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ë‘ ëì—서 피어난 그림, ìš°ë¦¬ë‚˜ë¼ ë‚™í™”(烙畵)ì˜ ì—­ì‚¬â‘ 

ì¶©ì²­ë¶ë„무형문화재 ì œ22호 ê¹€ì˜ì¡° ì„ ìƒì´ ì¸ë‘로 ë‚™ì„ ë†“ëŠ” 모습

ë¯¸ìˆ ì´ ë°œì „í•´ì˜¨ 역사 ì†ì—서 ì´ë¯¸ì§€ë¥¼ 구현하기 위해 무수한 ë„구와 재료가 등장했다. ëŒë¡œ ëŒì— 새기는 ì•”ê°í™”ê°€ ìœ í–‰í–ˆë˜ ì‹œê¸°ê°€ 있었고, ê·¸ 후로 오랫ë™ì•ˆ ë¶“ ê·¸ë¦¼ì˜ ì‹œëŒ€ë¥¼ 맞는다. ë™ì•„시아 미술ì—서 ë…ì°½ì ìœ¼ë¡œ 발전시켜온 ì¸ë‘를 ì´ìš©í•œ 낙화를 비롯해 나뭇가지로 ë¨¹ì„ ì°ì–´ 그리는 비백서, ì†ê°€ë½ìœ¼ë¡œ 그리는 ì§€ë‘í™”, ê°€ì£½ì„ ì´ìš©í•œ í˜í•„í™” 등 ë¶“ ì´ì™¸ì˜ ë„구가 ë¹„ì£¼ë¥˜ìž„ì€ ë¶„ëª…í•˜ë‹¤. 하지만 í•œêµ­íšŒí™”ì˜ ì—­ì‚¬ ì†ì—서 ì¡´ìž¬í–ˆë˜ ì—¬ëŸ¬ 표현 방법 중 하나ë¼ëŠ” ë°ì„œ 우리는 ë‚™í™”ì— ì£¼ëª©í•  필요가 있다.

*ì´ë¯¸ì§€ë¥¼ í´ë¦­í•˜ì‹œë©´ í° ì‚¬ì´ì¦ˆë¡œ 보실 수 있습니다.

ì¸ë‘로 지져 그리는 그림, 낙화

우리는 ë¶ˆì— ë‹¬êµ° ì¸ë‘로 나무, 종ì´, 비단 ë“±ì— ì§€ì ¸ì„œ 그리는 ê·¸ë¦¼ì„ â€˜ë‚™í™”çƒ™ç•µâ€™ë¼ ë¶€ë¥¸ë‹¤. ì¼ë³¸ì—서는 ì´ë¥¼ â€˜ì†Œí™”ç‡’ç•µâ€™ë¼ í•˜ê³ , 중국ì—서는 ‘탕화燙畵’ë¼ê³  한다. 소화란 불로 태운 그림ì´ê³  탕화란 달군 쇠로 지진 그림ì´ëž€ 뜻ì´ë‹ˆ, 낙화와 ê·¸ 뜻ì—서 별 ì°¨ì´ê°€ 없다. 조선시대ì—는 낙화를 ‘화화ç«ç•µâ€™, 즉 불그림ì´ë¼ê³ ë„ 불렀다. ì´ëŠ” 수묵화처럼 재료를 기준으로 ì‚¼ì€ ìš©ì–´ë‹¤. 그렇다면 지진 ê·¸ë¦¼ì¸ ë‚™í™”ì™€ ë¶ˆê·¸ë¦¼ì¸ í™”í™”, ë‘ ìš©ì–´ ê°€ìš´ë° ì–´ë–¤ ê²ƒì´ ëŒ€í‘œì„±ì´ ìžˆëŠ”ê°€? 전통ì ìœ¼ë¡œëŠ” ë„구를 ì¼ì°¨ì ì¸ 기준으로 삼는 관례가 있기 ë•Œë¬¸ì— í™”í™”ë³´ë‹¤ 낙화를 대표ì ì¸ 용어로 내세우는 ê²ƒì´ í•©ë‹¹í•˜ë‹¤ê³  ìƒê°í•œë‹¤.
오랜 역사를 ë‘ê³ , ìˆ˜ë§Žì€ ì´ë¯¸ì§€ë¥¼ 표현하는 ë„구와 ë°©ë²•ë“¤ì´ ë“±ìž¥í–ˆë‹¤. 가장 ì´ë¥¸ 시기ì—는 ëŒë¡œ ëŒì— 새기는 ì•”ê°í™”, 즉 ë°”ìœ„ê·¸ë¦¼ì´ ìœ í–‰í–ˆë‹¤. ë°”íƒ•ì´ ëŒì´ê³ , 표현하는 ë„êµ¬ë„ ëŒì´ë‹ˆ, 모든 ê²ƒì´ ëŒì¸ 것ì´ë‹¤. ê·¸ëŸ°ë° ê¸°ì› ì „í›„ì— í‘œí˜„í•˜ëŠ” ë„구와 ë°©ì‹ì´ 바뀌었다. ì´ë¥¸ë°” ‘붓 ê·¸ë¦¼ì˜ ì‹œëŒ€â€™ê°€ ë„래한 것ì´ë‹¤. 초창기 ë¶“ì€ ì¤‘êµ­ìœ¼ë¡œë¶€í„° 전래ë˜ì—ˆë‹¤. ì°½ì› ë‹¤í˜¸ë¦¬ 유ì ì—서 ì¶œí† ëœ ë¶“ë“¤ì´ ë°”ë¡œ 그러한 예다. ê·¸ëŸ°ë° ì´ë“¤ ë¶“ì€ ë¶“ëŒ€ì˜ ì–‘ëì— ë¶“í„¸ì´ ë‹¬ë ¤ 있는 모습으로 ëª¨ì–‘ì´ íŠ¹ì´í•˜ë‹¤. 붓으로 ë¨¹ì„ ì°ì–´ ë²½, 종ì´, 비단 ìœ„ì— ë‹¤ì–‘í•œ ë°©ì‹ìœ¼ë¡œ 그린 ë¶“ 그림ì€, ì´í›„ 한국회화는 물론 ë™ì•„시아 회화ì—서 막강한 ì˜í–¥ë ¥ì„ 발휘했다. ë¶“ê³¼ ë”불어 다양한 ë„구와 ë°©ì‹ì´ 함께 사용ë˜ì—ˆë‹¤. ë¶ˆì— ë‹¬êµ° ì¸ë‘로 그리는 낙화를 비롯하여 나뭇가지로 ë¨¹ì„ ì°ì–´ 그리는 비백서, ì†ê°€ë½ìœ¼ë¡œ ë¨¹ì„ ì°ì–´ 그리는 ì§€ë‘í™”, ê°€ì£½ì— ë¬¼ê°ì„ ì°ì–´ 그리는 í˜í•„í™”, ì‹¤ì— ë¨¹ì„ ë¬»í˜€ 튕기는 먹줄 놓기, 기름기 있는 ë¨¹ì„ ë¬¼ì— ë„ì–´ 종ì´ë¥¼ 대고 ì°ëŠ” 마블ë§marbling 등 여러 가지다. 그렇지만 ë¶“ ê·¸ë¦¼ì´ ë‹¨ì—° ë™ì•„시아 ì „í†µíšŒí™”ì˜ ì£¼ì¸ê³µì´ë‹¤. 낙화처럼 ë¶“ ì™¸ì˜ ë‹¤ë¥¸ ë„구와 ë°©ì‹ì€ ë¶“ì„ ë³´ì¡°í•˜ëŠ” 엑스트ë¼ì— 불과할 ë¿ì´ë‹¤. 그렇지만 늘 먹는 ë°¥ì´ ì‹«ì¦ë‚  때 ì¦ê¸°ëŠ” 별ì‹ì²˜ëŸ¼, ì´ë“¤ì€ ì „í†µíšŒí™”ì— ìƒˆë¡œìš´ í™œë ¥ì„ ë¶ˆì–´ë„£ì–´ 준다.
ê·¼ëŒ€ì— ì™€ì„œ ì´ë¯¸ì§€ë¥¼ 표현하는 ë„구와 ë°©ì‹ì€ ë˜ë‹¤ì‹œ 커다란 변화를 ë§žì´í•œë‹¤. ì„œì–‘íšŒí™”ì˜ ë„입으로 브러시로 유화물ê°ì„ ì°ì–´ 그리는 ë°©ì‹ì´ 유행한 것ì´ë‹¤. 바위그림과 ë¶“ ê·¸ë¦¼ì— ì´ì€ íšê¸°ì ì¸ ë³€í™”ë¼ í•  수 있다. 브러시는 ë¶“ê³¼ 다른 ë§›ì„ ë‚´ëŠ” ë„구ì´ê³ , 유화물ê°ì€ 먹ì´ë‚˜ 천연안료와 다른 표현매체다. 현대ì—는 여기서 ë” ë‚˜ì•„ê°€ ë”ìš± í˜ì‹ ì ì¸ 변화가 ì¼ì–´ë‚œë‹¤. 전통ì ì¸ ë„구나 ë°©ì‹ê³¼ 전혀 다른 모습ì¸, 컴퓨터 ëª¨ë‹ˆí„°ì— ë””ì§€í„¸ ì´ë¯¸ì§€ë¡œ 표현하는 것ì´ë‹¤. ì´ë¿ë§Œ ì•„ë‹ˆë¼ ë””ì§€í„¸ ì´ë¯¸ì§€ê°€ 주ë„한 ê°€ìš´ë° ì‹¤ë¬¼ 그대로 나타내는 ì˜¤ë¸Œì œì˜ ë°©ë²•, 빛으로 표현하는 방법 등 다양한 변주가 ì´ë£¨ì–´ì§€ê³  있다. ì´ì²˜ëŸ¼ 낙화는 í•œêµ­íšŒí™”ì˜ ì—­ì‚¬ ì†ì—서 ì¡´ìž¬í–ˆë˜ ì—¬ëŸ¬ í‘œí˜„ë°©ì‹ ì¤‘ 하나ë¼ëŠ” ì ì— 주목해야 í•  것ì´ë‹¤.

ìš°ë¦¬ë‚˜ë¼ ë‚™í™”ì˜ ì‹œìž‘, 장씨 ë¶€ì¸

ìš°ë¦¬ë‚˜ë¼ ë‚™í™”ì˜ ì—­ì‚¬ë¥¼ 거슬러 올ë¼ê°€ë³´ë©´, 기ë¡ìƒìœ¼ë¡œëŠ” ê·¸ ì²«ë¨¸ë¦¬ì— ì•ˆë™å®‰æ± ìž¥ì”¨å¼µæ° ë¶€ì¸ì„ 만나게 ëœë‹¤. 장씨 ë¶€ì¸ì´ë¼ë©´, 17세기 ì¡°ì„ ì˜ í•œ ì–‘ë°˜ê°€ì˜ ìš”ë¦¬ì±…ì¸ ã€ŽìŒì‹ë””미방ã€ì˜ ì €ìžì´ìž ì´íœ˜ì¼æŽå¾½é€¸ê³¼ ì´í˜„ì¼æŽçބ透 ê°™ì€ ì˜ë‚¨í•™íŒŒì˜ ìš°ëší•œ ì¸ë¬¼ì„ 낳고 키운, 신사임당과 ê°™ì€ ì—¬ì¸ì´ 아닌가? 그녀가 그린 낙화 ìž‘í’ˆì€ ì•„ì§ ë°œê²¬ë˜ì§€ 않았지만, 그녀가 낙화를 그렸다는 기ë¡ì€ 1917ë…„ ì˜¤ì„¸ì°½ì´ íŽ¸ì°¬í•œ í™”ê°€ì—´ì „ì¸ ã€Žê·¼ì—­ì„œí™”ì§•ã€ì— 전한다. 장씨 ë¶€ì¸ì— 관한 여러 ì¼í™”를 소개한 ë’¤, 맨 ëì— â€œê½ƒê³¼ 나비를 그리고 ë˜ ë‚™í™”ì—ë„ ëŠ¥í–ˆë‹¤â€ë¼ê³  간단하게 언급ë˜ì–´ 있다. ê·¸ê²ƒì€ ì§§ì€ í•œ 문장ì´ì§€ë§Œ, ìš°ë¦¬ë‚˜ë¼ ë‚™í™”ì— ëŒ€í•œ 가장 ì´ë¥¸ 기ë¡ì´ë‹¤. ì´ë¥¼ 근거로 ì—°êµ¬ê°€ë“¤ì€ ìž¥ì”¨ ë¶€ì¸ì„ ìš°ë¦¬ë‚˜ë¼ ë¯¸ìˆ ì—서 낙화ë¼ëŠ” 분야를 ì²˜ìŒ ê°œì²™í•œ 작가로 ë³´ê³  있다.
그녀는 여러 ë¶„ì•¼ì— ë›°ì–´ë‚¬ê³ , ê·¸ê²ƒë„ ìƒë‹¹í•œ ìˆ˜ì¤€ì— ì´ë¥´ë €ë‹¤. 오늘날 잘 알려진 ìŒì‹ì— 대한 ì§€ì‹ë¿ë§Œ ì•„ë‹ˆë¼ ì„œì˜ˆì—ë„ ì¡°ì˜ˆê°€ 깊었다. 『근역서화징ã€ì— 실려있는 “장씨실기張æ°å¯¦è¨˜ â€ë¥¼ ì½ì–´ë³´ë©´, ì´ë¯¸ ì—´ ì‚´ ì „í›„ì— ë¬¸ì˜ˆì— ë‘루 통달했고, ë¶“ ë으로 ì¨ë‚´ëŠ” ê²ƒì€ ì˜ì “ì´ í’아한 서체ì´ë©°, 중국 남조시대 유명한 ì„œì˜ˆê°€ì¸ ì¢…ìš”é¾ç¹‡ 와 위부ì¸è¡›å¤«äººì˜ ë²•ì„ ê°–ì·„ë‹¤ê³  한다. 초서로 ì“´ “학발삼장鶴髮三章â€ì´ë¼ëŠ” 시는 그녀가 시를 지어 ì“°ê³  ë©°ëŠë¦¬ 박씨가 채색실로 ê¸€ìž íšëŒ€ë¡œ 수를 놓고 다시 ê·¸ 비단 ì—¬ë°±ì— ì—¬ëŸ ë§ˆë¦¬ ìš©ì„ ë™ê¸€ê²Œ ìˆ˜ë†“ì€ ìž‘í’ˆì´ë‹¤. ì´ ìž‘í’ˆì„ ë‘ê³  ì¡°ì„  ì¤‘ê¸°ì˜ í•™ìž ì •ìœ¤ëª©é„­å…ç©†ì€ ì´ ê¸€ì”¨ë¥¼ ë‘ê³  “필세가 호걸스러우면서 굳센 ê²ƒì´ ìš°ë¦¬ë‚˜ë¼ ì‚¬ëžŒì˜ ê¸€ì”¨ 같지가 않다â€ê³  칭찬했고, ìž„ê¸ˆì¸ ì •ì¡°ë„ ê°íƒ„í•´ 마지않았다.
그런ë°, 그녀가 ì²˜ìŒ ë‚™í™”ë¥¼ 그렸다는 ì‚¬ì‹¤ì— ëŒ€í•´ì„œ 몇 가지 ì˜ë¬¸ì´ 떠오른다. 과연 ì¡°ì„ ì‹œëŒ€ì˜ ì‹œìŠ¤í…œìƒ ì‚¬ëŒ€ë¶€ì˜ ì—¬ì¸ì´ 낙화를 ì²˜ìŒ ì‹œë„하는 ê²ƒì´ ê°€ëŠ¥í• ê¹Œ? 낙화가 ì‚¬ëŒ€ë¶€ì˜ ì—¬ì¸ê³¼ 어울리는 ì•„ì´í…œì¸ê°€? ì‚¬ëŒ€ë¶€ê°€ì˜ ì–´ì—¿í•œ ë¶€ì¸ì´ ë‚™í™”ì— ëŠ¥í–ˆë‹¤ëŠ” 것 ìžì²´ë„ ì´ìƒ‰ì ì¸ ì¼ì¸ë°, ì²˜ìŒ ì‹œìž‘í–ˆë‹¤ëŠ” ê²ƒì€ ì„ ëœ» 받아들ì´ê¸°ì— 어려운 사실ì´ë‹¤. 물론 조선시대 íšŒí™”ì˜ ì—­ì‚¬ëŠ” ê¶ì¤‘ í™”ì›ì´ ì•„ë‹ˆë¼ ì‚¬ëŒ€ë¶€ê°€ 주ë„했다. ì‚¬ëŒ€ë¶€ë“¤ì´ ìƒˆë¡œìš´ í™”í’ì„ ë„입하거나 시ë„하여 ì–´ëŠ ì •ë„ ê²€ì¦ì´ ë˜ë©´, í™”ì›ë“¤ì´ ê·¸ê²ƒì„ ë°œì „ì‹œí‚¤ëŠ” ê²ƒì´ ëŒ€ì²´ì ì¸ ì–‘ìƒì´ë‹¤. ê·¸ê²ƒì€ ì‚¬ëŒ€ë¶€ë¥¼ ë§í•˜ëŠ” 것ì´ì§€ ì‚¬ëŒ€ë¶€ê°€ì˜ ì—¬ì¸ì„ 가리키는 ê²ƒì€ ì•„ë‹ˆë‹¤. 조선시대 ì‚¬íšŒì˜ ì²´ì œ ì†ì—서, ì‚¬ëŒ€ë¶€ì˜ ì—¬ì¸ì´ 규방문화가 아닌 낙화를 ì²˜ìŒ ì‹œë„하는 ê²ƒì´ ê°€ëŠ¥í•œì§€ 머리를 갸우뚱하게 한다. ë”ìš±ì´ ì§€ê¸ˆì€ ê´€ê´‘ì§€ì—서 ë³¼ 수 있는 ê²ƒì´ ë‚™í™”ë¼ëŠ” ì ì„ 떠올려 ë³´ì•„ë„, ì™ ì§€ 사대부 ì—¬ì¸ê³¼ 낙화는 어울리지 않는 조합으로 ëŠê»´ì§„다. 아마 ê·¸ ì´ì „부터 ë‚™í™”ì˜ ì „í†µì´ ì´ì–´ì ¸ 왔고 장씨 ë¶€ì¸ì´ ê·¸ê²ƒì„ ë°›ì•„ë“¤ì—¬ 제작했다고 í•´ì„하는 ê²ƒì´ íƒ€ë‹¹í•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ê·¸ê²ƒì€ ì¶”ì •ì¼ ë¿ ìž¥ì”¨ ë¶€ì¸ ì´ì „ì— ë‚™í™”ë¥¼ 그렸다는 새로운 기ë¡ì´ë‚˜ ìž‘í’ˆì„ ì°¾ì§€ 못하는 한, 장씨 ë¶€ì¸ì´ 조선시대 ë‚™í™”ì˜ ì—­ì‚¬ë¥¼ ì²˜ìŒ ì‹œìž‘í–ˆë‹¤ëŠ” ë‚´ìš©ì´ ë‹¬ë¼ì§€ì§€ 않는다.

조선시대 낙화를 í˜ì‹ í•œ 박창규 작가

장씨 ë¶€ì¸ ì´í›„ 침묵으로 ì ‘ì–´ë“  ë‚™í™”ì˜ í”ì ì€ 19세기부터 ì ì°¨ 활기를 ë ê¸° 시작한다. ì¼ë³¸ì˜ ë‚™í™”ì— ê´€í•œ ë‚´ìš©ì„ ë‹´ì€ ê¸°ë¡ì¸ 「금물어今物語ã€ì™€ 「소화고燒畫考ã€ì—서 í¥ë¯¸ë¡œìš´ ì¼í™”ê°€ 기ë¡ë˜ì–´ 있다. 조선통신사 접대를 위해 대마ë„ì— ê°„ ì´ê°€ì´ì¡°ìФì´çŒªé£¼å¦‚ç¿ (ìƒëª°ë…„ 미ìƒ)ê°€ ì¡°ì„ ì˜ ì´ë¬¸ì² æŽæ–‡å“²ê³¼ 낙화로 ì‹¤ë ¥ì„ ê²¨ë£¬ 것ì´ë‹¤. (카타야마마리코, 「ì¼ë³¸ì— ì „í•´ì§„ ì¡°ì„ ì‹œëŒ€ì˜ ë‚™í™”ã€ ì°¸ì¡°) 문화êµë¥˜ì˜ ìž¥å ´ì¸ í†µì‹ ì‚¬ ì ‘ëŒ€ì˜ ìžë¦¬ì—서 낙화ë¼ëŠ” 장르를 ì„ íƒí•œ ê²ƒì„ ë³´ë©´, ë‚™í™”ì— ëŒ€í•œ 한ì¼ê°„ì˜ ê³µí†µëœ ê´€ì‹¬ì‚¬ì˜€ì„ ë¿ë§Œ ì•„ë‹ˆë¼ ê¸°ë¡ê³¼ 작품만 전하지 ì•Šì„ ë¿ ë‹¹ì‹œì— ì–´ëŠ ì •ë„ ë‚™í™” ì œìž‘ì´ ì´ë£¨ì–´ì¡Œë‹¤ëŠ” ê²ƒì„ ì§ìž‘í•  수 있다.
ì´ì²˜ëŸ¼ 심ìƒì¹˜ ì•Šì€ ë‚™í™”ì— ëŒ€í•œ 관심 ì†ì—서 드디어 19세기 중엽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낙화가가 ì¶œí˜„í•˜ê¸°ì— ì´ë¥¸ë‹¤. 바로 박창규朴昌çª, (1796〜1855)다. 밀양 박씨 ê°€ë¬¸ì˜ ì–‘ë°˜ì¶œì‹ ìœ¼ë¡œ, ë²¼ìŠ¬ì€ ë§ë‹¨ì¸ ì°¸ë´‰ì„ ì§€ëƒˆë‹¤. ìžëŠ” 성민è–玟ì´ê³  호는 ê¹€ì„ì¤€ì˜ ì‹œì— ë³´ë“¯ ë‚­ê°„ç…玕ì´ë‹¤. 수산垂山 í˜¹ì€ í™”í™”ë„ì¸ç«ç•µé“人ë¼ê³ ë„ 불린다. ë³¸ê´€ì€ í•¨ì–‘ì´ê³ , 전주ì—서 살았다. ì•ˆë™ ìž¥ì”¨ë¥¼ 비롯한 초창기 낙화를 그린 ìž‘ê°€ë“¤ì´ ì–‘ë°˜ì¶œì‹ ì´ë¼ëŠ” ì ì´ í¥ë¯¸ë¡­ë‹¤. 사대부나 사대부가문ì—서 시작한 낙화는 19세기 ë§ì— ì ì°¨ 확산ë˜ë©´ì„œ ì„œë¯¼ì˜ ê·¸ë¦¼ì¸ ë¯¼í™”ë¡œ ì €ë³€í™”ëœ ê²ƒì´ë‹¤.
그는 낙화를 중국ì—서 배웠다. “밀양박씨호계공파보密陽朴æ°è™Žæºªå…¬æ³¢è­œâ€ë¥¼ ë³´ë©´, 1822ë…„(ì¡±ë³´ì— ì ížŒ ìƒë…„ì¸ 1796ë…„ì„ ê¸°ì¤€ìœ¼ë¡œ 삼는다면, 27세)ì— ë™ì§€ìƒì‚¬å†¬è‡³ä¸Šä½¿ ê¹€ë…¸ê²½é‡‘é­¯æ•¬ì„ ë”°ë¼ ì—°ê²½(ì§€ê¸ˆì˜ ë¶ê²½)ì— ë“¤ì–´ê°€ ê´€ê´‘ì„ í•˜ë˜ ì°¨ì— ë§ˆìŒì†ìœ¼ë¡œ ë‚™í™”ì˜ ì´ì¹˜ì— 통달했고, 그로부터 15ë…„ ë’¤ì¸ 1837ë…„ ì°¸ë´‰ì„ ì œìˆ˜ 받으면서 ê·¸ë§Œì˜ ë…특한 í™”í™”ë²•ì¸ ì¢…ì´ì— ë‚™ì„ ë†“ëŠ” ë‚™í™”ë²•ì„ ì°½ì‹œí–ˆë‹¤. 그는 김정í¬ì˜ 아버지 김노경과 ì¤‘êµ­ì„ ê°”ê³  김정í¬ì˜ ì œìžì´ìž 중국어 ì—­ê´€ì¸ ê¹€ì„준과 친하다는 ì‚¬ì‹¤ì„ ì—¼ë‘ì— ë‘ê³  ë³´ë©´, 중국으로부터 낙화를 배워왔다는 기ë¡ì€ ì–´ëŠ ì •ë„ ì‹ ë¹™ì„±ì´ ìžˆë‹¤ê³  ìƒê°í•œë‹¤. 다만 당시 ì¤‘êµ­ì˜ ì–´ë–¤ ë‚™í™”ê°€ì˜ ì˜í–¥ì„ 받았는지는 좀 ë” íŒŒê³ ë“¤ì–´ê°€ì•¼ ë°í˜€ì§ˆ 문제다.
중국과 왕실ì—서 ì¸ì •ë°›ì€ ë°•ì°½ê·œì˜ ë‚™í™” 실력
ë‚™í™”ì— ëŒ€í•œ ê·¸ì˜ ëª…ì„±ì€ ì¤‘êµ­ê¹Œì§€ ìžìží–ˆë‹¤. 1849ë…„ ì²­ë‚˜ë¼ ì‚¬ì‹  서ìƒç‘žå¸¸ì€ ê·¸ì˜ ë‚™í™”ë¥¼ ë³´ê³  매우 좋아하고 칭찬하면서 시 ë‘ êµ¬ì ˆì„ ì§€ì—ˆê³ , ì²­ë‚˜ë¼ ì‚¬ì‹  ì „ê²½å…¨æ…¶ì€ ê·¸ì˜ ë‚™í™”ë¥¼ ë³´ê³  ì†ë¼‰ 치며 칭송했다고 한다. 당시 ê·¸ì˜ ìž‘í’ˆì— ëŒ€í•œ 글 ê°€ìš´ë° ê¹€ì„준金奭準(1831~1915)ì´ ì§€ì€ ì‹œì§‘ <í™ì•½ë£¨ì†íšŒì´ì‹œë¡ç´…藥樓續懷人詩錄>ì— ì‹¤ë¦° ‘박창규를 ìƒê°í•˜ë©° 懷朴ç…玕’가 ëˆˆê¸¸ì„ ëˆë‹¤.

불로 지지니 ë¶“ê³¼ ë¨¹ì€ í•„ìš” 없고 / 拭拂忘筆墨
쇠를 달구어 ì°¸ëœ ëª¨ìŠµ 그려 낸다. / 煉金繪形眞
섬세하고 치밀한 솜씨 어찌 그리 지극한가 / 纖密工何極
낙관까지 ë”ìš± 묘하고 새롭구나. / 款識益尖新
나무부처가 ë¶ˆì„ ê±´ë„ˆì™”ìœ¼ë‹ˆ / 木佛能渡ç«
비로서 ê¹¨ë‹¬ì€ ë„ì¸ì„ 보겠구나 / 始見悟é“人

ê¹€ì„ì¤€ì€ ì¶”ì‚¬ç§‹å² ê¹€ì •í¬é‡‘正喜(1786〜1856)ê°€ ë§ë…„ì— ê°€ìž¥ 아꼈다는 ì œìžë¡œ, 중국어 ì—­ê´€ì„ ì§€ë‚¸ ì¸ë¬¼ì´ë‹¤. 시구로 풀어내 ê·¸ì˜ ìž‘í’ˆì„¸ê³„ì— ëŒ€í•œ í‰ì€ “쇠를 달구어 ì°¸ëœ ëª¨ìŠµì„ ê·¸ë ¤ë‚¸ë‹¤. 섬세하고 치밀한 솜씨 ì–´ì°Œ 그리 지극한가â€ë¼ëŠ” êµ¬ì ˆì— í•¨ì¶•ë˜ì–´ 있다. ë¶“ë„ ì•„ë‹Œ 쇠를 달구어 그렸지만 대ìƒì˜ 진수를 파악했고, ê·¸ê²ƒì„ í‘œí˜„í•˜ëŠ” í…Œí¬ë‹‰ì´ 섬세하고 치밀한 것ì´ë‹¤. 그리고 결론으로 â€œê¹¨ë‹¬ì€ ë„ì¸â€ì´ë¼ê³  í‰ê°€í–ˆë‹¤. ê¹€ì„ì¤€ì´ ë³¸ ì´ ìž‘í’ˆì€ ì–´ë–¤ 것ì¸ì§€ 알 수 없지만, 대ìƒì˜ 진수를 ê¹¨ë‹¬ì€ ê·¸ë¦¼ì´ë¼ê³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낙관까지 ë”ìš± 묘하고 새롭구나â€ë¼ëŠ” ë§ì˜ ì˜ë¯¸ëŠ” <ê³ ëª©ì— ê¹ƒë“  매枯木棲鷹>(간송미술관 소장)를 ë³´ë©´, ì´í•´ê°€ ê°ˆ 것ì´ë‹¤. 그는 백문방ì¸ç™½æ–‡æ–¹å° ì˜ ë‚™ê´€ì„ ë„장으로 ì°ì€ ê²ƒì´ ì•„ë‹ˆë¼ ì¸ë‘로 지져서 표현했다.
<고목 ìœ„ì— ê¹ƒë“  매>를 가만히 ë°”ë¼ë³´ë©´, ë§¤ì˜ ê·¸ìœ½í•œ 눈만í¼, ë§¤ì˜ ê¼­ ë‹´ì€ ë¶€ë¦¬ë§Œí¼ ë§¤ì˜ ê¹Šì€ ì¹¨ë¬µ ì†ìœ¼ë¡œ 빠져든다. 간단한 구ë„ì´ì§€ë§Œ, 보는 ì´ë¡œ 하여금 무언가 ìƒê°ê²Œ 하는 그림ì´ë‹¤. ê°ˆìƒ‰ì˜ ë”°ëœ»í•˜ê³  부드러운 색채 ì†ì—서 거친 듯하지만 절제ë˜ì–´ 있고, 간결하지만 ì—­ë™ì ì¸ë° ì´ëŠ” ì¸ë‘로 지진 그림ì´ê¸°ì— 가능한 미ê°ì´ë‹¤. 낙화를 공예ë¼ê³ ë§Œ ì¸ì‹í•˜ëŠ” 사람들ì—게 ëœ»ë°–ì— ë‚¨ì¢…í™”í’ì˜ ê²©ì¡°ë¥¼ 경험하게 하는 작품ì´ë‹¤.
박창규와 ê·¸ì˜ ì‚¬ì´Œë™ìƒ ë°•ë³µê·œæœ´å¾©çª (1819〜1859)ì— ëŒ€í•œ 재미있는 ì¼í™”ê°€ 전한다. 당시 낙죽으로 유명한 박창규는 낙죽으로 ìš©ì„ íœ˜ê°ì€ 무늬를 베픈 담뱃대를 헌종ì—게 바쳤다. í—Œì¢…ì´ ì´ ë‹´ë±ƒëŒ€ë¥¼ 빨면 ìš©ì˜ ë¹„ëŠ˜ì´ ì˜¤ë¯€ë¼ë“¤ê³ , 뱉으면 ë¹„ëŠ˜ì´ í¼ì§€ëŠ” 듯하여 신기하게 여겼다. í—Œì¢…ì´ ì´ê²ƒì´ ë„ˆì˜ ì†œì”¨ëƒê³  묻ìž, ê·¸ê²ƒì€ ìžì‹ ì˜ 사촌ë™ìƒ 박복규가 만든 것ì´ë¼ê³  대답했다. 1846ë…„ 다시 박창규가 ë°•ì´ê·œì™€ 함께 ìž…ê¶ì„ 했다. í—Œì¢…ì´ ë°•ë³µê·œë¥¼ ë³´ê³  기ë»í•˜ì—¬ ‘í™ë‘ìƒì‚¬ç´…豆相æ€â€™ë¼ëŠ” ì–´í•„ì„ ë‚´ë ¤ì£¼ì—ˆë‹¤. 박복규는 ê°ê²©í•˜ì—¬ ì´ ë¹„ë‹¨ì„ ì†ëª©ì— ê°ê³  살았다고 한다. 그는 1847ë…„ ë¬´ê³¼ì— ê¸‰ì œí•˜ì—¬ ê´€ì§ì„ 시작했는ë°, 1855ë…„ ì§„ë„군수가 ë˜ì—ˆìœ¼ë‚˜ 40ì„¸ì˜ ë‚˜ì´ë¡œ 요절했다. ì´ëŸ¬í•œ ì¼í™”는 낙화 í˜¹ì€ ë‚™ì£½ì´ ìž„ê¸ˆê¹Œì§€ ê´€ì‹¬ì„ ê°€ì§ˆ ë§Œí¼ ìœ„ìƒì´ 높아졌다는 ê²ƒì„ ë³´ì—¬ì£¼ëŠ” ë°, ê·¸ê²ƒì€ ë°•ì°½ê·œê°€ 낙화로 세ìƒì— ì´ë¦„ì„ ë–¨ì³¤ê¸°ì— ê°€ëŠ¥í•œ ì¼ì´ë‹¤.
박창규가 êµìœ í•œ ì¸ë¬¼ë“¤ë„ 당시 ìŸìŸí•œ 예술가들ì´ë‹¤. 추사 김정í¬ë¥¼ 비롯하여 ê¶Œëˆì¸æ¬Šæ•¦ä», ê¹€ì„준 등 ì¶”ì‚¬ì˜ ì˜í–¥ì„ ë°›ì€ ë¬¸ì¸í™”가와 친했다. ì¶”ì‚¬ì˜ ë¶€ì¹œê³¼ 함께 ì—°ê²½ì„ ê°„ ì¸ì—°ì´ 계기가 ëœ ê²ƒìœ¼ë¡œ ë³´ì¸ë‹¤. 어떻게 그가 남종화í’ì˜ ê²©ì¡°ìžˆëŠ” 낙화를 창작했ëŠëƒì˜ 문제는 ì´ëŸ¬í•œ êµìœ ê´€ê³„ ì†ì—서 ì–´ëŠ ì •ë„ ì˜ë¬¸ì„ í’€ 수 있다. 김정í¬ëŠ” ê·¸ì˜ ë‚™í™”ì— ëŒ€í•´ 2ìˆ˜ì˜ â€œíƒœì œë¥¼ 대작하여 ì œí™”í™”ì— ì°¨í•¨ä»£å°æ¿Ÿæ¬¡é¡Œç«ç•«ä½œâ€ì‹œì—서 다ìŒê³¼ ê°™ì´ ê·¹ì°¬í–ˆë‹¤.

ìš´ê´€í™”ë• ë³¼ìˆ˜ë¡ ì‹ ê³µì´ íŠ¹ì´í•˜ì—¬ / 雲官ç«å¾·è½‰ç¥žå·¥
단청과 분대 ì†ì—서 초탈했네 / 超脫丹é‘粉黛中
ì—°í™é‰›æ±ž ì´ë¼ 용호é¾è™Ž ì˜ ì¶”í™˜ë²•ì„ í„°ë“하니 / é€å¾—æ±žé¾æŠ½æ›æ³•
ì„¸ê°„ì˜ ë²”ë¬µ 따윈 ìƒê°ì¡°ì°¨ 못 미칠 ì¼ / 世間凡墨ä¸ç…©æ”»
ì§€ë‘ì˜ ë³„ë‚œ ë§›ë„ ë²”ìƒí•œ ê³µë¶€ì¼ ë¿ / 指頭別趣也凡工
ì—°ê°•ì´ë¼ 묘법 ì†ì— ì˜íƒí•˜ì—¬ 옮겨왔네 / 託轉蓮炕妙法中
ì–´ì°Œ 알리 í•˜ì±…ì´ ë„리어 ìƒì±…ìž„ì„ / 寧知下策還無上
ë¬µì§„ì´ ë‹¹ë‹¹í•´ë„ ì—­ì‹œ ë¶ˆì˜ ê³µê²©ì—야 / å¢¨é™£å ‚å ‚äº¦ç«æ”»

ë‘번째 시, ëì˜ ë‘ êµ¬ì ˆì— ê·¸ì— ëŒ€í•œ í‰ê°€ê°€ 집약ë˜ì–´ 있다. í•˜ì±…ì— í•´ë‹¹í•˜ëŠ” ë‚™í™”ì˜ â€œë¶ˆì˜ ê³µê²©â€ì´ ìƒì±…ì— ì†í•˜ëŠ” ìˆ˜ë¬µí™”ì˜ ë¬µì§„ì„ ë‹¹ë‹¹í•˜ê²Œ ë›°ì–´ë„˜ì€ ê²½ì§€ë¼ëŠ” 뜻ì´ë‹ˆ, ìµœê³ ì˜ ì°¬ì‚¬ë¥¼ 박창규ì—게 보낸 것ì´ë‹¤.
박창규는 조선시대 낙화를 새롭게 변화시킨 작가다. 그로 ë§ë¯¸ì•”ì•„ 낙화가 ì„¸ê°„ì˜ ê´€ì‹¬ì˜ ëŒ€ìƒì´ ë˜ëŠ” 그림으로 격ìƒí–ˆê³ , ê·¸ ëª…ì„±ì— íž˜ìž…ì–´ ë‚™í™”ìž‘ê°€ì˜ ê³„ë³´ê°€ 형성ë˜ê¸°ì— ì´ë¥´ë €ë‹¤. 한국회화사ì—서 ê·¸ì— ëŒ€í•´ ê´€ì‹¬ì„ ê°€ì ¸ì•¼ 하는 ì´ìœ ëŠ” 낙화를 격조 있는 남종화í’ì˜ ì˜ˆìˆ ë¡œ 업그레ì´ë“œì‹œì¼°ë‹¤ëŠ” ì ì— 있다.

 

글 : 정병모(ê²½ì£¼ëŒ€í•™êµ ë¬¸í™”ìž¬í•™ê³¼ êµìˆ˜)

 

ì €ìžì— 관하여

월간 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