읎승철 교수의 믌화재료학 특강 â‘€ 자연읎 만든 순수한 색, 소색玠色

몚든 믌족은 저마닀의 환겜곌 정서에 맞는 색채의식을 가지고 있닀. 한국읞은 요람에서 묎덀까지 백의癜衣로 음생을 마쳀닀고 할 정도로 흰옷을 슐겚 입었는데, 선조듀읎 선혞한 흰색은 였늘날의 읞위적읞 흰색읎 아닌 자연적읞 ‘소색玠色’읎닀. 였방색을 귌간윌로 하는 우늬의 소색에는 몚시, 백자, 혞분 등에서 공통적윌로 발견할 수 있는 고유의 색감곌 소박한 아늄닀움읎 드러나 있닀.


‘색읎란 공Ʞ처럌 우늬 죌위에 항상 졎재하는 것읎며, 귞냥 사용하멎 되는 것 아닌가?’ 자연색에 대핮 ꎀ심을 가지지 않았던 때, 자연색에 대한 읞식은 묎지할 만큌 닚순했닀. 귞러나 소색 한지륌 연구하며 접한 조선 시대 두룚마늬 색지의 자연 엌색된 색감에 맀료되멎서 생각읎 달띌졌닀. 우늬 전통색의 아늄닀움을 느껎볎지 못한 사람듀의 자연색에 대한 읞식도 필자의 처음곌 별반 닀륎지 않을 듯하닀.

왜 우늬 믌족을 ‘백의믌족’읎띌고 할까?

백의믌족癜衣民族은 예부터 우늬나띌륌 음컫는 말읎닀. ê·ž 읎유는 우늬 믌족읎 흰색을 좋아핎 흰옷을 슐겚 입얎서띌고 알렀졌닀. 귞러나 엄밀히 말핎서 우늬 믌족읎 좋아하는 것은 흰색읎 아니띌 가공하지 않은 순수한 바탕의 색, 소색玠色읎닀. 소색의 ‘소玠’자는 순백을 의믞하며, 회의묞자로서 ‘볞래의 귞대로’띌는 뜻을 지녔닀. 소색은 몚든 색상의 Ʞ볞 바탕읎 되는 색읎자 자연읎 만듀얎낞 색읎닀. ‘백의癜衣’는 읞공읎 배제된 소색의 백색읎며, 선조듀은 탄생부터 죜음까지 소색 옷을 입는 행위로 자연곌 동화되고자 했닀.
소색의 아늄닀움은 묎명읎나 몚시, 찜窓곌 묞門에 바륞 한지韓玙, 벜에 바륞 흰 석회, 백자, 혞분, 소ꞈ, 눈 등 수없읎 많은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닀. 소색의 백색은 ꎑ선을 반사하여 번쩍거늬는 백색읎 아니고 빛을 흡수하는 은은한 빛깔읎며, 화학앜품윌로 표백된 순백색읎 아닌 옅은 믞색을 띀 백색읎닀. 같은 백색읎띌 핮도 믌족마닀 색감에 대한 선혞도가 닀륎Ʞ 때묞에 각 믌족읎 좋아하는 백색은 닀륌 수밖에 없닀. 우늬 선조듀읎 좋아한 백색은 조선 백자의 투명핚곌 섞몚시 백색 도포에서 볎읎는 격栌읎 있고 깊읎 있는 백색읎닀. 묌론 자연읎 만든 소색은 젖빛 같은 유백색도 있윌며, 달걀 빛 같은 난백색도 있고, 또 귞냥 희Ʞ만 한 순백색도 있닀.

자연읎 소색을 만듀얎낎는 방법은 맀우 닀양하며, 소색에는 자연 슀슀로가 소색의 재료가 되얎 만듀얎낞 ‘Ʞ볞적읞 소색’곌 자연의 힘을 읎용하여 재가공한 ‘백색 소색’읎 있닀. Ʞ볞적읞 소색은 목화가 만듀얎낞 순백색의 묎명, 뜕나묎 잎읎 누에띌는 곀충을 통핎 만듀얎낞 황백색의 비닚, 흙곌 자연의 유앜읎 불을 읎용핎 탄생시킚 백색의 백자 등읎며, 읎러한 Ʞ볞적읞 소색을 닀시 자연의 힘윌로 변화시킚 것읎 백색 소색읎닀. 백색 소색에는 시간곌 불을 통핎 조개껍데Ʞ로 만듀얎낞 혞분, 묌곌 햇볕을 읎용하여 황갈색 닥나묎껍질로 만듀얎낞 흰색 닥종읎 등읎 있닀.
혹자는 우늬 믌족읎 가난하여 색깔을 못 쓰는 믌족읎띌든지, 색에 대한 표현력읎 없얎 흰옷을 입었닀고 말하는 겜우가 있는데 읎것은 우늬 믌족읎 지닌 닀양한 색 묞화륌 격하시킀는 것읎닀. 색상의 닀양성은 고구렀 고분 벜화, 삌국 시대의 복식, ê³ ë € 불화, 조선의 사대부와 궁쀑의상, 닚청 같은 묞화유산을 볎멎 쉜게 알 수 있닀. 개읞도 귞렇듯읎 믌족읎나 집닚읎 선혞하는 색상곌 배색읎 있Ʞ 마렚읎닀. 몚든 믌족은 저마닀의 환겜곌 정서에 맞는 색상을 가지고 색에 대한 의믞첎계륌 갖추고 있닀.

였방색을 귌간윌로 하는 우늬의 소색

소색의 백색은 우늬말로 표현하멎 ‘하양’ 혹은 ‘희닀’띌고 한닀. 음양였행의 의믞첎계에서는 의矩륌 뜻하고 수혞신윌로는 백혞가 된닀. 또한 백색은 동양의 공간 개념윌로 서쪜을 말하고 시간 개념윌로 사계절 쀑 가을에 속하며 상징적 개념윌로 ‘하늘’을 가늬킚닀. 귞래서 서쪜에서 부는 바람을 ‘하늬바람’읎띌고 부륎며 천신倩神을 ‘하느님’읎띌고 부륞닀. 읎런 뜻에서 볞닀멎, 우늬가 흰옷을 슐겚입는 것은 ê³§ ‘하느님’을 숭상하는 겜천사상에 연유된 것읎띌 볌 수 있닀.
소색의 바탕은 였방색윌로, 음양였행에 Ʞ반을 두며 우늬 믌족의 색채의식에 밑바탕을 읎룬닀. 음양였행에서 말하는 였방색읎란 황색, 청색, 적색, 백색, 흑색을 말한닀. 각각의 색은 방위와 ꎀ렚읎 되얎 있윌며, 항상 변핚읎 없읎 쀑앙에 있는 색은 황색읎닀. 묌, 식묌 등 발전적읞 것을 상징하는 청색은 동쪜, 따뜻핚곌 부륌 상징하는 적색은 낚쪜, 깚끗핚곌 순결을 나타낮는 흰색은 서쪜, 암욞한 섞계륌 상징하는 검은색은 북쪜을 가늬킚닀. 우늬가 알고 있는 사군자의 맀화, 난쎈, 국화, 대나묎도 였행사상의 원늬륌 따띌 각각 방위륌 지니고 있닀.
색을 만드는데도 음양였행 원늬가 바탕읎 된닀. 였방색의 혌합에 따띌 녹색도 나올 수도 있고 죌황색읎 나올 수도 있는데, 읎때 Ʞ억핎알 할 것읎 있닀. 전통적윌로 엌색하거나 색을 혌합하여 새로욎 색깔을 만듀 때 쀑심 색은 황색읎띌는 점읎닀. 녹색을 만듀 때 청색윌로 뚌저 엌색한 후 황색을 엌색하멎 녹색읎 나였나, 황색을 뚌저 엌색한 후에 청색을 엌색하멎 청색 Ʞ욎읎 강핎서 녹색을 만듀Ʞ가 쉜지 않닀. 또한 적색을 읎용한 방법도 마찬가지로 황색을 뚌저 엌색하고 적색을 엌색하멎 적색 Ʞ욎에서 벗얎나Ʞ 힘듀닀. 슉, 두 색을 읎용하여 엌색할 때는 쀑심 색읎 나쀑에 듀얎가알 좋은 색읎 나옚닀. 읎러한 색의 배합 순서도 음양였행섀곌 ꎀ렚읎 있는 것읎며 읎렇게 만듀얎진 색을 ‘간색間色’읎띌고 부륞닀.

묎공핎 자연의 소색곌 강제 표백된 흰색

우늬 믌족읎 소색을 많읎 사용한 시Ʞ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소색을 너묎 많읎 사용핎 소색 사용을 ꞈ지한 Ʞ록윌로 볎아 ê³ ë € 시대로 추정된닀. 귞에 ꎀ한 Ʞ록을 볎멎 ê³ ë € 충렬왕忠烈王 원년에 태사국倪史局에서 아뢰Ʞ륌, “동방(ê³ ë €)은 였행五行 쀑 목朚의 위치읎니 푞륞 색깔을 숭상하여알 하며 흰 것은 5행 쀑 ꞈ金의 색깔읞데, 지ꞈ 나띌 사람듀읎 군복을 입고, 흰 몚시옷윌로 윗옷을 많읎 입윌니, 읎것은 목朚읎 ꞈ金에 제얎되는 형상입니닀. 백색 의복을 ꞈ하Ʞ륌 청하나읎닀”하니, 왕읎 ê·ž 말을 쫓았닀고 한닀. 소색 애용은 유교륌 숭상하던 조선 시대에도 청색 숭상의 ꎀ습읎 읎얎젞 백의ꞈ령읎 낎렀진 적읎 있었는데 “숙종 신믞년 17년에 왕읎 명하여 흰옷을 ꞈ하고 푞륞 옷을 입게 하였닀”띌는 Ʞ록읎 낚아 있닀.
읎러한 음양였행 사상은 지ꞈ까지도 풍습읎나 읎알Ʞ, 습ꎀ 등 생활 속에 뿌늬 깊읎 낚아 있닀. 음양였행 사상은 동양 색채묞화에 귌간읎닀. 한·쀑·음은 음양였행에 맞추얎 자신듀의 색을 만듀얎 사용했Ʞ 때묞에 믌족마닀 선혞하는 색읎 조ꞈ 닀륌 뿐 거의 비슷한 색을 만듀얎 사용했닀. 또한 색의 죌된 사용자는 당시 지배계잵읎었닀.
우늬 믌족읎 소색을 슐겚 사용한 현싀적읞 읎유로 펞늬성곌 엌료의 가격읎띌는 잡멎을 삎펎볌 수 있닀. 평믌듀은 지역곌 계절에 따띌 천(묎명, 비닚, 삌베, 몚시)의 재료륌 직접 재배하여 옷을 만듀얎 입었윌며, 천을 섞탁할 때도 집안에서 타고 낚은 재에서 추출한 잿묌을 읎용하여 자연 표백했닀. 읎런 곌정을 자꞉자족하여 핎결할 수 있고, 당시 엌료의 가격도 비쌌Ʞ 때묞에 죌로 엌색하지 않은 소색 옷을 입었닀. 귞렇닀고 평믌듀읎 색깔 있는 옷을 선혞하지 않은 것은 아니닀. 조선 시대에 평믌듀읎 엌색할 엌료륌 얻Ʞ 위핎 벌농사볎닀 엌료 재배륌 선혞하는 바람에 쌀 수확량읎 감소하여 엌료 재배륌 ꞈ지한 겜우도 있닀.

요사읎 사용하는 흰색은 우늬 믌족읎 슐겚 사용하던 소색곌는 닀소 거늬가 있닀. 현대의 흰색은 눈에 볎읎는 것처럌 결윔 깚끗한 것읎 아니띌 눈속임음 수도 있닀. 예륌 듀얎 우늬가 옛날부터 얌굎의 플부 색깔읎 하얀 것을 좋아핎서 화장품윌로 백분을 발랐는데, 백분은 바로 납 성분읎얎서 시각적윌로만 맑고 깚끗핎 볎읎지만 싀제 ê·ž 묌질은 우늬 플부에 핎로욎 것읎닀. 현재 우늬가 사용하는 흰색천은 음반적윌로 강제 표백을 핎서 흰색을 만든닀. 발색을 좋도록 몚든 천에는 ꎑ명닚읎띌는 화학앜품을 집얎넣윌며 ꎑ명닚은 볎통 우늬 눈에 잘 볎읎지 않윌나 흰색 천을 놓고 사진 쎬영을 하멎 사진에 반사되얎 쉜게 알아볌 수 있닀. 읎 ꎑ명닚 때묞에 얎뚞니듀읎 새 천을 사서 얎늰애듀읎 Ʞ저귀륌 사용할 때 귞냥 사용하지 않고 삶아서 쓰는 것읎닀. 만앜 읎것을 삶지 않고 바로 사용하멎 플부가 예믌한 얎늰애에게서 플부 알레륎Ʞ나 반응 나타난닀. 읎런 겜우는 양지륌 만듀 때도 마찬가지읎닀. 종읎의 발색을 좋게 하고 변색읎나 변질을 없애Ʞ 위핎 화학성분의 활석읎나 표백제, 포륎말늰을 사용하여 강제로 흰색을 만든닀. 현대에서는 하얗닀고 핎서 결윔 깚끗하거나 위생적읞 것만은 아니닀. 예전에 우늬 선조듀은 하얀 백색을 만듀 때는 묎공핎 자연을 읎용하여 백색을 만듀었닀. 자연의 소색은 자연 자첎의 산묌읎며 햇빛, 묌, 바람, 불, 시간, 읎띌는 자연의 힘읎 만듀얎낞 또 닀륞 자연의 색읎닀. 〔계속〕



Ꞁ·사진 읎승철(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곌 교수)

저자에 ꎀ하여

월간믌화

Leave a Reply

읎메음은 공개되지 않습니닀. 필수 입력찜은 * 로 표시되얎 있습니닀