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ë³µ êµìˆ˜ì˜ 소재로 ì‚´í•€ 우리 옛 그림 ⑯
접시꽃[蜀葵] – 향기는 없으나 화사한, í’요와 í‰ì•ˆì˜ 꽃

í° í‚¤ì— ì§™ì€ ë¶‰ì€ ìƒ‰, ë¶„í™ìƒ‰, í°ìƒ‰, ìžì£¼ìƒ‰ 등 화사한 ê½ƒë“¤ì´ ë¬´ë¦¬ 지어 피어 ì‹œì„ ì„ ëˆë‹¤. 접시꽃, ë™ì•„시아ì—서 천년 넘게 줄기차게 그려진 소재다. 그러나 ì˜ì™¸ë¡œ 우리 민화ì—서는 í”치 ì•Šì€ ì†Œìž¬ì´ê¸°ë„ 하다.
글 ì´ì›ë³µ(미술사가)


ì ‘ì‹œê½ƒì€ ë‘¥ê¸€ê³  납작한 형태ì—서 비롯한 ì´ë¦„ì´ë‹¤. ì–¼í• ë¬´ê¶í™”와 비슷하나 ê½ƒì´ í¬ë©° 잎 ëª¨ì–‘ì´ ë‹¤ë¥´ë‹¤. 무ê¶í™”, 강렬한 색깔로 í° ê½ƒì¸ í•˜ì™€ì´ ë¬´ê¶í™”(hawaiian hibiscus), 부용芙蓉, í‘¸ì„±ê·€ì¸ ì•„ìš± ë“±ì´ ëª¨ë‘ ì•„ìš±ê³¼ì— ì†í•œë‹¤. ì¡°ì„ ì‹œëŒ€ì— ë¬´ê¶í™” ê·¸ë¦¼ì€ ì°¾ì•„ë³´ê¸° 힘드나 ê´‘ë³µ 후 1946ë…„ ì• êµ­ê°€ì˜ ì¼ë¶€ë¥¼ 제사로 ì“´ 노수현(盧壽鉉, 1899-1978)(ë„1), 천경ìž(åƒé¡å­, 1924-2015) 등 몇 í™”ê°€ë“¤ì´ ê·¸ë ¸ë‹¤.
ê²½ê¸°ë„ ì´ë‚¨ì€ 접시꽃, 황해ë„와 í‰ì•ˆë„는 ë…ë‘화禿頭花로 부르는 한편 경기ë„ì—ì„  ìž„ê¸ˆì´ ê³¼ê±° 급제ìžì—게 내린 종ì´ë¡œ 만든 어사화御賜花ì—서 비롯한 어승화나 ì–´ìŠ¹ì–´ë¡œë„ ë¶ˆë¦°ë‹¤. ì—°ì´ì–´ ê½ƒì´ í”¼ê¸°ì— ì¸µì¸µí™”å±¤å±¤èŠ±ëž€ ì´ë¦„ë„ ìžˆë‹¤. ë™ì•„시아ì—서 천년 넘게 줄기차게 그렸으나 ì˜ì™¸ë¡œ 우리 민화民畫ì—서는 í”치 ì•Šì€ ì†Œìž¬ì´ë‹¤.
ì ‘ì‹œê½ƒì˜ ì›ì‚°ì§€ëŠ” 중국으로 알려져 있다. 씨를 뿌린 ê·¸ ì´ë“¬í•´ì•¼ ê½ƒì„ ë³¼ 수 있다. 줄기와 잎 ë“±ì´ ê²¨ìš¸ì— ì§€ìƒì— 남지 않는다. 매년 ì‹¹ì´ ë‹ì•„ í¬ê²Œ ìžë¼ê³  붉어 ì¼ìž¥í™ä¸€ä¸ˆç´…ì´ë¼ê³ ë„ 한다. 6월부터 8월까지 í° í‚¤ì— ì§™ì€ ë¶‰ì€ ìƒ‰, ë¶„í™ìƒ‰, í°ìƒ‰, ìžì£¼ìƒ‰ 등 화사한 ê½ƒë“¤ì´ ë¬´ë¦¬ 지어 피어 ì‹œì„ ì„ ëŒë©° 걸ìŒì„ 멈추게 한다. í™‘ê½ƒë§Œì´ ì•„ë‹Œ ê²¹ê½ƒë“¤ë„ ìžˆë‹¤.

(왼쪽) ë„2 ë‘ê·¼(æœè«, 16세기), <완고ë„玩å¤åœ–> 부분, 명明, ë¹„ë‹¨ì— ì±„ìƒ‰, 126.1×187ãŽ, 타ì´ë² ì´ê³ ê¶ë°•ë¬¼ì› ì†Œìž¥
(오른쪽) ë„3 왕시민(王時æ•, <단양묵화端陽墨花>, 1592-1680), ì²­æ·¸, 115×51.3ãŽ, 소주박물관 소장

접시꽃 – 부용芙蓉 · 촉규蜀葵 · 추규秋葵

한ìžì˜ 규葵는 í•´ë°”ë¼ê¸°ì™€ 접시꽃(촉규蜀葵), ì•„ìš±(ë™ê·œå†¬è‘µ) 등 모ë‘를 지칭한다. í•´ë°”ë¼ê¸°ë¥¼ 제외하고 규화葵花를 세분하여 우리가 접시꽃으로 부르는 ìžŽì´ ë„“ì€ ì´‰ê·œèœ€è‘µ, ìžŽì´ ë‹¨í’나무나 ì†ê°€ë½ì²˜ëŸ¼ 다섯으로 가늘게 ê°ˆë¼ì ¸ 늦게 ê½ƒì´ í”¼ëŠ” 추규秋葵, 그리고 주로 물가 주변 습한 ê³³ì— ë¶„í¬í•˜ëŠ” 부용芙蓉 등 셋으로 구분ëœë‹¤. ì¼ë³¸ì—ì„  ì´ë“¤ 모ë‘를 함께 부용으로 칭하니 ë„“ì€ ì˜ë¯¸ë¡œëŠ” ì ‘ì‹œê½ƒì— ì´ë“¤ 모ë‘ê°€ í¬í•¨ëœë‹¤.
한ìžë¬¸í™”ê¶Œì—서 ë…ë¦½ëœ ì†Œìž¬ë¡œ ì ‘ì‹œê½ƒì˜ ì¶œí˜„ì€ ë‹¹å” 8세기로 사료ëœë‹¤. 송宋 ì œ8대 휘종(徽宗, 1082-1135) 황제 회화소장목ë¡ì¸ 《선화화보宣和畫譜》엔 ì‹ ë¼ì—서 보내온 ê³µìž‘ì„ ê·¸ë¦° 변란(邊鸞, 8-9세기)ì˜ <추규>, 조광윤(åˆå…‰èƒ¤, 10세기)ì˜ <목부용>, ì£¼í™©å‘¨æ»‰ì˜ <부용>, 오대五代 ë§¤í–‰ì‚¬è³£è¡Œç¤¾ì˜ <촉규>, 송宋 í•˜ì¡´ì‚¬ä½•å°Šå¸«ì˜ <금규錦葵> 등 그림 ì œëª©ì´ ì‹¤ë ¤ìžˆë‹¤.
ì¡°ì„  후기 미술 êµê³¼ì„œ 역할로 í™”ë‹¨ì— í° ì˜í–¥ì„ 준 《개ìžì›í™”전芥å­åœ’畫傳》ì—는 세 가지 꽃과 ìžŽì˜ ì„¸ë¶€ë¥¼ 그리는 ë°©ì‹ë¿ ì•„ë‹ˆë¼ ì‹¤ì œ ìž‘í’ˆì¸ ë³€ëž€ì˜ ì¶”ê·œ, ì£¼í™©ì˜ ë‚˜ë¹„ê°€ 깃든 부용, ë§¤í–‰ì‚¬ì˜ ë² ì§±ì´ì™€ 촉규, í•˜ì¡´ì‚¬ì˜ ì´‰ê·œ 등 4ì ì´ 옮겨 그려져 ì´ë“¤ì´ 어떻게 다른가를 확연히 보여준다. 한편 중국ì—서 ë¶€ìš©ì€ ì—°ê½ƒê³¼ ì–‘ê·€ë¹„ê½ƒì„ ì¹­í•˜ê¸°ë„ í•˜ë‹ˆ, ì´ì™€ 구별해 촉규는 목부용, 양귀비는 아부용阿芙蓉ì´ë¼ 한다.

(왼쪽부터) ë„4 작가 미ìƒ, <추저수금秋渚水禽> 부분, 19세기, ë¹„ë‹¨ì— ì±„ìƒ‰, 177.3×107.3ãŽ, 타ì´ë² ì´ê³ ê¶ë°•ë¬¼ì› ì†Œìž¥
ë„5-1 ì „ 여기(16세기 중엽), 화조ë„>, ë¹„ë‹¨ì— ì±„ìƒ‰ 175×83.4ãŽ, 야마토분가간 소장
ë„5-2 ì „ ì´ì˜ìœ¤(æŽè‹±èƒ¤, 1561-1611), <백한과 꾀꼬리>, ë¹„ë‹¨ì— ì±„ìƒ‰, 152.7×55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접시꽃 그림 몇 유형 – 주연과 ë°°ê²½

ì ‘ì‹œê½ƒì€ ì‚°ìˆ˜ì¸ë¬¼í™”ì˜ ë°°ê²½ì—서 ì°¾ì„ ìˆ˜ 있다. 귀엽고 천진한 어린ì´ë“¤ì˜ ë†€ì´ ìž¥ë©´ì„ í™”í­ì— 옮긴 송宋 소한신(蘇漢臣, 12세기)ì˜ ê·¸ë¦¼ ë°°ê²½ì— ë°”ìœ„ ê³ì— í•€ ì ‘ì‹œê½ƒë“¤ì´ ë“±ìž¥í•œë‹¤. 옛 문ì¸ë“¤ì˜ 청아한 ì‚¶ì˜ ìž¥ë©´ì€ ì°¨ë¥¼ 마시거나(품다å“茶), ì„ ë¹„ë“¤ì˜ ë§Œë‚¨(문회文會), 빗소리 듣기(ì²­ìš°è½é›¨), í° ëˆˆ ê°ìƒ[賞雪], 서화 임모[摹帖], 벼루 씻기(세연洗硯), 서화골ë™ê°ìƒ(완고玩å¤) 등ì´ë‹¤. ì´ë“¤ì€ 그림 주제로 빈번하게 í™”í­ì— 옮겨졌다. 명明 ë‘ê·¼(æœè«, 15세기)ì˜ <완고ë„玩å¤åœ–>는 ë‘ ë¬¸ì¸ì´ ë„ìžê¸°ì™€ ê³ ë™ê¸°ë¥¼ 완ìƒí•˜ëŠ” 장면ì´ë‹¤. ì •ì› í•œ 모í‰ì´ ê´´ì„ ê³ ì´‰ê·œì™€ 추규는 마침 ê½ƒì´ í”¼ì–´ 한 ìŒì˜ 나비가 날아든다. 부채를 ë“  소년ì—ê² ê³¨ë™ë³´ë‹¤ ë‚˜ë¹„ì— ì‹œì„ ì´ ëŒë¦°ë‹¤(ë„2).
ê½ƒë§Œì„ ê·¸ë¦° 그림 중 <사계청향四季淸香>ì´ëž€ 작품 ì œëª©ì´ ë§í•´ì£¼ë“¯ 계절별 피는 ê°ì¢… ê½ƒì„ ê·¸ë¦° ë‘루마리나, 중국ì—ì„  잡화책雜畫冊으로 불리는 화첩ì—ì„œë„ ì ‘ì‹œê½ƒì€ ë¹ ì§€ì§€ 않는다. 화조화나 화훼초충ì—서 그리고 ì„œêµ¬ì˜ ì •ë¬¼í™”ì™€ ê°™ì€ ê½ƒë³‘ì— ë‹´ê¸´ 꽃 그림 중ì—는 청사왕四王 ë° 6대 화가(청육가淸六家)ì— ë“œëŠ” 왕시민(王時æ•, 1592-1680)ì´ 1642ë…„ 그린 <단양묵화端陽墨花>ê°€ 보여주듯 줄기가 ê³§ì€ ì ‘ì‹œê½ƒì€ ì¤‘ì•™ì„ ì í•œë‹¤(ë„3).

ë„6 <분채화조문대반粉彩花鳥文大盤>, ì²­æ·¸ 18세기, 지름 55.5ãŽ, ë†’ì´ 8ãŽ, 화정박물관 소장

화조화와 í™”í›¼ì´ˆì¶©ì˜ ì ‘ì‹œê½ƒ – êµ­ì œì  ì–‘ìƒ, ë¬¼ê°€ì— ìˆ˜ê¸ˆæ°´ç¦½ê³¼ 부용

화조화 범주로는 잘 알려진 명明 여기(å‘‚ç´€, ?-1497)ì˜ <추로부용秋鷺芙蓉>ê³¼ <추저수금秋渚水禽>ì„ ë¨¼ì € 들게 ëœë‹¤(ë„4). 둥근 보름달 ê°€ì„ ë¶€ìš©ê³¼ ê°ˆëŒ€ìˆ²ì— ê¹ƒë“  기러기 한 ìŒì´ë‹¤. ì¼ë³¸ì—서 ê³µê°œëœ ì—¬ê¸°ì˜ ì „ì¹­ìž‘ì¸ <화조ë„>는 화면 ì¢Œì¸¡ì„ ë¹„ìš´ 구성으로 ë¬¼ê°€ì— ë°±í•œç™½é·³ê³¼ 소나무와 ëª¨ëž˜í†±ì— ìžˆëŠ” 것 등 조류 3ìŒì˜ ì¤‘ì•™ì— ë§Œê°œí•œ ë¶„í™ìƒ‰ ë¶€ìš©ì´ í™”ì‚¬í•œ 분위기를 ë”한다(ë„5-1). ì´ì™€ ë”불어 ì¡°ì„  중기 í™”ë‹¨ì˜ ì¢…ì¹œ ì´ì˜ìœ¤(æŽè‹±èƒ¤, 1561-1611)ì˜ í™”ì¡°ë„ 8첩 ë³‘í’ ì¤‘ 한 í­ì¸ <백한과 꾀꼬리>는 조금 단순한 구성ì´ë‚˜ ì¹œì—°ì„±ì´ ì»¤ ì¤‘êµ­ê³¼ì˜ êµë¥˜ë¥¼ ì§ìž‘ì¼€ 한다(ë„5-2).
《고씨화보顧æ°ç•«è­œã€‹ì—ë„ ë¶€ìš©ê³¼ 함께 그려진 ê°ˆëŒ€ì— ê¹ƒë“  새가 등장하며 명明 주지면(周之冕, 16세기)ì´ 1585ë…„ 그린 <부용부압ë„鳧鴨圖>는 ì¡°ì„  ë§ ìž¥ìŠ¹ì—…ì—서 ì‚´í•„ 수 있는 ì¼ë°˜í™”ëœ ë³´íŽ¸ì ì¸ ì–‘ì‹ì´ê¸°ë„ 하다. 18세기 <분채 화조문 대반粉彩花鳥文大盤> ê°™ì€ ë„ìžê¸° 문양ì—ë„ ë“±ìž¥í•œë‹¤(ë„6). 너른 ì ‘ì‹œì— í™”ì‚¬í•œ ë¶€ìš©ì— í•œ ìŒì¸ 물ì´ìƒˆê°€ 등장한다.
접시꽃 대작들로 명초 ì ˆíŒŒæµ™æ´¾ì˜ ì°½ì‹œìžë¡œ 강한 í‘ë°±ëŒ€ì¡°ì— ë¶„ë°©í•œ ë™ì ì¸ 필치가 íŠ¹ì§•ì¸ ëŒ€ì§„(戴進, 1388ê²½-1462)ì˜ <ê·œì„협접ë„葵石蛺è¶åœ–>(ë„7)와 ì´ì„ (æŽé±“, 1686-1757)ì˜ <화조ë„>를 매우 사실ì ì¸ 묘사로 들게 ëœë‹¤. ì „ìžì—” 나비, 후ìžëŠ” ì„ë¥˜ë‚˜ë¬´ì— ê¹ƒë“  새, 그리고 ì›ì¶”리와 화면 ë‚´ ìžìƒ‰, 백색, ë¶„í™ 3ìƒ‰ì˜ ì ‘ì‹œê½ƒë“¤ì´ ì í•œ ë¹„ì¤‘ì´ í¬ë‹¤(ë„8). ì´ì„ ì€ ìƒì—…ì¤‘ì‹¬ì§€ì¸ ê°•ë‚¨ 양주ì—서 íŒŒê²©ì  êµ¬ë„, 활발하고 거침없는 필묵법으로 강한 ê°œì„±ì„ ì´ë£©í•œ 양주팔괴æšå·žå…«æ€ªì˜ 한 사람ì´ë‹¤.
왕무(王武, 1632-1690)는 몰골 ìœ„ì£¼ì¸ ìš´ìˆ˜í‰(惲壽平, 1633-1690)ê³¼ 달리 구륵으로 사ì˜í™” í™”ì¡°ì— ëŠ¥í–ˆìœ¼ë©°
시대를 ê°™ì´í•œ ë‘ ì‚¬ëžŒì€ ì„œë¡œë¥¼ 공경했다. ì™•ë¬´ì˜ <화조ë„>와 <화접ë„>는 화면 ë‚´ ì ‘ì‹œê½ƒì´ ì í•˜ëŠ” ë¹„ì¤‘ì´ í¬ë©°, ê´´ì„ê³¼ ì›ì¶”리와 백합 ë“±ì´ ê³µí†µ 소재로 ë²„ë“œë‚˜ë¬´ì— ê¹ƒë“  새가 ë‚˜ë¹„ì¸ ê²ƒë§Œ 다를 ë¿ í™”ë©´ 구성과 구ë„ê°€ 같다(ë„9).

(왼쪽부터) ë„7 대진(戴進, 1388ê²½-1462), <ê·œì„협ì ë„葵石蛺è¶åœ–>, 종ì´ì— 채색 115.7×39.8ãŽ, 타ì´ë² ì´ê³ ê¶ë°•ë¬¼ì› ì†Œìž¥
ë„8 ì´ì„ (æŽé±“, 1686-1757), <화조조>, 종ì´ì— 채색, 171.5×92.8ãŽ, ìƒí•´ì¸ë¯¼ë¯¸ìˆ ì¶œíŒì‚¬ 소장
ë„9 왕무(王武, 1632-1690), <화접ë„>, 1686ë…„, ë¹„ë‹¨ì— ì±„ìƒ‰, 122×34ãŽ, 요령성박물관 소장

ì¼ë³¸ì˜ 접시꽃 그림 – <사계화조병í’> 등 대작

ì ‘ì‹œê½ƒì€ ì¼ë³¸ì—ì„œë„ ì¦ê²¨ 그려졌다. ì‚¬ì¹´ì´ í˜¸ì´ì¸ (酒井抱一, 1761-1828)ê°€ 1815ë…„ 그린 <화병ë„花ç”圖>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í™”ë³‘ì— ê½‚ì€ ê½ƒ 중 ê³§ê³  키 í° ì ‘ì‹œê½ƒì´ ì¤‘ì‹¬ì„ ì í•œë‹¤. 다양한 조류와 화사한 ê½ƒë“¤ì„ ê·¸ë¦° 화조화나 ì¼ë ¨ì˜ 꽃 그림 중 여러 ê½ƒì„ í•¨ê»˜ 등장시킨 대작 다수가 전한다. ê±´ì¶• êµ¬ì¡°ìƒ ë‚´ë¶€ ì¹¸ë§‰ì´ ìš©ë„ì¸ í›„ìŠ¤ë§ˆ(오襖)와 ë³‘í’ ë“± 화사한 장벽화障å£ç•«ì—서 ëª…í’ˆì„ ë§Œë‚  수 있다.
셋슈 토요(雪中等楊, 1420-1506)ì˜ í›„ê³„ìžì¸ ì…‹ì† ìŠˆì¼€ì´(雪æ‘周繼, 1504ê²½-1589 ì´í›„)를 꼽게 ëœë‹¤. 그는 ì¼ë³¸ 무로마치 시대 무ì¸ê°€ë¬¸ì˜ 후ì†ì¸ 선승화가로 수묵화로 ìµœì´ˆì˜ ìží™”ìƒë„ 남겼다. 산수 외 ì¸ë¬¼ì— 능했으며 화조화ì—서 ì ‘ì‹œê½ƒì„ ì¦ê²¨ 그려 ë„치기현립박물관 ë‚´ <화조ë„> 6첩 병í’ì„ ë¹„ë¡¯í•´ ì „ì¹­ìž‘ ì¤‘ì— <부용ë„>ê°€ 전한다.
<í™ë°±ë§¤ë³‘í’>으로 유명한 오가타 코린(尾形光ç³, 1658-1716)ì˜ <부용ë„> 6첩 병í’ì€ íƒ€êµ­ì—서 유례를 찾기 힘든 í™”í’ì´ë‹¤(ë„10). 전술한 사카ì´ê°€ 1816ë…„ 그린 <사계화조병í’> 6첩 한 ìŒì— 백로 1ìŒê³¼ 수국, í¬ê³  ë‚¨ìƒ‰ì¸ ë¶“ê½ƒ 등과 함께 í¬ê³  ë¶‰ì€ ë‘ ì ‘ì‹œê½ƒì´ ë“±ìž¥í•œë‹¤(ë„11). 1854ë…„ 스츠키 기츄((鈴木其一, 1796-1858)ë„ ê°™ì€ ì–‘ìƒì´ë‹¤. ê°™ì€ ì œëª©ì˜ 2첩 1ìŒì—ë„ ìžìƒ‰ê³¼ ë¶„í™, í°ìƒ‰ 등 3ì¢…ì´ ë“±ìž¥í•œë‹¤. í•˜ë‚˜ê°™ì´ ê¸ˆì§€ì°©ìƒ‰é‡‘åœ°ç€è‰²ìœ¼ë¡œ 화려한 장ì‹ì ì¸ 그림들ì´ë‹¤.

ë„10 오가타 코린(尾形光ç³, 1658-1716), <부용ë„> 6첩 부분, 종ì´ì— 채색, 120.5×378.5ãŽ, ì´ë°ë¯¸ì¯”미술관 소장



(왼쪽) ë„11 사카ì´(酒井抱一, 1761-1828), <사계화조ë„> 6첩 부분, 1816ë…„, 종ì´ì— 채색, 162×342ãŽ, 요메ì´ë¶„ê³  소장
(오른쪽) ë„12 ì¡°ì†(趙涑, 1595-1668), <제비와 부용>, ë¹„ë‹¨ì— ìˆ˜ë¬µ, 39×26.7ãŽ, ë™ì‚°ë°© 소장

조선시대 접시꽃 그림 – 5ë°± ë…„ ì´ìƒ ì§€ì†ëœ 소재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ê³¼ ì´ì˜ìœ¤ 외, ì¡°ì†(趙涑, 1595-1668)ì˜ ã€Šì‚¬ê³„ì˜ëª¨ë„첩》 ë‚´ <제비와 부용>(ë„12), 화조화로 ëª…ì„±ì´ í° ì‹¬ì‚¬ì •(沈師正, 1707-1769)ì˜ ê°€ì§€ì™€ í™ë‹¹ë¬´ 등 채소와 나비와 ê½ƒì„ ê·¸ë¦° <화채호접花èœèƒ¡è¶>ê³¼(ë„13-1), 신명연(申命è¡, 1808-1886), 남계우(å—啓宇, 1811-1890)ì˜ <화접ë„>(ë„13-2)ì— ë¶€ìš©ì„ ì‚´í•„ 수 있다. ì´ë“¤ì€ 특별전ì—서 작품 제목과 ë„íŒ í•´ì„¤ì— ëª¨ëž€ìœ¼ë¡œ 잘못 명기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ë„13-1 심사정(沈師正, 1707-1769), <화채호접花èœèƒ¡è¶>, 종ì´ì— 채색, 26.7×19.1ãŽ,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ë„14 남계우, <꽃과 나비> 부분, 종ì´ì— 채색, 127.9×28.8ãŽ,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ë„13-2 남계우(å—啓宇, 1811-1890), <화접ë„>, ë¹„ë‹¨ì— ìˆ˜ë¬µ, 27×27ãŽ,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ì¡°ì„ ì—서 나비 ê·¸ë¦¼ì˜ ì¼ì¸ìžë¡œ ‘남 나비’란 ë³„ëª…ì„ ì–»ì€ ë‚¨ê³„ìš°ì˜ ìœ ìž‘ 중엔 나비 그림 ëŒ€ë ¨ì— ì´‰ê·œì™€ 추규를 함께 그린 ì˜ˆë„ ìžˆë‹¤(ë„14). ì¡°ì„  초부터 ë§ê¹Œì§€ ì ‘ì‹œê½ƒì€ ì¤„ê¸°ì°¨ê²Œ 그려졌다.

ì´ì›ë³µ | 미술사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학예연구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위ì›, 경기ë„박물관장 등ì„
역임하며 42ë…„ê°„ 박물관 í˜„ìž¥ì— ëª¸ë‹´ì•˜ë‹¤.
현재 ë™êµ­ëŒ€í•™êµ ê°ì›êµìˆ˜, (사)역사여성미래 ê³µë™ëŒ€í‘œ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