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ë¬¸ê²½ê´€ìœ¼ë¡œ 거듭난 현실 ì† ì´ìƒí–¥ 소ìƒì‹­ê²½ë„(ç€Ÿæ¹˜åæ™¯åœ–)

소ìƒì‹­ê²½, 10í­, ê° 32×103ãŽ, 견본수묵

*소ìƒì‹­ê²½, 10í­, ê° 32×103ãŽ, 견본수묵

소ìƒì‹­ê²½ë„(ç€Ÿæ¹˜åæ™¯åœ–)

현대ì¸ë“¤ì€ ì¸í„°ë„·ê³¼ ê°ì¢… SNS를 통해 ì—¬í–‰ì§€ì˜ ì •ë³´ë¥¼ 모으고, 미리 ì—¬í–‰ì„ ë– ë‚œ 듯한 ê°ìƒì— 젖고는 한다. 여행지를 다녀온 ì‚¬ëžŒë“¤ì˜ ê²½í—˜ì´ ì¶•ì ë˜ê³  다른 사람들ì—게 전해지면서 현실 ì†ì˜ í’ê²½ì€ ì¸ë¬¸ê²½ê´€äººæ–‡æ™¯è§€ìœ¼ë¡œì¨ 재탄ìƒí•˜ëŠ”ë°, 우리 선조들ì—게는 ì¤‘êµ­ì˜ ì†ŒìƒíŒ”ê²½ì´ì†ê¼½ížˆëŠ” ì¸ë¬¸ê²½ê´€ì´ì—ˆë‹¤. SNSê°€ 아닌 그림으로 ë‚¨ì€ ì†Œìƒì‹­ê²½ë„를 통해 ì—¬í–‰ì„ ë– ë‚˜ë³´ìž.

ï¼Šìž‘í’ˆì„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ë™ì•„시아ì—서 유명세를 떨친 소ìƒíŒ”ê²½

휴가철과 ëª…ì ˆì„ ë§žì´í•˜ì—¬ ë°•ë¬¼ê´€ë„ ë¶„ì£¼í•´ì¡Œë‹¤. 9ì¼ê°„ì˜ ì¶•ì œ 기간 ë™ì•ˆ ë§Œ 명 ì´ìƒì˜ 관람ê°ì´ í•œêµ­ë¯¼í™”ë®¤ì§€ì—„ì„ ë‹¤ë…€ê°”ê³  ì¸í„°ë„·ì—ë„ ê´€ë ¨ 글과 ì‚¬ì§„ë“¤ì´ ì‹œì‹œê°ê° ì—…ë°ì´íЏë˜ê³  있다. 현대ì¸ë“¤ì´ 휴가나 휴ì¼ì„ ì¦ê¸°ëŠ” ë° ìžˆì–´ì„œ 필수ì ì¸ 것 중 하나가 바로 ì´ë ‡ê²Œ ì¸í„°ë„·ì— ê²Œìž¬ëœ ì‚¬ì§„ê³¼ 후기ì´ë‹¤. 여행 장소를 정하기 ì „ì— ì¸í„°ë„· 카페나 ë¸”ë¡œê·¸ë¿ ì•„ë‹ˆë¼ íŽ˜ì´ìФë¶, ì¸ìŠ¤íƒ€ê·¸ëž¨,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등 ê·¸ ì¢…ë¥˜ë„ ë‹¤ì–‘í•œ SNS를 찾아보고, ë˜ ë‹¤ë…€ì˜¨ í›„ì— í›„ê¸°ë¥¼ ì ëŠ” ê²ƒì€ ì´ë¯¸ 대중ì ì¸ 문화로 ìžë¦¬ ìž¡ì€ ì§€ 오래ì´ë©° ì´ëŸ¬í•œ 문화는 êµí†µê³¼ 기술 ë°œë‹¬ì˜ ì‚°ë¬¼ì´ë‹¤. 우리 선조들ì—게서 ì´ëŸ° í’ìŠµì„ ì°¾ì•„ë³¼ 수 있는 사례로는 시문학과 ë”불어 ê·¸ë¦¼ì„ ê¼½ì„ ìˆ˜ 있다. ë§Žì€ ëª…ìŠ¹ì§€ ê°€ìš´ë° ê³ ë ¤ì‹œëŒ€ì— ìœ ìž…ëœ ì´í›„ 조선시대를 거치며 ë‘루 ì¸ê¸°ë¥¼ ëˆ„ë ¸ë˜ ì†ŒìƒíŒ”ê²½ì€ ì§ì ‘ 가보기는 힘들지만, 시화詩畵를 통해 누리고 ì‹¶ì—ˆë˜ ë§‰ì—°í•œ ê·¸ë¦¬ì›€ì˜ ìž¥ì†Œì˜€ë‹¤. 소ìƒíŒ”ê²½ì„ ê·¸ë¦° ê·¸ë¦¼ì€ ì´ì°¨ì  경험으로나마 ì—¬í–‰ì§€ì˜ ì—¬ìœ ë¥¼ ì¦ê¸¸ 수 ìžˆë˜ ì„ ì¡°ë“¤ì˜ SNSì´ìž 눈과 귀를 요기하는 공간ì´ì—ˆì„ 것ì´ë‹¤.
소ìƒíŒ”ê²½ç€Ÿæ¹˜å…«æ™¯ì€ ê·¸ ëª…ì¹­ì„ í†µí•´ 중국 호남성 ì˜ì›í˜„ 구ì˜ì‚°ì—서 ë°œì›í•˜ì—¬ í˜¸ë‚¨ì„±ì„ ê´€í†µí•˜ëŠ” 소수瀟水와 광서성 ì˜ì²œí˜„ í•´ì–‘ì‚°ì—서 ë°œì›í•˜ì—¬ 호남성까지 ì´ë¥´ëŠ” ìƒìˆ˜æ¹˜æ°´ê°€ 만나는 ë¶€ê·¼ì˜ ë¹¼ì–´ë‚œ 경치 ì—¬ëŸ ê³³ì— ì´ë¥´ëŠ” 것으로 ì§ìž‘í•  수 있다. 하지만 실제 그려진 주제를 살펴보면 ì¢ê²ŒëŠ” 중국 호남성 ìƒê°•ê³¼ ë™ì •호 주변, 넓게는 호남지역 전체를 뜻한다. 소ìƒíŒ”ê²½ë„와 ê° í­ì˜ 주제는 송ì å®‹è¿ª(1050~1080)ì— ì˜í•´ ì²˜ìŒ ìž‘í™”ëœ ê²ƒìœ¼ë¡œ 알려졌다. ì´ë ‡ê²Œ 중국ì—서 ì‹œìž‘ëœ ì†ŒìƒíŒ”경시와 소ìƒíŒ”ê²½ë„는 고려시대 우리나ë¼ë¥¼ 비롯하여 ì¼ë³¸ê³¼ 베트남까지 ì˜í–¥ì„ ë¼ì³¤ë‹¤. 소ìƒíŒ”ê²½ì— ëŒ€í•œ 애호는 ë™ì•„시아ì—서 공통ì ìœ¼ë¡œ ì¼ì–´ë‚¬ë˜ 문화 현ìƒì— 해당하며 나ë¼ë³„로 특색 있는 소ìƒíŒ”ê²½ 시화詩畵가 유행하는 ë°°ê²½ì´ ë˜ì—ˆë‹¤.
한국민화뮤지엄 ì†Œìž¥ì˜ <소ìƒì‹­ê²½ë„ç€Ÿæ¹˜åæ™¯åœ–>는 왼쪽부터 ê°•ë„모설江都暮雪, 소ìƒì•¼ìš°ç€Ÿæ¹˜å¤œé›¨, 한사모종寒寺暮é¾, ë™ì •추월洞庭秋月, í‰ì‚¬ë‚™ì•ˆå¹³æ²™è½é›, 창오모운蒼梧暮雲, ì–´ì´Œë‚™ì¡°æ¼æ‘è½ç…§, ì›í¬ê·€ë²”é æµ¦æ­¸å¸†, í™©ë¦‰ì œê²¬é»ƒé™µå•¼éµ‘ì˜ ì£¼ì œë¡œ 구성ë˜ì–´ 있다. ì´ëŠ” ì¼ë°˜ì ìœ¼ë¡œ ë§Žì´ ê·¸ë ¤ì¡Œë˜ ì†ŒìƒíŒ”ê²½ì˜ ì£¼ì œì— ì°½ì˜¤ëª¨ìš´ê³¼ í™©ë¦‰ì œê²¬ì´ ì¶”ê°€ëœ í˜•íƒœì¸ë° ë‘ ê°€ì§€ ëª¨ë‘ ìˆœìž„ê¸ˆì— ê´€ë ¨ëœ ìž¥ì†Œë¡œ, 작가가 ìˆœìž„ê¸ˆì˜ ì£½ìŒê³¼ ë‘ ë¹„å¦ƒ, 아황과 ì—¬ì˜ì˜ í–‰ì ì— 관한 ì´ì•¼ê¸°ë¥¼ 알고 소ìƒíŒ”ê²½ì˜ ìž¥ì†Œì¸ í˜¸ë‚¨ì§€ì—­ 중 ì´ì— ê´€ë ¨ëœ ë‘ ìž¥ì†Œë¥¼ ì˜ë„ì ìœ¼ë¡œ ì¶”ê°€í–ˆì„ ê²ƒìœ¼ë¡œ 추정할 수 있다. ë”°ë¼ì„œ 유êµì  ê´€ì ì—서 순임금과 열녀로 칭송ë˜ëŠ” 아황과 ì—¬ì˜ì´ ì£½ì€ ìž¥ì†Œì¸ ì†ŒìƒíŒ”ê²½ì´ ë¬¸ì¸ë“¤ì—게 ì¸ê¸°ë¥¼ 얻으며 조선시대를 통틀어 ì§€ì†í•´ì„œ 재ìƒì‚°ë˜ì—ˆë˜ ì ì„ 고려할 때 ì´ ìž‘í’ˆì´ ì–´ëŠ ì •ë„ í•™ë¬¸ì  ì†Œì–‘ì„ ê°€ì§„ ìž‘ê°€ì— ì˜í•´ ê·¸ë ¤ì¡Œì„ ê°€ëŠ¥ì„±ì— ë¬´ê²Œê°€ 실린다. ì´ëŠ” 민화 소ìƒíŒ”ê²½ë„ê°€ 현세 구복ì ì¸ ë‚™ì›ìœ¼ë¡œì„œì˜ ì´ë¯¸ì§€ë¿ ì•„ë‹ˆë¼ ì¡°ì„  초부터 문ì¸ë“¤ì—게 향유ë˜ì—ˆë˜ ì¸ë¬¸ê²½ê´€ìœ¼ë¡œì„œì˜ ì—­í• ë„ ì—¬ì „ížˆ 담당하고 있었ìŒì„ 시사한다.

전승 패턴ì—서 벗어난 ê³¼ê°í•œ 시ë„

ë˜í•œ, ì´ ìž‘í’ˆì€ ì¼ë°˜ì ìœ¼ë¡œ ê·¸ë ¤ì¡Œë˜ ì†ŒìƒíŒ”ê²½ì´ ì•„ë‹Œ ì‹­ê²½åæ™¯ìœ¼ë¡œ 구성ë˜ì–´ 있다. 중국ì—ì„œë„ ë‚¨ì†¡ ì‹œê¸°ì— ìœ í–‰í–ˆë˜ ì†ŒìƒíŒ”ê²½ì´ <ë™ì •추월洞庭秋月>ê³¼ <소ìƒì•¼ìš°ç€Ÿæ¹˜å¤œé›¨>를 제외하면 정확한 장소ë¼ê¸°ë³´ë‹¤ëŠ” ì–´ë–¤ 지역ì´ë“  비슷한 ê²½ê´€ì„ ì°¾ì„ ìˆ˜ ìžˆì„ ì •ë„ì˜ ê°œê´„ì ì¸ ì„±ê²©ì„ ì§€ë‹ˆê¸° ë•Œë¬¸ì— ì´í›„ ì‹­ê²½åæ™¯ê³¼ ì‹­ì´ê²½å二景 ë“±ì˜ ë‹¤ì–‘í•œ 형태로 제작ë˜ê¸°ë„ 하였으나, 19세기 ë§ê²½ì— 그려진 것으로 추정ë˜ëŠ” 한국민화뮤지엄 소장품과는 시대ì Â·ê³µê°„ì  ì°¨ì´ê°€ 현저하여 ì§ì ‘ì ì¸ ì˜í–¥ 관계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ë”°ë¼ì„œ ì´ êµ¬ì„±ì€ ìž‘ê°€ê°€ ê³ ë ¤ì‹œëŒ€ì— ì „ëž˜í•œ ì´ëž˜ë¡œ 조선시대까지 대대ì ìœ¼ë¡œ ìœ í–‰í•˜ë˜ ì¼ë°˜ì ì¸ íŒ¨í„´ì„ ê³¼ê°í•˜ê²Œ 깨고 ê°ëª… ê¹Šì€ ìž¥ì†Œë¥¼ 추가했다는 ì ì„ 시사한다. ì´ëŠ” ê¶ì¤‘장ì‹í™”ì—서 민화로 변형ë˜ëŠ” 과정 중 ë§Žì€ ìž‘í’ˆì—서 ìž‘ê°€ì˜ ë¯¸ê°ì— 맞게 새로운 시ë„ê°€ ì´ë£¨ì–´ì¡Œë“¯ì´ 민화가 가지는 ìžìœ ë¡œì›€ì„ 다시 한 번 확ì¸ì‹œì¼œì£¼ëŠ” 대목ì´ë¼ê³  í•  수 있다.
ê·¸ëŸ°ë° ìž‘í™” 패턴으로 ë´¤ì„ ë•Œ 왼쪽 ë‘ í­ê³¼ 나머지 ì—¬ëŸ í­ì—는 현저한 ì°¨ì´ê°€ 존재한다. <강모ë„설>ê³¼ <소ìƒì•¼ìš°>ì˜ ê²½ìš° 바위 표현ì—서 담묵으로 짧게 여러 번 ëŠì–´ 그린 í›„ì— ë†ë¬µìœ¼ë¡œ ì„ ì„ í•œ 번씩 ë§ê·¸ë ¤ì¤€ 형태ì´ë©° ë‚˜ë­‡ìžŽë„ ë‚˜ë¨¸ì§€ ìž‘í’ˆì— ë¹„í•´ 세필로 ì•™ìƒí•˜ê²Œ 표현ë˜ì—ˆë‹¤. ë˜í•œ, 고기잡ì´í•˜ëŠ” 어부를 í¬í•¨í•˜ì—¬ 바위와 나무까지 등장하는 모든 ì‚¬ë¬¼ì˜ í…Œë‘리를 한 번 ë” ê·¸ë¦¬ê³  í…Œë‘리 ë°”ê¹¥ìª½ì„ ë‹´ë¬µìœ¼ë¡œ 처리하여 ìƒëŒ€ì ìœ¼ë¡œ í…Œë‘리 ì•ˆìª½ì— í•˜ì´ë¼ì´íЏ 효과를 주고 ìžˆëŠ”ë° ë§ˆì¹˜ ì–¼ìŒ ì•ˆì— ì‚¬ë¬¼ë“¤ì´ ê°‡ížŒ 것처럼 ë³´ì¸ë‹¤. 그러나 왼쪽 ë‘ í­ê³¼ 나머지 í­ì— 등장하는 배나 누ê°ì˜ 형태, ì¸ë¬¼í‘œí˜„ì´ ì¼ì¹˜í•˜ë©° 서체가 ë™ì¼ì¸ì˜ 것으로 ë³´ì—¬ 한 작가가 시차를 ë‘ê³  그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ë”°ë¼ì„œ 오른쪽 ì—¬ëŸ ìž‘í’ˆì´ ë¨¼ì € 그려져 소ìƒíŒ”ê²½ì„ ì´ë£¨ì—ˆë‹¤ê°€ ì´í›„ì— ì¢€ ë” ëŠ¥ìˆ˜ëŠ¥ëž€í•œ 필치로 세부 í‘œí˜„ì„ ë”í•´ 왼쪽 ë‘ ìž‘í’ˆì„ ì¶”ê°€í•˜ì—¬ 소ìƒì‹­ê²½ì´ 탄ìƒí–ˆì„ 것ì´ë‹¤. ì´ëŠ” ë‘ ê°€ì§€ 중요한 시사ì ì„ 가진다. ìš°ì„  ì¼ë°˜ì ìœ¼ë¡œ ê·¸ë ¤ì¡Œë˜ ì†ŒìƒíŒ”ê²½ë„를 소ìƒì‹­ê²½ë„로 구성하지 ì•Šì€ ìƒíƒœì—ì„œë„ ì›ëž˜ ê·¸ë ¤ì§€ë˜ ì£¼ì œë¥¼ ìƒëžµí•œ ìƒíƒœë¡œ <창오모운>ê³¼ <황릉제견>ì´ ì¶”ê°€ë˜ì–´ ê·¸ë ¤ì§€ê¸°ë„ í–ˆë‹¤ëŠ” ê²ƒì„ ì˜ë¯¸í•œë‹¤. ë˜í•œ, ì´ ìž‘í’ˆê³¼ ê±°ì˜ í¡ì‚¬í•˜ê²Œ 그려진 국립민ì†ë°•물관 ì†Œìž¥ì˜ ë‚™í™” <소ìƒì‹­ê²½ë„>와 ì´ì˜ìˆ˜ ì†Œìž¥ì˜ ì±„ìƒ‰ì´ ê°€ë¯¸ëœ <소ìƒì‹­ê²½ë„>보다 ì´ ìž‘í’ˆì´ ë¨¼ì € 제작ë˜ì–´ 나머지 ìž‘í’ˆì˜ ë³¸ê·¸ë¦¼ ì—­í• ì„ ë‹´ë‹¹í–ˆì„ ê²ƒìœ¼ë¡œ 추정할 수 있다.

꿈ì—서 찾는 ì´ìƒí–¥ì„ 그림으로

한편 ì´ ìž‘í’ˆì€ ì „ì²´ì ìœ¼ë¡œ 몽환ì ì¸ 분위기를 ìžì•„낸다. 여러 ê²¹ì˜ êµµì€ ë‹´ë¬µìœ¼ë¡œ ì²˜ë¦¬ëœ ë„ì‹í™”ëœ ì‚°ê³¼ 바위 ëª¨ì–‘ì€ ìž‘í’ˆ 전체를 아우르는 통ì¼ê°ì„ 형성하며 실존하는 경치ë¼ê¸°ë³´ë‹¤ ì°¨ë¼ë¦¬ 무릉ë„ì›ê³¼ ê°™ì€ ì´ìƒí–¥ì„ ë‹´ì•„ë†“ì€ ë¶„ìœ„ê¸°ë¥¼ 연출한다. 게다가 바위마다 빼곡하게 ìžë¦¬ ìž¡ì€ ë‚˜ë¬´ë“¤ì€ ë°”ìœ„ë¥¼ 중심으로 사방으로 ë»—ì–´ 나간 형ìƒìœ¼ë¡œ 그려져 때로는 위를, 때로는 옆ì„, 심지어 ì•„ëž˜ìª½ì„ í–¥í•˜ëŠ” 형태를 취하고 있기까지 하다. 마치 지구가 í‰í‰í•˜ë‹¤ëŠ” ì£¼ìž¥ì— ë§žì„œ ì§€êµ¬ì˜ ë‘¥ê·¼ ëª¨ì–‘ì„ ê°•ì¡°í•˜ê³ ìž ì‚¬ë¬¼ì´ ì§€êµ¬ë¥¼ 중심으로 ì‚¬ë°©ì— ì¤‘ë ¥ìœ¼ë¡œ 매달려 있는 형태를 ì˜ë„ì ìœ¼ë¡œ ë‘드러지게 표현한 그림처럼 ë³´ì¸ë‹¤. ì´ëŠ” ê·¸ë¦¼ì˜ ì¤‘ê°„ ì–´ë”” 즈ìŒì—서 관찰ìžê°€ 고개를 360ë„로 ëŒë ¤ê°€ë©° 다양한 ê°ë„로 ì‚¬ë¬¼ì„ ë³´ê³  그린 듯한 ì°©ê°ì„ ì¼ìœ¼í‚¤ëŠ”ë° ì´ëŸ¬í•œ 장치가 ëª½í™˜ì  ë¶„ìœ„ê¸°ë¥¼ ë”ìš± 고조시킨다. ë˜í•œ, ì¸ë¬¼ì´ë‚˜ 누ê°ì˜ ìƒëŒ€ì  í¬ê¸°ì—서는 그리는 기능ìƒì˜ 문제나 ì˜ë„ì ì¸ ê°•ì¡° 욕구로 현실ê°ì´ ë–¨ì–´ì§€ê¸°ë„ í•˜ì§€ë§Œ, <í‰ì‚¬ë‚™ì•ˆ>ì˜ ê¸°ëŸ¬ê¸° ë–¼ì˜ ê²½ìš° ë™ì¼í•œ 사물임ì—ë„ ë¶ˆêµ¬í•˜ê³  근경과 ì›ê²½ì— 등장하는 ê¸°ëŸ¬ê¸°ì˜ í¬ê¸°ë‚˜ ë””í…Œì¼ ë¬˜ì‚¬ì˜ ì°¨ì´ë¥¼ 현저하게 표현하고 있다. ì´ëŠ” 작가가 ì–´ëŠ ì •ë„ ì›ê·¼ë²•ì„ ì´í•´í•˜ê³  있다는 ì ì„ 시사한다. ë”°ë¼ì„œ ì¡°ì„  í›„ê¸°ì— ì¤‘êµ­ì„ í†µí•´ 들어온 과학 ì§€ì‹ì´ë‚˜ ì„œì–‘ì‹ ì›ê·¼ë²•ì˜ ì´í•´ëŠ” 작가가 소ìƒíŒ”ê²½ì„ ì¸ë¬¸ê²½ê´€äººæ–‡æ™¯è§€ìœ¼ë¡œ ì´í•´í•˜ê³  <창오모운>ê³¼ <황릉제견>ì„ ì¶”ê°€í–ˆë˜ ì ê³¼ ë”불어 ìž‘ê°€ì˜ êµìœ¡ ìˆ˜ì¤€ì„ ë‹¤ì‹œ 한 번 확ì¸ì‹œì¼œì£¼ëŠ” 부분ì´ìž ì´ ìž‘í’ˆì„ ê°€ë¡œì§€ë¥´ëŠ” ë˜ í•˜ë‚˜ì˜ ë§¤ë ¥ì´ë¼ê³  í•  수 있다.
실존하는 장소임ì—ë„ ìš°ë¦¬ ì„ ì¡°ë“¤ì€ ë¬¼ë¡  중국ì—서조차 가보기 íž˜ë“¤ì—ˆë˜ ìž¥ì†Œì¸ ì†ŒìƒíŒ”ê²½ì€ ìœ êµì , ë„êµì , í’수지리ì ìœ¼ë¡œ 우리 ì„ ì¡°ë“¤ì´ ê¿ˆê¾¸ë˜ ì´ìƒí–¥ì´ìž ê·¸ë¦¬ì›€ì˜ ìž¥ì†Œë¡œì„œ 시와 그림으로 ëŠìž„ì—†ì´ ìž¬ìƒì‚°ë˜ì—ˆë˜ 공간ì´ë‹¤. 마치 우리가 ì¸í„°ë„·ìƒì˜ 사진과 ë™ì˜ìƒ, 후기를 통해 ê·¸ ìž¥ì†Œì— ê°€ë³´ì§€ ì•Šì•„ë„ ê°€ë³¸ 듯한 ê°í¥ì„ 받는 것처럼 우리 ì„ ì¡°ë“¤ë„ ê·¸ë ‡ê²Œ 소ìƒíŒ”ê²½ì— ëŒ€í•œ ë§‰ì—°í•¨ì„ í˜•ìƒí™”하며 ê·¸ë¦¬ì›€ì„ ë‹¬ëž¬ì„ ê²ƒì´ë‹¤. 조선시대 ì„ ì¡°ë“¤ì˜ SNS ì† í›„ê¸°ì´ìž 사진ì´ì—ˆì„ 한국민화뮤지엄 ì†Œìž¥ì˜ <소ìƒì‹­ê²½ë„>를 통해 무ë”위를 뒤로하고 떠나는 ê°€ì„ ì—¬í–‰ 장소를 정해보는 ê²ƒì€ ì–´ë–¨ì§€ 권해본다.

 

글 : 오슬기(한국민화뮤지엄 학예실장)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