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ë³µ êµìˆ˜ì˜ 소재로 ì‚´í•€ 우리 옛 그림 â‘« ëŒ

ì‹­ìž¥ìƒ ì¤‘ í•˜ë‚˜ì¸ ëŒì€ ë™ì•„시아 문ì¸í™”가들ì—게
사랑 받는 소재였다. ì¼ì°ë¶€í„° 여러 ìž‘í’ˆì— ì†Œí’ˆì²˜ëŸ¼ 등장한 ëŒì´
ë…립ì ì¸ 화과로 ë°œì „í•˜ê¸°ê¹Œì§€ì˜ ì–‘ìƒì„ ìžì„¸ížˆ 살펴본다.

글 ì´ì›ë³µ(미술사가)


한ìžë¬¸í™”ê¶Œì—서 ëŒì€ 불변ä¸è®Šê³¼ 강건剛å¥, 나아가 장수長壽를 ì˜ë¯¸í•œë‹¤. ìƒí˜•문ìžì¸ í•œìž â€˜ì„çŸ³â€™ì˜ ê¸€ìž ëª¨ìŠµì´ ë³´ì—¬ì£¼ë“¯ ëŒì€ 경사진 절벽ì—서 떨어진 형태ì´ë‹¤. 긴 ì„¸ì›”ì˜ íë¦„ì— ë¶€í”¼ê°€ 작아지면 바위ì—서 ëŒ, 그리고 모래로 ë°”ë€ë‹¤. 십장ìƒìœ¼ë¡œ 불리는 ì—´ 가지 ìƒì§•ì€ í•´Â·ì‚°Â·êµ¬ë¦„Â·ë¬¼ ë„·ì—, ë‘루미[é¶´]·거ë¶Â·ì‚¬ìŠ´ìœ¼ë¡œ ë™ë¬¼ ì…‹, 소나무와 불로초[éˆèŠ]로 ì‹ë¬¼ 둘, 나아가 ê´‘ë¬¼ì¸ ëŒì´ í¬í•¨ëœë‹¤. ì´ë“¤ì„ 함께 그린 ê²ƒì´ <10장ìƒë„>로, 조선시대 ì œë„ê¶Œì— ì†í•œ í™”ì›ë“¤ì´ êµ­ê°€ì— ê²½ì‚¬ê°€ ìžˆì„ ë•Œë‚˜, ê¶ê¶ì˜ 장엄과 치장 목ì ìœ¼ë¡œ 그린 병í’ê³¼ 벽화 등 화려하고 섬세한 í•„ì¹˜ì˜ ëŒ€ìž‘ 장ì‹í™”ë“¤ì´ ì—¬ëŸ¿ 전해진다. 한편 ëŒì€ 그림 ìž¥ë¥´ì— ë¬´ê´€í•˜ê²Œ 화면 한 모í‰ì´ì— ì¼ì°ë¶€í„° 줄기차게 등장했다.

(왼쪽부터)
ë„2-1 <ê´´ì„ë„>, ì •ì„ , 종ì´ì— 수묵, 23×21cm, ê°œì¸ ì†Œìž¥
ë„2-2 <ê´´ì„ë„>, 최ë¶(1712~1786ì´í›„), 종ì´ì— 수묵담채, 21x23cm, 부산박물관 소장
ë„2-3 <ê´´ì„ë„>, 강세황(1713~1791), 1789ë…„, 종ì´ì— 수묵, 28.5×18cm, ì¼ë¯¼ë¯¸ìˆ ê´€ 소장

ë™ì•„ì‹œì•„ì˜ ëŒì— 대한 ê°ë³„한 ì• ì • – 수ì„壽石과 ì›ìž¥ë°°ì„元章拜石

산수화를 탄ìƒì‹œí‚¨ ë™ì•„시아ì—서 기묘한 ëŒ[기ì„å¥‡çŸ³Â·ê´´ì„æ€ªçŸ³]ì— ëŒ€í•œ ì• ì •ì€ ê°ë³„했다. 환ìƒì ì´ê³  구ë©ì´ 숭숭 난 기묘한 태호ì„å¤ªæ¹–çŸ³ì´ ì¤‘ì‹¬ì¸ ì¤‘êµ­ì˜ ì›ë¦¼åœ’æž—, ìž”ëŒì„ 비로 쓸어 펼친 ì¼ë³¸ì˜ ì„정石庭, ì¸ê³µì„ 배제하고 ìžì—°ì„ 아우른 ì¡°ì„ ì˜ ì •ì› ë“± ë¹„ë¡ ì •ì›ì˜ ì–‘ì‹ê³¼ 미ê°ì€ 국가별로 다르나, ì‚¼êµ­ì´ ê³µìœ í•œ 수ì„å£½çŸ³ì˜ ì¡´ìž¬ì™€ ë”불어 í•˜ë‚˜ê°™ì´ ëŒì— 대한 ì• ì •ì„ ê¸°ì €ë¡œ 한다. ì´ëŸ° ë°°ê²½ ì†ì—서 í™”ë©´ì— ëŒì´ ì¼ì°ë¶€í„° 등장한다.
ì¡°ì„  ë§ ê´´ì„ë„로 ëª…ì„±ì´ í° ì •í•™êµ(ä¸é¶´å–¬, 1832~1914)ì˜ <송무ì„수ë„>ì—ì„  ëŒê³¼ 소나무가 ê°™ì€ ë¹„ì¤‘ìœ¼ë¡œë„ ë“±ìž¥í•œë‹¤(ë„1). ì´ì— 앞서 ì •ì„ (鄭敾, 1676-1759)ê³¼ 최ë¶(崔北, 1712-1786 ì´í›„), 그리고 강세황(姜世晃, 18713-1791) ë“±ì˜ <ê´´ì„ë„>ì—ì„  ì£¼ì—°ì¸ ì–‘ ëŒë§Œ 홀로 그려졌다(ë„2-1, ë„2-2, ë„2-3). 19세기 ì´í›„, íšŒê°‘ì„ ë§žì€ ë²—ì´ë‚˜ ì§€ì¸ì„ 경축하고 장수를 기ì›í•˜ëŠ” ì„œí™”ì²©ì— ë“±ìž¥í•œ ‘ì„수만년石壽è¬å¹´â€™ ë˜ëŠ” ‘수ë™ê¸ˆì„壽åŒé‡‘石’ 등 화제와 ê·¸ë¦¼ì€ ê°™ì€ ë§¥ë½ì´ë‹¤.
중국ì—ì„œë„ ë¹„êµì  시대가 올ë¼ê°€ëŠ” 현존 그림으로 당대å”代 ì¸ë¬¼í™”ì˜ ë°°ê²½ì— ëŒì´ 나타나니 당 ë§ê¸°ì— 활ë™í•œ ì†ìœ„(å­«ä½, 9세기 ë§)ì˜ <칠현ë„>는 중국 위é­Â·ì§„晉 때 ê¶Œë ¥ì„ ë“±ì§€ê³  ì£½ë¦¼ì— ëª¨ì—¬ 거문고와 ìˆ ì„ ì¦ê¸°ë©°, 청담淸談으로 소ì¼í•œ ì¼ê³± ì€ì‚¬ì¸ ì£½ë¦¼ì¹ í˜„ç«¹æž—ä¸ƒè³¢ì„ ë‹´ì€ ê²ƒì´ë‹¤. í™”ë©´ì´ ìž˜ë ¤ 단지 4명만 ë³´ì´ëŠ”ë° í™”ë©´ 오른쪽ì—서 ë‘ ë²ˆì§¸ê°€ ìž‘ì€ í‚¤ì— ê°€ìž¥ ìˆ ì„ ìž˜ 마신 유령(劉伶, 221-300)ì´ë‹¤(ë„3). 송 ì´í›„ ë…ë¦½ëœ í™”ê³¼ë¡œ 발전한다.


(왼쪽) ë„3 <칠현ë„>(부분), ì†ìœ„(9세기), ë¹„ë‹¨ì— ì±„ìƒ‰, 45.2×168.7cm, 중국 ìƒí•´ë°•물관 소장
(오른쪽) ë„4 <ì›ìž¥ë°°ì„ë„>, 유숙(1827~1873), 1709ë…„, 종ì´ì— 수묵담채, 115.5×47.5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ëŒê³¼ ê´€ë ¨ëœ ì¸ë¬¼ë¡œ 송宋 서화가 미불(米芾, 1051-1107)ì„ ë“¤ê²Œ ëœë‹¤. 그는 기ì´í•œ ëŒì„ 만나면 ì„형石兄ì´ë¼ 부르고 ì ˆì„ í–ˆìœ¼ë©° ë²¼ë£¨ë„ ìˆ˜ì§‘í–ˆë‹¤. <ì›ìž¥ë°°ì„ë„元章拜石圖>(ë„4)나 <미불배ì„ë„米芾拜石圖>로 불리는 ê·¸ë¦¼ì€ ì¤‘êµ­ê³¼ ì¡°ì„ ì—ì„œë„ ë¹ˆë²ˆížˆ 그려졌다. ì¡°ì„  ë§ ìœ ìˆ™(劉淑, 1827-1873)ë„ ê±¸ìž‘ì„ ë‚¨ê²¼ë‹¤. 고사 ì¸ë¬¼í™” 중 <서ì›ì•„ì§‘ë„西園雅集圖>는 ë¶ì†¡ ì˜ì¢…è‹±å®—ì˜ ë¶€ë§ˆ 왕선(王詵, 1048-1104)ì´ ìžê¸° ì§‘ ì •ì›ì¸ 서ì›è¥¿åœ’ì— ìœ ëª…í•œ 시ì¸ë¬µê° 15-16ëª…ì„ ì´ˆëŒ€í•´ ì—° 아회雅會를 그린 ì¼ì¢…ì˜ ê¸°ë¡í™”ì´ë‹¤. 담소와 주연 등 다양한 ìžì„¸ë¥¼ 취한 ì¸ë¬¼ 중 ì„ë²½ì— ì‹œë¥¼ 쓰는 ì´ê°€ 미불ì´ë‹¤. 명明ì—ì„  구ì˜(仇英, 1494-1552), ì¡°ì„ ì—ì„  ê¹€í™ë„(金弘é“, 1745-1806ê²½)ì˜ ê±¸ìž‘ì´ ì „í•œë‹¤.
예술, 특히 ì¡°í˜•ë¯¸ìˆ ì€ ìžì—°ì˜ 모방ì—서 비롯하니 아름다운 ê³³ì—서 아름다운 ê·¸ë¦¼ì´ íƒ„ìƒí•¨ì€ ë™ì„œì–‘ì´ ë‹¤ë¥´ì§€ 않다. ìžì—°ì— 대한 ê°ë³„한 공경과 ì• ì •ì„ ì§€ë‹Œ ìžì—°ê´€è‡ªç„¶è§€ì„ 바탕으로 ë™ì•„시아 회화ì—서 가장 빛나는 ì˜ì—­ì€ 산수화ì´ë‹¤. 대ìžì—°ì˜ 웅혼하고 ê°ë™ì ì´ë©° 아름다운 í’ê´‘ì„ ìƒì°¬í•˜ê³ , 기억하기 위해 실제 경치를 í™”í­ì— 옮김ì—서 비롯한다. ì„œì–‘ì˜ í’경화보다 5ë°± ë…„ 앞서며, 실경산수ì—서 비롯했으나 ì ì°¨ ì´ìƒí™”ëœ í’ê´‘ì„ ê·¸ë¦°, ì„œì–‘ì˜ ì¶”ìƒê³¼ëŠ” 다른 정형산수定型山水로 발전한다. 정형산수는 ê´€ë…산수觀念山水ë¼ê³ ë„ 불리며 보편ì ì¸ 국제양ì‹ìœ¼ë¡œ í•œÂ·ì¤‘Â·ì¼ ì‚¼êµ­ì´ ê³µìœ í•œë‹¤.
산수화ì—는 ì‚°ê³¼ ë¬¼ì´ ë¹ ì§ˆ 수 없으니 산세 í‘œí˜„ì— ìžˆì–´ 여러 í™”ê°€ë“¤ì— ì˜í•´ 다양한 ê¸°ë²•ì¸ ì¤€ë²•çš´æ³•ì´ íƒ„ìƒí•œë‹¤. 중국 청대 1627ë…„ ê°„í–‰ëœ ã€Šì‹­ì£½ìž¬í™”ë³´å竹齋畫譜》와 17세기 ë§ ë°œê°„í•œ 《개ìžì›í™”전芥å­åœ’畫傳》 ë‚´ ì„보石譜나 ì‚°ì„보山石譜 ë“±ì´ ì¤‘êµ­ì€ ë¬¼ë¡  ì¡°ì„ ê³¼ ì¼ë³¸ í™”ë‹¨ì˜ ê´´ì„ë„ì— í° ì˜í–¥ì„ ë¼ì³¤ë‹¤.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ë„5 <송ì„ë„>, í™ì¸(1610~1663), 종ì´ì— 수묵, 29.5×22cm, 중국 천진시예술박물관 소장
ë„6 <삼ì„ë„>, 고기패(1672~1734), 1709ë…„, 종ì´ì— 수묵, 31×60cm, 중국 심양고ê¶ë°•물관 소장
ë„7 <ê´´ì„ë„>, 오카모토 ë„요히코(1773~1845), 종ì´ì— 수묵, 31.5×45.5cm, 호림박물관 소장

중국과 ì¼ë³¸ì˜ ê´´ì„ë„ – ë…ë¦½ëœ ì£¼ì œë¡œ êµ­ì œì  ë³´íŽ¸ì„±

ì¼ì° ëŒì„ ì²œì§€ì˜ ë¼ˆë¡œ, ë¬¼ì„ í”¼ë¡œ ì¸ì‹í•œ ì¤‘êµ­ì„ ë¹„ë¡¯í•œ 한ìžë¬¸í™”ê¶Œì—서 ì‚°ìˆ˜í™”ë¿ ì•„ë‹ˆë¼ ëŒì€ 고사 ì¸ë¬¼í™”ì˜ ë°°ê²½ ì™¸ì— ì‚¬êµ°ìžÂ·ë¯¸ì¸Â·í™”í›¼ì´ˆì¶©Â·ê¸°ëª…ì ˆì§€Â·ì–´í•´ë„ ë“± 모든 장르와 ìžì—°ìŠ¤ë ˆ 어울린다. 시대와 ê´€ê³„ì—†ì´ ì¤„ê¸°ì°¨ê²Œ í™”ë©´ì— ë“±ìž¥í•˜ë‚˜, ê±°ì¹¨ì—†ì´ í™œë‹¬í•˜ê³  비범과 기개로 옹졸하지 ì•Šì€ ë…ë¦½ëœ ì£¼ì œë¡œ ì¦ê²¨ 그려지게 ë˜ì—ˆë‹¤. 주로 문ì¸ë“¤ì˜ 묵í¬å¢¨æˆ±ë¡œ ì¡°ì„ í›„ê¸°ì— ì´ë¥´ëŸ¬ì•¼ ì¼ë°˜í™”를 ë³´ì´ë©° 근대로 ì´ì–´ì§„다.
청대 í™ì¸(弘ä», 1610-1663)ì˜ <송ì„ë„æ¾çŸ³åœ–>와 고기패(高其佩, 1672-1734)ì˜ <삼ì„ë„三石圖>는 ê°ê¸° 8í­ í™”ì²©ì— ì†í•œ 것들로, 비êµì  단순한 구성ì´ë‚˜ ë…ìžì  필치ì—서 개성미가 ë‹ë³´ì´ëŠ” 수작들ì´ë‹¤. í™©ì‚°é»ƒå±±ì˜ ì•„ë¦„ë‹¤ì›€ì— ì·¨í•´ ê·¸ê³³ì— ë‘¥ì§€ë¥¼ 틀고 ì¦ê²¨ í™”í­ì— ë‹´ì€ í™ì¸ì˜ <송ì„ë„>는 전술한 ì •í•™êµì˜ <송무ì„수ë„>처럼 ë°”ìœ„ì— ë±€ì²˜ëŸ¼ ê°ê¸´ 소나무가 화면 ë‚´ ê°™ì€ ë¹„ì¤‘ì„ ë“œëŸ¬ë‚¸ë‹¤(ë„5). ì§€ë‘화로 유명하고 문ì¸ë“¤ì´ í¬ê²Œ 선호한 고기패는 ë¹„ë¡ ì—¬ë¦° í’€ì´ ë³´ì´ë‚˜ ëŒë§Œì´ 주ì¸ê³µì¸ ì ì—서 주목ëœë‹¤(ë„6). ì´ ê°™ì€ ì–‘ìƒì€ ì¡°ì„ ë„ í¬ê²Œ 다르지 않다. 중국 근대 20세기 ì´ˆì— í™œì•½í•œ 황정계黃廷桂 ê·¸ë¦¼ì€ êµ­ë‚´ì—ë„ ëª‡ ì  ì „í•œë‹¤.
ì¼ë³¸ì˜ 경우는 êµ­ë‚´ì—서 2018ë…„ ë´„ 호림박물관 소장 ‘ì¼ë³¸ íšŒí™”ì˜ ê±°ìž¥ë“¤â€™ íŠ¹ë³„ì „ì„ í†µí•´ 오카모토 ë„요히코(岡本風彦, 1773-1845)ì˜ <ê´´ì„ë„>ê°€ 공개ë˜ì—ˆë‹¤. 중국과 서양화í’ì„ ì•„ìš°ë¥´ë©° 산뜻하며 정갈한 ë¶„ìœ„ê¸°ì— ë¶€ë“œëŸ¬ìš´ 붓놀림과 ë¨¹ì˜ ì„ ì—¼íš¨ê³¼ë¡œ 18세기 êµí† ì—서 ëª…ì„±ì´ í° ë§ˆë£¨ì•¼ë§ˆ-시죠파[åœ“å±±å››æ¢æ´¾]ì˜ ì§„í•˜ê³  ì˜…ì€ ë¨¹ì˜ ë†ë‹´ 조화가 ë³´ì´ëŠ” ‘쓰케타테 ê¸°ë²•â€™ì„ ìž˜ 계승해 ê·¸ ë˜í•œ 산수화로 ëª…ì„±ì„ ì–»ì—ˆë‹¤. ì´ ì „ì‹œì— í•¨ê»˜ ì¶œí’ˆëœ <ë°¤[栗圖]>ë„ ì´ ê°™ì€ ê¸°ë²•ì„ ìž˜ 보여준다(ë„7). ì´ëŠ” 모임ì—서 ì£¼ë¬¸ì— ì˜í•´ 급히 그린 ì´ë¥¸ë°” ì„화席畫로 간주ëœë‹¤. ì˜ì§€ë¥¼ 함께 그린 ê²ƒì€ ì‚¼êµ­ì˜ ê³µí†µì  ìš”ì†Œë¼ í•˜ê² ë‹¤.

“내 ë²—ì´ ëª‡ ì¸ê³  하니 수ì„ê³¼ 송죽ì´ë¼.
ë™ì‚°ì— 달 떠오르니 ê·¸ê²ƒì´ ë”ìš± 반갑구나.
ë‘ì–´ë¼ ì´ ë‹¤ì„¯ ë°–ì— ë˜ ë”하여 무엇 하리…
ê½ƒì€ ë¬´ìŠ¨ ì¼ë¡œ 피면서 ì‰¬ì´ ì§€ê³  í’€ì€ ì–´ì°Œí•˜ì—¬ 푸르듯 누르나니
ì•„ë§ˆë„ ë³€ì¹˜ 않는 ê²ƒì€ ë°”ìœ„ë¿ì¸ê°€ 하노ë¼â€¦â€

– 윤선ë„ì˜ ì˜¤ìš°ê°€äº”å‹æ­Œ 중ì—서

ë„8 <절매삽병ë„>, ê°•í¬ì•ˆ(1417~1464), ë¹„ë‹¨ì— ìˆ˜ë¬µë‹´ì±„, 17.9×24.1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왼쪽) ë„9-1 <ì±…ê°€ë„>(부분), 19세기, ê°œì¸ì†Œìž¥
(오른쪽) ë„9-2 <ë°±ìžì²­í™” 산형연ì >, ì¡°ì„  19세기, 30.1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왼쪽) ë„10 <ê´´ì„ë„>, 김유근(1785~1856), 종ì´ì— 수묵, 24.5×16.5cm,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오른쪽) ë„12 <ê´´ì„ì˜ì§€ë„>, ê³ í¬ë™(1886~1965), 종ì´ì— 채색, 26×35cm, 밀양시립박물관 소장

ìš°ë¦¬ë‚˜ë¼ ëŒ ê·¸ë¦¼ – ì¡°ì„  후기와 ë§ê¸° í™”ë‹¨ì— í° ìœ í–‰

ë„11 <ê´´ì„ë„>, 허련(1808~1893), 종ì´ì—
수묵, 94.7×37.5cm, 서울대학êµë°•물관 소장

â€œëŒ ê·¸ë¦¼ì€ êµ¬ë¦„ê³¼ 같아 ë¶“ì´ ì¢…ì´ì— 닿으니
바로 êµ¬ë¦„ì´ ë˜ì–´ ì˜ë¡±í•´ì§€ë„¤
[畫石如雲纔ç€ç´™ 便爲雲去亦玲ç“].â€

-í—ˆë ¨ì˜ <ê´´ì„ë„> 제사 중ì—서

형ì‹ê³¼ ì œë„ì— ì–½ë§¤ì´ì§€ 않고, 거침없는 í–‰ë™ê±°ì§€ì™€ 바른 ë§, ê°•ì§í•¨ìœ¼ë¡œ ìžì£¼ 여러 차례 유배를 ê²ªì€ ìœ¤ì„ ë„(尹善é“, 1587-1671)는 한편으론 ìŒì•…ì„ ì¢‹ì•„í•˜ë©° 시를 ì¦ê¸´ í’류ì¸ì´ë‹¤. 그가 남긴 ìžì—°ì„ ìŠì€ 시조 75수로 ì •ì² (鄭澈, 1536-1593), ë°•ì¸ë¡œ(朴ä»è€, 1561-1642)와 함께 ‘조선 3대시가ì¸ä¸‰å¤§è©©æ­Œäººâ€™ìœ¼ë¡œ 지칭ëœë‹¤. ê·¸ì˜ ì˜¤ìš°ê°€ëŠ” 물과 ëŒ, 소나무와 대[竹], 달 ë‹¤ì„¯ì´ ê°ê¸° 지닌 ìƒì§• [ë¶€ë‹¨ä¸æ–·Â·ë¶ˆë³€ä¸è®ŠÂ·ë¶ˆêµ´ä¸å±ˆÂ·ë¶ˆìš•ä¸è¾±Â·ë¶ˆì–¸ä¸è¨€]ì„ ì˜ì¸í™”í•´ 벗으로 ìŠì€ 시조ì´ë‹¤.
우리나ë¼ì—ì„  ê³ ë ¤ì— ì´ì–´ ì¡°ì„  초부터 초충ë„나 화조화나 사군ìžì— 배경으로 등장한다. 고려시대 <ì²­ìžë§¤ë³‘> 파편 ì¡°ê°ì—” ìƒê°ìœ¼ë¡œ ê´´ì„ ì¢Œìš°ì— êµ­í™”ì™€ 대나무 그리고 한 ìŒì˜ 백로를 시문한 ê²ƒë„ ìžˆì–´ 고려시대 그림 ìžë£Œê°€ ëœë‹¤. ì¡°ì„  호 15세기 대표ì ì¸ 서화가로 ì›ì˜ˆì— 관한 ìµœì´ˆì˜ ì €ìˆ  《양화소ë¡é¤Šèбå°éŒ„ã€‹ì„ ë‚¨ê¸´ ê°•í¬ì•ˆ(姜希é¡, 1417-1474)ë„ ì£¼ëª©ëœë‹¤. ê·¸ì˜ ê·¸ë¦¼ìœ¼ë¡œ 전하는 <ì ˆë§¤ì‚½ë³‘ë„æŠ˜æ¢…æ·ç”圖>ì—ì„  송·죽·매 등 세 ìˆ˜ì¢…ì„ ì¤‘ì‹¬ìœ¼ë¡œ 한 ì¡°ì„  ì´ˆ ì •ì›ì˜ ëª¨ìŠµì„ ìœ ì¶”í•˜ê²Œ 하며 분재盆栽 ë° ê´´ì„ë„ ë“±ìž¥í•œë‹¤(ë„8).
ëŒì— 대한 ì„ ë¹„ë“¤ì˜ ì• ì •ì€ ì¡°ì„  í›„ê¸°ì— ì´ë¥´ëŸ¬ 본격ì ì¸ 가시화를 ë³´ì¸ë‹¤. ì „êµ­ì˜ ê¸°ì„ì„ ëª¨ì€ë‹¤ë“ ê°€ 중국ì—서 ëŒì„ 수입한 기ë¡, ì¡°ì„ ë§ 19세기 <ë°±ìžì²­í™” 산형연ì >ê³¼ 조선서 ì •í˜•ì„ ì´ë£¬ <ì±…ê°€ë„冊架圖>ì— ë“±ìž¥í•œ ìˆ˜ì„ ë“±ì´ ì´ë¥¼ ì¦ëª…한다(ë„9-1, ë„9-2). ëŒì´ 어엿한 ë…ë¦½ëœ ì£¼ì œê°€ ëœ ê²ƒì€ ì •ì„ , 최ë¶, 강세황 ë“±ì˜ ìœ ìž‘ì„ í†µí•´ 알 수 있듯 18세기 ì´í›„로 여겨지며, ëŒë¡œ ëª…ì„±ì„ ë‚¨ê¸´ ì´ë“¤ì€ 19ì„¸ê¸°ì— ë“±ìž¥í•œë‹¤.
김정í¬(金正喜, 1786-1856)ë„ ëŒ ê·¸ë¦¼ì„ ë‚¨ê²¼ê³ , 그와 êµìœ í•œ ë¬µì£½ì˜ ëŒ€ê°€ 신위(申緯, 1769-1847) ê¶Œëˆì¸(權敦ä», 1783-1859) ê¸°ì•”ê´´ì„ ëª¨ì–‘ì˜ ë²¼ë£¨ 그림 13ì ì¸ <황산연산ë„첩黃山硯山圖帖>ê³¼ 추사ì—게 소품 <ê´´ì„ë„>(ë„10)를 그려준 김유근(金逌根, 1785-1856), ì¡°í¬ë£¡(趙熙é¾, 1789-1866), ê´´ì„ ë³‘í’ ë“± 대작과(ë„11) ë‹¤ìž‘ì„ í•œ 허련(許éŠ, 1808-1893), 화사한 새로운 색ê°ì˜ ì •í•™êµ, 윤용구(尹用求, 1853-1939) 등 ì ì§€ 아니한 문ì¸í™”ê°€ë“¤ì´ ì´ ì£¼ì œë¥¼ ì¦ê²¨ 그렸다. ê³ í¬ë™(高羲æ±, 1886-1965)ì˜ <ê´´ì„ì˜ì§€ë„>(ë„12) 등 근대를 ê±°ì³ í˜„ëŒ€í™”ë‹¨ì—ì„œë„ ìƒˆë¡œìš´ 소재로 대기 중ì´ë‹¤.


ì´ì›ë³µ | 미술사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학예연구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위ì›,
경기ë„박물관장 ë“±ì„ ì—­ìž„í•˜ë©° 42ë…„ê°„ 박물관 í˜„ìž¥ì— ëª¸ë‹´ì•˜ë‹¤.
현재 ë™êµ­ëŒ€í•™êµ ê°ì›êµìˆ˜, (사)역사여성미래 ê³µë™ëŒ€í‘œ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