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ë³µ êµìˆ˜ì˜ 소재로 ì‚´í•€ 우리 옛 그림 ⑨ ë‘루미

천연기ë…ë¬¼ì¸ ë‘루미는 학鶴ì´ë¼ê³ ë„ 불리며 우리ì—게 친숙한 겨울 철새ì´ë‹¤.
옛 그림 ì†ì—서는 고고한 ì„ ë¹„ì˜ ëª¨ìŠµìœ¼ë¡œ, ì‹ ì„ ì´ íƒ€ëŠ” ìž¥ìˆ˜ì˜ ì˜ë¬¼ë¡œ 그려지곤 했다.

글 ì´ì›ë³µ (미술사가)


한ìžë¬¸í™”ê¶Œì—서 ìƒìƒì˜ ìƒˆì¸ ë´‰í™©ì„ ì œì™¸í•˜ë©´ 가장 ìƒì„œë¡œìš´ 새는 í•™ì´ë‹¤. í•™ì€ ìž¥ìˆ˜ì˜ ìƒì§•으로 오랜 세월 ì‚¬ëž‘ì„ ë°›ì•„ì™”ìœ¼ë©°, ìš°ë¦¬ë‚˜ë¼ ê·¸ë¦¼ìœ¼ë¡  <십장ìƒë„>(ë„1)와 <요지연ë„瑤池宴圖> 등 ì¡°ì„  시대 ì¼ê¸‰í™”ì›ë“¤ì´ 제작한 ê¶ì¤‘ìž¥ì‹ ë³‘í’ì—” 반드시 등장했다. 오회분 4호묘나 통구사신ì´ì˜ <í•™ì„ íƒ„ ì‹ ì„ >(ë„2-1) ê°™ì€ ê³ êµ¬ë ¤ë²½í™”ì— ë¬˜ì‚¬ëœ ì¸ë¬¼ì€ ë¬´ë¤ ì† ì£¼ì¸ê³µìœ¼ë¡œ 사료ë˜ë‚˜, ì¡°ì„  후기 <요지연ë„>ì—는 수성노ì¸ê³¼ 왕ìžêµçŽ‹å­å–¬ 등 전설로 전해지는 ì‹ ì„ ì´ í•™ì„ íƒ„ 모습으로 등장하며 무í¬ì™€ 춤추는 ìŒí•™ë„ 발견할 수 있다(ë„2-2). ì´ì²˜ëŸ¼ í•™ì€ ì†Œë°•í•œ ê¿ˆì„ ë‹´ì€ ë¯¼í™”ë¿ ì•„ë‹ˆë¼ 1500ë…„ì„ ë›°ì–´ë„˜ì–´ 오늘날까지 그려진 ìƒëª…ë ¥ì´ ê¸´ 회화 소재ì´ë‹¤.

ë„2-1 <í•™ì„ íƒ„ ì‹ ì„ > 부분, í†µêµ¬ì‚¬ì‹ ì´ í˜„ì‹¤ì„œë²½(고구려 6-7세기)
ë„2-2 <학춤>, <요지연ë„> 부분, 18세기, ë¹„ë‹¨ì— ì±„ìƒ‰, 156×504ãŽ, ê°œì¸ì†Œìž¥

ìƒì„œë¡œìš´ 새, ë‘루미

í•™é¶´ì€ ìˆœìš°ë¦¬ë§ë¡œ ë‘루미ì´ë‹¤. ë‘루미는 겨울 철새로 ëŠ¦ê°€ì„ í•œë°˜ë„를 찾아와 ì›”ë™í•˜ë©°, 천연기ë…물 ì œ202호로 지정ë다. ë‘ë£¨ë¯¸ì˜ ì²­ì•„í•œ 울ìŒì†Œë¦¬, 현란한 군무, 눈부시게 빛나는 í° ë‚ ê°œ, ë‚ ê°œ ëì˜ ê²€ì€ ê¹ƒê³¼ 머리 ìœ„ì˜ ë¶‰ì€ ì , 가늘고 긴 다리와 목, 늘씬한 ì™¸í˜•ì€ ìš°ì•„í•˜ê³  당당하며 품위 있는 ìžíƒœë¥¼ 만들어낸다. ë•ë¶„ì— ì¤‘êµ­ê³¼ 한국ì—서 오랜 세월 시문으로 ìƒì°¬è³žè®šë˜ì—ˆê³  í™”í­ì— 옮겨졌다. 학보다 ìž‘ì€ í¬ê¸°ì¸ 백로白鷺는 텃새로 쉽게 ë³¼ 수 있으나, í•™ì€ ì£¼ë³€ì—서 쉽게 ë³¼ 수 있는 새가 아니다. ë˜í•œ 눈 주위가 붉고 ë“±ì´ íšŒìƒ‰ì¸ ìž¬ë‘루미(천연기ë…물 ì œ203호), 가슴ì—서 몸 아래가 í‘ íšŒìƒ‰ì¸ í‘ë‘루미(천연기ë…물 ì œ228호)ë„ ìžˆë‹¤.
í•™ì€ ì‹ ì„ ì´ íƒ€ëŠ” 새ì´ê¸°ì— 선학仙鶴, ì„ ê¸ˆä»™ç¦½ìœ¼ë¡œë„ ë¶ˆë ¸ë‹¤. ìˆ˜ëª…ì´ 80ë…„ ì •ë„지만 한ìžë¬¸í™”ê¶Œì—ì„  ì²œë…„ì„ ì‚°ë‹¤ê³  믿어 십장ìƒåé•·ç”Ÿì— í¬í•¨ë다. ì¡°ì„  시대 ê´€ë³µì˜ ê°€ìŠ´ê³¼ ë“±ì— ë¶™ì—¬ 품계를 나타낸 í‰ë°°èƒ¸èƒŒì—는 호랑ì´ì™€ í•™ì„ ìˆ˜ë†“ì•„ ê°ê° 무관과 ë¬¸ê´€ì„ êµ¬ë³„í–ˆê³ , ì„ ë¹„ë“¤ì˜ í‰ìƒë³µì¸ 학창ì˜é¶´æ°…衣는 í•™ì˜ ëª¨ìŠµì„ ë³¸ëœ¬ 옷ì´ë‹¤. ìžê¸°ì™€ 목칠, ê¸ˆì† ë“±ì˜ ê³µì˜ˆí’ˆ ë¬´ëŠ¬ë¡œë„ ìžì£¼ í™œìš©ëœ í•™ì€ ë™ì•„시아 삼국ì—서 화조화, ê¶ì¤‘장ì‹í™”, 고사ì¸ë¬¼í™” 등 여러 ìž¥ë¥´ì— ê±¸ì³ ì†Œìž¬ë¡œ 그려졌으며, 시대를 대표하는 문ì¸í™”가부터 ì´ë¦„난 ì§ì—…화가, 민화를 그린 ë¬´ëª…í™”ê°€ì˜ ê·¸ë¦¼ì— ì´ë¥´ê¸°ê¹Œì§€ 주ì¸ê³µ ë˜ëŠ” 조연으로 등장 했다.
í•™ì´ ëŒ€ë‚˜ë¬´ì™€ 함께 그려지면 중국어로 죽竹과 ì¶•ç¥ì˜ ë°œìŒì´ 같아 축수ç¥å£½ë¥¼ 뜻하는 ê·¸ë¦¼ì´ ëœë‹¤. 우리 근대화단ì—ì„  화갑è¯ç”²ì„ ë§žì´í•´ ‘소나무와 학처럼 오래 장수하시ë¼â€™ëŠ” ì˜ë¯¸ë¡œ ë‘ ì†Œìž¬ë¥¼ 그리고 화면 ìƒë‹¨ì— 송령학수æ¾é½¡é¶´å£½ë¥¼ ì“°ê¸°ë„ í•œë‹¤. ì¼í’ˆë‹¹ì¡°ä¸€å“ç•¶æœ(ë‹¹ëŒ€ì˜ ì¡°ì •ì—서 ë²¼ìŠ¬ì´ ì¼í’ˆì— 오르다)ì˜ ê°€ìž¥ ë†’ì€ ì§€ìœ„ì¸ ì¼í’ˆì€ 새 ê°€ìš´ë° ìš°ë‘ë¨¸ë¦¬ì¸ í•™ì„ ì§€ì¹­í•˜ëŠ”ë°, íŒŒë„ ì•žì— í•™ì„ ê·¸ë¦¬ë©´ 당조當潮(íŒŒë„ ì•žì— ì„œë‹¤)ê°€ 당조當æœ(ì¡°ì •ì— ë“ ë‹¤)로 ì½í˜€ ë†’ì€ ê´€ì§ì— ì˜¬ë¼ ì˜¤ëž˜ 누리기를 기ì›í•˜ëŠ” ì˜ë¯¸ë¥¼ 지닌다.

ë„3 휘종, <서학ë„> 부분, 1112ë…„, ë¹„ë‹¨ì— ì±„ìƒ‰, 51×138.2ãŽ, 중국 요녕성박물관
ë„4 <죽림선학> 부분, 내몽골 ìžì¹˜êµ¬ 고륜기 1호 ìš” 무ë¤(1080ë…„), 390×250ãŽ



ë„5 ì „ 셋슈, <사계화조화> 6첩(1ìŒ) ë³‘í’ ë¶€ë¶„, 종ì´ì— 채색, 159.5×349.8ãŽ, 매다ì´ì¿ í† êµ¬ì¹´ì´ìž¬ë‹¨

중국과 ì¼ë³¸ì˜ í•™ 그림

중국 ì¡°í˜•ë¯¸ìˆ ì— ë“±ìž¥í•œ í•™ì€ ê¸°ì›ì „ 전국시대(戰國時代, BC 475-221) 와당瓦當 문양ì—ì„œë„ ì‚´í•„ 수 있다. í•™ì€ ìƒˆ ì¤‘ì— ë´‰í™© ë‹¤ìŒ ê°€ìž¥ ë†’ì€ ì§€ìœ„ë¥¼ 지닌다. 서예가로 잘 알려진 설ì§(薛稷, 649-713)ì€ ê°€ìž¥ 먼저 í•™ 그림으로 ëª…ì„±ì„ ì–»ì—ˆë‹¤. 후대 ê·¸ì˜ ê·¸ë¦¼ì„ ë°©å€£í•œ 그림들로 미루어 ë‹¹å” 7세기 후반 í•™ì´ ë³¸ê²©ì ìœ¼ë¡œ 그려졌고, ê·¸ì— ì˜í•´ ì •í˜•ì´ ì´ë£¨ì–´ì§„ 것으로 사료ëœë‹¤. 뛰어난 서화가ì´ìž 예술 후ì›ìžì¸ ë¶ì†¡ 휘종(徽宗, 1082-1135) 때 황ê¶ì´ 비장한 그림 목ë¡ì¸ 《선화화보宣和畫譜》ì—는 ì„¤ì§ ì™¸ì—, 서í¬(å¾ç†™, 10세기)와 ë”불어 오대五代 í™”ì¡°í™”ì˜ ì›ë¥˜ì¸ 황전黃筌과 황거보黃居寶 ë¶€ìž, ë“±ì°½ìš°ç¸¢æ˜Œç¥ ë“±ì˜ ìž‘í’ˆì´ ê¸°ë¡ë˜ì–´ 있어 ì ì§€ ì•Šì€ ìˆ˜ì˜ í•™ ê·¸ë¦¼ì„ í™•ì¸í•  수 있다. ë˜í•œ 현재 전해지지 않는 그림ì¼ì§€ë¼ë„ ìž‘í’ˆëª…ì„ í†µí•´ 화조화 범주ì—서 모란·대나무와 í•™ì„ í•œ í™”ë©´ì— ê·¸ë¦¬ê³ , 1마리는 물론, 2마리씩 ìŒìœ¼ë¡œ 그리거나 많게는 6마리까지 함께 그렸ìŒë„ 알 수 있다.
송대宋代 í•™ ê·¸ë¦¼ì¸ íœ˜ì¢…ì˜ <서학ë„瑞鶴圖>(ë„3)ì—는 ê¶ê¶ê³¼ 구름 위 푸른 í•˜ëŠ˜ì„ ë°°ê²½ìœ¼ë¡œ 현란한 군무群舞를 펼지는 22ë§ˆë¦¬ì˜ í•™ì´ ë“±ìž¥í•˜ëŠ”ë°, 마치 <고려청ìžìš´í•™ë¬¸ë§¤ë³‘>ì˜ ë¬´ëŠ¬ë¥¼ 펼친 것 같다. ì†¡ë§ ì„ ìŠ¹í™”ê°€ 목계(牧谿, 13세기)ê°€ ë°±ì˜ê´€ìŒë³´ì‚´ ì¢Œìš°ì— í•™ê³¼ ì›ìˆ­ì´ë¥¼ 별í­ìœ¼ë¡œ 그린 ì¼ê´„ 작품 <ê´€ìŒè§€éŸ³>, <ì›çŒ¿>, <학鶴>ë„ ìž˜ 알려져 있다.
ì´ì— 앞서 1972ë…„ì— ë°œêµ´ëœ 11ì„¸ê¸°ì˜ ìš”é¼ ë¬´ë¤ ë²½í™” 중 대나무 ìˆ²ì— í•œ ìŒì˜ í•™ì´ ê¹ƒë“  <죽림선학竹林仙鶴>(ë„4)ì´ ìžˆë‹¤. 명明ì—서 ì²­æ·¸ì— ì´ë¥´ëŠ” í•™ ê·¸ë¦¼ì€ í•™ê³¼ 대나무 ë˜ëŠ” 소나무가 함께 그려진 화조화가 ì¼ë°˜ì ì¸ë°, 매화, 부용, ë™ë°±, 파초 ë“±ë„ í•¨ê»˜ 그려졌다. ì´ëŸ¬í•œ ê²½í–¥ì€ ëª… 15ì„¸ê¸°ì— í™œë™í•œ 변경소邊景昭와 변문진邊文進, 여기(å‘‚ç´€, 16ë§-16세기 ì´ˆ)나 ì²­ 심전(沈銓, 1682-1760), 낭세ì˜(郞世寧, 1688-1766)ì˜ ìœ ìž‘ì—서 살펴볼 수 있다.
한편, í•™ì€ ì¼ë³¸ ë¶í•´ë„ ë™ë¶ 연안 등 ì¼ì • 지역ì—ì„  철새가 아닌 텃새로 산다. 무로마치시대 화승 셋슈(雪舟, 1420-1506ê²½)ì˜ ì „ì¹­ìž‘ì´ì§€ë§Œ 6ì²©ì´ ìŒì„ ì´ë£¬ <사계화조화> 대작 병í’ì´ ì—¬ëŸ¬ 벌 현존하며, ì´ë“¤ 그림엔 한 ìŒì˜ í•™ì´ í° ë¹„ì¤‘ìœ¼ë¡œ 등장한다(ë„5). 특히 변문진, 셋슈, ì´ì§•ì˜ í•™ 그림ì—서는 ê°™ì€ ì†Œìž¬ë¥¼ 다루는 한·중·ì¼ì˜ 표현 ì°¨ì´ë¥¼ ì—¿ë³¼ 수 있다(ë„6-1, ë„6-2, ë„6-3). 18세기 í™”ì¡°í™”ì˜ ëŒ€ê°€ë¡œ 활약한 ì´í†  ìžì¿ ì¶”(伊藤若冲, 1716-1800)는 ë™ì•„ì‹œì•„ì˜ êµ­ì œì  í™”í’ì„ ë°”íƒ•ìœ¼ë¡œ 개성ì ì¸ 작품세계를 구현한 거장으로, 사찰 장벽화障å£ç•«ë¥¼ 비롯해 수묵·채색 분야ì—서 소나무와 대나무를 함께 그린 ìŒí­ í•™ ê·¸ë¦¼ì„ ì—¬ëŸ¿ 남겼다.

ë„6-1 변문진, <매죽ìŒí•™ë„>, 15세기, ë¹„ë‹¨ì— ì±„ìƒ‰, 163.5×86.6ãŽ, ì¼ë³¸ êµí† êµ­ë¦½ë°•물관
ë„6-2 ì „ 셋슈, <사계화조ë„> ë³‘í’ ë¶€ë¶„, 15세기, 종ì´ì— 채색, 181.6×375.2ãŽ, ì¼ë³¸ êµí† êµ­ë¦½ë°•물관
ë„6-3 ì „ ì´ì§•, <사계ì˜ëª¨ë„> ë³‘í’ ë¶€ë¶„, 17세기, 종ì´ì— 담채, 144.5×35ãŽ, 울산박물관



ë„7 설충 외, <í•™>, <관경변ìƒë„> 부분, 1323ë…„, ë¹„ë‹¨ì— ì±„ìƒ‰, 224.2×139.1ãŽ, ì¼ë³¸ 치온ì¸
ë„8 <ì‹ ì„ ê³¼ í•™>, ê³ ë ¤, ë¹„ë‹¨ì— ì±„ìƒ‰, 43.3×28.5ãŽ, ê°œì¸ì†Œìž¥

ê³ ë ¤ 불화와 ë„ì„ì¸ë¬¼í™”ì— ê·¸ë ¤ì§„ í•™

ìƒê°ìš´í•™ë¬¸è±¡åµŒé›²é¶´æ–‡ì€ 고려청ìžì˜ 문양 ì¤‘ì— ê°€ìž¥ 선호ë˜ì—ˆê¸° ë•Œë¬¸ì— ê³ ë ¤ ì‹œëŒ€ì— í•™ ê·¸ë¦¼ì´ ê·¸ë ¤ì¡Œë‹¤ê³  ë³¼ 수 있다. 접시와 병 등 ì¡°ì„ ë°±ìžì—ë„ ì²­í™”ë¡œ 그린 í•™ì´ ìžì£¼ 등장한다. 1323ë…„ 설충薛冲 등 í™”ê³µì´ ê·¸ë¦° <관경변ìƒë„觀經變相圖>ì—는 공작과 함께 ì—°ì§€ì— ë“±ìž¥í•œ í•™ì´ ì„¬ì„¸í•œ 필치로 묘사ë˜ì–´ 있으며(ë„7), ì´ ê³ ë ¤ 불화는 드물게 전해지는 ê³ ë ¤ 시대 í™”ì¡°í™”ì˜ ë†’ì€ ìˆ˜ì¤€ì„ ëŒ€ë³€í•˜ëŠ” 작품ì´ë‹¤.
ë¶ì†¡ëŒ€ 절강성 항주 ê³ ì‚°å­¤å±±ì— 20ë…„ ê°€ê¹Œì´ ì€ê±°í•œ ìž„í¬(林逋, 967-1028)ê°€ 움ì§ì´ì§€ 못하는 매화를 ë¶€ì¸ ì‚¼ê³  í•™ì„ ì•„ë“¤ ì‚¼ì€ ê³ ì‚¬æ•…äº‹ëŠ” <ë§¤ì²˜í•™ìžæ¢…妻鶴å­>, <서호방학>, <ê³ ì‚°ë°©í•™> ë“±ì˜ í™”ì œë¡œ ì¦ê²¨ 그려졌다. ê³ ë ¤ ì‹œëŒ€ì— ì œìž‘ëœ <ì‹ ì„ ê³¼ í•™>(ë„8)ì€ ì´ ì£¼ì œë¥¼ 표현한 작품으로 ë³´ì¸ë‹¤. ì¡°ì„  ì´ˆ 15세기 문집ì—ë„ ìš°ë¦¬ 그림ì¸ì§€, 중국 그림ì¸ì§€ëŠ” 불분명하나 <임화정방학ë„>ì— ë¶€ì¹œ 서거정(å¾å±…æ­£, 1420-1488)ì˜ ì‹œê°€ 있다. ìž„í¬ì˜ 고사를 그린 그림으로는 ì¡°ì„  중기 문ì¸í™”ê°€ í™ë“구(洪得龜, 1653-?)ì˜ ì „ì¹­ìž‘ <ê³ ì‚°ë°©í•™ë„>(ë„9)와 ì •ì„ (鄭敾, 1676-1759), 윤ë•í¬(尹德熙, 1685-1766), ê¹€í™ë„(金弘é“, 1745-1806ê²½) ë“±ì˜ ìœ ìž‘ì´ ì „í•´ì§„ë‹¤.

ë„9 ì „ í™ë“구, <ê³ ì‚°ë°©í•™ë„>, 17세기, ë¹„ë‹¨ì— ìˆ˜ë¬µ, 74.6×38.2ãŽ, 국립중앙박물관
ë„10 ì „ 유ìžë¯¸, <지곡송학>, 15세기, ë¹„ë‹¨ì— ì±„ìƒ‰, 40.5×34ãŽ, 간송미술문화재단



ë„11 ì´ë•ìµ, <죽학ë„>, <송학ë„>, 17세기 ì „ë°˜, ë¹„ë‹¨ì— ìˆ˜ë¬µ, 28.8×41ãŽ, 하버드 새í´ëŸ¬ë¯¸ìˆ ê´€



ë„12 장우성, <오염지대>, 20세기, 종ì´ì— 수묵담채, 31.3×21.5ãŽ, ê°œì¸ì†Œìž¥

ê¹€í™ë„ì˜ <서ì›ì•„ì§‘ë„西園雅集圖> 병í’ì„ ë¹„ë¡¯í•´ 고사ì¸ë¬¼í™”ì—는 í•™ì´ ë¹ ì§ì—†ì´ 등장한다. <서ì›ì•„ì§‘ë„>는 ë¶ì†¡ëŒ€ ë¶€ë§ˆì¸ ì™•ì„ çŽ‹è©µì´ ìžê¸° ì§‘ ì •ì›[園林]ì—서 미불, 소ì‹ê³¼ 소철 ë¶€ìž ë“± ë‹¹ì‹œì˜ ìœ ëª…í•œ ì‹œì¸ ë¬µê°ë“¤ 16ëª…ì˜ ì•„íšŒë¥¼ ë‹´ì€ ê·¸ë¦¼ì´ë‹¤. ì¡°ì„ ì˜ í’ê´‘ì„ ë°°ê²½ìœ¼ë¡œ ë²¼ìŠ¬ì— ë‚˜ì•„ê°€ì§€ ì•Šì€ ì„ ë¹„ì˜ í•œê°€ë¡­ê³  여유 있는 ì‚¶ì„ ê·¸ë¦°
<삼공불환ë„>나 <í‰ìƒë„> 등 í’ì†í™”ì˜ í•œ 모í‰ì´ì—ë„ ë“±ìž¥í•œë‹¤. 과거ì—는 í•™ì„ ìž¡ì•„ ê¸°ë¥´ê¸°ë„ í–ˆê¸° ë•Œë¬¸ì— ê·¸ë¦¼ ì† ëª¨ìŠµì´ ì‹¤ì œë¡œ 가능할 ìˆ˜ë„ ìžˆê² ìœ¼ë‚˜, 차茶가 있는 ê³³ì— í•™ì´ ê·¸ë ¤ì§ìœ¼ë¡œì¨ 유연한 분위기를 내는 ë° ì¼ì¡°í•˜ê³  있다.
ì „í†µíšŒí™”ì˜ í•™ ê·¸ë¦¼ì€ ì˜ëª¨í™”ì¡°í™” ì˜ì—­ì—서 ê°ìƒí™”로 ì§€ì†í•´ì„œ 그려졌다. ì¡°ì„  ì´ˆ ë¬¸ì¸ ìœ ìžë¯¸(柳自湄, ?-1462)ì˜ ì „ì¹­ìž‘ <지곡송학èŠè°·æ¾é¶´>(ë„10)ì€ 15ì„¸ê¸°ì˜ í•™ 그림ì´ë‹¤. 16세기 ë¬¸ì§‘ì— ë²½í™”ë¡œ 그려진 송죽과 함께 한 ìŒì˜ í•™ì— ë¶€ì¹œ ì œì‹œë„ ìžˆë‹¤. ì¡°ì„  중기 화단ì—서 ì„ ë¹„ë“¤ì´ ì •í˜•ì„ ì´ë£¬ <사계ì˜ëª¨ë„四季翎毛圖>ì— í•™ì´ í¬í•¨ë˜ì–´ 있으며, ì´ì§•(æŽæ¾„, 1581-1653 ì´í›„)ì˜ <ì˜ëª¨ë„>, ì´ë•ìµ(æŽå¾·ç›Š, 17세기)ì˜ <죽학ë„>와 <송학ë„>(ë„11) ë“±ì„ í†µí•´ í™”ì›ë“¤ë„ í•™ì„ ê·¸ë ¸ìŒì„ 알 수 있다.
근대 í™”ë‹¨ì˜ í•™ ê·¸ë¦¼ì˜ ê²½ìš° 화제가 ë” ë‹¤ì–‘í•´ì¡Œë‹¤. 곽남배(郭楠培, 1929-2004)ì˜ <정우장ë½éœå‹é•·æ¨‚>ì—는 한겨울 무리를 지어온 êµ°í•™ç¾¤é¶´ì´ ì„œì •ì ìœ¼ë¡œ 묘사ë으나, 장우성(å¼µé‡è–, 1912-2006)ì˜ <오염지대>(ë„12)ì—는 병들어 ë‚ ì§€ 못하는 í•™ì´ ê·¸ë ¤ì ¸ 환경오염 문제를 안고 있는 í˜„ì‹¤ì´ ë°˜ì˜ë˜ê¸°ë„ 했다.


ì´ì›ë³µ | 미술사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학예연구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위ì›,
경기ë„박물관장 ë“±ì„ ì—­ìž„í•˜ë©° 42ë…„ê°„ 박물관 í˜„ìž¥ì— ëª¸ë‹´ì•˜ë‹¤.
현재 ë™êµ­ëŒ€í•™êµ ê°ì›êµìˆ˜, (사)역사여성미래 ê³µë™ëŒ€í‘œ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