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ë³µ êµìˆ˜ì˜ 소재로 ì‚´í•€ 우리 옛 그림 ㉑ 봉황鳳凰

ë„15 미ìƒ(19세기), <봉황ë„>, 종ì´ì— 채색, 73×61.5ãŽ,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난조鸞鳥ë¼ê³ ë„ 불리는 ë´‰í™©ì€ ìƒìƒì˜ 새로 다양한 모습으로 ìž‘í’ˆì— ë“±ìž¥í•œë‹¤.
ë´‰í™©ì˜ ì¶œí˜„ì€ í”히 성군è–å›ì˜ 선정으로 태í‰ì„±ëŒ€ê°€ 시작ë¨ì„ 알려주는 길조å‰é³¥ë‹¤.

글 ì´ì›ë³µ(미술사가)


ë´‰í™©ì€ ìˆ˜ì»·ì¸ ë´‰é³³ê³¼ ì•”ì»·ì¸ í™©å‡°ì„ í•©ì„±í•œ 명사ì´ë‹¤. 난조鸞鳥는 ë´‰í™©ì˜ ë³„ì¹­ì´ê¸°ë„ 하다. 중국 명대 1607ë…„ 왕기王圻·왕사ì˜çŽ‹æ€ç¾© ë¶€ìžê°€ 출간한 《삼재ë„회三æ‰åœ–會》와 1590ë…„ ã€Šì±„ê·¼ë‹´èœæ ¹è­šã€‹ì„ 편찬한 í™ì‘ëª…æ´ªæ‡‰æ˜Žì˜ ã€Šì„ ë¶ˆê¸°ì¢…ë„전仙佛奇踪圖傳》, 《고씨화보顧æ°èŠ±è­œã€‹ ë“±ì„ ì‚´í•„ 때 봉황과 난조는 ë„ìƒì´ 같다. 대체로 금계錦鷄·공작·꿩·ì›ì•™ 등 여러 새를 합성한 형태로 í•œÂ·ì¤‘Â·ì¼ ë™ì•„시아 ì‚¼êµ­ì´ ë¹„ìŠ·í•œ ì–‘ìƒì´ë‹¤.
ì´ ìƒˆëŠ” ì¤‘êµ­ì„ ë¹„ë¡¯í•´ 한ìžë¬¸í™”ê¶Œ ë‚´ ë¬¸í•™Â·ì—­ì‚¬Â·ì‚¬ìƒ ë“± ê³ ì „å¤å…¸ì— 빈번히 나타난다. ìš©é¾ê³¼ 마찬가지로 존재하지 않는 ìƒìƒì˜ ë™ë¬¼ì´ë‹¤. 대나무 열매만 먹고 벽오ë™ç¢§æ¢§æ¡ì— 날아든다고 하여 그림ì—ì„  í”히 ì´ ë‘ ì‹ë¬¼ì„ 배경으로 등장한다. ë´‰í™©ì˜ ì¶œí˜„ì€ í”히 성군è–å›ì˜ 선정으로 태í‰ì„±ëŒ€ê°€ 시작ë¨ì„ 미리 알려주는 길조å‰é³¥ì´ë‹¤.
중국ì—서 봉황 ë„ìƒì€ 갑골문·고ë™ê¸°Â·í™”ìƒì„ 등ì—서 시ì›ì„ ì‚´í•„ 수 있고, ê¿©ì˜ ìˆ˜ì»·ì¸ ìž¥ë¼ì™€ ì•”ì»·ì¸ ê¹Œíˆ¬ë¦¬ì—서 ì‚´í•„ 수 있듯 조류는 ì¼ë°˜ì ìœ¼ë¡œ ìˆ˜ì»·ì´ ì•„ë¦„ë‹µë‹¤. ë´‰í™©ì˜ ëª¨ìŠµì— ëŒ€í•´ì„œëŠ” ì‹œëŒ€ì— ë”°ë¼ ì¡°ê¸ˆì”©ì€ ì°¨ì´ë¥¼ ë³´ì´ë‚˜ ë‹¹Â·ì†¡ì„ ê±°ì³ ëª… ì´í›„ ì ì°¨ ì •í˜•ì„ ì´ë£¨ê²Œ ëœë‹¤.
ë™ì•„ì‹œì•„ì˜ ì„œìƒì ç‘žç¥¥çš„ ë™ë¬¼ë¡œëŠ” 전국시대 ã€Šì˜ˆê¸°ç¦®è¨˜ã€‹ì— ëª…ê¸°ëœ ì‚¬ë ¹å››éˆ ì¦‰ 봉황鳳凰·용é¾Â·ê¸°ë¦°éº’麟·거ë¶[신구神龜], ë™ì•„시아 ê³ ëŒ€íšŒí™”ì˜ ìœ„ìƒì„ 알려주는 한漢과 ë°”í†µì„ ì´ì€ 고구려 고분벽화ì—서 네 ë°©í–¥ì„ ìˆ˜í˜¸í•˜ëŠ” 사신四神 즉 청룡é‘é¾Â·ë°±í˜¸ç™½è™ŽÂ·í˜„ë¬´çŽ„æ­¦Â·ì£¼ìž‘æœ±é›€ì´ ìžˆë‹¤. ì´ë“¤ ë™ë¬¼ ì™¸ì— 10장ìƒé•·ç”Ÿì— í¬í•¨ëœ 학과 사슴 ì™¸ì— í•´ì¹˜ç¬è±¸Â·í° ì½”ë¼ë¦¬Â·í° 까치·사불ìƒå››ä¸åƒ ë“±ë„ í¬í•¨ëœë‹¤.


(좌) ë„1 임량(林良, 16세기 ì´ˆ), <봉황ë„>, ë¹„ë‹¨ì— ìˆ˜ë¬µë‹´ì±„, 163×96ãŽ, ì¼ë³¸ 쇼코쿠지 소장
(ìš°) ë„8 <금ë™ëŒ€í–¥ë¡œ>, 백제(7세기), ë†’ì´ 64ãŽ,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좌) ë„2 명明 만력(è¬æ›†, 1573-1620), <오채 용봉무늬 ë©´ë°˜[五彩é¾é³³æ–‡é¢ç›¤]>, 구경 39ãŽ, ë„쿄국립박물관 소장
(ìš°) ë„5 미ìƒ(남송å—宋), <선녀승람ë„仙女乘鸞圖>,ë¹„ë‹¨ì— ì±„ìƒ‰, 25.3×26.2ãŽ, ë² ì´ì§•ê³ ê¶ë°•ë¬¼ì› ì†Œìž¥


중국과 ì¼ë³¸ ë´‰í™©ë„ – ë„ì„ì¸ë¬¼í™”, í™”ì¡°í™”ì˜ ì„¸ 유형

중국ì—서 송宋 ì´ëž˜ 10세기부터 화조화 ë°œì „ì— íž˜ìž…ì–´ ë´‰í™©ì€ í™”ë ¤í•œ ê°ì¢… 꽃과 여러 종류 새를 ê±°ëŠë¦° <백조조봉ë„百鳥æœé³³åœ–>, 봉황[군신유ì˜å›è‡£æœ‰ç¾©]ì„ ë¹„ë¡¯í•œ 5ì¢…ì˜ ìƒˆë¥¼ 유êµì  ë•ëª©ì¸ ì˜¤ë¥œäº”å€«ì— ë¹—ëŒ€ì–´ í•™[ë¶€ìžìœ ì¹œçˆ¶å­æœ‰è¦ª], ì›ì•™[부부유별夫婦有別], 노랑 할미새[장유유서長幼有åº], 꾀꼬리[ë¶•ìš°ìœ ì‹ æœ‹å‹æœ‰ä¿¡] ë“±ì„ í•¨ê»˜ 그린 <오륜ë„五倫圖>, 명 ê¶ì •화가 임량(林良, 15-16세기 ì´ˆ)ì˜ <봉황ë„>처럼(ë„1) 태양과 함께 내조한 ì œí›„ë¡œì„œì˜ ë´‰í™©, ë˜ëŠ” ìš©ê°í•˜ê²Œ 간언하는 í˜„ì‹ è³¢è‡£ì˜ ì˜ë¯¸ë¡œ 그려진 <봉명조양ë„鳳鳴æœé™½åœ–> 등 세 유형으로 나뉜다. <오륜ë„>ì˜ ë´‰í™©ì€ ê¸ˆê³„ 대신ì´ë©°, 노랑 할미새와 꾀꼬리를 공작과 제비로 그려 ë„£ê¸°ë„ í•œë‹¤.
ë™ì‹œëŒ€ 여기呂紀 그림 ë“±ë„ ì „í•˜ë©°, 15세기 후반 한 ìŒìœ¼ë¡œ 등장한 <ì²­í™”ë°±ìž ë´‰í™©ë¬´ëŠ¬ 대접>ê³¼ <오채 용봉무늬 ë©´ë°˜[五彩é¾é³³æ–‡é¢ç›¤]>(ë„2)ì´ë‚˜ ì²­ <오채 용봉무늬 통> 등ì—서 용과 ë´‰í™©ì´ ë„ìžê¸° í‘œë©´ì— ë¬¸ì–‘ìœ¼ë¡œë„ ë“±ìž¥í•œë‹¤. ì´ ê°™ì€ ì–‘ìƒì€ 18세기 ì´í›„ 조선시대 ì²­í™”ë°±ìž ì ‘ì‹œì™€ 항아리ì—ì„œë„ ì‚´í•„ 수 있는ë°, 중국 ë„ìžê¸°ì—서 비롯하나 중국과 달리 단순하며 우리 미ê°ì— 맞게 변모ë¨ì„ 확ì¸í•  수 있다.
현존하는 그림 중 가장 ì´ë¥¸ ë´‰í™©ì€ 1949ë…„ 호남성 장사 진가대산 초묘楚墓ì—서 ë°œêµ´ëœ ê¸°ì›ì „ 전국시대(기ì›ì „ 3세기) <용봉사녀ë„é¾é³³ä»•女圖>로 ì¸ë¬¼ê³¼ 함께 등장한다(ë„3). ê´€ì„ ë®ì€ 채로 발굴ë˜ì–´ 장례 때 ì˜ì‹ì— ì‚¬ìš©ëœ ê¹ƒë°œì´ë‚˜ 명정으로 본다. 측면으로 그려진 ì—¬ì¸ ìœ„ë¡œ 봉황과 ìš©ì´ ë¨¸ë¦¬ë¥¼ 마주해 í•˜ëŠ˜ì„ í–¥í•´ 솟구친다. ì‚¬ìžæ­»è€…를 ì´ëŒì–´ 승천하는 것으로 본다. 현존하는 ë¹„ë‹¨ì— ê·¸ë ¤ì§„ 그림 중 가장 시대가 올ë¼ê°€ëŠ” ê²ƒì¸ ì´ ê·¸ë¦¼ì€ ì‹ ì„ ì‚¬ìƒç¥žä»™æ€æƒ³ 즉 ë„êµì™€ ì—°ê´€ëœ ê²ƒìœ¼ë¡œ ë´„ì´ ì¼ë°˜ì ì´ë‹¤.


(좌) ë„3 미ìƒ(ì „êµ­, B.C 3C), <용봉사녀ë„é¾é³³ä»•女圖>, ë¹„ë‹¨ì— ìˆ˜ë¬µ, 31.2×23.2ãŽ, 호남성박물관 소장
(ìš°) ë„4 <ë¶€ì¸ê³„문婦人啓門>, ìš”é¼, 1116ë…„, 125×75ãŽ, 하ë¶ì„± 선화현 하8리 장세경묘 후실서벽 벽화



ë¬´ë¤ ë‚´ 벽화로는 1974ë…„ 발굴한 하ë¶ì„± ìž¥ì„¸ê²½å¼µä¸–å¿ ë¬˜(1116ë…„) 후실 ì„œë²½ì— ë“±ìž¥í•œ <ë¶€ì¸ê³„문婦人啓門>ì´ë‹¤(ë„4). ë¬¸ì„ ì—¬ëŠ” ìžì„¸ë¡œ ì˜·ì„ ë‘ ì†ìœ¼ë¡œ ì•ˆì€ ë¶€ì¸ê³¼ ì–¼êµ´ì„ ì¸¡ë©´ìœ¼ë¡œ 서로 마주한 ë´‰í™©ì€ ê¸´ 꼬리를 아래로 하고 위로 나르는 ëª¨ìŠµì„ ì·¨í•˜ê³  있다. ì¸ë¬¼ê³¼ 엇비슷한 í¬ê¸°ë¡œ 등장한 ë´‰í™©ì€ ê³ ë ¤ë¶ˆí™” ë³´ì‚´ì˜ ì˜· ë¬´ëŠ¬ì™€ë„ ë‹®ì•„ 고려청ìžì™€ 불화 ë“±ì˜ ìœ ì‚¬ì„±ê³¼ 함께 고려와 ìš” ë‘ ë‚˜ë¼ êµë¥˜ ì°¨ì›ì—ì„œë„ ì£¼ëª©ëœë‹¤.
고사ì¸ë¬¼í™” 범주ì—서 ì¸ë¬¼ê³¼ 함께 ë´‰í™©ì´ ë“±ìž¥í•˜ë‹ˆ 남송대 <선녀승람ë„仙女乘鸞圖>는 ë´‰í™©ì„ íƒ„ 선녀로 18세기 ì´ˆ 청대 접시ì—ë„ ë“±ìž¥í•œë‹¤(ë„5). 명대 장로(張路, 1464-1538)ì˜ <봉황선녀ë„>ë„ ì•Œë ¤ì ¸ 있다. 전술한 《선불기종ë„전》ì—는 ë´‰í™©ì„ íƒ„ 신선으로 <매복梅ç¦>ì´, <서왕모西王æ¯> ì¸¡ë©´ì— ë´‰í™©ì´ ë“±ìž¥í•´ 조선시대 ê¶ì¤‘í™”ì¸ <요지연ë„瑤池宴圖>ì— ì•žì„  ì§„ì›ì§€ ì˜ë¯¸ë¥¼ 지닌다. ì²­ 건륭(乾隆, 1711-1799) 때 그려진 <팔선八仙과 삼성三星, 서왕모>는 ì •í˜•í™”ëœ ì¡°ì„  <요지연ë„>와는 ì°¨ì´ë¥¼ ë³´ì´ë‚˜ ë´‰í™©ì„ íƒ„ ëª¨ìŠµì´ ë³´ì¸ë‹¤(ë„6).
ì¼ë³¸ì˜ 봉황으로 17세기 그려진 í•„ìž ë¯¸ìƒì˜ <오ë™ë´‰í™©ë„> 병í’ì´ ë„쿄국립박물관ì—서 1995ë…„ 열린 ‘화花’ 특별전ì—서 공개ë˜ì—ˆë‹¤. 대물림한 화가 가문으로 ì¹´ë…¸ì—ì´í† í¬(狩野永德, 1543-1590)ì˜ <봉황·공작> 병í’ì´ ì „í•˜ë©°, ì¹´ë…¸ 히ë°ë…¸ë¶€(狩野秀信, 1588-1672)ì˜ ë´‰í™©ê³¼ ê³µìž‘ì„ ê°ê¸° 그린 한 ìŒì˜ 6첩 중 <봉황ë„> 병í’ì€ 2006ë…„ 국립광주박물관ì—서 개최한 ‘ë™ì•„ì‹œì•„ì˜ ìƒ‰, ê´‘ì±„â€™ì— ì¶œí’ˆë˜ì–´ ì¼ë°˜ì—게 공개ë˜ì—ˆë‹¤(ë„7). ì• ë„시대 ì´ˆí˜„ì‹¤ì  í™”ì¡°ì˜ ëŒ€ê°€ ì´í†  ìžì¿ ì¶”(伊藤若冲, 1716-1800)ì˜ ëŒ€í‘œìž‘ìœ¼ë¡œ ì¼ë³¸ ê¶ë‚´ì²­ 소장 32í­ <ë™ì‹ì±„회動æ¤ç¶µç¹ª> 중 í° ë´‰í™©ë„ ìž˜ 알려졌다. ì´ë“¤ 모ë‘는 다소 장ì‹ì ì´ë©° ë„안ì åœ–案的ì´ë‚˜ 화사한 ì¼ë³¸ ìž¥ë³‘í™”éšœå±›ç•«ì˜ íŠ¹ì§•ì„ ìž˜ 보여준다.


ë„6 <팔선八仙과 삼성三星, 서왕모>, 18세기, ë¹„ë‹¨ì— ì±„ìƒ‰, 182.8×104.2ãŽ,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뮤지엄 소장



ë„7 ì¹´ë…¸ 히ë°ë…¸ë¶€(狩野秀信, 1588-1672), <봉황ë„> 6첩병, 종ì´ì— 채색, 175×360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š°ë¦¬ë‚˜ë¼ ë´‰í™©ë„ – ê¶ì¤‘화로 조선후기부터

우리나ë¼ì—서 ë„êµì é“敎的 ìš”ì†Œì˜ ìœ ë¬¼ì€ ê¸°ì›ì „ 1세기경ì´ë‹¤. 옛 그림 중 현존 화조화ì—서 ë´‰í™©ì˜ ë“±ìž¥ì€ ì¡°ì„  후기로 시대가 사뭇 내려온다. 그러나 ì´ ìƒˆì˜ ì¡´ìž¬ëŠ” ì¼ì°ë¶€í„° 알려졌다. 고구려 고분벽화ì—ë„ í•™ì„ ë¹„ë¡¯í•´ ê°ì‹ ì´é¾•ç¥žå¡šì— ë‹¤ë¥¸ ì¢…ë¥˜ì˜ ìƒˆë¥¼ 탄 ì‹ ì„ ë„ ë³´ì¸ë‹¤. 1992ë…„ 백제 ê³ ë„ ë¶€ì—¬ì—서 ë°œêµ´ëœ <금ë™ëŒ€í–¥ë¡œ>는 í–¥ë£Œì˜ ì €ë¶€ê°€ ìš©ì´ë©° ì •ìƒë¶€ì— ë´‰í™©ì´ ë“±ìž¥í•œë‹¤(ë„8). 아울러 부여 규암ì—서 ì¶œí† ëœ 8ì ì´ 세트를 ì´ë£¨ëŠ” 아름답고 ì„¸ë ¨ëœ ë¬¸ì–‘ì´ ë‹ë³´ì´ëŠ” ì „ëŒ ì¤‘ì— ìš©ê³¼ ë´‰í™©ë¬¸ì „ì´ ìžˆë‹¤. 통ì¼ì‹ ë¼ ì™€ë‹¹ç“¦ç•¶ì— ë³´ì´ëŠ” 봉황문, 고려시대 ì²­ë™ê±°ìš¸ 중 ìƒí™©ç¬™ç¯ì„ 부는 ì¸ë¬¼ ê³ì— 춤추는 ë´‰í™©ì´ ë“±ìž¥í•œ <ì²­ë™ ì†Œì‚¬ë´‰í™©ç°«å²é³³å‡° 무늬 거울>ë„ ìžˆë‹¤.
ìŒê°ê³¼ ìƒê°ìœ¼ë¡œ ì‹œë¬¸ëœ ê³ ë ¤ì²­ìž ë´‰í™©, 조선시대 ë°±ìž ì¤‘ ìš©ì¤€é¾æ¨½ê³¼ ë´‰ì¤€é³³æ¨½ì˜ ì¡´ìž¬ë¥¼ 통해 ê°™ì€ ì–‘ìƒìž„ì„ ì•Œ 수 있다. 18세기 ì´í›„ 병, 항아리, 접시 등ì—서 봉황, 그리고 용과 함께 있는 ë´‰í™©ì„ ë§Œë‚  수 있다. ì¡°ì„  후기 봉황과 ìš©ì´ í•¨ê»˜ 등장하거나 ê°ê¸° 등장한 <ë°±ìžì²­í™” 운봉문 호>ê°€ ì¼ë¡€ë‹¤(ë„9). ê·¸ ì—°ì›ì€ 중국ì´ë‹¤. 그러나 조형예술 ì „ë°˜ì´ ê·¸ëŸ¬í•˜ë“¯ ì§„ì›ì§€ì¸ 중국과 달리 ë„ìžê¸° 문양ì—ì„œë„ ë„ˆë¥¸ 여백, 단순한 표현, 회화성과 활달하고 분방한 우리 미ê°ç¾Žæ„Ÿì˜ íŠ¹ì§•ì„ ìž˜ ë°˜ì˜í•œë‹¤. 무늬 ì¤‘ì— ê´´ì„ì— ëª¨ëž€ê³¼ ì›ì•™ì„ 그린 <ë°±ìžì²­í™” 화조문 항아리>는 íšŒí™”ì‚¬ì˜ í™”ì¡°í™” 연구ì—ë„ ì¢‹ì€ ìžë£Œê°€ ëœë‹¤.


(좌) ë„9 <ë°±ìžì²­í™” 운봉문 호>, ì¡°ì„ (18세기), ë†’ì´ 36.9ãŽ, 조선관요박물관 소장
(ìš°) ë„12 ê¹€í™ë„(1745-1806ê²½), <봉황ë„>, 종ì´ì— 채색, 62×31ãŽ, ê°œì¸ ì†Œìž¥



(좌) ë„10-1 <수월관ìŒë„>와 세부, ê³ ë ¤(14세기), ë¹„ë‹¨ì— ì±„ìƒ‰, 175×360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š°) ë„10-2 <ìŠ¤ëž€è†æ¬„ 치마>와 세부, ì¡°ì„ (19세기), 136×179ãŽ, ê°œì¸ ì†Œìž¥



ê·¸ë¿ ì•„ë‹ˆë¼ ì´ì— 앞서 ì¼ë³¸ 가가미진ìž[경신사é¡ç¥žç¤¾] 소장 대형 <수월관ìŒë„>를 비롯한 아미타여래ë„, 비로ìžë‚˜ì‚¼ì¡´ë„, 지장보살ë„, 화엄변ìƒë„ 등 ëŒ€ë¶€ë¶„ì˜ ê³ ë ¤ë¶ˆí™” ë‚´ 주ì¸ê³µìœ¼ë¡œ 섬세한 금니金泥로 그린 옷 ë¬´ëŠ¬ì— ì¶¤ì¶”ë©° 날아오르는 다양한 ìžì„¸ì˜ ë´‰í™©ì´ ë³´ì¸ë‹¤(ë„10-1). 금ì†, ë„ìž, 목공예 외 조선시대 가례嘉禮 때 ìž…ì€ í™œì˜·ì´ë‚˜ ì™•ë¹„ì˜ ë²•ì˜ì¸ ì ì˜ç¿Ÿè¡£, ë³µì›ê³µì£¼ì˜ <ìŠ¤ëž€è†æ¬„ 치마> 금박무늬를 살피면 왕비는 ìš©, 공주와 옹주는 꽃과 글ìžì¸ë° 세ìžë¹ˆä¸–å­å¬ªì€ 봉황ì´ë‹¤(ë„10-2). ì´ë°–ì— â€˜í•™ë¬¸ì˜ ì‹ ç¥žâ€™ 문창성文昌星과 ì‚¬ë ¹ì„ ìˆ˜ç¹¡ ë†“ì€ ë¶“ 주머니, 세 ê¸°ë‘¥ì´ ë¶™ì€ í™”ê°í•„통è¯è§’筆筒ì—ë„ ë´‰í™©ì´ ë“±ìž¥í•œë‹¤.
조선시대 íšŒí™”ì— ë“±ìž¥í•œ ë´‰í™©ì€ ë³¸ê²©ì ì¸ í™”ì¡°í™”ì— ì•žì„œ 고사ì¸ë¬¼í™” 범주로 ë„화서 ì†Œì† í™”ì›ë“¤ì— ì˜í•´ 광물성 ì•ˆë£Œì¸ ì§„ì±„çœžå½©ë¡œ 화려하고 섬세하게 그린 ê¶ì¤‘í™”å®®ä¸­ç•«ì— ë“±ìž¥í•œë‹¤. 곤륜산 요지ì—서 천ë„天桃가 ì—´ë¦¬ìž ì„œì™•ëª¨è¥¿çŽ‹æ¯ê°€ ì‹ ì„ ì„ ì´ˆëŒ€í•´ 베푼 ìž”ì¹˜ì¸ <요지연ë„>나(ë„11), <곽분양행ë½ë„郭汾陽行樂圖> 등 고사ì¸ë¬¼í™”ì—서 조연으로 등장한다.
화조ì˜ëª¨í™” ì˜ì—­ì—ì„  역시 서ìƒí™”ì¸ <서수낙ì›ë„ç‘žç¸æ¨‚園圖> 등ì—ë„ ë“±ìž¥í•œë‹¤. 드문 예로 재ì¼ë™í¬ ê¹€ìš©ë‘ ì„ ìƒì´ ì¼ë³¸ì—서 수집한 소장품으로 êµ­ë¦½ì§„ì£¼ë°•ë¬¼ê´€ì— ê¸°ì¦í•œ 비êµì  ì´ë¥¸ 시기 것으로 ë³´ì´ëŠ” 그림으로 <오륜ë„> ë²”ì£¼ë„ ì•Œë ¤ì¡Œë‹¤. ë´‰í™©ì´ ì£¼ëœ ì†Œìž¬ë¡œ 주ì¸ê³µì´ ë¨ì€ 18세기 후반 ì´í›„로 사료ëœë‹¤. 1783(ì •ì¡°7)ë…„ ë„화서 ì†Œì† ì•„ë‹Œ 규장ê°å¥Žç« é–£ì˜ ìž¡ì§ìœ¼ë¡œ ì œë„í™”ë˜ì–´ ë°± ë…„ ê°€ê¹Œì´ ì§€ì†ëœ ìžë¹„대령 í™”ì› ë…¹ì·¨ìž¬ç¥¿å–æ‰ì— ë´‰í™©ì´ ë“±ìž¥í•˜ë©´ì„œ 새롭게 ë¶€ê°ëœ 소재였다. 하지만 현존하는 ê²ƒì€ ê¹€í™ë„(金弘é“, 1745-1806ê²½)ì˜ ê´´ì„ê³¼ 대나무를 배경으로 한 ìŒì„ 그린 것과(ë„12), 화본í’으로 긴 제사를 ê³ë“¤ì—¬ ê´´ì„ ìœ„ì— í•œ 마리만 당당하게 등장한 ì¡°ì •ê·œ(趙廷奎, 19세기)ì˜ <봉황ë„>(ë„13) 외엔 ì´ë ‡ë‹¤ í•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들ì—게서 찾아보기 힘들다.


ë„11 <요지연ë„> 10첩 ë³‘í’ ë¶€ë¶„, ì¡°ì„ (19세기), 149×360ãŽ, ê°œì¸ ì†Œìž¥



ë„14 오ì¼ì˜, ì´ìš©ìš° í•©ìž‘, <봉황ë„>, 1925, ë¹„ë‹¨ì— ì±„ìƒ‰, 214×578ãŽ, ì°½ë•ê¶ ëŒ€ì¡°ì „


ì¡°ì„ ë§ê³¼ 현대 민화 – ìžìœ ë¡œìš´ 다양한 변모

ì°½ë•ê¶ ë‚´ 용마루가 없는 왕비가 거처하는 ë‚´ì „ì¸ ëŒ€ì¡°ì „å¤§é€ æ®¿ ë™ë²½ ìƒë‹¨ì—는 가로로 긴 가장 í° <봉황ë„>ê°€ 있다(ë„14). ì¼ì œê°•ì ê¸° 1925ë…„ 오ì¼ì˜(å³ä¸€è‹±, 1890-1960)ê³¼ ì´ìš©ìš°(æŽç”¨é›¨, 1904-1952)ê°€ 합작한 ë¹„ë‹¨ì— ê·¸ë¦° 그림ì´ë‹¤.
ê¶ì¤‘화로 ì‹œìž‘ëœ ì±…ê±°ë¦¬[冊架圖]나 고사ì¸ë¬¼í™” 등 ì—¬íƒ€ì˜ ì£¼ì œì™€ 마찬가지로 ì¡°ì„ ë§ ë¯¼í™”ë¡œ ì´ì–´ì ¸ ì‹ êµ­ë©´ì´ íŽ¼ì³ì§„다. 1973ë…„ 국립중앙박물관 â€˜í•œêµ­ë¯¼ì˜ˆë¯¸ìˆ ì „â€™ì— ì¶œí’ˆëœ ê·¸ì•¼ë§ë¡œ 본격ì ì¸ 36ì  ë¯¼í™” 중 <계ë„鷄圖>로 출품ë˜ì—ˆë‹¤ê°€ <봉황ë„>로 ì´ë¦„ì´ ì •ì •ëœ ê²ƒ(ë„15), 민화 <문ìžë„> â€˜ì—¼å»‰â€™ì— ë“±ìž¥í•œ 봉황, í•´ë§Œì´ ì•„ë‹Œ 달과 ì§ì„ ì´ë£¬ <봉황ë„>(ë„16) ë“±ì´ ìžˆìœ¼ë©° ìƒìƒì˜ 새ì´ê¸°ì— 모습 ë³€ëª¨ì— ìžìœ ë¡œìš°ë©° 여러 다양한 새들과 ì¼ê´„로 어우러진 í™”ì¡°ë„ ë³‘í’ì—서 다채롭고 다양한 변모를 ë³´ì¸ë‹¤.
사실ì ì¸ í‘œí˜„ì˜ ì¼ë°˜ ê°ìƒí™”와 구별ë˜ëŠ” ë°í¬ë¥´ë§ˆì‹œì˜¹, 즉 ìžìœ ë¡œìš´ 변형과 ìµì‚´ 등으로 ë‚˜ë¦„ì˜ ì‹œëŒ€ì„±ê³¼ íŠ¹ì§•ì„ ì˜¨ì¶•è˜Šè“„í•˜ì—¬ ê³ ì „ì  ìœ„ìƒìœ¼ë¡œ 진입한다. 작가 ì •ì§€ì—°ì˜ <소우주-백제금ë™ëŒ€í–¥ë¡œ>를 비롯한 향로 시리즈 ë“±ì€ í˜„ëŒ€í™”ë‹¨ì— ì§„ìž…í•´ 청출어람é‘出於è—으로 ì „ê°œë˜ë‹ˆ, ì´ëŠ” 사뭇 ê¸ì •ì ì´ë©° 고무ì ì¸ ì–‘ìƒì´ ì•„ë‹ ìˆ˜ 없다.


(좌) ë„13 ì¡°ì •ê·œ(19세기), <봉황ë„>, 종ì´ì— 채색, 73×61.5ãŽ,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ìš°) ë„16 미ìƒ(19세기), <봉황ë„> 대련, 종ì´ì— 채색, ê° 73×61.5ãŽ, ê°œì¸ ì†Œìž¥



ì´ì›ë³µ | 미술사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학예연구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위ì›,
경기ë„박물관장 ë“±ì„ ì—­ìž„í•˜ë©° 42ë…„ê°„ 박물관 í˜„ìž¥ì— ëª¸ë‹´ì•˜ë‹¤.
현재 ë™êµ­ëŒ€í•™êµ ê°ì›êµìˆ˜, (사)역사여성미래 ê³µë™ëŒ€í‘œ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