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ì˜ 한국문양사 ⑲ 백제ì¸ì˜ 무위ìžì—°ê´€ç„¡çˆ²è‡ªç„¶è§€ 담긴 백제문양전

ë„9 연꽃 대좌 ë„깨비무늬 ì „ëŒ, 백제시대



부여 규암면 ì™¸ë¦¬ì˜ ì˜› 절터ì—서 ë°œê²¬ëœ ë°±ì œì˜ ë¬¸ì–‘ì „ì€ ì„¸ê³„ì ìœ¼ë¡œ ë„리 알려져 ìžˆì„ ë§Œí¼ ì•„ë¦„ë‹¤ìš´ 미ê°ì„ ìžëž‘한다. ë¬¸ì–‘ì „ì˜ í‘œë©´ì—는 ê°ê° 연꽃무늬, 소용ëŒì´ 구름무늬 등 8ì¢…ì˜ ë¬´ëŠ¬ê°€ ë„드ë¼ì§€ê²Œ 새겨져 있다. 문양 요소ë¼ë“ ê°€ 기법 ë“±ì€ ë¹„ë¡ ì¤‘êµ­ ë‚¨ì¡°ì˜ ì˜í–¥ì„ ì ì§€ 않게 ë°›ì€ ê²ƒìœ¼ë¡œ ë³¼ 수 있지만, ê·¸ ìˆ˜ì¤€ì€ ê³ êµ¬ë ¤ì™€ ì‹ ë¼, 가야 등 다른 나ë¼ë¥¼ 훨씬 ì•žì§€ë¥´ë©´ì„œë„ ì˜¨í™”í•˜ê³  ì°¨ë³„í™”ëœ ë¯¸ê°ì„ ë³´ì—¬ 준다.

글 ìž„ì˜ì£¼ (한-명품 미술관 관장)


ë°±ì œì˜ ë¶€ì „(敷塼, ê¶ì „ì´ë‚˜ 사찰 ë“±ì˜ ë°”ë‹¥ì— ê¹”ì•„ 장ì‹í•œ ì „ëŒ)ì€ ì œë²• ë§Žì´ ì°¾ì•„ë³¼ 수 있다. 특히 부여 규암면 ì™¸ë¦¬ì˜ ì˜› 절터ì—서 ë°œê²¬ëœ ì¼ë ¨ì˜ ë¬¸ì–‘ì „ç´‹æ¨£å¡¼ì€ ì„¸ê³„ì ìœ¼ë¡œ ë„리 알려져 있다. 규암면 외리는 부여ìì˜ ì„œìª½ì¸ ê¸ˆê°• ê°•ë³€ì— ìœ„ì¹˜í•œ ê³³ì´ë‹¤. 1937ë…„ 3ì›” ë†ë¶€ê°€ ë³´ë¦¬ë°­ì„ ê°ˆë‹¤ê°€ 근처ì—서 여러 가지 기왓장과 다양한 ë¬¸ì–‘ì´ ìƒˆê²¨ì ¸ìžˆëŠ” ë°©í˜•æ–¹å½¢ì˜ ë¬¸ì–‘ì „ëŒ 15매를 발견하여 ì‹ ê³ í•¨ìœ¼ë¡œì¨ ìœ ì ì´ 확ì¸ë˜ì—ˆë‹¤. 당시 ë¬¸ì–‘ì „ì˜ ë°°ì—´ ìƒíƒœëŠ” 다소 êµëž€ëœ ìƒíƒœì—¬ì„œ ê·¸ ì´ì „ì— ì¼ì°¨ ë³€ë™ì´ ìžˆì—ˆë˜ ê²ƒìœ¼ë¡œ ìƒê°ëœë‹¤. ì´ ë¬¸ì–‘ì „ì€ ì •ë°©í˜•ì— ê°€ê¹Œìš°ë©° ì¼ë³€ä¸€é‚Šì´ 29㎠내외, ë‘께가 4ãŽë¡œì„œ 네 모서리ì—는 ê°ê¸° í™ˆì´ íŒŒì—¬ì„œ ê° ë¬¸ì–‘ì „ì„ ì—°ê²°í•˜ì—¬ 깔게 ë˜ì–´ 있다. ë¬¸ì–‘ì „ì€ ì™„ì „í’ˆ 42매를 í¬í•¨í•´ 파편까지 ì „ë¶€ 150ì—¬ì ì´ 발견ë˜ì—ˆë‹¤ê³  하는ë°, 당시 ì§€í•˜ì— ë‚¨ë¶ìœ¼ë¡œ ì¼ë ¬ë¡œ 묻혀 있었다고 한다. 본래 ì´ëŸ¬í•œ ë²½ëŒì€ ë²½ë©´ì„ ìž¥ì‹í–ˆë˜ 것과 ë°”ë‹¥ì— ê¹”ì•˜ë˜ ê²ƒ, ë‘ ì¢…ë¥˜ë¡œ 나누어 ë³¼ 수 ìžˆëŠ”ë° ì´ ë¬¸ì–‘ì „ì€ ë°”ë‹¥ì— ê¹”ë ¤ ìžˆì—ˆë˜ ê²ƒìœ¼ë¡œ ìƒê°ëœë‹¤. ë¬¸ì–‘ì „ì˜ í‘œë©´ì—는 ê°ê° 연꽃무늬, 소용ëŒì´ 구름무늬, 봉황무늬, 반룡문(ìš©ì´ ë¬¼ì†ì— 서려 있는 듯한 무늬), ë„깨비무늬, 산경무늬 등 8ì¢…ì˜ ë¬´ëŠ¬ê°€ ë„드ë¼ì§€ê²Œ 새겨져 있다. 문양 요소ë¼ë“ ê°€ 기법 ë“±ì€ ë¹„ë¡ ì¤‘êµ­ ë‚¨ì¡°å—æœì˜ ì˜í–¥ì„ ì ì§€ 않게 ë°›ì€ ê²ƒìœ¼ë¡œ ë³¼ 수 있지만(ë„1-ë„4), ê·¸ ìˆ˜ì¤€ì€ ê³ êµ¬ë ¤ì™€ ì‹ ë¼, 가야 등 다른 나ë¼ë¥¼ 훨씬 ì•žì§€ë¥´ë©´ì„œë„ ì˜¨í™”í•˜ê³  ì°¨ë³„í™”ëœ ë¯¸ê°ì„ ë³´ì—¬ 준다.
ì´ëŸ¬í•œ ë¬¸ì–‘ì „ì€ ë™ì§„æ±æ™‹ ì˜í™”4ë…„(348) ëª…éŠ˜ì˜ ë‚¨ê²½ì‹œ 중앙문 외 ì‹ ë ¹ 전와창 1호묘 1ì˜ ê¸°ì™€, ì „ëŒê³¼ë„ 매우 ê´€ë ¨ì´ ê¹Š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ì´ì™€ 비슷한 ì¼ë³¸ 나ë¼å¥ˆè‰¯ 미나미 í˜¸ì¼€ì§€å—æ³•è¯å¯ºì— ì†Œìž¥ëœ ë¬¸ì–‘ì „ê³¼ 오카테ë¼å²¡å¯º 출토 봉황무늬전ëŒ(백봉시대, 39ãŽ, ë‘께 8.0ãŽ)ì˜ ê²½ìš° 백제 ë¯¸ìˆ ì˜ ì˜í–¥ì„ ë°›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경주 ë¶€ê·¼ì˜ ìœ ì ì—서 ë°œê²¬ëœ ì „ì„ í†µí•˜ì—¬ í†µì¼ ì‹ ë¼ ì‹œëŒ€ì—는 ê°ì¢… ì •êµí•˜ê³  화려한 ë³´ìƒí™”무늬 ë˜ëŠ” 연화무늬, 당초무늬 ë“±ì´ ìƒˆê²¨ì§„ ë¬¸ì–‘ì „ì´ ë§Žì´ ì œìž‘ë˜ê³  사용ëìŒì„ 알 수 있고, ì´ ë˜í•œ 백제 ë¯¸ìˆ ì˜ ëª…ë§¥ì„ ì´ì–´ ë°›ì€ ê²ƒìœ¼ë¡œ ìƒê°í•  수 있다. ë”°ë¼ì„œ 중국 남조 ë¯¸ìˆ ì´ ë°±ì œì™€ ì¼ë³¸ì—까지 전래ë˜ì–´ 가는 ê³¼ì •ì„ ì§ìž‘í•  수 있다. 백제문양전 ê°€ìš´ë° ëª¨ì–‘ì´ ì˜¨ì „ížˆ 남아있는 ì—¬ëŸ ì¢…ë¥˜ì˜ ë¬¸ì–‘ ì „ëŒì€ 보물 ì œ343호로 ì§€ì •ë¼ ìžˆìœ¼ë©° 표현방ì‹ê³¼ ìƒí˜¸ê°„ì˜ ì—°ê´€ì ì„ 살펴보면 다ìŒê³¼ 같다.

(왼쪽부터) ë„1 한나ë¼ì‹œëŒ€(1세기경) 구름무늬 ì „ëŒ / ë„2 한나ë¼ì‹œëŒ€(1세기경) 봉황무늬 ì „ëŒ

â‘  연화무늬 ì „ëŒ [蓮花紋塼] (ë„5)

ë‘˜ë ˆì— í†±ë‹ˆë¬´ëŠ¬[鋸齒紋] 형ì‹ì˜ ìž‘ì€ ê½ƒìˆ ì— ë‘˜ëŸ¬ì‹¸ì¸ ì»¤ë‹¤ëž€ ìžë°©å­æ–¹ì„ 중심으로 10ê°œì˜ ì—°í™”íŒì´ ëŒë ¤ì¡Œê³ , 다시 ê·¸ í™”íŒ ì‚¬ì´ì‚¬ì´ì— ê°„ì—½é–“è‘‰ì´ ìžˆë‹¤. íƒœì–‘ì„ ë‚˜íƒ€ë‚¸ 것ì´ë‹¤. í™”íŒ ëì€ ì™„ë§Œí•œ ê³¡ì„ ì„ ì´ë£¨ëŠ”ë°, íŒë‹¨ì˜ ëì´ ìœ„ë¡œ ë§ë ¤ 안쪽으로 향하였으며, í™”íŒ ì†ì—는 ì¸ë™ë¬¸ìœ¼ë¡œ 안쪽으로 장ì‹ëœ ë˜ 1ê°œì˜ í™”íŒì´ 부출浮出ë˜ì–´ 있다. ìžë°©ì˜ 안ì—는 ì¤‘ì•™ì— ìœµê¸°ëœ 1ê°œì˜ ì»¤ë‹¤ëž€ ì—°ìžè“®å­ë¥¼ 중심으로 ë‘˜ë ˆì— 6ê°œì˜ ì—°ìžê°€ 둘러지고, 다시 ê·¸ ë‘˜ë ˆì— 10ê°œì˜ ì—°ìžê°€ 둘러져서 ëª¨ë‘ 17ê°œ ì—°ìžê°€ 배치ë˜ê³  있다. ì´ëŸ¬í•œ 커다란 ì—°í™”ë¬¸ì˜ ì£¼ì—°ì—는 2ì¤„ì˜ ìœµê¸°ì„ éš†èµ·ç·šì´ ë‘˜ëŸ¬ì§„ ì•ˆì— ì ë¬´ëЬ(주ì ë¬¸ç é»žç´‹)ê°€ ì¼ë ¬ë¡œ 나열ë˜ì–´ ì—°ì†ëœ 구슬무늬 ë (연주문대蓮ç ç´‹å¸¶)ê°€ 둘러졌다. ì „ì˜ ë„¤ 모í‰ì´ì—는 4ì—½ í™”ë¬¸ì„ 4등분한 í™”ë¬¸ì„ ë°°ì¹˜í•˜ì˜€ëŠ”ë°, 문양전ëŒì„ 사방으로 ì—°ì†ì‹œì¼°ì„ 때 사방 ì—°ì†ë¬´ëŠ¬ì˜ íš¨ê³¼ë¥¼ 내려는 ì˜ë„ê°€ ì—¿ë³´ì¸ë‹¤. ì´ëŸ¬í•œ í˜•íƒœì˜ ì—°í™”ë¬¸ 형ì‹ì€ 통ì¼ì‹ ë¼ì‹œëŒ€ì˜ ìˆ˜ë§‰ìƒˆì— ë§Žì´ ë‚˜íƒ€ë‚˜ê²Œ ë˜ì—ˆìœ¼ë©°, 경주 ë¶€ê·¼ì˜ ì‹ ë¼ì‹œëŒ€ 절터ì—서 ë°œê²¬ëœ ë¬´ëŠ¬ì „ëŒì—서 ë”ìš± ë°œì „ëœ í˜•ì‹ì„ 찾아볼 수 있다.

(왼쪽) ë„3 당나ë¼ì‹œëŒ€(7-8세기) ì¸ë™ë‹¹ì´ˆë¬´ëЬ ì „ëŒ, 중국 ëŒ€ëª…ê¶ ê¶ê¶ì§€ 출토
(오른쪽) ë„4 당나ë¼ì‹œëŒ€(7-8세기) 연꽃무늬 ì „ëŒ, 중국 협서성 ê¶ê¶ì§€ 출토

â‘¡ 소용ëŒì´ 구름무늬 ì „ëŒ [渦雲紋塼] (ë„6)

ì „ì˜ ì¤‘ì•™ë¶€ì—는 êµµì€ ìœµê¸°ì„ ìœ¼ë¡œ ëŒë ¤ì§„ ì›ìƒåœ“ç‹€ ì•ˆì— 8íŒ ê°„ì—½ì˜ ìž‘ì€ ì—°í™”ë¬¸ì„ ë°°ì¹˜í•˜ê³ , ì´ë¥¼ 중심으로 바깥 구íšì´ 구성ë˜ì—ˆë‹¤. 외구ì—는 8ê°œì˜ ì†Œìš©ëŒì´ 무늬(와운문渦雲紋)를 빙빙 ë„는 모양으로 ì—°ì†ì‹œì¼œ 둥글게 배치하였고, 다시 ê·¸ 주연ì—는 2ì¤„ì˜ ìœµê¸°ì„ ì´ ë‘˜ëŸ¬ì§„ 연주문대가 둘러졌다. 네 모í‰ì´ì—는 역시 4ì—½ í™”ë¬¸ì„ 4등분한 í™”ë¬¸ì„ ë°°ì¹˜í–ˆë‹¤. ì´ ë¬´ëŠ¬ì „ëŒì€ 좌우ìƒí•˜ê°€ 대칭 형ì‹ì„ ë³´ì´ê³  있으나 실ìƒì€ ëŒ€ì¹­ì´ ì•„ë‹ˆë©°, ê·¸ ì†ì—서 무한한 변화를 ëŠë¼ê²Œ 한다. ì´ì˜ 앞선 형태로는 중국 남경시å—京市 성외城外ì—서 ì¶œí† ëœ ë‚¨ì¡°ì‹œëŒ€ ì¸ë™ë¬´ëЬ 네모전ëŒ(ì¸ë™ë¬¸ë°©ì „å¿å†¬ç´‹æ–¹å¡¼, ì¼ë³¸ 소재)ì—서 찾아볼 수 있다.

(왼쪽 위부터 차례대로) ë„5 연화무늬 ì „ëŒ, 백제시대 / ë„6 소용ëŒì´êµ¬ë¦„무늬 ì „ëŒ, 백제시대
ë„7 봉황무늬 ì „ëŒ, 백제시대 / ë„8 용무늬 ì „ëŒ, 백제시대

â‘¢ 봉황무늬 ì „ëŒ [鳳凰紋塼] (ë„7)

연주문으로 ì´ë¤„ì§„ ì›ê³½ ë‚´ì— ìœ¨ë™ì ì´ê³  곡선미曲線美가 있는 봉황 1마리가 ê°€ë“ ì°¨ê²Œ 배치ë˜ì–´ 있다. ë´‰í™©ì˜ ë¨¸ë¦¬ 형ìƒì€ ë‹­ì˜ ëª¨ì–‘ì„ í•˜ê³  측면으로 표현ë˜ì—ˆëŠ”ë°, 부리는 마치 ë…수리나 ë§¤ì˜ ë¶€ë¦¬ì²˜ëŸ¼ 날카롭게 구부러져 í¬íš¨å’†å“®í•˜ëŠ” 모습ì´ë‹¤. 날개는 중국 í•œëŒ€æ¼¢ä»£ì— ìœ í–‰í•œ 운기문(雲起紋, 구름 피어오르는 듯한 무늬) 형ì‹ì¸ Cìží˜• 곡선으로 소용ëŒì´ 구름무늬 ì „ëŒì—서와 비슷한 í‘œí˜„ì„ í–ˆëŠ”ë°, 오른쪽 날개는 머리 위로 둥글게 치켜 올ë¼ê°€ì„œ ì›ì„ 그리고, 왼쪽 날개는 ë°‘ì„ í–¥í•œë‹¤.
꼬리는 머리부터 Sìž ëª¨ì–‘ìœ¼ë¡œ 구부러져서 í° ì›ì„ í˜•ì„±í•¨ìœ¼ë¡œì¨ ì „ì²´ì ìœ¼ë¡œ 회전하는 나선 ëª¨ì–‘ì˜ íƒœê·¹ë¬´ëŠ¬(태극문, 太極紋) 형ì‹ì´ë‹¤. ì´ëŸ¬í•œ ë´‰í™©ì˜ í˜•ìƒì€ 고구려시대 진파리 ê³ ë¶„ì—서 발견ë˜ì—ˆë‹¤ëŠ” ê¸ˆë™ íˆ¬ì¡° 베갯모[金銅é€å½«æž•邊]ì˜ ë´‰í™©ë¬´ëŠ¬ì™€ 비êµí•˜ì—¬ ë³¼ 때 좀 ë” ì¶”ìƒì„±ì„ ë ê³  있다. 몸체ì—는 ë¹„ëŠ˜ì´ ì„¸ì„¸í•˜ê²Œ 표현ë˜ì—ˆê³  융기선으로 ìœ¤ê³½ì„ ë‘˜ëŸ¬ì„œ 강한 ì¸ìƒì„ ë‹ìš°ê³  있다. 네 모í‰ì´ì— 4ì—½ í™”ë¬¸ì„ ë°°ì¹˜í–ˆë‹¤.

â‘£ 용무늬 ì „ëŒ [蟠é¾ç´‹å¡¼] (ë„8)

ì´ ë˜í•œ 봉황문전과 ê°™ì€ êµ¬ì„±ìœ¼ë¡œì„œ ë°©í˜•ì˜ í‘œë©´ì— ê°€ë“ ì°¨ë„ë¡ ì—°ì£¼ë¬¸ëŒ€ì˜ ì›ê³½ì´ 구성ë˜ê³ , ë‚´ë¶€ì— Sìž ëª¨ì–‘ìœ¼ë¡œ í° ê³¡ì„ ì„ ì´ë£¨ë©° 율ë™ì ì´ê³  휘몰아 움ì§ì´ëŠ” ìš©ì˜ í˜•ìƒì„ 배치하고 있다. 여기ì—ì„œì˜ ìš©ì€ ëª¸ì²´ì— ë¹„í•˜ì—¬ 머리 ë¶€ë¶„ì„ í›¨ì”¬ 과장하여 ë¬˜ì‚¬í•¨ìœ¼ë¡œì¨ ë³´ëŠ” 사람으로 하여금 위압ê°ì„ ëŠë¼ê²Œ 하는ë°, ëˆˆì„ í¬ê²Œ ë¶€ë¼ë¦¬ê³  ìž…ì„ í¬ê²Œ 벌려 í¬íš¨í•˜ëŠ” 형ìƒì´ë‹¤. 꼬리 ë¶€ë¶„ì€ í¬ê²Œ ì›ì„ 그리고 네 다리를 í¬ê²Œ 벌리어 ë„약하는 ëª¨ìŠµì€ ê·¸ ì‹œëŒ€ì˜ ë‹¤ë¥¸ 유물ì—서 ë³¼ 수 없는 움ì§ìž„ì´ë‹¤. 몸체ì—는 ë¹„ëŠ˜ì´ ì„¸ì„¸í•˜ê²Œ 표현ë˜ì—ˆê³ , 여백ì—는 역시 êµ¬ë¦„ì´ ì¼ì–´ë‚˜ëŠ” ëª¨ì–‘ì˜ ë¬´ëŠ¬ê°€ 새겨졌다. ì‚¬ì§€ì˜ ê²¨ë“œëž‘ì´ ë°‘ì—는 ìµëª¨ç¿¼æ¯›ê°€ 휘날리고, ë°œëì—는 날카로운 3ê°œì˜ ë°œí†±ì´ í‘œí˜„ë˜ì—ˆìœ¼ë©° 머리ì—서 ë“±ì— ì´ë¥´ê¸°ê¹Œì§€ 갈기가 붙어 있다.

⑤ 연꽃 대좌 ë„깨비무늬 ì „ëŒ [è“®è¯å 鬼形紋塼 I] (ë„9)

연꽃 받침대 ìœ„ì— ì •ë©´ìœ¼ë¡œ ì§ë¦½í•˜ê³  있는 ë„깨비 형ìƒì´ë‹¤. ì „ì‹ ì˜ í¬ê¸°ì— 비하여 머리 ë¶€ë¶„ì´ í¬ê²Œ 묘사ë˜ì—ˆëŠ”ë°, ëˆˆì€ ë¶€ë¦…ë–  치켜 올ë¼ê°€ê³  ìž…ì„ í¬ê²Œ 벌려 ì•„ëž˜ìœ„ì˜ ì†¡ê³³ë‹ˆê°€ 날카롭게 뻗었으며, 얼굴 ì–‘ë©´ì—는 ë”부룩하게 ìˆ˜ì—¼ì´ ë»—ì³¤ê³  양어깨ì—ë„ ê°ˆê¸°ì™€ ê°™ì´ í„¸ì´ ë»—ì³ìžˆë‹¤. 가슴ì—는 í° ìœ ë°©ä¹³æˆ¿ì— ìœ ë‘乳頭가 í¬ê²Œ 표현ë˜ì—ˆê³ , 허리ì—는 환ì‹ç’°é£¾ì´ 매달린 í—ˆë¦¬ë  ìž¥ì‹ì´ 둘러졌는ë°, 가운ë°ì—는 í—ˆë¦¬ë  ìž¥ì‹[요패腰佩]ì˜ ê¸´ 내림장ì‹[수ì‹åž‚飾]ì´ ë“œë¦¬ì›Œì¡Œë‹¤. 앞발ì—는 ê·¼ìœ¡ì´ ìš¸í‰ë¶ˆí‰í•˜ê²Œ 융기ë˜ê³  날카로운 ë°œí†±ì´ ë‹¬ë ¸ë‹¤. 뒷다리ì—ë„ ìš¸í‰ë¶ˆí‰í•œ 근육과 ê³¨ê²©ì„ ë‚˜íƒ€ë‚´ì—ˆë‹¤. 날카로운 4ê°œì˜ ë°œí†±ìœ¼ë¡œ 버티고 ì„  형ìƒì€ 마치 천지를 제압하려는 형세ì´ë‹¤.
ë„깨비 형ìƒì´ 버티고 서 있는 연꽃 받침대는 꽃잎 ëì´ ë¾°ì¡±í•œ 단íŒì—°ì—½å–®ç“£è“®è‘‰ì´ë‹¤. 꽃잎 ëì´ ì•½ê°„ 안쪽으로 ì ë¦° 형ì‹ì„ ë³´ì—¬ 주는ë°, ì´ëŸ¬í•œ ì—°í™”ë¬¸ì€ ë§¤ìš° ê³ ì‹å¤å¼ì˜ 형ì‹ì´ë‹¤. 특히 í¥ë¯¸ë¡œìš´ ê²ƒì€ í—ˆë¦¬ì— ë‘˜ëŸ¬ì§„ 과대와 ìš”íŒ¨ì˜ ì–‘ì‹ì¸ë°, ì´ëŸ¬í•œ 장신구는 삼국시대 ê³ ë¶„ 출토품 가운ë°ì—서 다수 찾아볼 수 있는 것ì´ì–´ì„œ ì´ëŸ¬í•œ 장신구가 지니는 ì˜ì‹ì— 따른 ìš©ë„를 ì´í•´í•  수 있는 ì¢‹ì€ ìžë£Œë¼ í•  수 있다. ë˜í•œ, í•˜ë‹¨ì˜ ë‘ ëª¨í‰ì´ì—는 삼산형三山形 산봉우리가 구름 ìœ„ì— ì†Ÿì•„ 있는 형ìƒì„ 반으로 나누어 배치하여 ì´ì™€ ê°™ì€ ë²½ëŒì´ ì—°ê²°ë¼ ì—°ì†ë¬´ëŠ¬ë¡œ ë°°ì—´ë˜ë„ë¡ ê³ ì•ˆë다.

(왼쪽부터) ë„10 ì‚°ì•… ë„깨비무늬 ì „ëŒ, 백제시대 / ë„11 경주 ì‹ì´ì´ì—서 ì¶œí† ëœ ë°±ì œì‹œëŒ€ 금ë™ì‹ ë°œ ë¶€ë¶„ì˜ ê·€í˜•ë¬¸

â‘¥ ì‚°ì•… ë„깨비무늬 ì „ëŒ [怪石鬼形紋塼 â…¡] (ë„10)

앞서 ë§í•œ ë„깨비무늬 ì „ëŒì˜ ë„깨비 형ìƒì´ 그대로 배치ëê³  연꽃받침대좌 대신 í•˜ë‹¨ì— ê´´ì„æ€ªçŸ³ ëª¨ì–‘ì˜ í•´ì•”æµ·å²©ì´ ì‚죽ì‚죽 솟아 있다. ê·¸ 아래ì—는 바다로 ìƒê°ë˜ëŠ” ë¬¼ê²°ì´ ì¼ë ì¸ë‹¤. 역시 í•˜ë‹¨ì˜ ì–‘ 모í‰ì´ì—는 ì‚¼ì‚°í˜•ä¸‰å±±å½¢ì˜ ë´‰ìš°ë¦¬ê°€ 반으로 나뉘어 배치ë˜ì—ˆë‹¤. 여기ì—ì„œì˜ ë¬¸ì–‘ì„ ë³´ë©´ ì´ ë„ê¹¨ë¹„ì˜ í˜•ìƒì€ 산해山海와 천지天地를 장악하여 위압하고 ì¸ê°„ì„ ìˆ˜í˜¸í•˜ëŠ” ì‹ (여기ì—서는 나ë¼ë¥¼ 수호하는 ì˜ë¯¸ë¡œ ìƒê°ë¨. 불êµì—서는 ì‹­ì´ì²œå二天ì´ë¼ 하여 사방 íŒ”ì²œì— ì¸ê°„ì„ ìˆ˜í˜¸í•˜ëŠ” ì—´ë‘ ì‹ ì´ ìžˆìŒ)ì˜ í•˜ë‚˜ë¡œì„œ 나타낸 것으로 ìƒê°ëœë‹¤. ì´ëŸ¬í•œ 귀신, 즉 ë„깨비 사ìƒì€ ì¼ì°ì´ 중국 고대 사ìƒì—서 비롯ë˜ì–´ ë„êµì—서 나타나지만 ë¶ˆêµ ì‚¬ìƒì— í¡ìˆ˜ë˜ë©´ì„œ 역시 방위신方ä½ç¥žì˜ 모습으로 고대 ìœ ë¬¼ì— ë§Žì´ ë‚˜íƒ€ë‚˜ê³  있다. 중국 남ë¶ì¡° ì‹œëŒ€ì˜ ê´´ìˆ˜í˜•æ€ªç¸å½¢ 금구金具ì—서 ì´ì™€ 매우 유사한 형ìƒì„ ë³¼ 수 있고, 우리나ë¼ì—서는 ê²½ë¶ ê²½ì£¼ ë…¸ë™ë¦¬ì—ì„œì˜ ì‹ ë¼ì‹œëŒ€ ê³ ë¶„ì¸ ì‹ì´ì´é£¾å±¥å¡šì—서 ì¶œí† ëœ ì²­ë™ ìž¥ì‹ì‹ ë°œ[ì‹ì´é£¾å±¥(부장품)]ì— ìž¥ì‹ëœ 귀신무늬[귀형문鬼形紋]ê°€ 있다(ë„11). ì´ì²˜ëŸ¼ ì „ì‹ ì„ ë‚˜íƒ€ë‚¸ ë„깨비 í˜•ìƒ ì™¸ì— ë°±ì œ ì™€ë‹¹ì˜ ë„깨비얼굴기와[귀면와鬼é¢ç“¦], ì‹ ë¼ì‹œëŒ€ 안압지 출토 귀면와, 고구려 ê³ ë¶„ 벽화 ê°€ìš´ë° ê±´ì¶•ê·¸ë¦¼ì˜ ë‘공枓拱ì—서 간혹 나타나고 있다. ì´ëŸ¬í•œ 기와 마구리 ë˜ëŠ” 건축그림ì—ì„œì˜ ë„깨비 얼굴 형ìƒì€ 중국 ì„êµ´ 사ì›ì—서 ìœ ëž˜ëœ ê²ƒìœ¼ë¡œ ë³´ì´ì§€ë§Œ, ì´ ë„깨비무늬는 매우 ì˜¤ëž˜ëœ í˜•ì‹ì´ë¼ í•  수 있다. ê·¸ 외 ì´ ê·€í˜•ë¬¸ì „ì—서 중요하게 ëŠê»´ì§€ëŠ” ê²ƒì€ ë°°ê²½ì— ê¹”ë¦° ì‚°ì•”å±±å²©ì˜ í˜•ì‹ì¸ë°, ì´ ë˜í•œ 전한시대 불로초무늬[ì˜ì§€ë¬¸éˆèŠç´‹]ì˜ ë¹„ë‹¨ì— ìˆ˜ë†“ì€ ê¸ˆìˆ˜éŒ¦ç¹¡ì™€ 낙랑고분樂浪å¤å¢³ 출토 금수산악ë„禽ç¸å±±å²³åœ–, 한대 ì¸ë¬¼í™”ìƒê²½äººç‰©ç•µåƒé¡ 등ì—서 ì´ëŸ¬í•œ 고대 산경무늬 형ì‹ì„ 찾아볼 수 있다. 가장 근접한 것으로는 ë¶ìœ„ ë•Œì˜ ë¬˜ì§€ì„ì— ì„ ê°ç·šåˆ»ëœ 괴수ìƒ(522ë…„)ì´ ìžˆë‹¤.

(왼쪽) ë„12 산경무늬 ì „ëŒ, 백제시대
(오른쪽) ë„12-1 ë„12 부분. 첩첩 ì‚°ì¤‘ì— ê¸°ì™€ì§‘ì´ ìžˆê³  ê·¸ ì•„ëž˜ì— ì ˆì„ í–¥í•´ 오르는 승려가 ë³´ì¸ë‹¤.

⑦ 산경무늬 ì „ëŒ [山景紋塼] (ë„12)

8ì¢…ì˜ ë¬´ëŠ¬ì „ëŒ ì¤‘ì—서 가장 우수한 작품ì´ë¼ í•  수 있는 ì´ ì „ëŒì€ 백제 ì˜›í„°ì˜ ì‚°ì„¸å±±å‹¢ë¥¼ 매우 부드럽고 유연하게 잘 표현했다. 앞ì—는 ê°•, í˜¹ì€ ë°”ë‹¤ê°€ 조용히 í르고 뾰족뾰족한 바위가 높고 낮게 솟아 있으며 ê·¸ 뒤로는 ì‚¼ì‚°ëª¨ì–‘ä¸‰å±±å½¢ì˜ í¬ê³  ìž‘ì€ ì‚°ë´‰ìš°ë¦¬ê°€ ê²¹ê²¹ì´ ì „ê°œë˜ì–´ ìž¥ê´€ì„ ì´ë£¬ë‹¤. 둥그런 산꼭대기ì—는 소나무 ìˆ²ì´ ë¬´ì„±í•˜ì—¬ ì ˆê²½ì„ ì´ë£¨ê³  있다. ì‚° 아래 ì¤‘í„±ì— ê¸°ì™€ì§‘ 한 채가 있고 ê·¸ ë°‘ 오른쪽ì—는 ê·¸ ì§‘ì„ í–¥í•˜ì—¬ 거슬러 올ë¼ê°€ëŠ” 한 ì‚¬ëžŒì´ ìžˆë‹¤. ê·¸ ì§‘ì€ ì ˆì§‘[寺刹], ê·¸ê³³ì„ í–¥í•˜ì—¬ 오르는 ì‚¬ëžŒì€ ê·¸ ì ˆì˜ ìŠ¹ë ¤ìž„ì´ ë¶„ëª…í•˜ë‹¤. ì‚° ìœ„ì˜ ì¢Œìš°ì—는 ë­‰ê²Œêµ¬ë¦„ì´ ì¡°ìš©ížˆ í르는ë°, ê·¸ ì •ê²½ì´ ë§ˆì¹˜ ì‹¬ì‹¬ì‚°ì²œì˜ ì ë§‰í•œ ê³¨ì§œê¸°ì˜ ëª¨ìŠµì„ ëŒ€í•˜ëŠ” 듯하다. ì•„ë§ˆë„ ì¶©ì²­ë„ ë¶€ì—¬ì˜ ì˜› 경치ì¸ì§€ë„ 모르겠다. ì´ëŸ¬í•œ 그림ì—서 다른 ì–´ëŠ ë¯¼ì¡±ë„, ë”ìš±ì´ í˜„ëŒ€ì¸ì˜ 안목으로는 ë„저히 따를 수 없는 백제ì¸ì˜ ìŠ¬ê¸°ë¡œì›€ì„ ì—¿ë³¼ 수 있다. ì´ ê·¸ë¦¼ì—ì„œì˜ êµ¬ë¦„ë¬´ëŠ¬ë¼ë“ ê°€ ì‚°ì•… 형ì‹ë„ 중국 한대(B.C.2세기~A.D.2세기)ì— ë‚˜íƒ€ë‚˜ê³  있고, 고구려 ê³ ë¶„ 벽화 중 ê°ì‹ ì´é¾•神塚(5~6세기초), 무용ì´èˆžè¸Šå¡š(5~6세기초), ìŒì˜ì´é›™æ¥¹å¡š(5~6세기초), 강서대묘江西大墓(6세기ë§~7세기 ì „ë°˜) 등과 특히 내리1호분內里一號墳(6세기ë§~7세기 ì „ë°˜)ì˜ í˜„ì‹¤ì²œì •çŽ„å®¤å¤©äº• 벽화ì—ì„œë„ ë‚˜íƒ€ë‚˜ë“¯ ì–‘ì‹ì ì¸ ë©´ì—서나 조형성으로 보아서 전혀 ë³„ê°œì˜ ì œìž‘ ì˜ë„를 ì—¿ë³¼ 수 있다. 여기ì—서 ì´ë¯¸ 한국ì ì¸ 미ê°ì´ 형성ë˜ê¸° 시작했다고 ë³¼ 수 있다. ìž¬ë£Œì— ë”°ë¥¸ 기법 ìƒ ë‹¤ì†Œ ì°¨ì´ëŠ” 있지만, 충남 공주군 송산리 백제 무령왕릉 출토 ì€ìž”éŠ€ç›žì— ìƒˆê²¨ì§„ ì‚°ì•… 그림(6세기초)ì—ì„œë„ ì´ëŸ¬í•œ ì‚°í˜•ì´ ëšœë ·ì´ ë‚˜ì˜¤ê³  있어서 ì•„ë§ˆë„ ë°±ì œì¸ì˜ 삼산 사ìƒä¸‰å±±æ€æƒ³ ë˜ëŠ” 삼신사ìƒä¸‰ç¥žæ€æƒ³ê³¼ë„ 관련ë˜ì§€ 않나 ìƒê°ëœë‹¤.

(왼쪽부터) ë„13 백제시대 봉황 산경무늬 ì „ëŒ, 백제시대 / ë„13-1 ë„13 부분. ì‚°ì •ì— ì„œìžˆëŠ” 봉황문

â‘§ ë´‰í™©ì‚°ê²½ë¬´ëŠ¬ì „ëŒ [鳳凰山景紋塼] (ë„13)

ì´ ì—­ì‹œ ì‚°ê²½ë¬¸ì˜ ì¼ì¢…ì´ë‚˜ ì•žì„œì˜ ê²ƒê³¼ëŠ” 다소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í•˜ë‹¨ì— ì‚°ìˆ˜í’ê²½ì„ ë¶€ì¡°æµ®å½«í•˜ê³ , ìƒë‹¨ì—는 ì¤‘ì•™ì˜ ì‚°ë´‰ìš°ë¦¬ì— ìš°ëš ì„œ 있는 신조神鳥와 ê·¸ 주위ì—는 ì‚°ê³¼ 구름, 그리고 보운문寶雲紋으로 구성ë˜ì—ˆë‹¤. ê·¼ê²½ì˜ ì‚°ë“¤ 앞ì—는 ì•ˆê°œêµ¬ë¦„ì´ ê²¹ê²¹ì´ í르고 ì‚° 중턱ì—는 ì‚°ê³¼ ì‚° 사ì´ë¡œ ì§‘ì´ ë‘ì–´ 채 ë³´ì´ëŠ”ë° ì´ ì—­ì‹œ ì ˆì´ ë¶„ëª…í•˜ê³ , ì§‘ 앞ì—는 당간 지주幢竿支柱가 기단基壇 ìœ„ì— ìš°ëš ì„œ 있다. ì•žì‚°ì˜ ë’¤íŽ¸ 송림 ì†ì— ì‚´ì§ ê°€ë ¤ì§„ ì§‘ì€ ëˆ„ê°æ¨“閣으로 ë³´ì´ëŠ”ë°, ì´ëŠ” 백제 ê±´ì¶•ì„ ì—°êµ¬í•˜ëŠ” í° ìžë£Œê°€ ë  ê²ƒì´ë‹¤. ì‚°ì˜ ì •ìƒì—는 ë´‰í™©ì´ ì–‘ 날개를 벌려 í•˜ëŠ˜ì„ í–¥í•˜ê³  ì •ë©´ì„ í–¥í•´ ìš°ëš ì„œ 있다. 여기ì—ì„œì˜ êµ¬ë¦„ 형ìƒì€ 낙랑 ê³ ì§€ì—서 ì¶œí† ëœ í•œëŒ€ 칠기漆器와 ì „í•œì‹œëŒ€ì˜ ì²­ë™ì„¸ë¬¸ëŒ€ë½ê·€ë¶€ë°˜ë¦¬ë¬¸ê²½é‘銅細紋大樂貴富蟠紋é¡, 낙랑ì—서 ì¶œí† ëœ ë¹„ë‹¨ 등ì—서 ê·¸ 앞선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후한後漢 2세기 ì‚°ë™ì„± 무씨사화ìƒì„ å±±æ±çœæ­¦æ°è©žç•µåƒçŸ³ì—ì„œë„ ì´ëŸ¬í•œ 형ì‹ì˜ 조운문鳥雲紋ì´ë¼ 부르는 ê´´ì´í•œ 구름무늬가 나타난다. 고구려 ê³ ë¶„ 벽화 중 안악 3호분安岳三號墳 천정 받침ì—서 당초문 형ì‹ì˜ 조운문ì—ì„œë„ ë§Žì€ ì—°ê´€ì ì„ 찾아볼 수 있는ë°, ì´ëŠ” 당시 ì‚¼êµ­ì´ ê°ê¸° ê³ ìœ ì˜ íŠ¹ìƒ‰ 있는 ë¯¸ìˆ ì„ ë‚¨ê¸°ë©´ì„œë„ ë™ì„œ 문화 êµë¥˜ë¥¼ 활발히 í–ˆìŒì„ 추정할 수 있다. ë°±ì œì˜ ë¶„ë¬˜ëŠ” 대개 íš¡í˜ˆì‹æ©«ç©´å¼(ë•… 구ë©ì´ë¥¼ 파서 무ë¤ì„ 만드는 ë°©ì‹) ì„실 ê³ ë¶„ê³¼ 전축분塼築墳으로서 ì „ì´ ë§Žì´ ë°œë‹¬í•˜ê³  사용ë˜ì—ˆë‹¤. ë°±ì œì˜ ê¸°ì™€ì™€ ì „ëŒì€ ì–‘ì‹ì ìœ¼ë¡œ ë³´ì•„ 대개 한대 계통과 남ë¶ì¡° ì‹œëŒ€ì˜ ê³„í†µì„ ì´ì€ 수법으로 구분ë˜ëŠ”ë°, 대체 남ë¶ì¡° ì‹œëŒ€ì˜ ì¸ë™ë¬¸ê³¼ ì—°í™”ë¬¸ì´ ë§Žê³  중국 남경 부근ì—서 출토ë˜ëŠ” 유품들과 유사한 것으로 ë³´ì•„ ë‚¨ì¡°ì™€ì˜ ë¬¸ë¬¼ êµë¥˜ê°€ í™œë°œí–ˆë˜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여기ì—서 살펴본 부여 규암리 무늬 ì „ëŒì€ 백제 ë§ê¸°ì¸ 7세기 ì¤‘ì—½ì˜ ê²ƒìœ¼ë¡œ 추정ëœë‹¤. ì´ ì‹œê¸°ì—는 ê°ì¢… ì „ëŒë¡œ 축조하는 기술ìžì¸ 박사åšå£«ê°€ 있어서 ê·¸ 중ì—는 ì¼ë³¸ì— 초빙ë˜ì–´ ê·¸ë“¤ì˜ ë¬¸í™”ì— ê³µí—Œí•œ ì‚¬ì‹¤ë„ ê¸°ë¡ì„ 통하여 알 수 있는ë°, ì œ25대 무령왕대((501~523)를 비롯하여 성왕대(523∼554)ì—는 오경 박사 유귀柳貴와 ì˜ë°•사醫åšå£«, 역박사易åšå£«, 승려, 그리고 기타 미술 ê³µì˜ˆì— ê´€í•œ 여러 기술ìžë¥¼ ë³´ë‚´ì–´ ì¼ë³¸ì˜ ìƒëŒ€ë¬¸ëª…ä¸Šä»£æ–‡æ˜Žì„ ê°œë°œí•˜ê³  ì§€ë„했다.
ë°±ì œì˜ ë¬¸í™”ëŠ” ì´ëŸ¬í•œ ê¸°ìˆ ì˜ ë°œì „ê³¼ ë”불어 êµ­ë‚´ì™¸ì— ë†’ì´ í‰ê°€ë˜ê³  ë„리 알려지게 ë¨ìœ¼ë¡œì¨ ì‹ ë¼ì—ì„œë„ í™©ë£¡ì‚¬çš‡é¾å¯º 9ì¸µíƒ‘ì„ ìŒ“ì„ ë•Œì—는 ë°±ì œì˜ ê¸°ìˆ ìž ì•„ë¹„ì§€é˜¿éžçŸ¥ë¥¼ 불러 ê°„ ì¼ì´ ìžˆì„ ì •ë„였다. 온화하고 선율ì ì¸ ë°±ì œì˜ ë¯¸ìˆ ì€ ê³ êµ¬ë ¤ì™€ ì‹ ë¼ì˜ ë¬¸í™”ì— í¬ê²Œ ì˜í–¥ì„ 미쳤으며 나아가 ì¼ë³¸ 아스카飛鳥 시대 ë¬¸í™”ì˜ ê¸°ë°˜ì„ ë§Œë“¤ì–´ 준, 가히 ì„¸ê³„ì  ìˆ˜ì¤€ì˜ ìš°ìˆ˜í•œ 문화로 í‰ê°€í•  만하다.



ìž„ì˜ì£¼ | 한-명품미술관장

í™ìµëŒ€í•™êµì—서 목칠학과를 전공하고 ë™êµ­ëŒ€í•™êµëŒ€í•™ì›ì—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전문위ì›, í™ìµëŒ€í•™êµ 미술대학 겸임êµìˆ˜ ë“±ì„ ì—­ìž„í–ˆìœ¼ë©°
현재 (사)한국무형문화예술êµë¥˜í˜‘회 회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