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ž„ì˜ì£¼ì˜ 한국문양사 ⑯ 태양 닮고 하늘 ë‹´ì€ , 銅é¡ë™ê²½

ë™ê²½ì€ 처ìŒì— 발화ë„구 ë° ì£¼ìˆ ì ì¸ ì˜ì‹ê¸°êµ¬ë¡œ 발전한 것으로 추측ëœë‹¤.
ë™ê²½ì—는 제작 ë™ê¸°, 제작 연대, 만들게 ëœ ì—°ìœ  ë“±ì´ ìƒˆê²¨ì§„ ëª…ë¬¸ì´ ìžˆì–´ 중요한 사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장수, 번ì˜ì„ ì¶•ì›í•˜ê³  ìƒì§•하는 ë¬¸ì–‘ë„ ìƒˆê²¨ì ¸ ì‹œëŒ€ì˜ ì‹ ì•™ì  ë°°ê²½ ë˜í•œ ì§ìž‘í•´ë³¼ 수 있다.

글 ìž„ì˜ì£¼ (한-명품 미술관 관장)


<고려사高麗å²> 세가世家 ê¶Œ1 태조太祖 ì¡°ì—는 ê³ ë ¤ ê±´êµ­ì— ê´€í•œ ì„¤í™”ì— ì–½ížŒ ë‚´ìš©ì´ ë‚˜ì˜¨ë‹¤.

“정명貞明 4ë…„ 3ì›” ë‹¹ë‚˜ë¼ ìƒì¸å•†äºº ì™•ì°½ê·¼çŽ‹æ˜Œç‘¾ì´ ì‹œì¤‘å¸‚ä¸­ì— ë‚˜ê°”ë‹¤ê°€ ì–´ëŠ ê´´ì´í•œ 거사 한 ì‚¬ëžŒì„ ë§Œë‚˜ 그가 가지고 있는 옛 거울[å¤é¡]ì„ ìŒ€ 2ë§ì„ 주고 바꿨다. ê·¸ 거울 ë©´ì— ê°€ëŠ˜ê²Œ 새긴 글ìžê°€ 있어 태봉泰å°ì˜ ê¶ì˜ˆå¼“裔ì—게 바쳤ë”니, ê¶ì˜ˆëŠ” ê±°ìš¸ì— ì ížŒ ëª…ë¬¸ì„ í’€ì–´ 오ë¼ê³  하였다. 대략 ì½ì–´ 보니 ‘삼수중三水中 사유하四維下 ìƒì œä¸Šå¸ê°€ ì•„ë“¤ì„ ì§„í•œè¾°æ¼¢ ë§ˆí•œé¦¬éŸ“ì— ë‚´ë ¤ ë³´ë‚´ì–´ 먼저 ë‹­ì„ ìž¡ê³  ë’¤ì— ì˜¤ë¦¬[é´¨]를 ì¹  것ì´ë‹¤. 사년巳年 ì•ˆì— ë‘ ìš©ì´ ë‚˜íƒ€ë‚˜ 한 ìš©ì€ ì²­ëª©é‘æœ¨ ì†ì— ëª¸ì„ ê°ì¶”ê³ , 한 ìš©ì€ í‘금黑金 ë™ìª½ì— 형ìƒì„ 나타낼 것ì´ë‹¤. í˜¹ì€ ì„±í•¨ì„ ë³´ì´ê¸°ë„ 하고 í˜¹ì€ ì‡ í•¨ì„ ë³´ì´ê¸°ë„ 하여 성하고 ì‡ í•¨ì€ ë‚˜ìœ ì§„ìž¬å¡µæ»“ë¥¼ 없앨 것ì´ë¼â€™ëŠ” ë‚´ìš©ì´ì—ˆë‹¤. ê¶ì˜ˆê°€ ì´ë¥¼ ë¬¸ì¸æ–‡äººë“¤ì—게 í•´ì„하ë¼ê³  하여 ì˜ë¯¸ë¥¼ 살펴보니 ‘송악군 사람 ìš©é¾ìž ì´ë¦„ì„ ê°€ì§„ ì‚¬ëžŒì´ ì™•ì´ ë  ê²ƒâ€™ì´ë¼ëŠ” ë‚´ìš©ì´ì—ˆë‹¤. 문ì¸ë“¤ì€ ê¶ì˜ˆê°€ 노할 ê²ƒì„ ì—¼ë ¤í•˜ì—¬ 거짓으로 ë‚´ìš©ì„ ê¾¸ë©° ë§í–ˆë‹¤. ê·¸ 후 예언대로 ì™•ê±´çŽ‹å»ºì´ ì™•ìœ¼ë¡œ 추대 받았다.â€

옛날 봉건시대ì—는 ê±°ìš¸ì„ ë§ˆì¹˜ 옥새玉璽처럼 하늘ì—서 내려준 ì™•ê¶ŒçŽ‹æ¬Šì˜ í‘œì§•ìœ¼ë¡œ ìƒê°í–ˆë˜ 것 같다. ê³ ëŒ€ì˜ ì²­ë™ê±°ìš¸ì€ ì‹œëŒ€ì— ë”°ë¼ í˜•íƒœì™€ íŠ¹ì§•ì„ ë‹¬ë¦¬í•˜ì—¬ 나타난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ìœ ë¬¼ì„ í†µí•´ 종류를 살펴보면 ì²­ë™ê±°ìš¸, ë°±ë™ê±°ìš¸, 철제거울, ì„제거울, 유리거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ì¸ë¥˜ê°€ 최초로 ê±°ìš¸ì„ ë§Œë“¤ì–´ 사용한 시기는 ì•„ë§ˆë„ ì²­ë™ê¸°ì‹œëŒ€ë¥¼ 넘어서진 ì•Šì„ ê²ƒìœ¼ë¡œ 추정한다. 중국 고대ì—는 ì²­ë™ìˆ˜í™”ê²½é‘銅水ç«é¡ì´ 있어서 그것으로 íƒœì–‘ë¹›ì„ ë°›ì•„ ì‘¥ì— ë¹„ì¶° ë¶ˆì„ ì¼ìœ¼ì¼°ë‹¤ê³  하니 ê±°ìš¸ì€ ì²˜ìŒì— 발화ë„구發ç«é“具로 시작ëìœ¼ë¦¬ë¼ ì¶”ì¸¡í•œë‹¤. ë˜í•œ ì›ì‹œ 사회ì—서는 ì¼ì¢…ì˜ ì£¼ìˆ ì ì¸ ì˜ì‹ê¸°êµ¬ë¡œ ë°œì „í–ˆì„ ê²ƒì´ë‹¤. ë™ê²½ìœ¼ë¡œ 가장 ì˜¤ëž˜ëœ ê²ƒì€ ì„œì•„ì‹œì•„ì˜ ìˆ˜ì‚¬(Susa) 유ì ì§€ì¸ 엘람(Elam)ì˜ B.C.3000ë…„ ì´ì „ì˜ ë¬¸í™”ì¸µì—서 ë°œê²¬ëœ ê²ƒì´ ìžˆê³ , 코카서스 지방ì—서는 B.C.6∼7세기경 스키타ì´ì‹ ê±°ìš¸ì´ ë°œê²¬ë¼ ê±°ìš¸ì˜ ì„œë°© ì „ëž˜ì„¤ì„ ë’·ë°›ì¹¨í•´ì£¼ê³  있다.

(왼쪽부터) ë„1 <ì²­ë™ì˜¤ë ¹ê²½é‘銅五鈴é¡>, 삼국시대 / ë„2 <ì²­ë™ìˆ˜ì—½ê²½é‘銅樹葉é¡>, 삼국시대

ë¬¸í™”ì  ë°°ê²½ì— ë”°ë¼ ë™ê²½ì˜ 형태와 ì–‘ì‹ ë‹¤ì–‘í•˜ê²Œ 나타나

ìš°ë¦¬ë‚˜ë¼ ìœ ë¬¼ 중ì—서 가장 ì˜¤ëž˜ëœ ê±°ìš¸ì´ë¼ê³  í•  수 있는 ê²ƒì€ ì²­ë™ê¸°ì‹œëŒ€ 유물ì´ë‹¤(ë„1~ë„3). ì´ ê±°ìš¸ ê°€ìš´ë° ëˆì„ 꿰는 ê¼­ì§€[ç´]ê°€ 2~3ê°œ 달렸고, 거친 줄무늬가 새겨진 ì´ë¥¸ë°” ‘다뉴조문경多ç´ç²—ç´‹é¡â€™, ‘다뉴기하문경多ç´å¹¾ä½•ç´‹é¡â€™ì´ë¼ 불리는 것과 잔줄무늬가 새겨졌고 꼭지가 여러 ê°œ 있는 ‘다뉴세문경多ç´ç´°ç´‹é¡â€™ì´ë¼ 불리는 ê²ƒì´ ìžˆë‹¤. êµ¬ë¦¬ê±°ìš¸ì˜ ì´ë¦„ì— â€˜ë‹¤ë‰´â€™ê°€ 들어간 ê²ƒì€ ì¤‘êµ­ì‹ êµ¬ë¦¬ê±°ìš¸ê³¼ëŠ” 달리 ê±°ìš¸ì˜ ë’·ë©´ì— ëˆì„ ê¿°ì–´ 달아 맬 수 있게 ëœ ê¼­ì§€ê°€ 2∼3ê°œ 있기 때문ì´ë‹¤. 대표ì ì¸ 예로 경주 입실리와 í‰ë‚¨ 대ë™êµ° 대보면 ë°˜ì²œë¦¬ì˜ ìœ ì ì—서 ì²­ë™ ê¸°ë¬¼ê³¼ 함께 출토ë˜ì—ˆë‹¤ëŠ” 기하학ì ì¸ 잔줄무늬가 있는 거울, 전남 화순ì—서 ì¶œí† ëœ ìž”ì¤„ë¬´ëŠ¬ê±°ìš¸ ë“±ì´ ìžˆë‹¤. ì´ëŸ¬í•œ ìž”ì¤„ë¬´ëŠ¬ì˜ ê±°ìš¸ì€ ì„œë‚¨ 만주, 한국, ì¼ë³¸ 서부ì—서만 발견ë˜ëŠ” 특수한 거울ì´ë‹¤. 우리나ë¼ì—서는 í‰ë‚¨, 황해, 충남, 전남, 경남, ê²½ë¶ ë“±ì§€ì—서 10여개가 발견ë으며 ë™ê²½ì„ 구워 ë‚´ë˜ ë‚©ì„ì œ 용범蠟石製鎔(거푸집) 1개가 발견ë˜ì—ˆë‹¤.
삼국시대 ì´í›„ 우리나ë¼ì—서 ì œìž‘ëœ ê±°ìš¸ì€ ëŒ€ê°œ 중국 한漢, 당å”, 송宋, ì›å…ƒ ë‚˜ë¼ ë•Œì˜ ì˜í–¥ì„ ê³„ì† ë°›ì•„ 오면서 발전했기 ë•Œë¬¸ì— ëŒ€ê°œê°€ 중국ì ì¸ 문양 요소와 형ì‹ì„ 보여준다. ë”ìš±ì´ ê³ ë ¤ ì‹œëŒ€ì˜ ê¸ˆì† ê³µì˜ˆëŠ” ì‹ ë¼ì‹œëŒ€ì˜ 뛰어난 ì „í†µì„ ì´ì–´ë°›ì•„ 우수한 금공 기법과 ì£¼ì¡°ê¸°ìˆ é‘„é€ æŠ€è¡“ì´ ë§¤ìš° ë°œì „ëœ ë‹¨ê³„ì— ìžˆì—ˆë˜ ê²ƒì„ ë³¼ 수 있다(ë„4).
지금까지 전해지는 거울 중ì—는 ê³ ë ¤ì˜ ë…ìžì ì¸ 무늬와 시문 기법으로 만들어진 매우 우수한 ìž‘í’ˆë„ ë‹¤ìˆ˜ 남아 있다. ì´ëŠ” 한국 ë¯¸ìˆ ì˜ íŠ¹ì„±ê³¼ 한국 ê¸ˆì† ê³µì˜ˆì˜ ë°œì „ 과정ìƒì˜ ì‹œëŒ€ì  íŠ¹ì§•ì„ ì´í•´í•˜ëŠ” ë° ì¤‘ìš”í•œ ìžë£Œê°€ ëœë‹¤. ì´ëŸ¬í•œ ê³ ë ¤ ë™ê²½ì˜ ì–‘ì‹ì— 따른 특성과 ì™¸ëž˜ë¬¸í™”ì˜ ì˜í–¥, ê·¸ ë°‘ë°”íƒ•ì— í르는 사회 ë° ì‹œëŒ€ì  ì‚¬ì¡°ë¥¼ 살펴 ë³¼ 때 ê³ ë ¤ ë™ê²½ì€ ì¼ì°ì´ 중국 ê±°ìš¸ì„ ëª¨í˜•ìœ¼ë¡œ 하거나 모방하여 제작ë˜ì—ˆê³ , 나중ì—는 ì¼ë³¸ ì²­ë™ê±°ìš¸ì˜ ì˜í–¥ì„ ë°›ê¸°ë„ í•˜ì—¬ ê·¸ 형태와 ì–‘ì‹ì´ 다양하게 나타난다. ì´ëŸ¬í•œ ê±°ìš¸ë“¤ì´ í™”ìž¥ìš©ìœ¼ë¡œ ì“°ì˜€ë˜ ê²ƒì€ BC 1000년으로 소급ë˜ëŠ”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처ìŒì—는 ì²­ë™ìœ¼ë¡œ 만든 둥근 íŒì— ì†ìž¡ì´ê°€ 달린 ê²ƒì— ë¶ˆê³¼í•˜ì˜€ë‹¤. ê·¸ê²ƒì´ ë‹¤ì‹œ 외국ì—서 ì „ëž˜ëœ ì˜í–¥ì„ 받아 다양한 무늬를 넣어 꾸며지고 í•˜ë‚˜ì˜ ê³µì˜ˆí’ˆìœ¼ë¡œ ì™„ì„±ëœ ê²ƒì€ ì¤‘êµ­ 전국시대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ê¶ë…€ë“¤ì´ ì´ë¥¼ 애용했으나 본래는 ì˜ì‹ìš©ìœ¼ë¡œ 제작ëì„ ê²ƒì´ë‹¤.

(왼쪽부터) ë„3 <ì²­ë™ë‹¤ë‰´ì„¸ë¬¸ê²½é‘銅多ç´ç´°ç´‹é¡>, ì²­ë™ê¸°ì‹œëŒ€ / ë„5 <ì²­ë™ìš´ë¬¸ê²½é‘銅雲紋é¡>, 중국 전국시대

ìš°ë¦¬ë‚˜ë¼ ë™ê²½ì— 가장 í° ì˜í–¥ì„ 준 왕ë§ê²½

중국ì—서는 ì „êµ­ì‹œëŒ€ì˜ ë™ê²½ì—서 대다수가 둥근 모양으로 í‰ë©´ìƒì— 투조(é€å½«, 맞뚫림 ì¡°ê°)하였거나 금ì€ìœ¼ë¡œ ìƒê°í•œ 문양과 채색으로 그린 ì±„í™”ë¬¸å½©ç•µç´‹ë„ ë‚˜íƒ€ë‚œë‹¤(ë„5), (ë„6). 전국시대 ë™ê²½ì€ 초楚 나ë¼ì˜ ê±°ìš¸ì´ ëŒ€í‘œì ì´ë‹¤. 진秦 ì‹œëŒ€ì˜ ê±°ìš¸ì—서는 í‰ë©´ì ìœ¼ë¡œ 무한히 ì „ê°œë˜ëŠ” 바탕 문양 ìœ„ì— ë„철문(饕餮紋, ë„깨비 문양)ì´ë‚˜ 초보ì ì¸ 반용(蟠é¾, ëª¸ì„ ì„œë¦¬ê³  있는 ìš©) 등 개별ì ì¸ ë™ë¬¼ë¬¸ê³¼ ê¸°í•˜í•™ì  ë¬´ëŠ¬ë¥¼ 복합시킨 ë°©ë²•ì´ ì‚¬ìš©ë다. 종류로는 둥근 거울[圓é¡], 네모 거울[æ–¹é¡] 등으로 무늬를 투조한 것 ë“±ì´ ìžˆë‹¤.
í•œëŒ€æ¼¢ä»£ì— ì™€ì„œëŠ” ì „êµ­ ì‹œëŒ€ì˜ ë™ê²½ì´ 통합 정리ë˜ë©´ì„œ ì§ˆì´ ì¢‹ì€ ë°±ë™ì›ê²½ç™½éŠ…åœ“é¡ì´ 나타난다. 거울 면경면é¡é¢ì€ 약간 ë³¼ë¡í•˜ê³  거울 ë’·ë©´ê³¼ 꼭지를 중심으로 ë™ì‹¬ì›ìƒåŒå¿ƒåœ“ç‹€ì„ ëª‡ 단으로 구분하여 ê·¸ ì•ˆì— ë¬¸ì–‘ì„ ë‚˜íƒ€ë‚´ëŠ”ë°, ì´ëŸ¬í•œ ì–‘ì‹ì€ ê³ ë ¤ ë™ê²½ì—ì„œë„ ë‹¤ì†Œ 나타난다(ë„7). 한ì‹ê²½ì€ 시대ì ìœ¼ë¡œ 보아서 전한시대 ë™ê²½å‰æ¼¢é¡, 왕ë§ì‹œëŒ€ ë™ê²½çŽ‹èŽ½é¡, 후한시대 ë™ê²½å¾Œæ¼¢é¡ìœ¼ë¡œ 구분ëœë‹¤.


(왼쪽부터) ë„6 <ì²­ë™ì˜¤ì‚°ê²½é‘銅五山é¡>, 중국 전국시대 / ë„7 <ì²­ë™ì£¼ìˆ˜ê²½é‘銅走ç¸é¡>, 중국 한대



ìš°ë¦¬ë‚˜ë¼ ë¶ë°©ì˜ 낙랑樂浪 옛 ë•…ì´ë¼ 하는 ê³³ì—서는 ë°±ë™ìœ¼ë¡œ 만들어진 매우 아름답고 ì •êµí•œ ê±°ìš¸ì´ ë°œê²¬ëœ ë°” 있다. 여기서는 용무늬, 새무늬, ë™ë¬¼ë¬´ëЬ, 그리고 안쪽으로 새긴 꽃무늬가 ì •êµí•˜ê²Œ 새겨져 있다. 특히 왕ë§ì˜ ê±°ì„­ì›ë…„å±…æ”元年(서기 6ë…„)ì˜ ê¸°ëª…è¨˜éŠ˜ì´ ìžˆì–´ 매우 귀중한 ìžë£Œê°€ ë˜ê³  있다. ì „í•œì‹œëŒ€ì˜ ê±°ìš¸ì€ ì‚°ì•…ë¬´ëŠ¬[山岳紋], 신선무늬, 반리무늬[蟠螭紋]와 ê³ ì‹å¤å¼ 거울과 방격규뉴경方格è¦é¡(뉴 ì£¼ìœ„ì— ë°©ê²© 무늬를 ë‘르고, ê·¸ ì‚¬ë°©ì— Tìž ëª¨ì–‘, ë°– ë‘˜ë ˆì˜ ê°€ê¹Œìš´ ì‚¬ë°©ì— Lìž ëª¨ì–‘, ê·¸ 사ì´ì— Vìž ëª¨ì–‘ì„ ë°°ì¹˜í•œ ê¸°í•˜í•™ì  ë„í˜•ì´ ìž¥ì‹ë˜ì—ˆìŒ), ë™ì‹¬ì›ìƒìœ¼ë¡œ 거울 í›„ë©´ì„ êµ¬ë¶„í•˜ê³  ëª…ë¬¸ì„ ë°°ì¹˜í•œ 세밀한 ë™ê²½, 8ê°œì˜ ë‘¥ê·¼ ê½ƒìžŽëª¨ì–‘ì„ ë°°ì¹˜í•˜ê³  간소한 ë¬¸ì–‘ì„ ë„£ì€ ê²ƒ ë“±ì„ ë³¼ 수 있다. ì´ëŸ¬í•œ Tìž, Lìž, Vìž ëª¨ì–‘ì˜ ê±°ìš¸ì€ ìš°ë¦¬ë‚˜ë¼ ì‚¼êµ­ ì‹œëŒ€ì˜ ê³ ë¶„ 출토품 중ì—서 간혹 찾아볼 수 있다. 중국 ì „ëž˜í’ˆìœ¼ë¡œë„ ë³¼ 수 있으며, 고려경ì—ì„œë„ ê°„í˜¹ ì´ëŸ¬í•œ 형ì‹ì„ 모방한 ê±°ìš¸ì´ ìžˆë‹¤.
ìš°ë¦¬ë‚˜ë¼ ë™ê²½ì— 가장 í° ì˜í–¥ì„ 준 ê²ƒì€ ì™•ë§ê²½ì´ë¼ í•  수 있는ë°, 왕ë§ê²½ì—는 청룡·백호·주작·현무 등 네 ë™ë¬¼ 형ìƒì„ 둘러 나타낸 ì´ë¥¸ë°” 수대경ç¸å¸¶é¡ì´ë¼ 부르는 ì²­ë™ê±°ìš¸ì´ 주류를 ì´ë£¨ê³  있다. 후한 ì‹œëŒ€ì˜ ê±°ìš¸ì—서는 사신문 ëŒ€ì‹ ì— ì‹ ìˆ˜ç¥žç¸, ì‹ ì„ ì„ ë„드ë¼ì§€ê²Œ 부조浮彫한 ê±°ìš¸ì´ ìžˆë‹¤. 수당 시대ì—는 앞 ì‹œëŒ€ì˜ í•œë‚˜ë¼ ë•Œ 거울ì—서 ê¸°ë³¸ì„ ì´ë£¨ì—ˆìœ¼ë‚˜ ë¬¸ì–‘ì€ ì„œë°©è¥¿æ–¹ì—서 ìœ ëž˜ëœ í™”ë ¤í•˜ê³  ìƒìƒí•œ 분위기가 넘치는 것으로 발전ë˜ê³  있고, ê·¸ ì˜í–¥ì€ 통ì¼ì‹ ë¼ì‹œëŒ€ë¶€í„° 시작하여 고려시대 중기 ë¯¸ìˆ ì˜ ì „ë°˜ì— í° ì˜í–¥ì„ 주었다.
ìˆ˜ë‚˜ë¼ ë•ŒëŠ” ì§§ì€ ê¸°ê°„ì´ì—ˆìœ¼ë‚˜ 서쪽으로는 아무르(Amur) ê°• 유역ì—까지 ì„¸ë ¥ì´ ì´ì–´ì¡Œê³ , 남쪽으로는 ì¸ë„ì°¨ì´ë‚˜(Indo-China) ë°˜ë„ì˜ ìˆ² 마ì„ì„ í† ë²Œí•˜ê³  멀리 ì í† êµ­èµ¤åœŸåœ‹ê¹Œì§€ ì†ì„ ë»—ì³ í•´ì™¸ ë¬¸ë¬¼ì˜ êµë¥˜ê°€ 왕성하였다. ë‹¹ë‚˜ë¼ ì™•ì¡°ëŠ” ì´ëŸ¬í•œ 문화를 ì´ì–´ë°›ì•„ ì ê·¹ì ì¸ 정책으로 ì„œì—­è¥¿åŸŸì„ í†µí•œ ë™ì„œ ë¬¸í™”ì˜ êµë¥˜ë¥¼ ì´ë£©í–ˆë‹¤. ì´ëŸ¬í•œ 경로로 ë™ê²½ì—는 중국 남ë¶ì¡°å—åŒ—æœ ì‹œëŒ€ì— ë¶ˆêµ ë¯¸ìˆ ì„ ë”°ë¼ ì„œì—­ì—서 ì „ëž˜ëœ í¬ë„당초문ì´ë¼ë“ ê°€ ë³´ìƒí™”문寶相è¯ç´‹ ë˜ëŠ” 단화문(團è¯ç´‹, ì› ì•ˆì— ë¬¸ì–‘ì„ ë„£ì€ ê²ƒ, 서방 ì „ëž˜ì˜ íŒ”ë©”íŠ¸ë¥¼ 배치한 것)ì´ ì‚¬ì‹ å››ç¥ž, í•´ìˆ˜æµ·ç¸ ë“±ê³¼ ê²°í•©ë¼ ë§¤ìš° 화려한 문양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ë„8). ë‹¹ë‚˜ë¼ ë•Œ ê±°ìš¸ì€ ì›í˜•, 방형, 8능형(八稜形, ì—¬ëŸìžŽ 꽃모양), 6화형, 8화형 등 다양한 형ì‹ì„ ë³¼ 수 있다
(ë„9). ì´ëŸ¬í•œ íë¦„ì€ ê³ ë ¤ê²½ì—ì„œë„ ë§Žì´ ë‚˜íƒ€ë‚œë‹¤. 당시 ìœµì„±í•˜ì˜€ë˜ ë¶ˆêµ ì‚¬ìƒê³¼ ì´ë¥¼ 배경으로 한 귀족 ì‚¬íšŒì˜ ë²ˆì˜ì—서 ë§Žì€ ê³µì˜ˆí’ˆì˜ ìˆ˜ìš”ê°€ 급ì¦í•˜ì—¬ ë™ê²½ë„ ìƒë‹¹ìˆ˜ 제작ë˜ì—ˆì„ 것으로 ë³´ì¸ë‹¤.


(왼쪽부터) ë„8 <ì²­ë™ì‚¬ì‹ ê²½é‘銅四神é¡>, 중국 수대/ ë„9 <ì›”ê¶ê³ ì‚¬ê²½æœˆå®®æ•…事é¡>, 중국 당대
ë„10 <ë³´ë¦¬ìˆ˜ë¬¸ê²½è©ææ¨¹ç´‹é¡>, 고려시대



(왼쪽부터) ë„11 <봉문ë™ê²½é³³ç´‹éŠ…é¡>, 고려시대 / ë„12 <위로수금눈ë™ê²½è‘¦è˜†æ°´ç¦½ç´‹éŠ…é¡>, 고려시대
ë„13 <ë™ì œ ìŒë´‰ 무늬 네모 거울>, 고려시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시대부터 한국ì ì¸ ë¯¸ìˆ ì–‘ì‹ ë³´ì—¬

우리나ë¼ì— 삼국시대와 통ì¼ì‹ ë¼ì‹œëŒ€ì˜ ìž‘í’ˆì€ ì „í˜€ 나타나지 않고, 당나ë¼ì—서 ì „ëž˜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Š” 몇 ì ë§Œì´ 남아 있다는 ì‚¬ì‹¤ì€ ì´í•´í•  수 없다. ê³ ë ¤ì‹œëŒ€ì— ì™€ì„œëŠ” ê·¸ ìœ í’ˆì´ ì ì§€ 않게 남아 있어서 ë¹„ë¡ ì™¸ëž˜ë¬¸í™”ì˜ ì˜í–¥ì€ ë§Žì´ ë³´ì´ëŠ”ë°, 시대ì ì¸ íŠ¹ì§•ì´ ëšœë ·í•˜ê³  ì´ë¥¸ë°” 한국ì ì¸ íŠ¹ì„±ì˜ ë¯¸ìˆ  ì–‘ì‹ì´ ì´ë¡œë¶€í„° 시작한다(ë„10~ë„13). ë™ê²½ì—는 간혹 제작 ë™ê¸°ë¼ë“ ê°€ 제작 연대 ë˜ëŠ” 만들게 ëœ ì—°ìœ  ë“±ì´ ìƒˆê²¨ì§„ ëª…ë¬¸ì´ ìžˆì–´ 중요한 사료로 활용ë˜ê¸°ë„ 한다. 장수, 번ì˜, 태í‰, í™”ëª©ì„ ì¶•ì›í•˜ê³  ìƒì§•하는 ë¬¸ì–‘ë„ ìƒˆê²¨ì ¸ ê·¸ ì‹œëŒ€ì˜ ì‹ ì•™ì  ë°°ê²½ ë˜í•œ ì§ìž‘í•´ë³¼ 수 있다. í•œë‚˜ë¼ ë•Œ 거울ì—서는 â€˜ëˆ„êµ¬ì˜ ìž¥ìˆ˜ì™€ 번ì˜ì„ 위하여’ë¼ëŠ” ì¶•ì›ë¬¸ì„ 새겨 ë„£ì€ ê²ƒê³¼ ì–´ëŠ ìœ ëª…í•œ 고대 설화와 전설 ì†ì˜ ì¸ë¬¼ì´ë‚˜ 시구를 새겨 ë„£ì€ ê²ƒë„ ìžˆë‹¤. ë™ê²½ì€ 특히 불êµì—서 사용ë˜ì—ˆë˜ 것으로 ì§ìž‘í•  수 있는ë°, 실로 ë™ê²½ì— 나타나는 ë¬¸ì–‘ì˜ ìš”ì†Œë¥¼ 살펴보면 불êµì™€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ìŒì„ 알 수 있다(ë„14). ë‹¹ì‹œì˜ ë„참사ìƒåœ–è®’æ€æƒ³ê³¼ë„ ë§Žì€ ì—°ê´€ì„±ì„ ê°–ëŠ”ë‹¤.
<ê³ ë ¤ë„경高麗圖經>ì—서는 ë™ê²½ì€ ê¸ˆì† ì„¸ê³µì— ì†í•˜ì—¬ ìž¥ì•¼ì„œæŽŒå†¶ç½²ì˜ ë‹¨ì•¼ì„œé›å†¶ç½²ì—서 관장하였다고 한다. <고려사> ê¶Œ77 지志31백관百官 2장야서조掌冶署æ¢ì— ë³´ë©´, 여기ì—서는 거울 만드는 장ì¸ì„ 비롯하여 ì€ìž¥éŠ€åŒ , ìƒì² ìž¥ç”ŸéµåŒ , ë°±ë™ìž¥ç™½éŠ…åŒ  ë“±ì´ ì˜ˆì†ë˜ì–´ 나ë¼ì— 필요한 ê°ì¢… ê¸°ë¬¼ì„ ë§Œë“¤ì–´ëƒˆë‹¤ê³  기ë¡ë¼ 있다. ì´ ê´€ì„œì˜ ì—­ì›å½¹å“¡ìœ¼ë¡œëŠ” ì˜ä»¤ 2명(종6í’ˆ), 승丞 2명(ì •8í’ˆ), ì‚¬å² 4명, 기관記官 3명, 산사算士 1명 ë“±ì´ ìžˆì–´ 장ì¸ì„ 다스렸다고 한다.
ê³ ë ¤ ë™ê²½ì€ ê·¸ í˜•íƒœì— ìžˆì–´ ì›í˜•ì´ ê°€ìž¥ ë§Žê³ , 단뉴(꼭지가 1ê°œ 달린 것) 형ì‹ì´ 주류를 ì´ë£¬ë‹¤. 간혹 ìŒìœ¼ë¡œ 달린 것, 세 개가 달린 ê²ƒë„ ìžˆìœ¼ë‚˜ 극히 드물다. ì›í˜• ì´ì™¸ì—ë„ ì •ë°©í˜•, 장방형, 8화형八花形, 8능형, 8ê°í˜•, 6화형, 4능형, 보주모양, 보운모양[寶雲形], 정형[鼎形, 중국 고대 솥모양], 종형é˜å½¢, 병모양[ç”å½¢] ë“±ì˜ ë‹¤ì–‘í•œ ëª¨ì–‘ì´ ìžˆìœ¼ë©° ê·¸ê²ƒì€ ê±¸ì–´ 둘 수 있게 만들어진 현경縣é¡ê³¼ ì†ìž¡ì´ê°€ 달린 병경柄é¡ìœ¼ë¡œ 구분ëœë‹¤.
ì—¬ê¸°ì— ë‚˜íƒ€ë‚˜ëŠ” 무늬는 대개 ë™ë¬¼ë¬¸, ì‹ë¬¼ë¬¸, 산경문, 기하학문, 문ìžë¬¸ 계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ë™ë¬¼ë¬´ëŠ¬ë¡œëŠ” 사신四神(사수四ç¸ë¼ê³ ë„ 함)ì„ ë¹„ë¡¯í•˜ì—¬ ìš©, í•™, 봉황, 잉어, 앵무 ë“±ì´ ìžˆê³  ì‹ë¬¼ë¬´ëЬì—는 êµ­í™”, 파초, 갈대, í¬ë„, 초화 ë° ë‹¹ì´ˆ ë“±ì´ ìžˆë‹¤. ì¸ë¬¼ë¬¸, 산경문으로는 옛 ì¸ë¬¼ ì´ì•¼ê¸°ì™€ ìƒìƒì ì¸ 세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허유세ì´ê²½è¨±ç”±æ´—耳é¡, 불ìƒê±°ìš¸, ì„ ì¸ê±°ìš¸ä»™äººé¡ ë“±ì´ ìžˆë‹¤.


(왼쪽부터) ë„14 <ìŒê°ê´€ìŒë³´ì‚´ë¬¸ê²½ê°é™°åˆ»è§€éŸ³è©è–©ç´‹é¡é‘‘>, 고려시대
ë„15 <ì² ì œì€ìž…사ë™ê²½ê±¸ì´[éµè£½éŠ€å…¥çµ²é¡è‡º]>, 조선시대



문ìžë¬¸ì–‘계 거울ì—는 오행사ìƒäº”è¡Œæ€æƒ³, ë„êµì‚¬ìƒê³¼ ì—°ê´€ë˜ëŠ” 것으로 수귀부ë½ëª¨ì‚¬å£½è²´å¯Œæ¨‚æ¯äº‹, ìˆ˜ì‚°ë³µí•´å£½å±±ç¦æµ·, 천왕ì¼ì›”天王日月, 위선최ë½çˆ²å–„最樂, 복과 장수, 부귀를 ì—¼ì›í•˜ëŠ” 뜻ì—서 ê°€ìƒê·€ë¶€å®¶å¸¸è²´å¯Œ, 천추만세åƒç§‹è¬æ­², 장명귀부長命貴富, 부귀장명富貴長命, 수귀부壽貴富 ë“±ì˜ ì¢…êµì  사유를 표현한다. ê³ ë ¤ê²½ì— ìƒˆê²¨ì§„ ëª…ë¬¸ì„ ì‚´íŽ´ë³´ë©´ 바깥 êµ¬ì—­ì— ê´€ëª…å®˜å í˜¹ì€ ê°€ëª…å®¶åì˜ ëª…ë¬¸êµ¬ì ˆåæ–‡å¥ç¯€ì„ 넣어 새긴 ê²ƒì´ ìžˆëŠ”ë° ê³ ë ¤êµ­ì¡°é«˜éº—åœ‹é€ , 사경공가四京工家, 사경승ì ì‚­ì¡°å››äº¬åƒ§ç²¾æœ”造, ë™ê²½ìˆœì›ìž¥æ±äº¬å·¡é™¢åŒ  ë“±ì„ ë³¼ 수 있다.

ìž„ì˜ì£¼ | 한-명품미술관장

í™ìµëŒ€í•™êµì—서 목칠학과를 전공하고 ë™êµ­ëŒ€í•™êµëŒ€í•™ì›ì—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전문위ì›,
í™ìµëŒ€í•™êµ 미술대학 겸임êµìˆ˜ ë“±ì„ ì—­ìž„í–ˆìœ¼ë©°
현재 (사)한국무형문화예술êµë¥˜í˜‘회 회장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