ì´ì›ë³µ êµìˆ˜ì˜ 소재로 ì‚´í•€ 우리 옛 그림 ⑤ 장미

6ì›”ì€ ìž¥ë¯¸ì˜ ê³„ì ˆì´ë‹¤. 장미는 꽃 피는 ê¸°ê°„ì´ ê¸¸ì–´ ‘ì˜ì›í•œ ì²­ì¶˜â€™ì˜ ìƒì§•으로 옛 ê·¸ë¦¼ì— ì¦ê²¨ 그려졌으며,
장수를 ì˜ë¯¸í•˜ëŠ” 소재와 함께 길ìƒì˜ ì˜ë¯¸ë¥¼ ë”ìš± í™•ëŒ€í•˜ê¸°ë„ í–ˆë‹¤.

– 글 ì´ì›ë³µ(미술사가)


장미薔薇는 ì˜êµ­ì„ 비롯해 유럽 여러 나ë¼ì˜ 나ë¼ê½ƒ[國花]ì´ë‹¤. â€˜ê½ƒì˜ ì—¬ì™•â€™ì´ë¼ëŠ” í˜¸ì¹­ì— ê±¸ë§žê²Œ 모양과 색깔 ë° í–¥ê¸°ê°€ ë‘드러져 지구촌 ë„처ì—서 오랜 세월 변함없는 ì‚¬ëž‘ì„ ë°›ì•„ì˜¨ 꽃ì´ë‹¤. 한ìžë¬¸í™”ê¶Œì—ì„  개화開花 ê¸°ê°„ì´ ê¸¸ì–´ ‘ì˜ì›í•œ ì²­ì¶˜é‘æ˜¥â€™ì„ ìƒì§•하여 ì¦ê²¨ 그리게 ë다. 꽃ë§ì€ 기ì¨Â·ì‚¬ëž‘·질투·순결·고ë…·불가능 등 ìƒ‰ì— ë”°ë¼ ë‹¤ë¥´ë‹¤. 장미는 ë™ì„œì˜ 합작품으로 ì‹­ìžêµ°ì›ì • ì´í›„ 유럽ì—서 재배가 í¬ê²Œ 유행했다. 18세기 ì´í›„ 유럽과 ì•„ì‹œì•„ì˜ êµë¥˜ê°€ ë¹ˆë²ˆí•´ì§€ìž ì¤‘êµ­ì„œ 수입한 ì›”ê³„í™”æœˆæ¡‚èŠ±ì— ìœ ëŸ½ì¢…ìžë¥¼ êµë°°ì‹œì¼œ ì˜¤ëŠ˜ë‚ ì˜ ìž¥ë¯¸ê°€ 탄ìƒí–ˆë‹¤.

ì´ì— 앞서 유럽ì—서는 ì¼ì°ì´ 기ì›ì „ 2천년 ê²½ 바빌론 ê¶ì „ì—서 ì´ ê½ƒì„ ìž¬ë°°í–ˆë‹¤. ë…ì¼ì˜ 한 ê³ ê³ í•™ìžëŠ” í¬ë ˆíƒ€ 섬ì—서 기ì›ì „ 1600ë…„ê²½ 그려진 장미벽화를 발견했다. 로마ì¸ì€ 장미를 제사와 잔치 등 ì˜ì‹ì„ 위해 ì´ì§‘트 등지ì—서 ìˆ˜ìž…í•˜ê¸°ë„ í–ˆë‹¤. 그리스 ì‹œì¸ í˜¸ë©”ë¡œìŠ¤(기ì›ì „ 1200ë…„ê²½)ì˜ ã€Šì¼ë¦¬ì•„드》와 《오디세ì´ã€‹ 등 긴 서사시와 성경ì—ë„ ìž¥ë¯¸ê°€ 등장한다. 장미는 문학과 ìŒì•…, ë¯¸ìˆ ì— ì´ë¥´ê¸°ê¹Œì§€ 빈번히 등장하며 지대한 ì˜í–¥ì„ 준 꽃 소재 중 하나ì´ë‹¤.
í•œÂ·ì¤‘Â·ì¼ ë™ì•„시아 삼국ì—서 1천년 ì´ìƒ 장미를 그려왔고, 현대ì—ë„ ìž¥ìš°ì„±ê³¼ 박노수 ê°™ì€ í•œêµ­í™”ê°€ ë¿ ì•„ë‹ˆë¼ ê¹€ì¸ìй, ìž„ì§ìˆœ ë“±ì´ ìœ í™”ë¡œë„ ì¦ê²¨ 그렸다(ë„1, ë„2). 옛 ê·¸ë¦¼ì„ ì‚´í”¼ë©´ 장미는 나비와 벌, ê°œ, 사슴, ê³ ì–‘ì´, ê°ì¢… 새, 버들과 소나무 등 여러 ìžì—°ë¬¼ê³¼ 함께 그려진다. ë˜í•œ 프랑스 ì™•ì‹¤ì˜ ì´ˆìƒí™”ê°€ 르브랭(ÉLISABETH VIGÉE-LE BRUN, 1755-1842)ì´ ëŸ¬ì‹œì•„ì˜ ì™•ì¡±ì„ 1797ë…„ 그린 <유스í¬í”„ 왕녀>(ë„3)나 중국 ì˜¹ì •é›æ­£ 때 제작한 12미ì¸ë„ 중 4í­ì˜ <ì—¬ì˜ë¥¼ 지닌 미ì¸[ç«‹æŒå¦‚æ„]>(ë„4)ì˜ ì˜ˆì²˜ëŸ¼ 미ì¸ê³¼ ì™•ìž ë“± ì¸ë¬¼ì˜ 배경으로 장미가 등장해 ì•„ë¦„ë‹¤ì›€ì„ ë°°ê°€ì‹œì¼°ë‹¤.

ì˜ì›í•œ ì²­ì¶˜ì„ ìƒì§•한 장미꽃

ìš°ë¦¬ë‚˜ë¼ ì‚¬ëžŒë“¤ì´ ê°€ìž¥ 좋아하는 꽃 중 첫 번째가 장미ë¼ê³  한다. ìž¥ë¯¸ê³¼ì— ì†í•œ 꽃나무로는 아가위로 불리는 산사나무, 산당화로 불리는 명ìžë‚˜ë¬´, ê°ì¢… 벚나무와 매화와 복숭아, 비파 ë“±ë„ í¬í•¨ëœë‹¤. ì ì§€ ì•Šì€ ì‚¬ëžŒë“¤ì´ ìž¥ë¯¸ë¥¼ 백합百åˆê³¼ 마찬가지로 서양 꽃으로 알고 있으나, ì¤‘êµ­ì„ ë¹„ë¡¯í•œ ë™ì–‘ì—서는 ì ì–´ë„ 1ì²œë…„ì„ ë„˜ê²Œ 장미를 그려왔다. 한국ì—ë„ ë“¤ìž¥ë¯¸ë¡œ 불리는 찔레꽃, 해당화海棠花 등 ìž¬ëž˜ì¢…ì¸ ì•¼ìƒí™”ê°€ 있다. â€˜ì¡°ì„ ì˜ ê·¸ë¦¼ ì‹ ì„ [ç•«ä»™]’ ê¹€í™ë„(金弘é“, 1745-1805ê²½)ê°€ 38세 때(1782ë…„) ë¶€ì±„ì— ì°”ë ˆê½ƒê³¼ 세 마리 나비를 그린 ëª…í’ˆë„ ì „í•œë‹¤.
ì‹ ë¼ 3대 문장가로 꼽히며 ì´ë‘å讀를 ì§€ì€ í•™ìžì¸ 설ì´(è–›è°, 655-?)ì˜ ã€Ší™”ì™•ê³„èŠ±çŽ‹æˆ’ã€‹ëŠ” ì‚¬ëžŒì„ ëª¨ëž€Â·ìž¥ë¯¸Â·í• ë¯¸ê½ƒ ë“±ì— ë¹„ìœ í•´ ìž„ê¸ˆì„ ì¶©ê³ í•œ 명문장ì´ë‹¤. ì´ë¥¼ 통해 우리나ë¼ì—ì„  7세기경 ìž¥ë¯¸ì˜ ì¡´ìž¬ë¥¼ 확ì¸í•  수 있으며, 장미를 ìŠì€ 고려시대 ì‹œë„ ì „í•œë‹¤. ë˜í•œ ê·¸ë¦¼ì— ë¶€ì¹œ 제시題詩를 통해 ì¡°ì„  ì´ˆ 장미 ê·¸ë¦¼ì˜ ì¡´ìž¬ê°€ 확ì¸ëœë‹¤. ì¡°ì„  ì´ˆ 문ì¸í™”ê°€ ê°•í¬ì•ˆ(姜希é¡, 1417-1464)ì´ ì§€ì€ ì›ì˜ˆì„œ 《양화소ë¡é¤Šèбå°éŒ„》ì—는 월계화란 명칭으로 재배법과 장미란 ì´ë¦„ë„ ë“±ìž¥í•œë‹¤. 그는 장미를 복숭아, 치ìž, 파초, í° ì² ì­‰ 등과 함께 ê½ƒì˜ 9등급 중 5품으로 ë“±ê¸‰ì„ ë§¤ê²¼ë‹¤.

중국ì—ì„  장미를 꽃 피는 ê¸°ê°„ì´ ê¸¸ì–´ ì ŠìŒì„ 오래 유지한다는 ëœ»ì„ ë‹´ì•„ ìž¥ì¶˜í™”é•·æ˜¥èŠ±ë¼ ë¶ˆë €ìœ¼ë©°, 우리나ë¼ì™€ ì¼ë³¸ë„ ê°™ì€ ì–‘ìƒì´ë‹¤. ‘ì˜ì›í•œ ì²­ì¶˜â€™ì„ ìƒì§•하는 장미는 ê´´ì„ê³¼ 사슴, ê³ ì–‘ì´ ë“± 장수를 ì˜ë¯¸í•˜ëŠ” 소재와 함께 그려 ì˜ë¯¸ë¥¼ 확대하는 효과를 꾀했다.

천년 ì—­ì‚¬ì˜ ë™ì•„시아 장미 그림

장미ë¼ëŠ” 소재를 통해 í•œÂ·ì¤‘Â·ì¼ ë™ì•„시아 세 나ë¼ì˜ 회화 êµë¥˜ë¥¼ 확ì¸í•  수 있다. ì¤‘êµ­ì€ 10세기 ì´í›„ 장미 ê·¸ë¦¼ì´ ì „í•˜ëŠ”ë°, 장미가 íšŒí™”ì˜ ì†Œìž¬ë¡œì„œ 모란보다 ë‚˜ì¤‘ì— ë“±ìž¥í–ˆë‹¤ê³  사료ëœë‹¤. 송 8대 í™©ì œì¸ íœ˜ì¢…å¾½å®— 조길(趙佶, 1082-1135) 때 황실소장 그림목ë¡ì¸ ã€Šì„ í™”í™”ë³´å®£å’Œç•«è­œã€‹ì— ìž¥ë¯¸ëŠ” ë³´ì´ì§€ 않으나, ë‹¹å” ì–‘ê´‘æ¢å»£ì´ 그린 <사계화ë„>나 <해당화ë„> 등 ìž‘í’ˆëª…ì´ ë‚˜íƒ€ë‚˜ 당대 장미를 그렸ìŒì´ 확ì¸ëœë‹¤. 그러나 현존하는 그림으로 시대가 ì´ë¥¸ ê²ƒì€ ìš”é¼ ê·€ì¡± 소융蕭瀜(11세기)ì˜ <화조ë„>ì— ëŒ€ë‚˜ë¬´ì™€ 함께 í°ìƒ‰ê³¼ ë¶„í™ìƒ‰ì˜ ë‘ ë“¤ìž¥ë¯¸ê°€ ë³´ì¸ë‹¤.
《고씨화보顧æ°ç•«è­œã€‹ì—는 명明 진괄陳æ ì´ 그린 장미가 주ì¸ê³µìœ¼ë¡œ 등장하는ë°, 조선후기 화단ì—서 ê·¸ ì˜í–¥ì´ 확ì¸ëœë‹¤. 《개ìžì›í™”전芥å­åœ’畫傳》ì—는 ì• ì„ è‰¾å®£ì˜ ê·¸ë¦¼ì„ ë°©å€£í•œ 것으로 바위ì—는 새가 등장하고 ê·¸ 뒤로 장미가 제법 í° ë¹„ì¤‘ìœ¼ë¡œ 나타나 있다. 그림ì—는 ‘빽빽한 가시는 ê½ƒì„ êº¾ëŠ” ì—¬ì¸ì˜ ê³ ìš´ ì†ì„ 막고, êµíƒœë¥¼ ë¨¸ê¸ˆì€ ê½ƒì€ ì•„ë¦¬ë”°ìš´ 아가씨 ì–¼êµ´ì„ ì§ˆíˆ¬ í•˜ë„¤â€™ì˜ ë‘ ì¤„ì˜ ì‹œê°€ ê³ë“¤ì—¬ìžˆë‹¤.

ì²­æ·¸ì—ì„  여러 ê½ƒì„ ì¼ê´„로 그린 화첩 ì¤‘ì— ìž¥ë¯¸ê°€ í¬í•¨ë˜ë©°, 금낭화나 ë“±ì„ í•¨ê»˜ ê·¸ë¦¬ê¸°ë„ í–ˆë‹¤. 양주화파楊州畫派로 활ë™ì´ ë‘드러진 화암(è¯åµ’, 1682-1756)ì˜ <취우화명ë„翠羽和鳴圖>ê°€ 전한다. 중국서 활ë™í•œ 예수회 ì‹ ë¶€ 낭세ì˜(郞世寧, 1688-1766)ì— ì˜í•œ 서양화í’ì´ ê°ì§€ë˜ëŠ” <들장미와 유리조>(ë„5)와 ë”불어 ì¼ë³¸ì—서 ìž ê¹ í™œì•½í•œ 심전(沈銓, 1682-1762 ì´í›„)ì˜ ìœ ìž‘ 중 <장미와 ê³ ì–‘ì´>(ë„6)ê°€ 주목ëœë‹¤. 특히 ì‹¬ì „ì€ ì´ ìž‘í’ˆ ì™¸ì— í† ë¼ì™€ ì›ì•™ì„ 장미, 매화 등 다른 화목과 함께 그려 í•˜ë‚˜ì˜ ì •í˜•å®šåž‹ì„ ë³´ì—¬ì¤€ë‹¤. ì¼ë³¸ì˜ 소 시세키(宋紫石, 1715-1786)ê°€ 그린 <í™ìž¥ë¯¸ìŒê¸ˆë„紅薔薇åŒç¦½åœ–>(ë„7)ì— ì‹¬ì „ì˜ ì˜í–¥ì´ ë³´ì¸ë‹¤. 다니 분쵸(è°·æ–‡æ™, 1763-1840)ì˜ <ê³ ëª©ì— ì•‰ì€ ì‚°ë¹„ë‘˜ê¸°[枯木山鳩圖]>(ë„8)는 중국 역대 그림과 서양화í’까지 섭렵해 ê°„í† é—œæ± ë¬¸ì¸í™”ë‹¨ì˜ ì¤‘ì‹ ë‹µê²Œ êµ­ì œì„±ì„ ë¤ ìž‘í’ˆìœ¼ë¡œ ë³´ì¸ë‹¤.
ì¡°ì„ ì˜ ë°•ì œê°€(朴齊家, 1750-1805)와 êµìœ í•œ 나빙(ç¾…è˜, 1733-1799)ì´ ë‚¨ê¸´ 화첩ì—는 <박제가ìƒ> ì™¸ì— ì ˆì§€í™”ë¡œ 그린 <노란 장미>ê°€ êµ­ë‚´ì— í˜„ì¡´í•œë‹¤. ì²­ë§ ì´ìœ¡(æŽè‚², 1843-1904)ì€ ë°”ìœ„ 아래 난초와 한 ìŒì˜ 새가 깃든 장미를 수묵담채로 묘사한 <화조ë„>(ë„9)를 통해 탈ì†í•œ 문ì¸í™”ì˜ ë†’ì€ ê²½ì§€ë¥¼ 보여주고 있다.

조선후기 화조ì˜ëª¨í™” ì† ìž¥ë¯¸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ì˜ ì „ì¹­ìž‘ ì¤‘ì— ìž¥ë¯¸ ê·¸ë¦¼ë„ ìžˆìœ¼ë‚˜ 전술한 중국서 ìœ ìž…ëœ í™”í’으로 시대가 조선후기로 떨어진다. 현존하는 우리 전통화화ì—서 ìž¥ë¯¸ì˜ ë“±ìž¥ì€ 18세기 ì´í›„ 그림ì—서 ì‚´í•„ 수 있다. ì†Œí’ˆì¸ ê°ìƒí™” ì™¸ì— ìž¥ì‹ì„±ì´ í° í™”ì¡° 병í’ê³¼ 19세기 ì´í›„ 민화 병í’ì—서 등ì—서 ì‚´í•„ 수 있다(ë„10). 장미가 주ì¸ê³µì¸ 것과 화조와 ì˜ëª¨í™” ë°°ê²½ì— ì¡°ì—°ìœ¼ë¡œ 등장한 것 등 ë‘ ìœ í˜•ì´ë‹¤. 화조화ì—ë„ ëŠ¥í•œ 심사정(沈師正, 1707-1769)ì˜ <장미와 나비[薔薇è´è¶]>(ë„11) 등 ì†Œí’ˆì´ ëª‡ ì  ì „í•œë‹¤. ë²„ë“œë‚˜ë¬´ì— ê¹ƒë“  한 ìŒì˜ 까치와 한쪽 모서리를 ì í•œ 장미 ê·¸ë¦¼ì€ â€˜ë²„ë“œë‚˜ë¬´[柳]’과 ‘머물다[ç•™]’가 ë°œìŒì´ ê°™ì€ ê²ƒì„ ì´ìš©í•´ 기ì¨(까치)ê³¼ ì ŠìŒ(장미)ì´ ì˜¤ëž˜ ì´ì–´ì§€ê¸¸(버드나무) 기ì›í•˜ëŠ” ë‚´ìš©ì„ ë‹´ê³  있다.
ê³ ì–‘ì´ ê·¸ë¦¼ì˜ ëŒ€ê°€ë¡œ ‘변 ê³ ì–‘ì´â€™ëž€ ë³„ëª…ì´ ë¶™ì€ ë³€ìƒë²½(åžç›¸ç’§, 1730-?)ì˜ <나비를 노리는 ê³ ì–‘ì´>(ë„12)는 ê´´ì„ ë’¤ë¡œ ì—°ë¶„í™ ê½ƒë§ìš¸ì„ 터트린 ìž¥ë¯¸ì— ë‚˜ë¹„ê°€ ì‚´í¬ì‹œ ì•‰ì€ ìž‘í’ˆì´ë‹¤. ì¡°ì„  í›„ê¸°ì— í™œë™í•œ ë„화서 í™”ì› ê¹€ìˆ˜ê·œ(金壽奎, 18-19세기 ì´ˆ)ë„ ê°™ì€ ì£¼ì œë¥¼ 그린 ë°” 있으며, ë¹„ë¡ ë‚™ê´€ì€ ìžˆìœ¼ë‚˜ ê¹€í™ë„ ê·¸ë¦¼ì´ ì•„ë‹Œ í•„ìžë¯¸ìƒìœ¼ë¡œ ê°„ì£¼ëœ <장미>ë„ ìžˆë‹¤. ì¡°ì„  ë§ê¸° í™”ë‹¨ì— ì´ë¥´ë©´ 바위나 ì§€ë©´ì˜ í‘œí˜„ ì—†ì´ ìž¥ë¯¸ì— ë‚˜ë¹„ì™€ 함께 나타낸 소í­ì˜ ê·¸ë¦¼ë“¤ì„ ì‰½ê²Œ 찾아볼 수 있다. 꽃 ê·¸ë¦¼ì„ ìž˜ 그리는 신명연(申命è¡, 1809-1892)ì€ ë¬¼ë¡ , ë°±ì€ë°°(白殷培, 1820-1904 ì´í›„)ì˜ í™”ì²©ì—는 전술한 í™”ë³¸ì˜ ì˜í–¥ì„ ë³´ì´ëŠ” <장미와 나비>(ë„13)ê°€ 현전한다.

장미가 다른 소재와 함께 화면 ì¼ë¶€ë¶„ì„ ì í•˜ëŠ” 것으로는 남계우(å—啓宇, 1811-1890)ì˜ <화접ë„> 대련(ë„14)ê³¼ 그를 ì´ì€ ì´ê²½ìй(æŽçµ…承, 1862-1927)ì˜ <화접ë„> 병í’ì´ ìžˆë‹¤. ì¡°ì„ í™”ë‹¨ì˜ ìµœí›„ë¥¼ 장ì‹í•œ 장승업(張承業, 1843-1897)ì˜ ìž‘í’ˆì—는 중국 ì‹¬ì „ì˜ ì˜í–¥ì„ ë°›ì€ ë“¯ ê³ ì–‘ì´ì™€ 장미를 함께 그린 ê²ƒì´ ìžˆê³ , 바위를 배경으로 í•€ 장미
ì£¼ìœ„ì— ì‚¬ìŠ´ê³¼ ì˜ì§€ê°€ 등장하는 ê²ƒë„ ìžˆë‹¤(ë„15, ë„16).
옛 그림ì—서 아름다운 ì™¸ì–‘ì„ ì§€ë…€ 단ë…으로 그려지거나, 길ìƒå‰ç¥¥ì˜ ì˜ë¯¸ë¥¼ ë‹´ì•„ 다른 소재와 함께 그려진 장미는 오늘날ì—ë„ ì¦ê²¨ 그리는 회화 ì†Œìž¬ì˜ í•˜ë‚˜ì´ë‹¤. ê³¼ê±°ë§Œì´ ì•„ë‹Œ 현대 ë¯¼í™”ì˜ ì˜ì—­ì—ì„œì˜ ìž¥ë¯¸ì˜ ì—­í• ë„ ìžëª» 기대ëœë‹¤.


ì´ì›ë³µ | 미술사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과 학예연구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위ì›, 경기ë„박물관장 등ì„
역임하며 42ë…„ê°„ 박물관 í˜„ìž¥ì— ëª¸ë‹´ì•˜ë‹¤.
현재 ë™êµ­ëŒ€í•™êµ ê°ì›êµìˆ˜, (사)역사여성미래 ê³µë™ëŒ€í‘œì´ë‹¤.


ì €ìžì— 관하여

월간민화

Leave a Reply

ì´ë©”ì¼ì€ 공개ë˜ì§€ 않습니다. 필수 ìž…ë ¥ì°½ì€ * 로 표시ë˜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