™ì€ ìƒí˜•ì„ ì°¾ì•„ ë³¼ 수 있는ë°, 토기ê°(土器å©, êµ½ì´ ë†’ê³  ëª©ì´ ê¸´ 토기항아리), ê³ ë°°(高æ¯, êµ½ì´ ë†’ì€ ìˆ ìž”)ì—는 어깨 ë¶€ë¶„ì— ì„ ê°ìœ¼ë¡œ 별ìžë¦¬ì™€ ë”불어 사냥하는 ì¸ë¬¼ 형ìƒ, 그리고 청용·백호·현무·주작 등 ì‚¬ì‹ å››ç¥žì´ ì¶”ìƒì ìœ¼ë¡œ ìŒê°é™°åˆ»ë˜ì–´ 신비ê°ì„ ë”한다. (ë„2, ë„3)
수렵 ìž¥ë©´ì„ ê·¸ë¦° 무늬는 고대 왕조ì—서 신神ì´ë‚˜ 왕ìžê°€ 사냥하는 ìž¥ë©´ì„ ê°„ê²°í•˜ê³  ìƒì§•ì ìœ¼ë¡œ 표현한 것으로 ì™•ê¶Œì˜ ë¬¸ì–‘ì„ ëœ»í•˜ê¸°ë„ í•œë‹¤. 기ì›ì „ 27세기 ì´ì „ì— ë©”ì†Œí¬íƒ€ë¯¸ì•„ 남ë™ë¶€ì— 위치하며 세계 ìµœê³ ì˜ ë¬¸ëª…ìœ¼ë¡œ ì¼ì»¬ì–´ì¡Œë˜ 수메르(Sumer)ì˜ ì•„ì¹´ë“œ 왕조시대(B.C. 2350경〜 B.C.2150ê²½) ìœ ë¬¼ì„ ë¹„ë¡¯í•´ 루리스탄 ì²­ë™ê¸° 문화, ì•„ì¹´ì´ë©”네스 왕조, 스키타ì´, 사르마타ì´, 사산왕조 페르시아 등 ì´ëž€ê³„ ë¯¼ì¡±ì´ ë‚¨ê¸´ 유물ì—ì„œë„ ìˆ˜ë µ ë¬¸ì–‘ì„ ë³¼ 수 있다.

특히 ì‚¬ì‚°ì™•ì¡°ì˜ ì€ìŸë°˜ì´ë‚˜ ì§ë¬¼ 장ì‹ë¬¸ì–‘(ë„4)ì—서 매우 발달했는ë°, 기마ì¸ë¬¼ì´ 마ìƒé¦¬ä¸Šì—서 í™œì„ ë‹¹ê²¨ 사ìžë¥¼ ì˜ê³  있는 장면 ë“±ì´ í‘œí˜„ë˜ì—ˆë‹¤. ì´ëŸ¬í•œ 수렵그림 ë° ë¬¸ì–‘ì€ ì„œì•„ì‹œì•„ë¡œë¶€í„° ì˜í–¥ì„ 받아 중국 춘국 전국시대 ë§ê¸° ì´í›„ì˜ ê¸ˆì†ê³µì˜ˆí’ˆì¸ 수렵무늬구리거울[ç‹©çµç´‹éŠ…é¡], í™”ìƒì„畵åƒçŸ³, ì „(塼, ë²½ëŒ), 견ì§ë¬¼çµ¹ç¹”物 등ì—ì„œë„ ë‚˜íƒ€ë‚œë‹¤. 우리나ë¼ì—ë„ ì¤‘êµ­ 길림성 통구通æºì—ì˜ ì§‘ì•ˆ(輯安, 集安)ì— ìžˆëŠ” 고구려 ë²½í™”ê³ ë¶„ì¸ ë¬´ìš©ì´(5세기 ë§ã€œ6세기)ê³¼ ë•í¥ë¦¬ë²½í™”ê³ ë¶„, 약수리벽화고분, 장천1호분 등ì—서 그와 유사한 사냥 ê·¸ë¦¼ì„ ë°œê²¬í•  수 있다. 특히 무용ì´ì˜ 현실 서쪽 ë²½ì— ê·¸ë ¤ì§„ 수렵ë„는 고분벽화 사냥그림 ê°€ìš´ë° ê°€ìž¥ 환ìƒì ì´ë©´ì„œë„ 약ë™ì ì´ë¼ëŠ” 측면ì—서 세계ì ì¸ 고대 회화작품으로 í‰ê°€ ë°›ì„ ë§Œí•˜ë‹¤. (ë„5) 고구려 ë¬´ì‚¬ë“¤ì˜ ì‚¬ëƒ¥ í’ê²½ì„ ê¸°êµ ì—†ì´ í‘œí˜„í–ˆìœ¼ë©° ì‚°ë§¥ ìœ—ë¶€ë¶„ì˜ ì‚¬ìŠ´ì‚¬ëƒ¥ 장면과 ì•„ëž«ë¶€ë¶„ì˜ í˜¸ëž‘ì´ ì‚¬ëƒ¥ ìž¥ë©´ì„ ë¶„ë¦¬ì‹œì¼œ ê³„ì„ ç•Œç·šì˜ íš¨ê³¼ë¥¼ ë‚´ë©´ì„œë„ ì•„ëž«ë¶€ë¶„ì—는 사슴 ì‚¬ëƒ¥ì˜ ê·¸ë¦¼ì´ ì˜¤ë¥¸ìª½ìœ¼ë¡œ ì—°ê²°ëœë‹¤. ì‚¬ëƒ¥ê¾¼ì´ ë§ì„ 타고 ë’¤ëŒì•„ í™œì„ ì˜ëŠ” ëª¨ìŠµì€ ë§¤ìš° 드ë¼ë§ˆí‹±í•´ 긴장ê°ì„ ëŠë¼ê²Œ 하며, 사냥개 ë‘ ë§ˆë¦¬ì˜ ë™ìž‘ì´ë‚˜ ë™ë¬¼ë“¤ì˜ ì „ì²´ì ì¸ 움ì§ìž„ë„ ìž˜ 묘사ë다. ì—¬ê¸°ì— ì¶”ìƒì ì¸ ì¡°ìš´é›•é›²ì´ ë‘¥ì‹¤ ë– ì˜¬ë¼ ê·¸ë¦¼ì— ì‹ ë¹„ê°ì„ ë”한다. ì´ ê°™ì€ ì‚¬ëƒ¥ê·¸ë¦¼ì€ ì†ë„ê°ê³¼ ë°•ì§„ê°ì´ 넘치는 ë¶ë°© ê¸°ë§ˆë¯¼ì¡±ì˜ ê¸°ìƒì„ 여실히 보여준다. êµ­ë¦½ê²½ì£¼ë°•ë¬¼ê´€ì´ ì†Œìž¥í•œ 통ì¼ì‹ ë¼ì‹œëŒ€ ë¬´ëŠ¬ì „ëŒ <문양전紋樣塼>(ë„6)ì—ì„œë„ ìˆ˜ë µ ë¬¸ì–‘ì„ ì°¾ì„ ìˆ˜ 있다.

수렵ë„ì—서 호렵ë„로 ì´ì–´ì ¸

회화로는 고려시대 ê³µë¯¼ì™•ì´ ê·¸ë ¸ë‹¤ê³  전하는 <ìŒì‚°ëŒ€ë µë„陰山大çµåœ–>(ë„7)ê°€ 전하고, ì´ì œí˜„ì˜ <기마ë„ê°•ë„騎馬渡江圖> ë“±ì´ ìžˆì–´ì„œ ì´ ì‹œëŒ€ì— ê·€ì¡±ê³„ì¸µì˜ ìˆ˜ë µë¬¸í™”ê°€ 유행했고, 수렵í’ì†ì´ 근세까지 왕조를 통해 ì´ì–´ì¡ŒìŒì„ 알 수 있어 매우 í¥ë¯¸ë¡­ë‹¤. 수렵í’ì†ì€ 조선시대ì—ë„ ì´ì–´ì¡ŒëŠ”ë° ì£¼ìš” 작품으로 1744ë…„ ê¹€ë‘량金斗樑과, ê¹€ë•하金德廈 ë¶€ìžê°€ 합작한 <ì¶”ë™ì „ì›í–‰ë µìŠ¹íšŒë„秋冬田園行çµå‹æœƒåœ–>를 ë¹¼ë†“ì„ ìˆ˜ 없다.
ì¡°ì„  í›„ê¸°ì— ë§Žì´ ê·¸ë ¤ì§„ 호렵ë„虎çµåœ–는 ìœ ëª©ë¯¼ì¡±ì¸ ìš°ë¦¬ ë¯¼ì¡±ì´ ì¦ê¸°ë˜ 수렵 ê·¸ë¦¼ì´ ë³€ì²œëœ ê²ƒìœ¼ë¡œ ë³¼ 수 있다.(ë„8) 여기ì—는 ì™¸ëž€ì„ ë§Žì´ ê²ªì—ˆë˜ ì‹œëŒ€ì  ë°°ê²½ ì†ì—서 호ì¸ë“¤ì˜ ëŒ€ë¥™ì  ê¸°ìƒì„ 장려하고, 가내 후ì†ë“¤ì—게서 ë¬´ê´€æ­¦å®˜ì´ ë§Žì´ ë°°ì¶œë˜ê¸°ë¥¼ ì—¼ì›í•˜ëŠ” ëœ»ë„ ë‚´í¬ë˜ì–´ 있다. 특히 ì¡°ì„  ì´ˆ 병ìží˜¸ëž€ 당시 ì²­ë‚˜ë¼ í˜¸ì¸èƒ¡äººë“¤ì˜ í¬ì•…ì„±ì„ ê²½ê³„í•˜ê³  ìž¬ë‚œì„ ë§‰ì•„ë‚´ëŠ” 벽사용 ê·¸ë¦¼ìœ¼ë¡œì¨ í˜¸ë µë„ê°€ 유행했다.


글 ìž„ì˜ì£¼ (한-명품미술관 관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