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ë³µ êµìˆ˜ì˜ 소재로 ì‚´í•€ 우리 옛 그림 â‘­ ì˜ì§€éˆèŠ ìž¥ìˆ˜ì™€ ë¶ˆë¡œì˜ ë¬¸ìž¥ç´‹ç« 

ì¼ì°ë¶€í„° ë™ì•„시아ì—서 약재藥æë¡œ ì‚¬ìš©ëœ ì˜ì§€ëŠ” 오랜 세월 신령스러운 ì‹ë¬¼ë¡œ 여겨왔다.
‘지초èŠè‰â€™ë¡œë„ 불렸고 마르면 단단한 채로 유지ë˜ì–´ ‘불로초ä¸è€è‰â€™ë‚˜,
ìƒì„œë¡œìš´ 것으로 ‘복초ç¦è‰â€™ë¼ 지칭ë˜ê¸°ë„ 한다.

글 ì´ì›ë³µ (미술사가)


길ìƒå‰ç¥¥ ë°”ëžŒì— ì˜ì§€ë¥¼ 장신구로 ì˜·ì— ë§¤ë‹¬ì•˜ë‹¤. 옥ì´ë‚˜ ê¸ˆì† ë° ë‚˜ë¬´ë¡œ 만든 ì—¬ì˜å¦‚æ„는 ì˜ì§€ë¥¼ 모방한 형태로 ë³´ê¸°ë„ í•œë‹¤. ìƒë¥˜ì¸µ ê·€ì¸è²´äººì´ 휴대했고(ë„1), 사찰ì—서 ìŠ¤ë‹˜ì´ ë…경讀經과 설법할 때 지니는 성스러운 물건ì´ì—ˆë‹¤(ë„2).
10장ìƒé•·ç”Ÿì— í¬í•¨ëœ ì˜ì§€ëŠ” 장수長壽와 불로ä¸è€ì˜ ìƒì§•으로 ì¡°í˜•ë¯¸ìˆ ì— ì¼ì°ë¶€í„° 등장한다. 중국 명明 ì´í›„ ê·¸ë¦¼ì´ ì „í•˜ë©°, 기명절지화器皿折æžç•«ì—서 다른 소재와 함께 등장한다. 드물지만 ì˜ì§€ëŠ” ë…립 ì£¼ì œë¡œë„ ê·¸ë ¤ì¡Œë‹¤. ë²— ì‚¬ì´ ë§‘ê³  향기로운 고귀한 사ê·ì„ 뜻하는 ‘지란지êµèŠè˜­ä¹‹äº¤â€™ê°€ 암시하듯 난초와 함께, ë˜ëŠ” 소나무·매화·수선화 등과 함께 ê·¸ë¦¬ê¸°ë„ í•œë‹¤.


(위) ë„1 <입지여ì˜ç«‹æŒå¦‚æ„> 부분, ì²­æ·¸, í•„ìžë¯¸ìƒ, ë¹„ë‹¨ì— ì±„ìƒ‰, 12미ì¸ë„ 중
(아래) ë„2 <ì—¬ì˜å¦‚æ„>, ì²­æ·¸, 18세기, ê¸¸ì´ 50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ì˜ì§€ì™€ 신선神仙 – ì‹ ì„  주변, ë²„ì„¯ì˜ ì¼ì¢…

ì˜ì§€ëŠ” 모균류帽èŒé¡žì— ì†í•˜ëŠ” ë²„ì„¯ì˜ í•œ 종류다. ë¶ë°˜êµ¬ì˜ 온대 ì§€ë°©ì— ì‚¬ëŠ” 활엽수 그루터기ì—서 주로 ìžëž€ë‹¤. 키는 10cm 내외로 마르면 매우 단단해져 마치 광물질처럼 ë³´ì¸ë‹¤. 둥근 ì‚¿ê°“ì˜ ê²‰ì€ ë¶‰ì€ìƒ‰Â·ìžì¤ë¹›Â·ê°ˆìƒ‰ìœ¼ë¡œ ê³ ìš´ 때깔ì´ë©°, ë°‘ë©´ì€ í™©ë°±ìƒ‰ì´ë‹¤. ì‚¿ê°“ì˜ ì§€ë¦„ì€ 5cm부터 20cmê°€ 넘는 ê²ƒë„ ìžˆë‹¤.
오랜 세월 경험과 ë™ë¬¼ì‹¤í—˜ ë° ì‹¤ì œ ìž„ìƒì‹¤í—˜ì„ 통해 ì˜ì§€ì˜ 여러 íš¨ëŠ¥ì´ ë°í˜€ì¡Œë‹¤. 거담去痰, 천ì‹å–˜æ¯ 등 기관지 ê³„í†µì˜ ì§ˆë³‘ì— íš¨ê³¼, 만성 ê°„ì—¼ì´ë‚˜ ê°ì¢… 알레르기 ë° ì‹¬ìž¥ë³‘ì— ì¢‹ìœ¼ë©° í•­ì•” 작용까지 ë°í˜€ì¡Œë‹¤. 오늘날 ê±´ê°•ì‹í’ˆìœ¼ë¡œ ê°ê´‘ 받게 ëœ ì˜ì§€ëŠ” 가공한 ìŒë£Œìˆ˜ë¡œ 개발ë˜ëŠ” 등 ì¸ê³µìž¬ë°°ë¥¼ 통해 다량으로 ìƒì‚°í•œë‹¤.
ë™ì–‘ì— ìžˆì–´ì„œëŠ” 오래 살거나 죽지 않는 ì—´ 가지를 ‘십장ìƒâ€™ì´ë¼ 지칭한다. 해·산·물·ëŒÂ·êµ¬ë¦„ 등 다섯, ë™ë¬¼ë¡œëŠ” ê±°ë¶Â·í•™Â·ì‚¬ìŠ´ì˜ ì…‹, ì‹ë¬¼ë¡œëŠ” 소나무와 ì˜ì§€ ë‘˜ì„ ê¼½ì•˜ë‹¤. 십장ìƒì— í¬í•¨ëœ ì˜ì§€ëŠ” ì„채石彩를 사용한 화려한 ê¶ì¤‘장ì‹í™”ì¸ <ì¼ì›”5ë´‰ë„>·<ì¼ì›”천ë„ë„æ—¥æœˆå¤©æ¡ƒåœ–>(ë„3)·<10장ìƒë„>·<ë°˜ë„ë„蟠桃圖> ë“±ì— ë“±ìž¥í•œë‹¤. ì¡°ì„  í›„ê¸°ì— ì´ë¥´ë©´ 특히 문ì¸í™”ì˜ ì†Œìž¬ë¡œ 매화·난초·국화·대나무 등 <사군ìž>나 소나무 못지않게 ì¦ê²¨ 그려진 ì‹ë¬¼ì´ë‹¤. ë•…ì— ìžë¼ë‚œ ì˜ì§€ ì™¸ì— ì‚¬ìŠ´ì´ë‚˜ ë‘루미[é¶´] ë¶€ë¦¬ì— ë¬¼ë¦° í˜•íƒœë„ ìžˆë‹¤.


(왼쪽) ë„3 <ì¼ì›”천ë„ë„æ—¥æœˆå¤©æ¡ƒåœ–> 부분, 미ìƒ(19세기), ë¹„ë‹¨ì— ì±„ìƒ‰, 330×270.8cm, 국립고ê¶ë°•물관 소장
(오른쪽) ë„4 <마고채지麻姑èœèŠ>, ì„ê²½(石敬, 1440-?), ë¹„ë‹¨ì— ì±„ìƒ‰, 21.9×19.0cm,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ë™ì•„시아ì—는 ê³µìžå­”å­ì˜ ê°€ë¥´ì¹¨ì¸ ìœ êµå„’敎와 ë„êµé“敎가 공존한다. ì´ë“¤ 사ìƒì€ ì‚¶ ì†ì—서 서로 절충 ì¡°í™”ë˜ì–´ ì´ì–´ì¡Œë‹¤. ê³µìžë³´ë‹¤ ì„ ë°°ì¸ ë…¸ìžè€å­ê°€ 창시한 ë„êµëŠ” 정치 ì² í•™ì´ìž 윤리를 강조한 유êµì™€ 달리 ì¸ìœ„ì ì¸ ê²ƒì„ ë°°ê²©í•˜ê³  ìžì—°ì˜ íë¦„ì— ë§¡ê¸°ëŠ” 사유체계ì´ë‹¤. 예술ì¸ì˜ ì •ì‹ ì ì¸ 모태로서 문학과 서화 등 예술 ì°½ìž‘ì— í° ì˜í–¥ì„ ë¼ì³¤ë‹¤.
무위ìžì—°ç„¡çˆ²è‡ªç„¶ì—서 불로장ìƒä¸è€é•·ç”Ÿì´ë‚˜ ì‹ ì„  ì‚¬ìƒ ë“± 신비화 ê³¼ì •ì„ ë°Ÿì€ ë„êµëŠ” ì˜ìƒæ°¸ç”Ÿì˜ 바람ì—서 여러 ì•½è—¥ì„ ë§Œë“¤ê¸°ë„ í–ˆë‹¤. ë˜í•œ 전설ì ì´ë©° ì‹ í™”ì ì¸ ì‹ ì„ ë“¤ë„ ì—´ê±°í–ˆë‹¤. ëª…ë§æ˜Žæœ« í™ìžì„±æ´ªè‡ªèª ì´ 편찬한 《í™ì”¨ì„ ë¶ˆê¸°ì¢…æ´ªæ°ä»™ä½›å¥‡è¹¤ã€‹ì€ ë„êµ ì‹ ì„ ê³¼ ë¶ˆêµ ê³ ìŠ¹ë“¤ì„ ì•½ì „ç•¥å‚³ê³¼ 함께 ë„ìƒåœ–åƒìœ¼ë¡œ 구성ë˜ì—ˆë‹¤. 약초를 ìºëŠ” ì‹ ì„ ë“¤ì´ í—ˆë¦¬ëˆì— ì°¬ ì‹ë¬¼ ì¤‘ì— ì˜ì§€ê°€ ë³´ì¸ë‹¤.
ì¡°ì„  ì´ˆ ì„ê²½(石敬, 1440-?)ì˜ <마고채지麻姑èœèŠ>ì— ì„ ë…€ 마고麻姑가 지닌 바구니ì—ë„ ì˜ì§€ê°€ 담겨있다(ë„4). ë‹¹å” ë•Œ ìƒì¸ì˜ 딸로 복숭아를 먹고 선녀가 ëœ í•˜ì„ ê³ ä½•ä»™å§‘ëŠ” 8ì„ ä»™ 중 유ì¼í•œ 여성ì´ë‹¤. 그녀는 ì†ì— 복숭아를 들거나 연꽃 ë˜ëŠ” ì˜ì§€ë¥¼ ë‹´ì€ ë°”êµ¬ë‹ˆë¥¼ ì§€ë‹ˆê¸°ë„ í•œë‹¤. ì´ë“¤ ì—¬ì¸ ëª¨ìŠµì˜ ì„ ë…€ë“¤ 외 여러 신선들 그림ì—ì„œë„ ì˜ì§€ë¥¼ ì‚´í•„ 수 있다. ì‹ ì„ ì´ ì•„ë‹ˆë¼ë„ 약초를 ìºëŠ” ì€ì‚¬ 그림ì—ì„œë„ ì˜ì§€ë¥¼ ì—¿ë³¼ 수 있다. ì²˜ìŒ ì‹ ì„ ë„로 í™”ê°€ì˜ ì´ë¦„ì„ ì–»ì–´ ë‹¤ë°©ë©´ì— ë‘루 능한 â€˜ì¡°ì„ ì˜ í™”ì„ ç•«ä»™â€™ ê¹€í™ë„(金弘é“, 1745-1806ê²½)는 ì‹ ì„ ë„를 다수 남겼다. 1779ë…„ 그린 ì‹ ì„ ë„ 8í­ ë³‘í’ì—” í’ìˆ˜ì§€ë¦¬ì˜ ëŒ€ê°€ì¸ ì§€ì‚¬åœ°å¸«ë¡œ 사슴과 함께 그려진 <청오ìžé‘çƒå­>(ë„5)·피리 부는 ì‹ ì„ ì¸ <ì„ ë™ì·¨ì ä»™ç«¥å¹ç¬›>(ë„6) 등ì—서 ì˜ì§€ë¥¼ 찾아볼 수 있다. 민화 ë²”ì£¼ì˜ ì‹ ì„ ë„ì—ì„œë„ ì˜ì§€ë¥¼ ë°›ì³ ë“  ë™ìž ë“±ë„ ìžˆë‹¤.

지초와 난초를 ê¿°ì–´ 차다[纫佩èŠè˜­].



(왼쪽) ë„5 <청오ìžé‘çƒå­>, ê¹€í™ë„, 1779ë…„, ë¹„ë‹¨ì— ì±„ìƒ‰, 130.7×57.6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오른쪽) ë„6 <ì„ ë™ì·¨ì ä»™ç«¥å¹ç¬›>, ê¹€í™ë„(金弘é“, 1745-1806ê²½), 종ì´ì— 담채, 106.1x51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국과 ì¼ë³¸ì˜ ì˜ì§€ 그림 – 세조청공ë„(æ­²æœæ·¸ä¾›åœ–) 외 문ì¸í™” ë²”ì£¼ì˜ ì†Œí’ˆ

ë™ì•„시아 삼국ì—서 소나무와 ì˜ì§€ë¥¼ 함께 ì§ì„ ì´ë£¸ì€ ìƒë¡ìˆ˜ë¡œ ìžŽì´ ì‹±ê·¸ëŸ½ê³  푸른 소나무는 ‘새해’를, ì˜ì§€ëŠ” ê·¸ ëª¨ìŠµì´ ì—¬ì˜å¦‚æ„와 같아 ‘뜻대로’로 ‘새해를 ë§žì•„ í’ˆì€ ëœ»ì„ ì´ë£¨ì†Œì„œâ€™ëž€ ì˜ë¯¸ê°€ ëœë‹¤. 새해를 ë§žì•„ 소ë§ì´ ì´ë£¨ì–´ì§€ê¸¸ 기ì›ìœ¼ë¡œ ì¦ê²¨ 그렸다. 중국서 유입한 《개ìžì›í™”전芥å­åœ’ç•«å‚³ã€‹ì€ ì¤‘êµ­ ê·¸ë¦¼ì˜ ì´í•´ì™€ 함께 ì¼ì¢…ì˜ ë¯¸ìˆ êµê³¼ì„œ 기능으로 ì¡°ì„  í›„ê¸°í™”ë‹¨ì— í° ì˜í–¥ì„ 주었다. ì´ í™”ë³¸ì— ì‹¤ë¦° 송宋 ê°€ìƒè³ˆç¥¥ì˜ <ì˜ì§€ì™€ 소나무>는 ì¼ì¢…ì˜ ì ˆì§€í™”ë¡œ ê°™ì€ ì˜ë¯¸ë¥¼ 지닌다. 한편 《십죽재화보대전å竹齋畫譜大全》ì—는 ê´´ì„æ€ªçŸ³ì„ 배경으로 ì˜ì§€ 몇 무ë”기를 옮긴 í˜¸ì •ì–¸èƒ¡æ­£è¨€ì˜ ê·¸ë¦¼ì´ ìžˆë‹¤. ê´´ì„ì€ ì—†ìœ¼ë‚˜ ì¹œì—°ì„±ì´ ë³´ì´ëŠ” ê¹€í™ë„ ì „ì¹­å‚³ç¨±ì˜ ì†Œí’ˆë„ ì•Œë ¤ì ¸ 있다. 명 서화가 ì†ê·¹í™(孫克弘, 1532-1610)ì´ 76세 때 그린 <죽국ë„>는 세로 긴 í™”ë©´ì„ ì¤‘ì•™ì˜ ê´´ì„ì„ ì¤‘ì‹¬ìœ¼ë¡œ í•´ 위아래로 ì£½Â·êµ­Â·ë‚œì— ì´ì–´ 매화 대신 ì˜ì§€ê°€ 등장한다. 마수진(馬守眞, 1548-1604)ì˜ <화훼ë„ê¶Œ> ë¶€ë¶„ì— ë‚œì´ˆì™€ 함께 ì˜ì§€ê°€ 등장한다(ë„7). 1776ë…„ í˜¸ë°•èƒ¡ç’žì˜ <ì„¸ì¡°ì²­ê³µë„æ­²æœæ·¸ä¾›åœ–>(ë„8)는 ì²­ì— ì´ë¥´ëŸ¬ ì¦ê²¨ 그려진 주제로 í™”ë¶„ì— ë‹´ê¸´ 수선과 ì²­ë™í™”ë³‘ì— ë§¤Â·ì£½Â·ê°Â·ë°±í•© 뿌리 ë“±ì´ í•¨ê»˜ 등장한다. ì§„í™ìˆ˜é™³é´»å£½ì˜ <화과ë„첩[花果圖]> 12í­ì€ 매 í­ ì œì‹œê°€ 함께 있는 ê°ìƒí™”로 <ì˜ì§€ì™€ 수선> 1í­ì´ 있다(ë„9).
ì¼ë³¸ì€ ì˜ì§€ ê·¸ë¦¼ì´ ì˜ì™¸ë¡œ 드문 듯 ë³´ì´ë‚˜ ìš°ë¼ê°€ë¯¸ 킨[浦上春ç´]ì´ 1834ë…„ 그린 12í­ <소과어해첩蔬果魚蟹帖> ë‚´ 마지막 í­ì´ <백매·수선·ì˜ì§€>ì¸ë° 중국과 유사한 ì–‘ìƒì´ë‹¤(ë„10).

지초와 난초가 향기를 함께 하다[èŠè˜­ä¸¦èЬ].



(위) ë„7 <화훼ë„ê¶Œ> 부분, 마수진(馬守眞, 1548-1604), 종ì´ì— 채색, 21.7x103cm, 무ì„시박물관 소장
(아래) ë„9 <ì˜ì§€ì™€ 수선>, ì§„í™ìˆ˜é™³é´»å£½, 종ì´ì— 채색, 26.7×37.5cm, ìƒí•´ë°•물관 소장



ë„8 <ì„¸ì¡°ì²­ê³µë„æ­²æœæ·¸ä¾›åœ–> 부분, 호박胡璞, 1776, ë¹„ë‹¨ì— ì±„ìƒ‰, 92.0×46.5cm, 절강성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그림 ì† ì˜ì§€ – 부분ì—서 ë…ë¦½ëœ ì£¼ì œ

중국 ì›å…ƒì—서 시작한 묵í¬ë„ê°€ 우리나ë¼ì—서 ì¦ê²¨ 그려진 것처럼, ì˜ì§€ì˜ ê²½ìš°ë„ ì˜ì§€ì™€ 소나무, ì˜ì§€ì™€ 난초 등 18세기 ì´í›„ í™”ì›ê³¼ ë¬¸ì¸ ëª¨ë‘ê°€ 참여해 대작과 ëª…í’ˆë“¤ì„ ë‚¨ê²¨ 중국보다 ë” í™œë°œí•˜ê²Œ 그려 격조 ë©´ì—ì„œë„ ì§„ì¼ë³´é€²ä¸€æ­¥í•œ ì–‘ìƒì´ 확ì¸ëœë‹¤. 우리 옛 그림ì—서 ì˜ì§€ëŠ” 먼저 ì¡°ì„  초기부터 산수나 ì˜ëª¨ì˜ 배경으로 등장한다. 문ì¸í™”가와 í™”ì› ëª¨ë‘ê°€ 그렸고, 민화와 ì²­í™”ë°±ìž ë„ìžê¸°ì˜ ì‹­ìž¥ìƒ ë¬¸ì–‘ì—ì„œë„ ìžì£¼ 등장하는 소재ì´ë‹¤.
사대부 출신 유ìžë¯¸(柳自湄, ?-1462) ì „ì¹­ìž‘ì¸ <지곡송학èŠè°·æ¾é¶´>ì€ ê¹Šì€ ê³„ê³¡ì— í° ì†Œë‚˜ë¬´ì™€ 한 ìŒì˜ í•™ì´ ë“±ìž¥í•œë‹¤. 소나무 아래 붉ì€ìƒ‰ì˜ ì˜ì§€ë“¤ì´ ë³´ì¸ë‹¤. 장ìƒë„ ê³„ì—´ì— í¬í•¨ë˜ëŠ” ì²­ë¡ì‚°ìˆ˜ë¡œ ì¡°ì„  ì´ˆ 문ì¸í™”ê°€ì˜ ë†’ì€ ê²©ì¡°ë¥¼ ì—¿ë³¼ 수 있다. í’ì†í™”와 남종문ì¸í™”ì˜ ì„ êµ¬ë¥¼ ì í•˜ë©° <ìží™”ìƒ>ë„ ë‚¨ê¸´ 윤ë‘서(尹斗緖, 1668-1715)는 산수 ë° ì´ˆì¶©ë„ ë“±ë„ ê·¸ë ¸ë‹¤. 대í­ì˜ <ì‹¬ì‚°ì§€ë¡æ·±å±±èŠé¹¿>ì—” 주ì¸ê³µì¸ 사슴 ì™¸ì— ì˜ì§€Â·êµ­í™”·대나무·향나무 ë“±ë„ í•¨ê»˜ 그렸다.
진경산수를 창출해 ì¡°ì„  ì‚°ìˆ˜í™”ì˜ ì–´ì—¿í•¨ì„ ì´ë£©í•œ ì •ì„ (鄭敾, 1676-1759)ì€ 80세 ë˜ëŠ” 1755ë…„ 축수ç¥å£½ë¥¼ 위한 대작 <노송ì˜ì§€è€æ¾éˆèŠ>를(ë„11), 소나무를 ì¦ê²¨ 그린 ê¹€í™ë„ ë˜í•œ ê°™ì€ ì£¼ì œì˜ ëŒ€ìž‘ì„ ë‚¨ê²¼ëŠ”ë° í™”ë©´ 중앙 ìƒí•˜ë¡œ í™”ë©´ì„ ë²—ì–´ë‚œ êµµì€ ë…¸ì†¡ì´ ê°•ì¡°ë˜ë©° ì˜ì§€ëŠ” ìƒëŒ€ì ìœ¼ë¡œ 작게 표현했다(ë„12).


(왼쪽) ë„10 <백매ã†ìˆ˜ì„ ã†ì˜ì§€>, ìš°ë¼ê°€ë¯¸ 슌킨[浦上春ç´], 1834ë…„, ë¹„ë‹¨ì— ë‹´ì±„, 23.5X25.7cm, 센오쿠 하쿠 소장
(오른쪽) ë„14 <지란병분>, ê¶Œëˆì¸, 1854ë…„, 종ì´ì— 수묵, 26.5×32.5cm, ê°œì¸



(왼쪽) ë„11 <노송ì˜ì§€è€æ¾éˆèŠ>, ì •ì„ (鄭敾, 1676-1759), 1755ë…„, 종ì´ì— 수묵담채, 147x103cm, ì¸ì²œì‹œë¦½ë¯¸ìˆ ê´€ 소장
(오른쪽) ë„12 <노송ì˜ì§€>, ê¹€í™ë„, 종ì´ì— 수묵, 106.8cx71.2cm,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학문과 예술 ì–‘ ë¶„ì•¼ì— ê±¸ì³ ì—…ì ì´ 지대한 예ì›ì˜ ì´ìˆ˜ 김정í¬(金正喜, 1786-1856)는 잘 알려진 16ì ìœ¼ë¡œ ì´ë£¨ì–´ì§„ <난맹첩蘭盟帖> ë‚´ ì˜ì§€ì™€ ë‚œì´ˆì— â€˜ì„¸ìƒ ë°– ì‹ ì„  향기[世外僊香]’로 제사 한 것과 ì„ ë©´ì— ê·¸ë¦° 대ì›êµ° ì´í•˜ì‘·권ëˆì¸(權敦ä»,1783-1859)·í™ìš°ê¸¸ 등 묵서가 있는 것 등 2ì ì˜ <지란병분(èŠè˜­ä¸¦èЬ)>ì´ ì „í•œë‹¤(ë„13).
김정í¬ì™€ 유사한 ê¶Œëˆì¸ë„ ë‘˜ì´ í•©ìž‘í•œ ì„œí™”ì²©ì— ë‘ ì‚¬ëžŒì˜ ë§‘ê³  ê³ ìƒí•œ ìš°ì •ì´ ê¹ƒë“  <지란병분>(ë„14)ì„ ë‚¨ê²¼ë‹¤. ì˜ì§€ì™€ 난초를 그린 것으로 글씨와 어우러진 문ì¸í™”ì˜ ì •ìˆ˜ë¥¼ 극명하게 보여준다. ì¡°ì„ ë§ì—서 근대로 ì´ì–´ì§€ë©° ê¸°ëª…ì ˆì§€ë„ ë³‘í’ì— ë‹¤ë¥¸ 소재와 함께 ì˜ì§€ë„ 등장한다.

ì´ì›ë³µ | 미술사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학예연구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위ì›,
경기ë„박물관장 ë“±ì„ ì—­ìž„í•˜ë©° 42ë…„ê°„ 박물관 í˜„ìž¥ì— ëª¸ë‹´ì•˜ë‹¤.
현재 ë™êµ­ëŒ€í•™êµ ê°ì›êµìˆ˜, (사)역사여성미래 ê³µë™ëŒ€í‘œ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