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ì˜ 한국문양사 ㉒ ì¡°ì„ ì™•ì¡°ì˜ ìœ êµì  표장,表章 보補와 í‰ë°°èƒ¸èƒŒ

ë„3 ê±°ë¶í‰ë°°, ê´‘ë³µì´í›„, 섬유-견, 국립민ì†ë°•물관 소장



조선시대 ê´€ë¦¬ë“¤ì€ í‰ë°°ë¥¼ 부착한 ê´€ë³µì„ ì°©ìš©í•¨ìœ¼ë¡œì¨ ìœ êµì  ë•ëª©ì¸ íš¨Â·ì œÂ·ì¶©Â·ì‹ Â·ì˜ˆÂ·ì˜Â·ì—¼Â·ì¹˜ë¥¼ ë˜ìƒˆê¸°ê³  치국í‰ì²œí•˜ë¥¼ ì—¼ì›í–ˆë‹¤. í‰ë°°ì— 담긴 ê¸¸ìƒ ë¬¸ì–‘ì€ ê´€ë¦¬ë“¤ì˜ í’ˆê³„ë¿ ì•„ë‹ˆë¼ ì¡°ì„ ì´ ì§€í–¥í•˜ëŠ” êµ­ê°€ 비전까지 아름답게 표현한 종합예술ì´ì—ˆë˜ ì…ˆì´ë‹¤.
글 ìž„ì˜ì£¼ (한-명품 미술관 관장)


옛 ì™•ì¡°ì‹œëŒ€ì˜ ê´€ë³µì œë„ì—서 ê´€ë¦¬ë“¤ì˜ ì¡°ë³µæœæœ 앞가슴과 ë“±ì— ë¶™ì—¬ ê°€ì‹åŠ é£¾í•˜ì—¬ 품위를 í‘œì‹œí•˜ì˜€ë˜ í‘œìž¥è¡¨ç« ì„ ì¼ì»¬ì–´ì„œ í‰ë°°ë¼ 하였다. 우리나ë¼ì—서 ì´ëŸ¬í•œ í‰ë°° 장ì‹ì´ ì œë„ì ìœ¼ë¡œ ë²•ë¬¸í™”ëœ ê²ƒì€ ã€Šê²½êµ­ëŒ€ì „ç¶“åœ‹å¤§å…¸ã€‹(1485)ì—서였다. ì´ì „ì˜ í‰ë°° ì–‘ì‹ì€ 중국 명나ë¼ì˜ ì–‘ì‹ì„ ì‚°ë°œì ìœ¼ë¡œ 답습하며 만들어진 것ì´ë¯€ë¡œ ì–‘ì‹ìƒ 중국 것과 혼ëˆí•˜ê¸° 쉽다. 세종 28ë…„(1446)ì— í‰ë°° ì œì •ì— ê´€í•œ ë…¼ì˜ê°€ 있었는ë°, 사치를 억제하고 ê²€ë°•å„‰æœ´ì„ ìœ„í•˜ì—¬ 보류하ìžëŠ” ì˜ì˜ì • 황í¬ì˜ ì˜ê²¬ì´ 있어 해당 ì œë„ê°€ 실현ë˜ì§„ 못하였다. ê·¸ 후 단종 2ë…„(1454)ì— ë¹„ë¡œì†Œ 당ìƒê´€å ‚上官(1í’ˆì—서 3품까지) ì´ìƒ ë¬¸ë¬´ê´€æ–‡æ­¦å®˜ì˜ í‰ë°° ê²©ì‹ ì œë„ê°€ 제정ë˜ì—ˆë‹¤. ì´ëŠ” ëª…ë‚˜ë¼ í™ë¬´ì²´ì œæ´ªæ­¦é«”制를 따른 것ì´ì§€ë§Œ 명나ë¼ì˜ 왕국ì´ë“±ì²´ê°•ì›ì¹™çŽ‹åœ‹äºŒç­‰éžé™åŽŸå‰‡ì— ë”°ë¼ì„œ 3í’ˆ í‰ë°°ê°€ 1품으로 정해졌다.
ì—°ì‚°êµ° 11ë…„(1505)ì— ì´ë¥´ëŸ¬ 나ë¼ì—서는 1í’ˆì—서 9품까지 관료 ì „ì²´ì˜ í‰ë°° ì œë„를 제정하게 ëœë‹¤. ì´ë•Œ í‰ë°°ì˜ 무늬 ë„안 ë“±ì´ ë¹„ë¡œì†Œ ëª…ë‚˜ë¼ ì œë„ì—서 벗어나서 êµ­í’화國風化ë˜ê¸° 시작했으니 특히 주목할 만하다. 조선시대 문관 1í’ˆ í‰ë°° 무늬는 공작, 2í’ˆì€ ìš´ì•ˆ(雲é›, 구름 ì†ì„ 나는 기러기), 3í’ˆì€ ë°±í•œ(白鷳, ê¿©ê³¼ì— ì†í•˜ëŠ” 새로서 꼬리가 길며 아름답고 우아하다)ì´ì—ˆìœ¼ë©°, 무관 1품과 2í’ˆì€ í˜¸í‘œ(虎豹, 범과 표범), 3í’ˆì€ ì›…ë¹„(熊羆, ê³°)였다. ì™•ì‹¤ì˜ ëŒ€êµ°å¤§å›ì€ 기린, 왕ìžêµ°ì€ ë°±íƒç™½æ¾¤, ëŒ€ì‚¬í—Œå¤§å¸æ†²ì€ 해치ç¬è±¸, ë„통사는 사ìžç…å­ë¬´ëЬ 등ì´ì—ˆë‹¤. ë¬¸ë¬´ë°±ê´€ì˜ ì¡°ë³µ 단령í¬ì— 다는 í‰ë°°ëŠ” ë•…ì„ ìƒì§•하여 네모지며 ê·¸ í’ˆê³„ì— ë”°ë¼ ê°ì¢… 서수瑞ç¸, 서조瑞鳥가 수놓아졌다. ì´í›„로는 필히 í‰ë°°ë¥¼ 착용하고 ê´€ê°€ì— ì¶œìž…í•˜ë¼ê³  하였다 .
왕과 왕세ìžçދ䏖å­ì˜ 곤룡í¬å´‘é¾è¢ì— 다는 í‰ë°°ëŠ” 특별히 ë³´è£œë¼ í•œë‹¤. ê°€ìŠ´Â·ë“±ì„ í¬í•¨í•˜ì—¬ ì–‘ 어깨ì—ë„ ë‹¬ì•˜ë‹¤.(ë„1) ìž„ê¸ˆì˜ ê³¤ë£¡í¬ì— 달린 ë³´ì˜ ê²½ìš° í”히 용보é¾è£œë¼ 하는ë°, í•˜ëŠ˜ì„ ìƒì§•하는 둥근 ì› ì•ˆì— ìš©ì´ íŠ¸ë¦¼í•˜ê³  있는 ëª¨ì–‘ì„ ìˆ˜ë†“ì•˜ë‹¤. ê·¸ ìš©ì„ ë‹¨ìš©(團é¾, 둥근 ìš©) í˜¹ì€ ë°˜ìš©(蟠é¾, 서리어 있는 ìš©)ì´ë¼ 부른다. 왕보ì—는 오조룡五爪é¾, 왕세ìžì˜ 경우는 사조룡四爪é¾ì„ 수놓았다. 당고 조묘 ë²½í™”ì— ì´ˆë‹¹ëŒ€åˆå”代 당 ê³ ì¡° ì´í˜„ì´ ìš©ë³´ë¥¼ 착용한 모습(ë„2)으로 미뤄보아 ì™•ë³´ì˜ ì œë„는 ì´ë¯¸ ë‹¹ëŒ€ì— ë¹„ë¡¯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

ë„1 ì˜ì¡°ì–´ì§„, 대한제국, 섬유-견, 국립고ê¶ë°•물관 소장

í’ˆê³„ì— ë”°ë¼ í‰ë°° 무늬 달ë¼

í‰ë°° ë¬´ëŠ¬ì˜ ë³€ì²œ ê³¼ì •ì„ ì‚´íŽ´ë³´ë©´ 주제가 ë˜ëŠ” 무늬와 품계는 서로 ì—°ê´€ë˜ê³  있ìŒì„ 알 수 있다. ì¡°ì„  중기 무신 ì´ì„±ìœ¤(1570-1620) 기러기í‰ë°°ì™€ ì¡°ì„  중기 문신 윤효전(1563-1619) 공작í‰ë°°ì—서 보는 바와 ê°™ì´ ì¡°ì„  중기 í‰ë°°ì—서는 사실ì ì¸ 모란꽃과 í•˜ëŠ˜ì— ìœ ìœ ížˆ í르는 êµ¬ë¦„ì´ ë°°ê²½ì¸ ê²½ìš°ê°€ 많다. 무신 í‰ë°°ì˜ 경우 기러기 한 ìŒ, 문신 í‰ë°°ì—는 공작새 무늬를 수놓았다. 앞서 언급했듯 16세기 후반ì—는 구름무늬가 ë°°ê²½ì„ ì´ë£¨ëŠ” 예가 많다. 특히 ì¡°ì„  중기 ë¬¸ì‹ ì˜ ê³µìž‘í‰ë°°ì—서처럼 ì¡°ì„ ì¡° 중기 í‰ë°°ì—서 처ìŒë¶€í„° ë까지 ë°°ê²½ì´ ë˜ëŠ” ë¬´ëŠ¬ì˜ ì£¼ë¥˜ë¥¼ ì´ë£¨ì–´ì˜¨ 구름무늬는 ì‹œëŒ€ì  ë³€ì²œì„ ë¶„ëª…ížˆ 나타내고 있ìŒì„ ë³¼ 수 있다. ì¡°ì„  중기 문신 임장(1568-1619) 백한í‰ë°°ë¥¼ 예로 들면, 15세기 세종조 ë¬´ë µì˜ í‰ë°°ì— 나타난 구름무늬는 ê³ ë ¤ 12-13세기경 ìƒê°ì²­ìžì— 나타나는 서운무늬瑞雲紋와 유사한 ìž‘ì€ êµ¬ë¦„ë¬´ëŠ¬ì˜€ìœ¼ë©°, 16세기 ë§ ì„ ì¡° 때부터는 í° ê½ƒë¬´ëŠ¬ 형ì‹ìœ¼ë¡œ 길게 가로지른 뭉게구름 형ì‹ì´ë‹¤. ì¡°ì„  중기 문신 ì´ì‹œë°©(1594-1660) 기러기í‰ë°°ì— ìˆ˜ë†“ì¸ ë¬¸ì–‘ì€ ëª¨ëž€ê½ƒ ë°”íƒ•ì— ë²ˆê°œë¬´ëŠ¬é›·ç´‹ë¥¼ 깔아 매우 ë„안화 ëœ ê²ƒì„ ë³¼ 수 있다. 그러나 ì¡°ì„  중기 무신 박유명(1582-1640)ì˜ ë²”(호랑ì´)í‰ë°°ì™€ ì¡°ì„  후기 무신 ìŒí˜¸í‰ë°°ì—서 보는 바와 ê°™ì´ 15, 16ì„¸ê¸°ì˜ í‰ë°°ì—서는 ê°ê°ì˜ 무늬를 í¬ê²Œ 표현한 ê²ƒì´ íŠ¹ì§•ì´ë‹¤. ë˜ ë°°ê²½ê³¼ 주 무늬가 ê±°ì˜ ëŒ€ì¹­ì„ ì´ë£¨ë©° í‰ë°°ë©´ì˜ 좌우를 나누어서 다루어지고, 회화ì ì´ë©´ì„œë„ 사실ì ì¸ í‘œí˜„ì´ ì£¼ë¥¼ ì´ë£¬ë‹¤. ì¡°ì„  ì˜ì¡°ëŒ€ 문신 박문수(1691-1756) ìŒí•™í‰ë°° ì¡°ì„  중, 후기 문신 김유(1653-1719) ìŒí•™í‰ë°°ëŠ” ë„ì‹í™” ëœ êµ¬ë¦„ë¬´ëŠ¬ë¥¼ 배경으로 화면 ê°€ë“히 í¬ê²Œ ìŒìš´í•™ì„ 배치하고 있다. ì¡°ì„  후기 정조대 문신 유언호(1730-1796)ì˜ ì´ˆìƒì— 그려진 ìŒí•™í‰ë°°ëŠ” 당시 ë‹¨ì²­ì˜ ìƒ‰ê°ì²˜ëŸ¼ 화려하고 ë„ì‹ì ì¸ ì—¬ì˜êµ¬ë¦„如æ„é›²ì´ ë‹ë³´ì¸ë‹¤.
다ìŒìœ¼ë¡œëŠ” í‰ë°° ì† ë¬¸ì–‘ì— ëŒ€í•´ 조금 ë” ìžì„¸ížˆ ì‚´íŽ´ë³´ê³ ìž í•œë‹¤.

ë„2 당 ê³ ì¡° ì´í˜„ì´ˆìƒ, 초당대, 벽화

신귀神龜(ê±°ë¶) (ë„3)

ì‹ ê·€í‰ë°°ì˜ 주요 유물로는 ì¡°ì„  대ì›êµ° ì´í•˜ì‘ì˜ ì‹ ê·€(ê±°ë¶) í‰ë°°ë¥¼ 들 수 있다. 옛 문헌ì—서 ê±°ë¶ì€ 하ë„낙서河圖洛書 전설로 유명하다. 중국 고대 하나ë¼ì˜ ìš°ì™•ì´ í™ìˆ˜ë¥¼ 다스릴 때 낙수ë¼ëŠ” ê°•ì—서 ê±°ë¶ì´ 나왔는ë°, ì´ ê±°ë¶ì˜ ë“±ì— 45ê°œì˜ ì ìœ¼ë¡œ ì´ë£¨ì–´ì§„ 아홉 ê°œì˜ ë¬´ëŠ¬ê°€ 발견ë˜ì—ˆë‹¤ê³  한다. ì ìœ¼ë¡œ ëœ ë¬´ëŠ¬ê°€ ë’¤ì— íŒ”ê´˜ì™€ 정치ì—서 강조하는 ë„ë•ì  ë•ëª©ì˜ ì•„í™‰ 가지 ì›ì¹™ì¸ í™ë²”구주洪範ä¹ç–‡ì˜ ê·¼ì›ì´ ë˜ì—ˆë‹¤ê³  한다. ê±°ë¶ì€ 개충介蟲(딱딱한 등ê»ì§ˆì„ 지닌 ë™ë¬¼)ì˜ ìš°ë‘머리로 여겨졌다. 등ê»ì§ˆì€ ê°‘ì˜·ì„ ìƒì§•하므로 대체로 ë¬´ê´€ì— ì–´ìš¸ë¦°ë‹¤. 옛 ì‚¬ëžŒë“¤ì€ ê±°ë¶ì´ ì£¼ìˆ ì  íš¨ëŠ¥ì„ ì§€ë‹ˆê³  있다고 믿어 ê»ì§ˆì„ 구워 ê°ˆë¼ì§€ëŠ” ëª¨ì–‘ì„ ë³´ê³  ë¯¸ëž˜ì˜ ê¸¸í‰ì„ ì ì¹˜ê¸°ë„ 하였다. 그런가 하면 ì‚¬ë°©ì‹ å››æ–¹ç¥žì˜ í•˜ë‚˜ì¸ í˜„ë¬´çŽ„æ­¦ë¡œì„œ ë¶ë°©ì„ 수호하는 방위신으로 숭앙ë˜ê¸°ë„ 했으며 ë‹¬ì˜ í™”ì‹ , 수성, 천지 ìŒì–‘ì˜ ìƒì§•으로 ë³´ê¸°ë„ í–ˆë‹¤. ë˜í•œ 다른 ë™ë¬¼ë³´ë‹¤ ìˆ˜ëª…ì´ ê¸´ ìƒíƒœì  ì†ì„± ë•Œë¬¸ì— ë¶ˆì‚¬ä¸æ­»ì˜ ìƒì§•으로 ë„리 ì¸ì‹ë˜ì—ˆë‹¤. ê±°ë¶ ë¬´ëŠ¬ì—서는 ê±°ë¶ì´ 입으로 ìƒì„œë¡œìš´ ê¸°ìš´ì„ ë‚´ë¿œê³  있는 ëª¨ìŠµì´ ë§Žë‹¤.

(좌) ë„4 ë°±íƒí‰ë°°, ê´‘ë³µì´í›„, 섬유-견, 국립민ì†ë°•물관 소장
(ìš°) ë„5 단학문 í‰ë°°, 조선시대, 섬유, 국립고ê¶ë°•물관 소장

ë°±íƒç™½æ¾¤ (ë„4)

ë°±íƒì€ 옛 ìƒìƒìƒæƒ³åƒä¸Šì˜ 신수神ç¸ì´ë‹¤. 사ìžì™€ 유사하게 ìƒê²¼ìœ¼ë©° ì‚¬ëžŒì˜ ë§ì„ 하고 ë§Œë¬¼ì˜ ëª¨ë“  ëœ»ì„ ì•Œì•„ë‚´ê³ , 유ë•한 ìž„ê¸ˆì˜ ì¹˜ì„¸ì— ë‚˜íƒ€ë‚œë‹¤ê³  한다. 중국 명조 때 ê·€ìœ„ì˜ ë³µìž¥ì— ë¶€ì°©ëœ ë°±íƒë³´ç™½æ¾¤è£œì—서 ê·¸ ëª¨ìŠµì„ ë³¼ 수 있다. ìš°ë¦¬ë‚˜ë¼ ê³ ë ¤ì¡°ì™€ ì¡°ì„ ì¡°ì— ì‚¬ìš©ëœ ì˜ìž¥ê¸°ë¬¸ì–‘ì˜ í•˜ë‚˜ë¡œì„œ 삼ê°í˜•ì˜ ê¹ƒë°œì— ê·¸ë ¤ì¡Œë‹¤.

ë„6 ìŒí•™í‰ë°°, 조선시대, 섬유-견, 국립민ì†ë°•물관 소장

운학雲鶴 (ë„5, ë„6)

ë°±í•™ì€ ìš°ë¦¬ 전설 ì†ì—서 봉황 다ìŒìœ¼ë¡œ ì´ë¦„ ë†’ì€ ìƒˆì´ë‹¤. í•™ì€ ëª¨ë“  ë‚ ì§ìŠ¹ì˜ ìš°ë‘머리로서 구름과 ê°™ì´ ê·¸ë ¤ì§€ëŠ”ë°, ì´ëŸ¬í•œ 무늬를 ìš´í•™ì´ë¼ 한다. 한 마리를 ê·¸ë ¤ë†“ì€ ë‹¨í•™å–®é¶´ë¬´ëŠ¬ë„ ìžˆì§€ë§Œ ìŒì„ ì´ë£¬ ìŒí•™é›™é¶´ë¬´ëŠ¬ê°€ 많다. ì˜¤ëž˜ëœ í•™ 그림으로는 고구려 고분벽화ì—서 ë³¼ 수 있는 승학신선ë„乘鶴神仙圖를 들 수 있는ë°, ì‹ ì„ ì´ í•™ì„ íƒ€ê³  날아가는 ëª¨ìŠµì´ ê·¸ë ¤ì¡Œë‹¤. ì´ëŸ¬í•œ ê·¸ë¦¼ì€ ë„ìžê¸° 그림ì´ë‚˜ 사찰 벽화ì—ì„œë„ ì°¾ì•„ ë³¼ 수 있다. í•™ì€ ë¬¸í•™æ–‡å­¸ì˜ ìƒì§•ì´ë¯€ë¡œ ì¡°ì„  ë¬¸ê´€ì˜ ê´€ë³µì— í‰ë°°ë¡œ 나타난다. ìŒí•™í‰ë°°ëŠ” 당ìƒê´€ ì´ìƒë§Œ 착용할 수 있었다

ë„7 백한í‰ë°°, ê´‘ë³µì´í›„, 국립민ì†ë°•물관 소장

백한白鷴 (ë„7)

ë°±í•œì€ ê¿©ê³¼ì— ì†í•˜ëŠ” 새로 꼬리가 길고 우아하다. 문관 3í’ˆì´ ë°±í•œí‰ë°°ë¥¼ 착용하였다. ì¡°ì„  중기 문신 임장(1568-1619) ì´ˆìƒì— 그려진 백한í‰ë°°ê°€ 대표ì ì´ë‹¤. ìˆ˜ì»·ì€ ë“±ì´ í¬ë©° ‘vâ€™ìž ëª¨ì–‘ìœ¼ë¡œ ê²€ì€ ìƒ‰ 얼룩무늬 있고 배는 검으며 검붉ì€ìƒ‰ì˜ 긴 ë„가머리가 있다. ëˆˆì˜ ê°€ìž¥ìžë¦¬ì™€ ë³ì€ 진빨강ì´ë©° 다리는 ë¶„í™ìƒ‰ì— ë©°ëŠë¦¬ë°œí†±ì´ í¬ë‹¤. 부리는 파랑색ì´ë‹¤.

웅비熊羆

ë§¹ìˆ˜ì¸ ê³°ì€ ëª…ì‚°ì— ì‚´ë©° 겨울ì—는 칩거한다. íž˜ì´ ì„¸ì–´ ë¬´ê´€ì„ ìƒì§•하므로 무관 3í’ˆì˜ í‰ë°°ì— 나타난다. 단군신화ì—서 환ì¸ì˜ 아들 í™˜ì›…ì´ í•˜ëŠ˜ì—서 ì´ ì„¸ìƒì— 내려와 íƒœë°±ì‚°ì˜ ì‹ ë‹¨ìˆ˜ç¥žæª€æ¨¹ 아래ì—서 세ìƒì„ 다스릴 때 ì‚¬ëžŒì´ ë˜ê³ ìž í•˜ë˜ ê³°ê³¼ 호랑ì´ì—게 ì‘¥ 한줌과 마늘 스무 ìª½ì„ ì£¼ë©´ì„œ 100ì¼ ë™ì•ˆ í–‡ë¹›ì„ ë³´ì§€ ë§ë„ë¡ í•˜ì˜€ëŠ”ë°, 호랑ì´ëŠ” ì´ê²ƒì„ 못 참고, ê³°ì€ ì°¸ì•„ë‚´ì–´ 웅녀가 ë˜ì—ˆëŠ”ë° í™˜ì›…ê³¼ 결혼하여 ì•„ë“¤ì„ ë‚³ìœ¼ë‹ˆ 그를 단군ì´ë¼ 하였다.

공작孔雀

ì¡°ì„  중기 문신 윤효전(1563-1619) ì´ˆìƒì— 나타는 공작í‰ë°°ë¥¼ ë³´ë©´ 오사모çƒç´—帽와 í‘ë‹¨ë ¹é»‘åœ˜é ˜ì„ ì°©ìš©í•˜ê³  문관 1í’ˆê´€ì´ ì°©ìš©í•˜ëŠ” 공작í‰ë°°ì— 서대犀帶를 ë‘른 모습ì´ë‹¤. í‰ë°°ë¥¼ 살펴보면 위쪽으로는 ì˜¤ìƒ‰êµ¬ë¦„ì´ í르고 아래ì—는 ëª¨ëž€ê½ƒì„ ë°°ê²½ìœ¼ë¡œ 번개무늬가 깔려서 서ìƒì ì¸ 분위기 ì†ì— 공작새 한 ìŒì´ ì¶¤ì„ ì¶”ëŠ” í’ê²½ì´ë‹¤. ê³µìž‘ì€ ê¿©ê³¼ì— ì†í•˜ëŠ” 매우 화려한 새ì´ë‹¤. 긴 ê¹ƒí„¸ì´ ìžˆê³  ê½ì§€ë¥¼ 펴면 í° ë¶€ì±„ 같으며 둥글고 ì˜¤ìƒ‰ì´ ì°¬ëž€í•˜ë‹¤. 문금文禽ì´ë¼ê³ ë„ 한다.

ë„8 ìŒí˜¸í‰ë°°, 조선시대, 사ì§-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호표虎豹 (ë„8)

ì¡°ì„  중기 무신 박유명(1582-1640)ì˜ ì´ˆìƒí™”ì— ê·¸ë ¤ì§„ ë²”(호랑ì´)í‰ë°°ë¥¼ ë³´ë©´, 정사공신é–社功臣 3ë“±ì— ë…¹í›ˆëœ ë‹¹ì‹œì˜ ê´€ë³µ ì°¨ë¦¼ì„ ì•Œ 수 있다. 17ì„¸ê¸°ì˜ ì „í˜•ì ì¸ ê³µì‹ ìƒ ëª¨ìŠµì„ ë³´ì—¬ì£¼ëŠ”ë° í˜¸ëž‘ì´ í‰ë°°ë¥¼ 부착한 무관 ì´ˆìƒì¸ ì ì´ 주목ëœë‹¤. ìœ„ì— ë¬¼ í르는 듯한 ì˜¤ìƒ‰êµ¬ë¦„ì„ ë°”íƒ•ìœ¼ë¡œ 아래ì—는 화사한 모란꽃송ì´ê°€ 피어 있고, ê·¸ í•œê°€ìš´ë° í˜¸ëž‘ì´ í•œ 마리가 앉아서 잔뜩 ìœ„ì—„ì„ ë‚˜íƒ€ë‚´ë©° ì•žìª½ì„ ì£¼ì‹œí•˜ê³  있는 모습ì´ë‹¤. í˜¸í”¼ì˜ ì¤„ë¬´ëŠ¬ëŠ” 호랑ì´ê³  ë¨¸ë¦¬ì˜ ì ë°˜ 무늬는 í‘œë²”ì¸ í˜¸í‘œì˜ ëª¨ìŠµì´ë‹¤.

해치ç¬è±¸ (ë„9)

해치는 í•´íƒœì˜ ì›ë§ì´ë‹¤. 해타海é§ë¼ê³ ë„ 하는ë°, 옳고 그름과 ì„ ì•…ì„ ê°€ë¦´ 줄 안다고 하는 ìƒìƒì˜ ì§ìйì´ë‹¤. ëª¨ìŠµì€ ì‚¬ìžì™€ 비슷하나 머리 ê°€ìš´ë° ë¿” 하나가 있다고 한다. 주로 ê¶ì¤‘ì— ìž¥ì‹ë¬¼ë¡œ ë§Žì´ ë‚˜íƒ€ë‚˜ëŠ” ì§ìйì¸ë° 중국ì—서는 ì´ ì§ìŠ¹ì„ ë³¸ 떠서 해태관ì´ë¼ 하는 ë²•ê´€æ³•å®˜ì˜ ê´€å† ì„ ë§Œë“¤ì—ˆë‹¤. ì¡°ì„ ì¡°ì—는 ëŒ€ì‚¬í—Œå¤§å¸æ†²ì˜ í‰ë°°ì— 쓰였다.

(좌) ë„9 해치í‰ë°°, ê´‘ë³µì´í›„, 국립민ì†ë°•물관 소장
(ìš°) ë„10 운안í‰ë°°, ê´‘ë³µì´í›„, 섬유-견, 국립민ì†ë°•물관 소장

운안 é›²é› (ë„10)

기러기가 ìˆ˜ë†“ì¸ í‰ë°°ëŠ” ì¡°ì„  중기 무신 ì´ì„±ìœ¤(1570-1620)ì˜ ì´ˆìƒí™” 등ì—서 ë³¼ 수 있다. 문·무관 2í’ˆì´ ì°©ìš©í•˜ì˜€ëŠ”ë°, í‰ë°°ì—서 êµ¬ë¦„ì€ ì‚°ì²œì˜ ê¸°ìš´ì´ë©° 기러기는 양기陽氣를 따르는 새로서 ê±°ì·¨ì˜ ì˜ë¦¬ë¥¼ 알고 질서를 어기지 않는다는 ëœ»ì„ ì§€ë‹Œë‹¤. ì´ë°–ì— ë¬¸ê´€ì˜ í‰ë°°ë¡œì„œ 연작練雀í‰ë°°, 계칙鸂鷘í‰ë°° ë“±ì´ ìžˆë‹¤.


ìž„ì˜ì£¼ | 한-명품미술관장

í™ìµëŒ€í•™êµì—서 목칠학과를 전공하고 ë™êµ­ëŒ€í•™êµëŒ€í•™ì›ì—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전문위ì›, í™ìµëŒ€í•™êµ 미술대학 겸임êµìˆ˜ ë“±ì„ ì—­ìž„í–ˆìœ¼ë©°
현재 (사)한국무형문화예술êµë¥˜í˜‘회 회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