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ë³µ êµìˆ˜ì˜ 소재로 ì‚´í•€ 우리 옛 그림 â‘° 순결 순수하며 변함없는 사랑, 백합 百åˆ

ë„13 신명연(1808-1886), <백합과 패랭ì´ê½ƒ>, 1864ë…„, ë¹„ë‹¨ì— ì±„ìƒ‰, 30.2×19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진한 향기와 다소곳한 외모로 ë™ì„œì–‘ 모ë‘ì˜ ì‚¬ëž‘ì„ ë°›ì•„ì˜¨ 백합, 서구ì—ì„  불êµì˜ ì—°ê½ƒì— ë¹„ê²¬ë˜ëŠ” 꽃ì´ë‹¤.
ì¡°í˜•ë¯¸ìˆ ì˜ ê½ƒ 소재로 다른 꽃들과 함께, ë˜ëŠ” ë…ë¦½ëœ ì†Œìž¬ë¡œ 천 수백 ë…„ ì´ì–´ í™”í­ì—서 피어났다.

글 ì´ì›ë³µ(미술사가)


ë°±í•©ì€ ìš°ë¦¬ë‚˜ë¼ í™”ë‹¨ì—ì„  6월부터 피기 시작하니 접시꽃, 무ê¶í™”, 배롱나무, 능소화 등과 함께 ì—¬ë¦„ì„ ëŒ€í‘œí•˜ëŠ” 꽃ì´ë‹¤. ë°±í•©ì€ í”히 서양 꽃으로 여기며 주로 í° ê½ƒì„ ì—°ìƒí•œë‹¤. ê½ƒì€ í°ìƒ‰ì´ 주류ì´ë‚˜ ì¸ë™ì²˜ëŸ¼ í°ìƒ‰ì—서 노래지는 ê²ƒì€ ì•„ë‹ˆì§€ë§Œ 시들면서 다소 변색ë˜ë©°, 노란색과 연한 ë¶„í™ìƒ‰ë„ 있다. í•œìž ì´ë¦„ì´ ì•”ì‹œí•˜ë“¯ í°ìƒ‰ì—서가 아닌, 마늘처럼 ìƒê¸´ 둥근 뿌리가 여러 쪽 ëª¨ì¸ í˜•íƒœì—서 연유한다. ìš”ì¦ˆìŒ ìœ¡ì¢…í•™ 발전으로 ì„ í™ì´ë‚˜ ì§™ì€ ìžìƒ‰ 등으로 í°ìƒ‰ì´ 오히려 무색하다.
우리 ì´ë¦„ì€ ë‚˜ë¦¬ì´ë©°, í° ê½ƒì€ ë‹¹ë‚˜ë¦¬ë¡œ 불렀다. ë‹¹ì´ ë¶™ì€ ê²ƒì€ ì¤‘êµ­ì—서 ì „ëž˜ëœ ë•Œë¬¸ìœ¼ë¡œ ìƒê°ëœë‹¤. 백합과ì—는 우리 야산ì—서 ìžìƒí•˜ëŠ” 주황색 ìœ„ì£¼ì˜ ì°¸ë‚˜ë¦¬, 땅나리, 솔나리, 하늘나리, 털중나리 ë“±ì´ ì´ì— ì†í•œë‹¤. ìš°ë¦¬ë‚˜ë¼ ë°±í•©ì€ íƒ€êµ­ì—서 유입ë˜ì–´ 재배한 것ì´ê¸°ì— 야산ì—서 보긴 힘들다.

유향乳香처럼 ê°ë¯¸ë¡œìš´ 향기를 뿜고
백합百åˆì²˜ëŸ¼ 꽃 피어 향내를 í’기어ë¼
– 구약 집회서 39장 14ì ˆ


(왼쪽) ë„1 시모네 마르티니(1284ê²½-1344), <수태고지> 부분, 1333ë…„, ëª©íŒ í…œíŽ˜ë¼ 265×305ãŽ, 피렌체 우피치미술관
(오른쪽) ë„2 헨리카 ë² ì´ì˜ˆë¥´(1782-1855), <꽃> 1827ê²½, 캔버스 유채, 82×67.5ãŽ, 바르사바국립박물관


지구촌 ë„처ì—서 사랑받는 꽃 – ì§™ì€ í–¥ê³¼ ë¼ë—한 외모

진한 향기와 다소곳한 외모로 ë™ì„œì–‘ 모ë‘ì˜ ì‚¬ëž‘ì„ ë°›ì•„ì˜¨ ë°±í•©ì€ ì„œêµ¬ì—ì„  불êµì˜ ì—°ê½ƒì— ë¹„ê²¬ë˜ëŠ” 꽃ì´ë‹¤. ì¡°í˜•ë¯¸ìˆ ì˜ ê½ƒ 소재로 다른 꽃들과, ë˜ëŠ” ë…ë¦½ëœ ì†Œìž¬ë¡œ 천 수백 ë…„ ì´ì–´ í™”í­ì—서 피어났다. 성경ì—는 장미가 8회, ë°±í•©ì´ 6회 나온다. ì¼ì°ì´ í¬ë ˆíƒ€ 지역ì—ì„  아름다움과 í’ìš”è±é¥’, 기ë…êµì—ì„  순결純潔과 ë¶€í™œì˜ ìƒì§•ì´ì—ˆë‹¤. 특히 í° ë°±í•©ì€ íŒ”ë ˆìŠ¤í‹°ë‚˜, 갈릴리와 ê°ˆë©œì‚°ì— ìžìƒí•œë‹¤. ë°±í•©ì€ ì ì°¨ ìˆœê²°ì˜ ì˜ë¯¸ë¡œ ê³ í†µì˜ ìƒì§•ì¸ ë¶“ê½ƒê³¼ 함께 성모 ë§ˆë¦¬ì•„ì˜ í‘œìƒì´ ë˜ì—ˆë‹¤. ì§€êµ¬ì˜ ë°˜ëŒ€íŽ¸ì¸ ë™ì–‘ì—ì„œë„ ì˜¤ëžœ 세월 ì‚¬ëž‘ì„ ë°›ì•„ 온 꽃 ì¤‘ì˜ í•˜ë‚˜ë¡œ 현존 ê·¸ë¦¼ì€ ë‹¹å” ê³ ë¶„ë²½í™”ì— ë“±ìž¥í•œë‹¤.
ë…ë¦½ëœ ì†Œìž¬ì˜ ê°ìƒí™”ì— ì•žì„œ ì´íƒˆë¦¬ì•„ì˜ ì‹œëª¨ë„¤ 마르티니(Martini Simone, 1284-1344)ê°€ 1333ë…„ 목íŒì— 그린 <수태고지å—胎告知> 등 기ë…êµ ì„±í™”è–ç•«ì—서 ì‚´í•„ 수 있다(ë„1). 가브리엘 천사가 ì„±ë ¹ì— ì˜í•´ 성모 마리아가 예수를 잉태할 ê²ƒì„ ì•Œë¦¬ëŠ” ìž¥ë©´ì„ ë‹´ì€ ë‚´ìš©ìœ¼ë¡œ ì¸ë¬¼ 사ì´ì— í™”ë³‘ì— ê½‚ížŒ ë°±í•©ì´ ë³´ì¸ë‹¤. 그로부터 1세기 ì´ìƒ 지난 1486ë…„ 한스 멤ë§(Hans Memling, 1434ê²½-1494)ì´ ê·¸ë¦° <성모 ë§ˆë¦¬ì•„ì˜ ê½ƒ>ì€ í˜„ì¡´í•˜ëŠ” ìµœì´ˆì˜ ë…립ì ì¸ 꽃 그림으로 보나, 성모 마리아 ì´ˆìƒ ë’·ë©´ 장ì‹í™”로 ë§ˆë¦¬ì•„ì˜ ìˆœê²°ê³¼ ê³ í†µì˜ ìƒì§•ì„±ì„ ì§€ë‹Œ 것으로 본다. ì ì°¨ í™”ë³‘ì— ì—¬ëŸ¬ ì¢…ë¥˜ì˜ ê½ƒì´ ê½‚ížŒ 정물화ì—서 ë°±í•©ì„ ì‚´í•„ 수 있으니 전문화가로 ìµœì´ˆì˜ ê½ƒ 그림으로 유명한 í´ëž€ë“œ 여성화가 헨리카 ë² ì´ì˜ˆë¥´(Henryka Beyer, 1782-1855)ì˜ <꽃>ì—ì„œë„ í° ë°±í•©ì´ ë³´ì¸ë‹¤(ë„2).
현존하는 백합 ê·¸ë¦¼ì€ ì˜¤ížˆë ¤ ì„œêµ¬ë³´ë‹¤ë„ ì¤‘êµ­ì´ ì•žì„ ë‹¤. 중국 섬서성é™è¥¿çœ ë¶€í‰í˜„ì— ìœ„ì¹˜í•œ 헌릉ç»é™µì˜ 배장묘 ì´ìš©ë¬˜æŽé¾å¢“ ìš©ë„甬é“ì— ê·¸ë ¤ì§„ <시녀ä¾å¥³>ì— ë“±ìž¥í•œë‹¤(ë„3). 1973ë…„ 발굴한 ë‹¹å” ìƒì›2년上元二年 연기가 있는 벽화고분ì´ë‹¤. ë‘ ì‹œë…€ 사ì´ì— 백합 한 그루가 선명하다. 1972ë…„ ë°œêµ´ëœ ì‹ ê°•æ–°å½Š ìžì¹˜êµ¬ íˆ¬ë¥´íŒ 217호ì—ë„ ë“±ìž¥í•œë‹¤. 풀꽃 아래 ì›ì•™ê³¼ 오리 등 조류를 í¬ì¹˜í•œ ë™ì¼ 구ë„와 êµ¬ì„±ì„ ê°–ì¶˜ 6í­ ë³‘í’ í˜•íƒœì˜ ë²½í™” 오른쪽 첫째 í­ì€ ê½ƒì€ ë§ˆë©¸ë˜ì—ˆìœ¼ë‚˜ 잎과 줄기를 살피면 ì´ìš©ë¬˜ 벽화와 ë™ì¼í•œ ì‹ë¬¼ì´ë‹¤.

â€œë´„ì´ ê¹Šì–´ì§ˆ 때 패랭ì´ê½ƒì„ ë³´ìž ë…¸ì„ì´ ë¹„ë‹¨ì„ ì´ë£¸ì„ 깨닫고
[春深看覺霞æˆéŒ¦]
ë°¤ì´ ê¸¸ì–´ì§ˆ 때 백합 í–¥ì„ ë§¡ìž ì˜¥ì—서 나는 것ì¸ê°€ ì˜ì‹¬í–ˆë„¤
[夜永èžç–‘玉有香]â€
– 당 ì¡°ê´‘ìœ¤ì˜ <패랭ì´ì™€ 백합[春羅夜åˆ]>ì— ë¶€ì¹œ ì™•ì•ˆì ˆì˜ ì œ


(왼쪽) ë„3 당 섬서성 헌릉 배장묘 ì´ìš©ë¬˜ ë™ë²½(å”上元二年 명문), <시녀ä¾å¥³> 부분, 147×125ãŽ
(오른쪽) ë„4 심주沈周(1427-1509), <백합>, 종ì´ì— 담채, 30.3×52.4ãŽ, 소주박물관 소장


중국과 ì¼ë³¸ì˜ 백합 그림 – 화훼 소재 중 하나

ë°±í•©ì€ ì‹œè©©ì™€ í™”ë©´ì— ìžˆëŠ” 작품 ì œëª©ì„ í†µí•´ 중국ì—ì„  야합夜åˆìœ¼ë¡œ 불렀ìŒì„ 《개ìžì›í™”전芥å­åœ’畫傳》ì—서 ì—¿ë³¼ 수 있다. ì´ ì±…ì—는 ê½ƒì„ ê·¸ë¦¬ëŠ” 기법 ì™¸ì— ë“±ì°½ìš°æ»•æ˜Œç¥(9세기)ì˜ <야합夜åˆ>ê³¼ 조광윤åˆå…‰èƒ¤(10세기)ì˜ <춘ë¼ì•¼í•©æ˜¥ç¾…夜åˆ> ë“±ì´ ìžˆê³ , ê°ê¸° ì–‘æ¢ ì„ ì œå®£å¸ì™€ 송 왕안절王安節(?-1275)ì˜ ì œì‹œë¡œ ê·¸ë¦¼ì˜ ê²©ì¡°ë¥¼ ë”한다. ëŠ¦ì–´ë„ 10세기 ì´ì „ì— ë°±í•©ì´ ê°ìƒí™”ì˜ ì£¼ì¸ê³µì¸ ë…ë¦½ëœ ì†Œìž¬ë¡œ 그려ì§ì„ ì§ìž‘하게 한다.


(왼쪽부터 시계방향) ë„5 육치陸治(1496-1576), <유화소경>, 종ì´ì— 채색, 65.3×33.3ãŽ, 타ì´ë² ì´ê³ ê¶ë°•ë¬¼ì› ì†Œìž¥
ë„6 ìš´ìˆ˜í‰æƒ²å£½å¹³(1633-1690), <백합>, 종ì´ì— 담채, 27×24.1ãŽ, 소주박물관 소장
ë„8 마사야마 ì‰ì¯”ì—”(1785-1842), <나팔꽃과 백합>, 1840ë…„, ë¹„ë‹¨ì— ì±„ìƒ‰, 29.2×29.7ãŽ, ë„쿄국립박물관



명明(1368-1644) 문ì¸í™”가로 소주蘇州 출신 심주沈周(1427-1509)는 후배 문징명文徵明(1470-1559)ê³¼ ë”불어 ì˜¤íŒŒå³æ´¾ë¥¼ 창시했고 í™”ì¡°ì²©ì— <백합>ì´ í˜„ì¡´í•œë‹¤(ë„4). í™”ì¡°í™”ì˜ ëŒ€ê°€ 진순陳淳(1483-1544)ì€ ì„ ë°° í™”ê°€ë“¤ì˜ ìž¥ì ì„ ë‘루 섭렵해 ë…ìžì ì¸ í™”í’ì„ ì´ë£¬ 것으로 í‰ê°€ëœë‹¤. 중화민국 국립고ê¶ë°•ë¬¼ì› ì†Œìž¥ 대작 <설색화훼> 족ìžëŠ” 바위를 중심으로 패랭ì´ê½ƒ, 백합, 월계수, ì¹˜ìž ê½ƒë“¤ì´ ì–´ìš°ëŸ¬ì ¸ 한여름 ê½ƒë“¤ì˜ ìƒë™ê°ì„ ì—¿ë³¼ 수 있다. 진순보다 유명세는 ëœí•˜ë‚˜ 만년ì—는 ì‚°ì— ì€ê±°í•˜ì—¬ 화초를 심고 ë²Œì„ ì¹˜ë©´ì„œ ì¡°ì´í•œ ì‚¶ì„ ì˜ìœ„한 육치陸治(1496-1576)ë„ ì°½í¬, 백합, ì„ë¥˜ê½ƒì„ ë°°ê²½ ì—†ì´ ê°„ëžµí•˜ê²Œ 그린 <ìœ í™”ì†Œê²½æ¦´èŠ±å°æ™¯>ì„ ë‚¨ê¸°ê³  있다(ë„5). 빠른 필치로 완숙한 ì†œì”¨ìž„ì„ ë“œëŸ¬ë‚´ëŠ” ì´ ê·¸ë¦¼ì€ ì ˆê°œ, 효성, ìš°ì•  등 그린 ì´ ë¨ë¨ì´ë¥¼ 그대로 전한다. ì´ ë‘˜ì€ ë¬¸ì§•ëª…ì˜ ì˜í–¥ì´ 짙다.
중국 마지막 ì™•ì¡°ì¸ ì²­æ·¸(1636-1912) ì´ˆ 전통화í’ì„ ì´ì€ 왕시민王時æ•(1592-1680)ê³¼ ê·¸ì˜ ë¬¸í•˜ì— ë“¤ì–´ê°€ 산수화로 ëª…ì„±ì„ ì–»ì—ˆìœ¼ë©° 중년 ì´í›„ 화훼를 몰골기법으로 ì¦ê²¨ 후대 ì˜í–¥ì´ ì»¸ë˜ ìš´ìˆ˜í‰æƒ²å£½å¹³(1633-1690)ì˜ ã€Šì‚°ìˆ˜í™”í›¼ì²©ã€‹ ë‚´ 사실ì ì¸ <백합>ë„ ë“¤ì–´ìžˆë‹¤(ë„6). 왕ì›ê¸°çŽ‹åŽŸç¥(1642-1715) 등과 구별ë˜ë©° ì¡°ì„  ë§ í™”ë‹¨ì˜ ì „ê¸° ë° ê¹€ìˆ˜ì²  ë“±ì— ì˜í–¥ì„ 준 ê°œì„±ì£¼ì˜ í™”í’ì˜ ê¹€ë†é‡‘è¾²(1687-1764), ì²­ë§ ìƒí•˜ì´ë¥¼ 중심으로 활ë™í•œ í•´ìƒíŒŒæµ·ä¸Šæ´¾ 화가로 ì•½ê´€ì— ëª…ì„±ì„ ì–»ì€ ìž„ì´ä»»é ¤(1840-1895) ë“±ë„ ë°±í•© ê·¸ë¦¼ì„ ë‚¨ê¸°ê³  있다.


(왼쪽) ë„7 오다노 나오타케(1749-1780), <백합>, 종ì´ì— 채색, 38.4×27.2ãŽ, 아키타 센샤미술관 소장
(오른쪽) ë„9 ì‚¬ì¹´ì´ í˜¸ì´ì¸ (1761-1828), <하추초충ë„> ë³‘í’ ë¶€ë¶„, 1821ë…„, 종ì´ì— 채색, 164×182ãŽ, ë„국립박물관 소장



ì¼ë³¸ 역시 중국과 마찬가지로 소품 ê°ìƒí™”로 화첩과 ë‘루마리 ë“±ì´ ì „í•œë‹¤. 18세기 ì´í›„ 오다노 나오타케(å°ç”°é‡Žç›´æ­¦, 1749-1780)ì˜ <백합>(ë„7), ã€Šì‚¬ê³„í™”ì¡°í™”ì²©ã€‹ì— ì†í•œ 다른 꽃과 함께 그린 마사야마 ì‰ì¯”ì—”(增山雪園, 1785-1842)ì˜ <나팔꽃과 백합>(ë„8), ì´ì™¸ì— 16세기 ì¼ë³¸ 전통 ì˜ìƒì— ë°±í•©ì´ ìžìˆ˜ë¡œë„ 등장하며, <사계화조화>와 ì‚¬ì¹´ì´ í˜¸ì´ì¸ (酒井抱一, 1761-1828)ê°€ 1821ë…„ 그린 <하추초충ë„å¤ç§‹è‰èŸ²åœ–> ë³‘í’ ë“± 어렵지 않게 ë°±í•©ì„ ì°¾ì•„ë³¼ 수 있다(ë„9).

ë°±í•©ì€ ê½ƒì˜ ìˆ˜ìž¥, 벼루 파ë„ì—서 í–¥ ë‚´ìŒ ìŠ¤ë©° 묵화
곱게 솟아 무ê¶í™” 다시 빛나네. ì‹ í•´ë…„ ê°€ì„ ì‹¬ì € 안중ì‹.
[èŠ±é¦–ç™¾åˆ ç¡¯æ´¾æ±•é¦™ 墨花翠潑 æ§¿å…®å†å…‰ 辛亥孟秋日 心田 安中æ¤]
-안중ì‹ì´ 1911ë…„ 축하 그림 <기명절지>ì— ë¶€ì¹œ 제시


(왼쪽) ë„10-1 <ì²­ìž ìƒê° 화조·죽·백합 무늬 병>, ê³ ë ¤(14세기), 31.5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오른쪽) ë„10-2 <금제 장신구>, ê³ ë ¤(10-14세기), 4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ì„  시대 백합 그림 – ì¡°ì„  후기를 ê±°ì³ ë§ê¸°í™”단 í° ìœ í–‰

불화를 제외하고 전하는 ê·¸ë¦¼ì´ ëª¹ì‹œ 드문 고려왕조 때 í”하진 않으나 다기茶器로 ì“°ì¸ ì™„ç¢—ê³¼ <ì²­ìž ìƒê° 화조·죽·백합·무늬 매병>(ë„10-1) 등 ê³ ë ¤ì²­ìž ë¬¸ì–‘ì— ë°±í•©ì´ ë³´ì¸ë‹¤. ë˜í•œ <금제 장신구>(ë„10-2) 중 ê±°ë¶Â·í•™Â·ë¬´ê¶í™”·백합 등 ìŒì„ ì´ë£¬ 4cm 내외 소품 장신구는 주목ëœë‹¤. ê°™ì€ ì‹œëŒ€ ì´ë“¤ì˜ ë™ì‹ë¬¼ 소재는 ê·¸ë¦¼ìœ¼ë¡œë„ ê·¸ë ¤ì¡Œì„ ê°€ëŠ¥ì„±ì´ í¬ë‹¤. 조선시대 í™”í›¼ì´ˆì¶©í™”ì˜ ëŒ€ëª…ì‚¬ê°€ ëœ ì‹ ì‚¬ìž„ë‹¹ ê³„ì—´ì€ ì§‘ì—서 기르는 맨드ë¼ë¯¸, 꽈리, 가지, 양귀비 등 재배ì‹ë¬¼ê³¼ 야ìƒí™”ì— í’€ë²Œë ˆë¥¼ 함께 그렸으나 ë°±í•©ì€ ì „í˜€ ë³´ì´ì§ˆ 않는다. 18세기 ì´í›„ 그림ì—서 ë°±í•©ì„ ë§Œë‚  수 있다.
현존 그림 중 가장 오랜 ë°±í•©ì€ ì‹¬ì‚¬ì •æ²ˆå¸«æ­£(1707-1769)ì´ ë‚¨ê¸´ <절지호접>ê³¼ <백합>(ë„11) 소í­ì´ë‹¤. ê·¸ì˜ ì˜í–¥ì´ í° ì´ë°©ìš´æŽæ˜‰é‹(1761-1815 ì´í›„)ì˜ 8í­ í™”í›¼Â·í™”ì¡°Â·ì˜ëª¨ 병í’ì— ì†í•œ <백합과 수국>(ë„12) 등ì´ë‹¤. 바위 ê³ì— 다른 ì‹ë¬¼ê³¼ 함께 그린 것으로 ë‚˜ë¹„ë„ ë“±ìž¥í•˜ê³  있어 ì´ˆì¶©ë„ ë²”ì£¼ì— ë“ ë‹¤. 《개ìžì›í™”ì „ã€‹ì˜ ì˜í–¥ì„ 받았으나 ê´´ì„ì„ í¬í•¨í•´ 화훼초충화로 ë³€í˜•ì€ ìš°ë¦¬ í™”ê°€ë“¤ì˜ ëª«ìœ¼ë¡œ ë³´ì¸ë‹¤. 18ì„¸ê¸°ì— ì´ì–´ ì¡°ì„  ë§ê¸°í™”단엔 여러 í­ìœ¼ë¡œ ëœ ë³‘í’ì—서 ë°±í•©ì„ ì°¾ì„ ìˆ˜ 있다.
19세기 초기 것으론 1811ë…„ ì¼ë³¸ì„ 다녀온 ì¡°ì„  통신사 ì¼í–‰ì˜ 그림, 글씨가 담긴 병í’ì—서 ì¼ë³¸ì— 수출 그림으로 알려진 ê´´ì›æ§åœ’ ë³€ì§€í•œåžæŒæ¼¢(18-19세기)ì´ ë‚¨ê¸´ <백합>ì´ ìžˆë‹¤. 사실ì ì¸ í‘œí˜„ì— ìƒ‰ì±„ê°€ 유난히 아름다운 1864ë…„ 제작한 신명연申命è¡(1808-1886) 《화훼첩》ì—는 <백합과 패랭ì´ê½ƒ>ì´ í¬í•¨ëœë‹¤(ë„13). 전술한 ì¡°ê´‘ìœ¤ì˜ <춘ë¼ì•¼í•©>처럼 패랭ì´ê½ƒê³¼ ë°±í•©ì„ ê·¸ë ¸ë‹¤. ê·¸ì˜ ë¶€ì¹œì€ ë¬µì£½ìœ¼ë¡œ 유명한 신위申緯(1769-1847)로 ê·¸ì˜ ì•„ë“¤ë“¤ë„ ê·¸ë¦¼ìœ¼ë¡œ ì´ë¦„ì„ ë‚¨ê²¼ë‹¤.


(왼쪽부터) ë„11 심사정(1707-1769), <백합>, 종ì´ì— 담채, 31.2×23.5ãŽ,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ë„12 ì´ë°©ìš´(1761-1815 ì´í›„), <백합과 수국>, 종ì´ì— 수묵담채, 234.2×59.2ãŽ, ì„ ë¬¸ëŒ€í•™êµ ë°•ë¬¼ê´€ 소장
ë„14 김수철(19세기), <백합>, 종ì´ì— 담채, 140.8×58.8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ì†ì°½ê·¼ 기ì¦)



ì´ì— 대해 ìƒ‰ì„ ì‚¬ìš©ì¹˜ 않고 ë¨¹ë§Œì˜ ë¹ ë¥¸ 붓놀림으로 그린 ê¹€ì •í¬ ì• ì œìžì´ìž 30ì„¸ì— ìš”ì ˆí•œ 전기田ç¦(1825-1854)ì˜ ê·¸ë¦¼ì€ ë”ìš± ê°œì„±ì´ ë‹ë³´ì¸ë‹¤. ì²­ë‚˜ë¼ ê°œì„±ì£¼ì˜íŒŒ í™”ê°€ë“¤ì— ë¹„í•´ë„ ì†ìƒ‰ì´ 없는 뛰어난 기량과 ë†’ì€ ê²©ì¡°ë¥¼ 보여준다. 그가 남긴 격조 ë†’ì€ ë¬¸ì¸í™”들로서 산수 ì™¸ì— ë§¤í™”, 연꽃 등 ìž‘ì€ ê·¸ë¦¼ 8í­ìœ¼ë¡œ ëœ í™”ì²©ì— ì‚°ëœ»í•œ <백합>ì´, ì¶”ì‚¬íŒŒì— ì†í•œ ìƒëžµê³¼ 과장 그리고 ìˆ˜ì±„í™”ì— ë°©ë¶ˆí•œ 새로운 ê°ê°ìœ¼ë¡œ 주목ë˜ëŠ” 김수철金秀哲(19세기)ì˜ <백합> ë˜í•œ 현존한다(ë„14).
장승업張承業(1843-1897)ì˜ ê³ ë™ê¸°Â·ë„ìžê¸°Â·ì—¬ëŸ¬ ê½ƒì„ í•¨ê»˜ 그린 기명절지[器皿折æžåœ–]ì—서 백합 뿌리, 10í­ ë³‘í’ì—ì„œë„ ì „ê¸°ì™€ ë‹®ì€ ìˆ˜ë¬µ ìœ„ì£¼ì˜ í™œë‹¬í•œ 필치로 오ë™ë‚˜ë¬´ì™€ ë°±í•©ì„ ê·¸ë ¸ë‹¤. 나비로 ì´ë¦„ì„ ì–»ì€ ê·¼ëŒ€í™”ë‹¨ ì´ê²½ìйæŽçµ…承(1862-1927)ì˜ <화훼호접> 병í’ì—ì„œë„ ì‚´í•„ 수 있다. í™”ì›ì´ë‚˜ ì¤‘ì¸ ì¶œì‹ ì˜ ê·¸ë¦¼ë„ ê·¸ ì´ì „ê³¼ 달리 격조 ë†’ì€ í™”í’ë“¤ìž„ì„ ì•Œ 수 있다.
오세창å³ä¸–昌(1864-1953)ì´ ìš°ë¦¬ 서예를 ë¬¶ì€ ã€Šê·¼ì—­ì„œíœ˜æ§¿åŸŸæ›¸å½™ã€‹ íŽ¸ì§‘ì„ ì¶•í•˜í•´ 1911ë…„ 안중ì‹å®‰ä¸­æ¤(1861-1919)ì´ ê·¸ë¦° <기명절지>ì—ë„ ë°±í•©ì´ ë“±ìž¥í•œë‹¤(ë„15). 20ì„¸ê¸°ì— ì´ë¥´ëŸ¬ ë°±í•©ì€ ìº”ë²„ìŠ¤ì—ë„ ë“±ìž¥í•œë‹¤. 중국ì—서 ìœ ìž…ëœ í™”ë³¸ì˜ ì˜í–¥ìœ¼ë¡œ 그려지기 시작한 ë°±í•©ì€ ìš°ë¦¬ ê·¸ë¦¼ì˜ êµ­ì œì„±ê³¼ ë³´íŽ¸ì„±ì˜ ì¸¡ë©´, ê·¼ëŒ€ì„±ì„ ì•Œë ¤ì£¼ëŠ” ì‹ë¬¼ 소재 중 하나ì´ë‹¤.


ë„15 안중ì‹(1861-1919), <기명절지>, 1911ë…„, 종ì´ì— 채색, 29.1×45.4ãŽ, 서울대학êµë°•물관 소장



ì´ì›ë³µ | 미술사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학예연구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위ì›,
경기ë„박물관장 ë“±ì„ ì—­ìž„í•˜ë©° 42ë…„ê°„ 박물관 í˜„ìž¥ì— ëª¸ë‹´ì•˜ë‹¤.
현재 ë™êµ­ëŒ€í•™êµ ê°ì›êµìˆ˜, (사)역사여성미래 ê³µë™ëŒ€í‘œ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