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ë³µ êµìˆ˜ì˜ 소재로 ì‚´í•€ 우리 옛 그림 â‘® ê³ ì–‘ì´[猫] ë‘ ì–¼êµ´, 귀염과 ë‘려움

ë„10 ë³€ìƒë²½, <ê³ ì–‘ì´ì™€ 참새>, ë¹„ë‹¨ì— ì±„ìƒ‰ 93.8×43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우리 현대화단ì—서 민화 ìž‘ê°€ë“¤ì´ ì„ í˜¸í•˜ëŠ” ë™ë¬¼ 소재로 ê³ ì–‘ì´ê°€ 있다.
묘한 ë§¤ë ¥ì„ ë½ë‚´ëŠ” ê³ ì–‘ì´, 옛 ê·¸ë¦¼ì— ì–´ë–¤ 모습으로 등장했ì„까?

글 ì´ì›ë³µ(미술사가)


ì¸ë¥˜ê°€ 남긴 ì¡°í˜•ë¯¸ìˆ ì„ ì†Œìž¬ë³„ë¡œ ì‚´í•„ 때 ë™ë¬¼ 중 ê³ ì–‘ì´ê°€ ì í•˜ëŠ” ë¹„ì¤‘ì´ ì˜ˆìƒ ì™¸ë¡œ í¬ë‹¤. ë¯¸ìˆ ë¡œì˜ ë“±ìž¥ì€ ê³ ëŒ€ì—서 ì˜¤ëŠ˜ì— ì´ë¥´ê¸°ê¹Œì§€ 오래고 길다. ì´ì§‘íŠ¸ì˜ ì¡°ê°ê³¼ 공예 ë° ë²½í™”ë¥¼ 비롯해 파울 í´ë ˆ(1879-1940)ì˜ <ê³ ì–‘ì´ì™€ 새>(ë„1)와 현대 íŒ ì•„íŠ¸ì˜ ì°½ì‹œìž ì•¤ë”” 워홀(1928-1987)ì— ì´ë¥´ë‹ˆ ìƒë‹¹ëŸ‰ì— ì´ë¥¸ë‹¤. ë¯¸ìˆ ì‚¬ì  ì˜ì˜ê°€ í° ìœ ëª…í•œ í™”ê°€ë“¤ì„ ë¹„ë¡¯í•´ 중국엔 ì§ì—…화가 ì™¸ì— í™©ì œê°€ 그린 ê³ ì–‘ì´ ê·¸ë¦¼ì´ ì „í•˜ëŠ” 등 ì ì§€ 아니한 명품åå“ë“¤ì„ ì‚´í•„ 수 있다. 우리 현대화단ì—ì„  민화 ìž‘ê°€ë“¤ì´ ì„ í˜¸í•˜ëŠ” ë™ë¬¼ 소재ì´ë‹¤.
ë² íŠ¸ë‚¨ì„ ì œì™¸í•œ, ë™ì•„시아 한ìžë¬¸í™”ê¶Œì˜ ë  ë™ë¬¼ì¸ 12ì§€æ”¯ì— ê³ ì–‘ì´ëŠ” 빠져있으나, 호랑ì´ê°€ ê³ ì–‘ì´ ê³¼ç§‘ì´ë‹ˆ ë„“ì€ ì˜ë¯¸ë¡œëŠ” í¬í•¨ëœë‹¤. 오늘날 ì‹ ì¡°ì–´ â€˜ìº£ë§˜â€™ì´ ë§í•´ì£¼ë“¯ 반려ë™ë¬¼ë¡œ ê°œì— ë²„ê¸ˆê°€ëŠ” 애완ë™ë¬¼ì´ë‹¤. í¬ê¸°ë©° 형태와 í„¸ìƒ‰ì´ ë‹¤ì–‘í•œ ì™¸ëž˜ì¢…ì´ êµ­ë‚´ë¡œ 유입ë˜ì—ˆê³ , 버려진 ‘길양ì´â€™ë¥¼ 주변ì—서 쉽게 만나게 ëœë‹¤. 40ì£¼ë…„ì„ ë§žì´í•œ 세계ì ì¸ 뮤지컬 ‘캣츠’, ìž…ê°€ì— ë§´ë„는 ë…¸ëž˜ì¸ â€˜ê²€ì€ ê³ ì–‘ì´ ë„¤ë¡œâ€™, ê³ ì–‘ì´ë¥¼ 주제로 한 다양한 ì¶œíŒë¬¼ 등 현대는 그야ë§ë¡œ ê³ ì–‘ì´ ì²œêµ­ì´ë¼ 하겠다.


“매력ì ì´ì§€ë§Œ 때로는 오싹한 시선…귀족ì ì¸ 면모…
부드럽고 우아한 움ì§ìž„, 늘 ê¹”ë”한 모습, 다양한 빛깔과 무늬, 부정할 수 없는 매력…
ë™í™”나 그림책·민담·만화·애니메ì´ì…˜ì—ë„ ë“±ìž¥í•˜ë„ë¡ í–ˆë‹¤.â€
-스테파노 츄피, 《그림 ì†ì˜ ê³ ì–‘ì´ã€‹ì—서


(왼쪽) ë„1 파울 í´ë ˆ, <ê³ ì–‘ì´ì™€ 새>, 1928ë…„, ìº”ë²„ìŠ¤ì— ìœ ì±„ 잉í¬, 38.1×53.2cm , 뉴욕현대미술관 소장
(오른쪽) ë„2 <습지ì—ì„œì˜ ì‚¬ëƒ¥ 장면>(부분), ì´ì§‘트 18대왕조(기ì›ì „ 1350ë…„ê²½), 98×83cm , ëŸ°ë˜ ì˜êµ­ë°•물관 소장


ê³ ì–‘ì´ – ìƒì§•ê³¼ 조형예술

ê³ ì–‘ì´ëŠ” 개와 달리 ì‚´ê°‘ì§€ 않으니 그래서 ‘고양ì´ì§‘사’란 다소 ìžì¡°ì ì¸ ëª…ì‚¬ë„ ìƒê²¼ë‹¤. 고대 ì´ì§‘트ì—ì„  ì²­ë™ ì¡°ê°, ì¸ì²´ì— ê³ ì–‘ì´ ë¨¸ë¦¬ë¥¼ 한 여신ìƒ(Bast), 뱀과 ì¥ ë“±ì„ ìž¡ëŠ” 등 사냥꾼 형태로 등장한다. <습지ì—ì„œì˜ ì‚¬ëƒ¥ 장면>ì€ ê¸°ì›ì „ 14세기 ì´ì§‘트 ê³ ë¶„ ë‚´ 프레스코벽화로 ì‚¬ëƒ¥ì— ë‚˜ì„  ì¸ë¬¼ì„ 중심으로 선명한 채색과 ì‚¬ì‹¤ì  í‘œí˜„ì— ê°ì¢… 조류, 물고기와 함께 ê³ ì–‘ì´ê°€ ë“±ìž¥í•˜ëŠ”ë° ê·¸ ê³ì— ë‚˜ë¹„ë„ ë³´ì—¬ ì‹œì„ ì„ ëˆë‹¤(ë„2).
서양 고대엔 ê³ ì–‘ì´ê°€ ì˜ê´‘ê³¼ ìœ„ì—„ì˜ ëŒ€ìƒ, 중세엔 ì•…ë§ˆì  ì´ë¯¸ì§€, 르네ìƒìФ 때는 í•™ìžì˜ 서재書齋부터 성화è–ç•«ì— ì„±ê°€ì¡±è–å®¶æ—ê³¼ 함께, 바로í¬ì—ì„  í‰í™”로운 ì§‘ì˜ ìƒì§•, ê³„ëª½ì£¼ì˜ ì´í›„ 미녀 등 ì¸ë¬¼ ê³ì—, ì ì°¨ 애완ë™ë¬¼ë¡œ 부르주아 ì§‘ì•ˆì˜ í•„ìˆ˜ì  ì¡´ìž¬ë¡œ 등장한다. 오늘날 ë™ì„œì–‘ 구별 ì—†ì´ ì• ì™„, 반려ë™ë¬¼ë¿ ì•„ë‹ˆë¼ ì¡°í˜•ì˜ˆìˆ ì—ì„œë„ ì „ì„±ì‹œëŒ€ë¥¼ 맞았다.
우리나ë¼ì˜ ê³ ì–‘ì´ì™€ 야옹ì´, 고대 ì´ì§‘íŠ¸ì–´ì˜ ë®¤(miu), 중국 ê³ ì „ 《시경詩經》ì—서 등장한 ‘집ì—서 기르는 여우’ ì˜ë¯¸ì˜ 묘(mao)나 ë¬˜çŒ«ë„ ìš¸ìŒì†Œë¦¬ì—서 비롯한 ì˜ì„±ì–´ì´ë‹¤. 중국ì—ì„  ëˆ„ì— ì¹˜ëŠ” ê³µê°„ì— ì¥ì˜ ì¹¨ìž…ì„ ë§‰ì„ ìš”ëŸ‰ì—서 ê³ ì–‘ì´ë¥¼ 그려 ë¶™ì´ê¸°ë„ 했다. 야행성夜行性 ë™ë¬¼ë¡œ ì–´ë‘ ì—ë„ ë³¼ 수 있어 ì•…ë ¹ì„ ì«“ì„ íž˜ì„ ì§€ë‹Œ 존재로 믿었다.
í•œÂ·ì¤‘Â·ì¼ 3êµ­ì€ í•œìžë¬¸í™”ê¶Œì—ì„  ê³ ì–‘ì´ì™€ 나비와 êµ­í™” 그리고 바위를 함께 그렸다. ê³ ì–‘ì´ì¸ 묘猫와 70ì„ ì¹­í•˜ëŠ” 모耄, ë‚˜ë¹„ì¸ ì ‘è¶ê³¼ 80ì„ ì˜ë¯¸í•˜ëŠ” ì§ˆè€‹ì˜ ì¤‘êµ­ì–´ ë°œìŒì´ ê°™ê¸°ì— ì´ë¥¼ 차용借用해 ì˜ë¯¸ë¥¼ ì½ì–´ë‚¸ë‹¤. 한ìžëŠ” 뜻글ìž[è¡¨æ„æ–‡å­—]ì´ê¸°ì— ê³ ì–‘ì´ì™€ 나비를 함께 한 <묘접ë„猫è¶åœ–>를 <모질ë„耄耋圖>로, 10장ìƒé•·ç”Ÿì— ì†í•œ 바위와 함께 그려 <모수ë„耄壽圖> ì˜ë¯¸ë¡œ 축수ç¥å£½ë¥¼ 기ì›í–ˆë‹¤. 마찬가지로 국화와 함께 그리면 êµ­èŠì˜ ë°œìŒì´ 거居와 같아 국화를 사랑한 ì§„æ™‰ì˜ ë„연명(陶淵明, 365-427)ê³¼ ì—°ê´€ëœë‹¤. 그는 ì „ì›ì‹œì¸ìœ¼ë¡œ ëª…ë¬¸åæ–‡ì¸ ‘귀거래사歸去來辭’와 ë™ì•„시아 파ë¼ë‹¤ì´ìŠ¤ì¸ ë¬´ë¦‰ë„ì›æ­¦é™µæ¡ƒæºì˜ ì§„ì›ì¸ ‘ë„í™”ì›ê¸°æ¡ƒèбæºè¨˜â€™ë“±ì´ 유명하다. 국화·고양ì´Â·ëŒì´ 함께 그려지면 ‘ì€ê±°í•˜ì—¬ 장수를 누림’으로 ì´í•´í•œë‹¤.


(왼쪽) ë„3 ì „ ëª¨ìµæ¯›ç›Š, <접시꽃 아래 ê³ ì–‘ì´>, 12세기, ë¹„ë‹¨ì— ì±„ìƒ‰, 25.3×25.8cm , ì¼ë³¸ 야마토분가간 소장
(오른쪽) ë„4 명 선종宣宗, <ê´´ì„ ì•„ëž˜ ê³ ì–‘ì´>, 1399-1435, 종ì´ì— 채색, 41.5×39.3cm , 타ì´ë² ì´ ê³ ê¶ë°•ë¬¼ì› ì†Œìž¥


중국과 ì¼ë³¸ì˜ ê³ ì–‘ì´ ê·¸ë¦¼ – ë…ë¦½ëœ ì†Œìž¬ë¡œ 오랜 역사

ì¤‘êµ­ì€ ë‹¹å” 8세기 ì´í›„ 위무첨(韋無å¿, 8세기), 변란(邊鸞, 8-9세기), 조광윤åˆå…‰èƒ¤, 오대五代 ì´ì• ì§€(æŽé„之, 10세기) 등 í™”ì¡°í™”ì— ëŠ¥í•œ ì´ë“¤ì´ 모란·월계화·접시꽃·대나무·ì›ì¶”리·패랭ì´ê½ƒ 등 í™”ëª©èŠ±æœ¨ì„ ë°°ê²½ìœ¼ë¡œ ê³ ì–‘ì´ë¥¼ 그려 ì´ë¦„ì„ ë‚¨ê¸´ ì´ë“¤ì´ 여럿ì´ë‹¤. 송대엔 어린ì´ë“¤ì´ 어린 ê³ ì–‘ì´ë¥¼ 지켜보는 <ë™ì¼ì˜í¬ë„冬日嬰戱圖>ê°€ 전한다. 때로는 벌·나비·참새를 노리거나 물고기를 ìž…ì— ë¬¸ 모습, 무리를 ì´ë£¨ê±°ë‚˜ 어미 ì£¼ë³€ì˜ ìƒˆë¼ë“¤ë¡œ ì§™ì€ ëª¨ì„±ì• ë¡œ 따스하고 따스한 ê°€ì •ì„ ë– ì˜¬ë¦¬ê²Œ 한다. ì´ëŠ” ë™ì•„시아 ì‚¼êµ­ì´ í¬ê²Œ 다르지 않다. 사군ìžå››å›å­ 화목처럼 ì§ì—…화가와 문ì¸í™”ê°€ 모ë‘ê°€ ì¦ê²¨ 그린 소재ì´ë‹¤.
ì¼ë³¸ 중요문화재로 ì§€ì •ëœ ì†¡å®‹ 모ìµ(毛益, 12세기) 그림으로 전하는 한 ìŒì˜ 그림엔 ê°ê¸° ê³ ì–‘ì´ì™€ ê°œ ê°€ì¡±ì´ ì£¼ì¸ê³µì´ë‹¤. ì´ ì¤‘ <접시꽃 아래 ê³ ì–‘ì´[蜀葵éŠçŒ«]>는 접시꽃 아래 í° ì–´ë¯¸ ê³ ì–‘ì´ì™€ 털색과 무늬가 ê°ê¸° 다른 네 ìƒˆë¼ ê³ ì–‘ì´ê°€ 등장한다(ë„3). ì´ë¥¸ë°” 화려한 ì±„ìƒ‰ì— ì„¬ì„¸í•œ í•„ì„  등 남송 ì›ì²´í™”í’é™¢é«”ç•«é¢¨ì˜ ì „í˜•ì´ë‹¤. 강아지엔 땅강아지가, ê³ ì–‘ì´ ì£¼ë³€ì—” 나비가 등장하여 í‰ì•ˆí•˜ê³  í‰í™”로운 분위기로 나비와 ê³ ì–‘ì´ ë° ê´´ì„ ë“± 장수를 기ì›í•˜ëŠ” 소박한 ë°”ëžŒë„ ë‹´ê²¨ìžˆë‹¤.
명明 5대 í™©ì œì¸ ì„ ì¢…å®£å®— 주섬기(朱è´åŸº, 1399-1435)는 ë¶ì†¡ì˜ 8대 황제 휘종徽宗 조길(趙佶, 1082-1135)ë§Œí¼ ì„œí™”ë¥¼ ì¦ê²¼ë‹¤. 황실 ì •ì› í•œ ìžë½ ì •ê²½ì¸ ì–‘ 국화를 함께 한 ìŒì˜ ê³ ì–‘ì´ë¥¼ 그린 <ê´´ì„ ì•„ëž˜ ê³ ì–‘ì´[花下è²å¥´]>를 남겼다(ë„4). í° ê·¸ë¦¼ì€ ì•„ë‹ˆë‚˜ 유려하고 섬세한 필치로 ì¤„ë¬´ëŠ¬ì— ê²€ì€ ì–¼êµ´ê³¼ í°í„¸ì´ ë§Žê³  í° ì–¼êµ´ì˜ ë‘ ë…€ì„ì€ ì•™ì¦ë§žê³  귀여운 ëª¨ìŠµì— ë†€ëž€ 듯 í˜¸ê¸°ì‹¬ì´ ì–´ë¦° í‘œì •ì´ ìž˜ 드러난다.
명대 문ì¸í™”ê°€ 심주(沈周, 1427-1509)는 68세(1494ë…„) 때 《사ìƒì²©å¯«ç”Ÿå¸–ã€‹ì„ ê·¸ë ¸ë‹¤. ë‹­ê³¼ 연꽃 등 주변ì—서 접하기 쉬운 ë™ë¬¼ê³¼ 꽃 등 16í­ìœ¼ë¡œ 구성ë˜ì—ˆë‹¤. ì´ ì¤‘ ì œ3í­ì€ ë°°ê²½ ì—†ì´ ê·¸ë¦° <ê³ ì–‘ì´>ì´ë‹¤(ë„5). ì´ í™”ì²© ë‚´ 다른 그림들과 마찬가지로 윤곽선 ì—†ì´ ëª°ê³¨ë¡œ ì‹ ì†í•˜ê²Œ 그렸다. ì¼ìƒì—서 ì´ë“¤ ì†Œìž¬ì— ëŒ€í•œ í™”ê°€ì˜ ë‚¨ë‹¤ë¥¸ ì• ì •ê³¼ 관심, ê´€ì°°ë ¥ì´ ì‘ì¶•ëœ ì™„ìˆ™í•œ 그림으로 ì†ê¸° 없는 ë§‘ê³  담백한 마ìŒì´ 전해진다. ê³ ì–‘ì´ê°€ 잘 취하는 모습으로 잔뜩 ëª¸ì„ ì›…í¬ë ¤ ê³µ ê°™ì€ í˜•íƒœì´ë©° 세로로 길고 가는 ê²€ì€ ë™ìžëŠ” 그린 시기가 환한 ë°ì€ ë•Œìž„ì„ ì•Œ 수 있다. 종ì´ì— 먹만으로 그렸으나 ì†ë„ê° ìžˆëŠ” 필치와 ë†ë‹´ì²˜ë¦¬ê°€ ë‹ë³´ì´ë©° 화면 ì¼ì • ê³µê°„ì„ ì í•œ 제사題詞는 ê°ì§€ëœë‹¤. ì´ ê°™ì€ ì–‘ìƒì€ ì²­æ·¸ ê°œì„±ì£¼ì˜ í™”ê°€ëŠ” 물론 ì¡°ì„ ì—ì„œë„ ì‚´í•„ 수 있다.
í™”ì¡°í™”ì— ëŠ¥í–ˆê³  ê³ ì–‘ì´ ê·¸ë¦¼ë„ ì¦ê²¨ 그린 ì²­æ·¸ 심전(沈銓, 1682-1760ê²½)ì€ ì¼ë³¸ì— 머물며 그곳 í™”ë‹¨ì— ì˜í–¥ì„ ë¼ì³¤ë‹¤. ì´ì›ƒ 나ë¼ì™€ 비êµí•  때 ì›ìˆ­ì´ë¥¼ ì¦ê²¨ 그린 ì¼ë³¸ì€ ìƒëŒ€ì ìœ¼ë¡œ ê³ ì–‘ì´ëŠ” 드문 ë™ë¬¼ 소재ì´ë‹¤. 복과 장수를 기ì›í•œ 모리 ìž…í¬[森一鳳, 19세기]ì˜ <ê³ ì–‘ì´ì™€ ë°•ì¥[猫è™è åœ–]>와(ë„6) 무사武士ì´ìž 난초 í•™ìžì´ë©° í™”ê°€ì¸ ì™€íƒ€ë‚˜ë²  ì¹´ìž”[渡邊崋山, 1793-1841]ì˜ ë©”ëšœê¸°ë¥¼ 노리는 <ê³ ì–‘ì´> ë“±ì´ ì•Œë ¤ì ¸ 있다. ì¼ë³¸ 중요미술품으로 ì§€ì •ëœ í›„ìžëŠ” ì´ë°ë¯¸ì¸  미술관서 개최한 ‘ì¼ë³¸ì˜ 회화백선’(1983.10.15.-1984.2.15) 기íšì „ì—ë„ ì¶œí’ˆë˜ì—ˆë‹¤(ë„7). 19세기 중엽 ì„íŒí™”와 ì¼ë³¸ì—서 태어나 프랑스ì—서 활ë™í•œ 츠구하루 후지타(1886-1968)ì˜ <ìž ìžëŠ” ê³ ì–‘ì´>ë„ ì „í•˜ë‚˜, í—¤ì´ì•ˆ 시대 ë§ê¸°ì¸ 12세기 ì›ìˆ­ì´Â·í† ë¼Â·ì¥Â·ê°œêµ¬ë¦¬Â·ì—¬ìš° ë“±ì„ ì˜ì¸í™”한 í’ì†ì  ì„±ê²©ì´ ì§™ì€ <쵸주기가[é³¥ç¸æˆ²ç•«]> ë‘루마리[å·]ì—ë„ ê³ ì–‘ì´ê°€ ë³´ì´ì§ˆ 않는 ì ì—ì„œë„ ì´ë¥¼ ìž…ì¦í•œë‹¤.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ë„5 심주, <ê³ ì–‘ì´>, 1494ë…„, 종ì´ì— 수묵, 34.7×55.4cm , 타ì´ë² ì´ ê³ ê¶ë°•ë¬¼ì› ì†Œìž¥
ë„7 와타나베 ì¹´ìž”, <ê³ ì–‘ì´>, ë¹„ë‹¨ì— ìˆ˜ë¬µë‹´ì±„, 101×32.4cm , ì¼ë³¸ ì´ë°ë¯¸ì¸ ë¯¸ìˆ ê´€ 소장
ë„6 모리 ìž…í¬, <ê³ ì–‘ì´ì™€ ë°•ì¥>, 19세기, 종ì´ì— 수묵담채, 35.8×52.8cm , ì¼ë³¸ 센오쿠하쿠코간 소장


ìš°ë¦¬ë‚˜ë¼ ê³ ì–‘ì´ ê·¸ë¦¼ -문ì¸ê³¼ í™”ì› ëª¨ë‘ ì¦ê²¨ 그림

토기 í‘œë©´ì— ë¶€ì°©í•œ ì‹ ë¼ í† ìš°åœŸå¶ ì¤‘ 매우 드문 예ì´ë‚˜ ê³ ì–‘ì´ë„ ë³´ì¸ë‹¤(ë„8). ì¡°ì„ ë°±ìží‘œë©´ì— 청화로 그린, ì¼ë°˜ì ìœ¼ë¡œ 호랑ì´ì™€ 까치[虎鵲]무늬로 간주ë˜ëŠ” í•­ì•„ë¦¬ì— í˜¸ëž‘ì´ê°€ 아닌 드문 ê³ ì–‘ì´ì™€ 까치가 ê°ê¸° 2마리씩 등장한다(ë„9). 조선왕조 ì´ì „ 그림ì—ì„  ê³ ì–‘ì´ë¥¼ 찾아보기 어렵다. 16세기 ì´í›„ 조선왕조 ì „ì²´ì— ê±¸ì³ ê³ ì–‘ì´ ê·¸ë¦¼ì´ í˜„ì¡´í•œë‹¤. 그림으론 당당한 주ì¸ê³µ, ê³ ì–‘ì´ì™€ 강아지가 함께 그린 것, í’ì†í™” 등 화면 모í‰ì´ë¥¼ ì í•œ ê³ ì–‘ì´ ë“± í¬ê²Œ 세 가지로 분류ëœë‹¤. ë™ë¬¼ 그림 ê°€ìš´ë° ì†ŒÂ·ë§Â·ê°œ ·호랑ì´Â·ë‹­ 등 ë  ë™ë¬¼ì€ 빈번히 그렸다. ê³ ì–‘ì´ëŠ” 토ë¼ì™€ ì›ìˆ­ì´ë‚˜ 뱀과 ì¥ë³´ë‹¤ëŠ” ë§Žì´ ê·¸ë ¤ì§„ 듯 ì „ëž˜ëœ ìž‘í’ˆì´ ìˆ˜ì ìœ¼ë¡œë„ 우세ì´ë‹¤.
ì¡°ì„  ê·¸ë¦¼ì˜ íŠ¹ì§•ê³¼ ë…ìžì„±ì´ ë‘드러진 진경산수와 í’ì†í™”ê°€ í¬ê²Œ 유행한 ì¡°ì„  후기화단(1700ê²½-1850ê²½)ì— ì‚¬ì‹¤ì ì¸ í™”í’ì˜ ë™ë¬¼í™”ë„ í° ë³€í™”ë¥¼ ë³´ì¸ë‹¤. 한 소재로 ì´ë¦„ì„ ì–»ì€ ì§ì—…í™”ê°€ë“¤ì´ í™”ë‹¨ì„ í™”ì‚¬í•˜ê²Œ 장ì‹í•œë‹¤. 매를 잘 그려 최 메추리[崔鶉]로 불린 최ë¶(崔北, 1712-1786 ì´í›„), ì •í™ëž˜(鄭弘來, 1791-1851 ì´í›„)ì˜ ë§¤, ê¹€ë‘량(金斗樑, 1696-1763)ì˜ ê°œ, 장한종(張漢宗, 1768-1815)ì˜ ë¬¼ê³ ê¸° 등ì´ë©°, ì´ˆìƒí™”ì— ë›°ì–´ë‚œ ë³€ìƒë²½(åžç›¸ç’§, 1730-)ì€ ê³ ì–‘ì´ì™€ ë‹­ ê·¸ë¦¼ì„ ìž˜ 그려 ‘변 ê³ ì–‘ì´â€™ì™€ ‘변계åžé·„’란 ë³„ëª…ì„ ì–»ì—ˆë‹¤. 현존하는 여러 ê³ ì–‘ì´ ê·¸ë¦¼ 중 <ê³ ì–‘ì´ì™€ 참새[猫雀]>ê°€ 대표작ì´ë‹¤(ë„10). 조선시대 ê³ ì–‘ì´ ê·¸ë¦¼ ëª…í’ˆì€ ë‹¤ìŒê³¼ 같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ë„8 <ê³ ì–‘ì´ í† ìš°>, ì‹ ë¼, 4.2cm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ë„11 ì´ì•”, <ê³ ì–‘ì´ì™€ ê°•ì•„ì§€>, 종ì´ì— 채색 87×44cm , ë¶í•œ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ë„9 <ë°±ìž ì²­í™” ê³ ì–‘ì´ ê¹Œì¹˜ 무늬 항아리>, 18-19세기, ë†’ì´ 44.1m, ì¼ë³¸ 오사카시립ë™ì–‘ë„ìžë¯¸ìˆ ê´€ 소장



(왼쪽부터) ë„12 ì •ì„ , <ê°€ì„ë‚  한가로운 ê³ ì–‘ì´>, 1742ë…„, ë¹„ë‹¨ì— ì±„ìƒ‰, 30.5×20.8cm ,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ë„14 신윤복, <ê³ ì–‘ì´ì™€ ê°œ>, ë¹„ë‹¨ì— ë‹´ì±„, 31.8×16.8cm , ì´í™”여대박물관 소장



종친宗親으로 강아지와 ê³ ì–‘ì´ ê·¸ë¦¼ì— ëŠ¥í•œ ì´ì•”(æŽå·–, 1507-1566)ì˜ <ê³ ì–‘ì´ì™€ ê°•ì•„ì§€[花鳥猫狗]>(ë„11)는 병í’ì—서 떨어져 ì‚°ë½ëœ 것으로 현재 3ì ì´ 확ì¸ëœë‹¤. 화사한 ì„ í™é®®ç´… ë™ë°±ì´ ë‘드러진다. ì¡°ì„ ì˜ í™”ì„±ç•«è– ì •ì„ (鄭敾, 1676-1759)ì˜ 8í­ìœ¼ë¡œ ëœ ã€Ší™”í›¼ì˜ëª¨ì´ˆì¶©ì²©ã€‹ì— ì†í•œ 명품으로 í•진한 묘사가 확연한 <ê°€ì„ë‚  한가로운 ê³ ì–‘ì´[秋日閑猫]>(ë„12), ê·€ì–‘ê¸¸ì— ì¹œêµ¬ì˜ ìž¥ìˆ˜ë¥¼ 기ì›í•˜ë©° 그린 김정í¬(金正喜, 1786-1856)ì˜ <모질ë„耄耋圖> 등ì´ë‹¤.
ê¹€í™ë„(金弘é“, 1745-1806ê²½)ì˜ ì„¬ì„¸í•œ í•„ì¹˜ì— ì±„ìƒ‰ì´ ë‹ë³´ì´ëŠ” <노란 ê³ ì–‘ì´ê°€ 나비를 놀리다[黃猫弄è¶]>(ë„13), 신윤복(申潤ç¦, 1758?-1813ì´í›„)ì˜ í˜„ìž¬ 3ì ì´ 확ì¸ë˜ëŠ” 《ì˜ëª¨ë„ì²©ã€‹ì— ì†í–ˆë˜ 서로 으르ë ëŒ€ëŠ” <ê³ ì–‘ì´ì™€ ê°œ[猫犬圖]>(ë„14), ê¹€ë“ì‹ (金得臣, 1754-1822)ì˜ <병아리를 훔치는 ê³ ì–‘ì´[野猫盜雛]> 등 í’ì†í™”ì˜ 3대가, 기우는 조선왕조 ë§ê¸° í™”ë‹¨ì„ í™”ë ¤í•˜ê²Œ 장ì‹í•œ 장승업(張承業, 1843-1897)ì€ ì—¬ëŸ¬ 대작 ì˜ëª¨ë³‘í’ì— í˜•íƒœì™€ ìžì„¸ê°€ 다양한 ê³ ì–‘ì´ë¥¼ ì‚´í•„ 수 있다. ì¡°ì„ ì„ ëŒ€í‘œí•˜ëŠ” 거장巨匠과 ëŒ€ê°€å¤§å®¶ë“¤ì˜ ê³ ì–‘ì´ ê·¸ë¦¼ ê±¸ìž‘ì€ ìš°ë¦¬ ê·¸ë¦¼ì˜ ë†’ì€ ê²©ì¡°ì™€ 위ìƒì„ 대변한다. 단 ë¯¼í™”ì˜ ë™ë¬¼ 소재 중 ê³ ì–‘ì´ëŠ” 드문 편ì´ë‹¤.


ë„13 ê¹€í™ë„, <노란 ê³ ì–‘ì´ê°€ 나비를 놀리다>, 종ì´ì— 채색, 30.1×46.1cm ,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ì´ì›ë³µ | 미술사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학예연구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위ì›,
경기ë„박물관장 ë“±ì„ ì—­ìž„í•˜ë©° 42ë…„ê°„ 박물관 í˜„ìž¥ì— ëª¸ë‹´ì•˜ë‹¤.
현재 ë™êµ­ëŒ€í•™êµ ê°ì›êµìˆ˜, (사)역사여성미래 ê³µë™ëŒ€í‘œ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